KR101472782B1 -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782B1
KR101472782B1 KR20130066142A KR20130066142A KR101472782B1 KR 101472782 B1 KR101472782 B1 KR 101472782B1 KR 20130066142 A KR20130066142 A KR 20130066142A KR 20130066142 A KR20130066142 A KR 20130066142A KR 101472782 B1 KR101472782 B1 KR 101472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solar cell
photodiode sensor
light
chang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철오
배상순
이성호
이성현
양승록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사이언스
Priority to KR2013006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2Measuring rate of 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 및 방법은 솔라 시뮬레이터에서 출력되는 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 센서; 솔라시뮬레이터로부터 광을 조사받는 태양전지; 포토 다이오드 센서와 상기 태양전지로 시간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기설정된 전압 스위프(Voltage Sweep) 단위마다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태양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전류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포토 다이오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전류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소스 측정 유니트; 및 소스 측정 유니트로부터 측정된 상기 제2 전류의 변화량을 기초로 솔라 시뮬레이터에서 출력되는 광의 조사 강도 변화를 분석하며, 분석한 광의 조사 강도 변화를 기초로 제1 전류의 변화량을 보정하여 태양전지의 최종 전류 변화량을 계산하는 개인용 컴퓨터(PC)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 및 방법{Optical Correction Apparatus of Solar Simulator and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포토 다이오드 센서를 이용하여 광의 조사 강도 차이를 보정하여 태양전지의 전류 전압 특성의 정밀도를 높이는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측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중에서도 태양전지는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고 환경 오염에 대한 문제점이 없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태양전지의 출력 특성은 솔라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태양전지의 전류 전압 특성을 측정하여 평가된다.
태양전지의 특성 측정은 횡축을 전압, 종축을 전류로 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플롯하는 것에 의해 출력 특성 곡선을 얻고 있다(I-V 커브).
태양전지의 특성 측정은 태양광과 유사한 인공 광원을 이용하여 조사 강도를 100mW/cm2으로 조절하여 측정한다.
이때 IEC60904-9의 규격에 의거하여 AAA Class 조건에 충족되는 인공 광원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표준 조건을 충족하는 인공 광원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인공 광원의 불안정성(Instability)으로 인해 전압 전류 특성의 측정 결과에 대한 재현성과 정확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태양전지의 전류 전압 특성은 인공 광원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재현성이 떨어지는데 특히 션트 저항(Shunt Resistance, Rsh)의 재현성이 매우 낮다.
이러한 션트 저항의 경우, 솔라 시뮬레이터는 휘도가 고정적인 상태에서 전류 전압 곡선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션트 저항을 산출하는데 인공 광원의 비선형적인 불안정성이 션트 저항의 재현성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태양전지는 IEC60904-9의 규격에 의거하여 솔라 시뮬레이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측정된 전압 전류 특성 곡선으로 태양전지의 효율 특성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포토 다이오드 센서를 이용하여 광의 조사 강도 차이를 보정하여 태양전지의 전류 전압 특성의 정밀도를 높이는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는,
솔라 시뮬레이터에서 출력되는 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 센서;
솔라시뮬레이터로부터 광을 조사받는 태양전지;
포토 다이오드 센서와 상기 태양전지로 시간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기설정된 전압 스위프(Voltage Sweep) 단위마다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태양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전류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포토 다이오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전류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소스 측정 유니트; 및
소스 측정 유니트로부터 측정된 상기 제2 전류의 변화량을 기초로 솔라 시뮬레이터에서 출력되는 광의 조사 강도 변화를 분석하며, 분석한 광의 조사 강도 변화를 기초로 제1 전류의 변화량을 보정하여 태양전지의 최종 전류 변화량을 계산하는 개인용 컴퓨터(P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방법은,
솔라 시뮬레이터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태양전지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설치하고 태양전지의 측면 주위에 포토 다이오드 센서를 하나 이상을 설치하고, 포토 다이오드 센서와 태양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스 측정 유니트(Source Measurement Unit)와 소스 측정 유니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PC)를 구비하고, 솔라 시뮬레이터는 상기 포토 다이오드 센서와 상기 태양전지로 광을 조사하는 단계;
소스 측정 유니트는 포토 다이오드 센서와 태양전지로 시간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기설정된 전압 스위프(Voltage Sweep) 단위마다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태양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전류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포토 다이오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전류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개인용 컴퓨터는 소스 측정 유니트로부터 측정된 제2 전류의 변화량을 기초로 솔라 시뮬레이터에서 출력되는 광의 조사 강도 변화를 분석하며, 분석한 광의 조사 강도 변화를 기초로 제1 전류의 변화량을 보정하여 태양전지의 최종 전류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포토 다이오드 센서를 이용하여 광의 조사 강도 차이를 보정하여 태양전지의 전류 전압 특성의 재현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의 광 보정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다이오드 센서를 구비한 광 보정 장치에서 광 보정 작업을 수행한 태양전지의 전류 변화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다이오드 센서를 이용하여 광 보정 작업을 적용한 후 측정한 태양전지의 효율 특성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인공 광원의 불안정성에 의한 오차를 측정된 전류-전압 특성 곡선을 보정하여 태양전지의 효율 특성의 재현성과 신뢰성을 확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100)는 솔라 시뮬레이터(110)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태양전지(140)를 거치하는 거치대(120)를 설치하고 태양전지(140)의 측면 주위에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를 하나 이상을 설치하며,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와 태양전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스 측정 유니트(Source Measurement Unit, SMU)(200)와 소스 측정 유니트(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PC)(300)를 구비한다.
거치대(120)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태양전지(140)가 위치하고 태양전지(140)의 좌우전후 측면의 4곳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를 배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 시뮬레이터(110)의 광 보정 장치(100)는 솔라 시뮬레이터(110), 포토 다이오드(Photo Sensor) 센서(130), 태양전지(140), 소스 측정 유니트(200) 및 PC(300)를 포함한다.
솔라 시뮬레이터(Solar Simulator)(110)는 크세논 램프(Xenon Lamp)를 구비하고, 태양전지(140)를 시험하기 위한 광을 출력한다.
솔라 시뮬레이터(110)는 광을 생성하여 태양전지(140)와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로 조사한다(S100).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는 솔라 시뮬레이터(110)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실시간으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소스 측정 유니트(200)는 -0.05V ~ 0.61V의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여 태양전지(Solar Cell)(140)에 인가하고 0V의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여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에 인가한다(S102, S104).
소스 측정 유니트(200)는 -0.05V ~ 0.61V의 바이어스 전압에서 시간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기설정된 전압 스위프(Voltage Sweep) 단위마다 특정 바이어스 전압을 태양전지(140)에 인가한다(S102).
예를 들면, 소스 측정 유니트(200)는 기설정된 전압 스위프 단위(즉, ms 단위)마다 바이어스 전압(-0.05V, -0.07V, … 0.21V, … 0.61V)을 태양전지(140)에 인가한다.
이때, 소스 측정 유니트(200)는 기설정된 전압 스위프 단위마다 특정 바이어스 전압을 태양전지(140)에 인가하는 시점과 0V의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여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에 인가하는 시점이 동일한 시점에 인가하게 된다. 이를 바이어스 전압의 출력 채널의 동기화라 한다.
소스 측정 유니트(200)는 태양전지(14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기설정된 전압 스위프 단위마다 각각 측정하여 태양전지(140)의 전류 변화량을 측정한다(S106).
태양전지(140)로부터 측정된 전류 변화량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전압의 특성 곡선으로 나타낼 수 있다.
태양전지(140)로부터 측정된 전류의 변화량은 소스 측정 유니트(200)로부터 바이어스 전압을 태양전지(140)에 인가한 후 태양전지(14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전류 변화량과, 솔라 시뮬레이터(110)로부터 출력된 광을 태양전지(140)에 인가한 후 태양전지(140)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전류 변화량을 포함한다.
바이어스 전압을 태양전지(140) 또는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에 인가하여 태양전지(140) 또는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로부터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은 공지된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소스 측정 유니트(200)는 0V의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여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에 인가한 후,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기설정된 전압 스위프 단위마다 각각 측정하여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의 전류 변화량을 측정한다(S108).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로부터 측정된 전류의 변화량은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전압의 특성 곡선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소스 측정 유니트(200)는 태양전지(14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기설정된 전압 스위프 단위마다 각각 측정하는 시점과,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시점이 동일한 시점에 측정하게 된다. 이를 전류의 측정 채널의 동기화라 한다.
바이어스 전압의 출력 채널과 전류의 측정 채널의 동기화는 태양전지(140)와 포토 다이오드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수행 시점과 태양전지(140)와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에서 전류를 측정하는 수행 시점을 맞추는 작업이다.
본 발명은 바이어스 전압의 출력 채널과 전류의 측정 채널의 동기화가 이루어져야 도 1의 (a), (b)와 같이 전류 전압 특성 곡선, 전류의 변화량을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솔라 시뮬레이터(Solar Simulator)(110)는 크세논 램프(Xenon Lamp)의 특성상 광조사 강도의 차이로 인해 태양전지(140)와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의 불규칙적인 전류 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인공 광원의 불안정성(Instability)은 전압 전류 특성의 측정 결과에 대한 재현성과 정확성을 떨어뜨린다.
태양전지(140)의 전류 전압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인공 광원의 불안정성에 의한 오차를 측정하여 반영하는 광 보정 작업이 필요한다.
광 보정 작업을 위해서는 솔라 시뮬레이터(110)의 광 조사 강도의 차이가 얼마나 발생하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여기서, 광 조사 강도의 차이는 솔라 시뮬레이터(110)로부터 출력된 광을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에 인가한 후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로부터 측정되는 전류의 변화량을 파악하여 알 수 있다.
그러나 태양전지(140)의 전류 전압의 특성 곡선에서는 전압에 대한 전류의 변화가 선형적이거나 고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광 조사 강도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추출해낼 수 없다.
다시 말해, 태양전지(140)의 전류 전압의 특성 곡선에서는 전술한 제1 전류 변화량과 제2 전류 변화량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제2 전류 변화량만을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광 보정 작업은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로부터 측정된 전류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광 조사 강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그 차이 비율만큼을 태양전지(140)의 전류 전압의 특성 곡선에 반영하여 보정한다.
PC(300)는 소스 측정 유니트(200)로부터 태양전지(140)로부터 측정된 전류의 변화량과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로부터 측정된 전류의 변화량을 결과 데이터로 수신한다.
PC(300)는 소스 측정 유니트(200)로부터 수신한 결과 데이터를 다음의 [수학식 1]에 적용하여 광 보정 작업을 수행한다.
Figure 112013051394932-pat00001
여기서, G1은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로부터 측정한 전류의 변화량을 평균한 전류값이고, G2는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로부터 기설정된 전압 스위프 단위마다 측정된 전류값이고(포토 다이오드로부터 측정된 전류의 변화량), I1는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로부터 기설정된 전압 스위프 단위마다 측정된 전류값(태양전지(140)로부터 측정된 전류의 변화량), I2는 최종 보정된 태양전지(140)의 전류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PC(300)는 [수학식 1]과 같이,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의 전류의 변화량에서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에서 측정한 전류의 변화량의 평균값으로 기설정된 전압 스위프 단위마다 나누어 전류 변화량 비율을 계산하고, 전류 변화량 비율을 태양전지(140)에서 측정한 전류의 변화량에 곱하여 태양전지(140)의 최종 전류 변화량을 계산한다(도 3)(S109).
PC(300)는 G1보다 G2가 높다고 판단되면, 전류 변화량 비율만큼 태양전지(140)의 전류를 낮추고, G1보다 G2가 낮다고 판단되면, 전류 변화량 비율만큼 태양전지(140)의 전류를 높이는 방식으로 태양전지(140)의 전류 변화량에 반영하여 최종 결과 데이터(I2, 태양전지(140)의 최종 전류 변화량)를 계산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결과 데이터는 태양전지(140)의 전류 전압의 특성 곡선이 선형적으로 보정됨을 알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태양전지(140)의 전압 전류 특성의 측정 결과에 대한 재현성과 정확성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태양전지(140)의 효율 특성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다이오드 센서를 구비한 광 보정 장치에서 광 보정 작업을 수행한 태양전지의 전류 변화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개의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a)를 구비하고 광 보정 작업을 수행한 태양전지(140)의 전류 변화량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a, 130b)를 구비하고 광 보정 작업을 수행한 태양전지(140)의 전류 변화량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a, 130b, 130c)를 구비하고 광 보정 작업을 수행한 태양전지(140)의 전류 변화량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개의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a, 130b, 130c, 130d)를 구비하고 광 보정 작업을 수행한 태양전지(140)의 전류 변화량을 나타낸다.
도 8은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의 개수에 따라 광 보정 작업을 수행한 태양전지(140)의 전류 변화량과 광 보정 작업을 하기 전에 태양전지(140)의 전류 변화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를 1개에서 4개까지 사용하여 광 보정 작업을 진행하면, 점차적으로 전압에 대한 전류의 변화가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4개의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a, 130b, 130c, 130d)를 구비하여 광 보정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태양전지(140)의 전류 변화량이 가장 선형적으로 변경된다.
본 발명의 광 보정 장치(100)는 포토 다이오드 센서(130a, 130b, 130c, 130d)를 이용하여 태양전지(140)의 전류 변화량을 보정함으로써 전압에 대한 전류의 변화가 선형적으로 변경되어 태양전지(140)의 효율 특성의 재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포토 다이오드 센서를 1개에서 4개로 광 보정 작업을 적용하여 각각 10회 측정한 태양전지(140)의 효율 특성 결과의 최대, 최소값과 그 차이값을 비교한 데이터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140)의 전류 전압 곡선의 특성 중 션트 저항(Shunt Resistance, Rsh)의 변화량을 비교했을 때 4개의 포토 다이오드 센서의 사용시 보정 효과가 가장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
110: 솔라 시뮬레이터
120: 거치대
130, 130a, 130b, 130 c, 130d, 130e: 포토 다이오드 센서
140: 태양전지
200: 소스 측정 유니트
300: PC

Claims (11)

  1.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솔라 시뮬레이터에서 출력되는 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 센서;
    상기 솔라시뮬레이터로부터 광을 조사받는 태양전지;
    상기 포토 다이오드 센서와 상기 태양전지로 시간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기설정된 전압 스위프(Voltage Sweep) 단위마다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전류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포토 다이오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전류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소스 측정 유니트; 및
    상기 소스 측정 유니트로부터 측정된 상기 제2 전류의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솔라 시뮬레이터에서 출력되는 광의 조사 강도 변화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한 광의 조사 강도 변화를 기초로 상기 제1 전류의 변화량을 보정하여 태양전지의 최종 전류 변화량을 계산하는 개인용 컴퓨터(PC)
    를 포함하는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상기 제2 전류의 변화량을 상기 제2 전류의 변화량의 평균값으로 기설정된 전압 스위프(Voltage Sweep) 단위마다 나누어 제2 전류의 변화량 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제2 전류의 변화량 비율을 상기 제1 전류의 변화량에 곱하여 상기 태양전지의 최종 전류 변화량을 계산하는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라 시뮬레이터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태양전지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설치하고 상기 태양전지의 측면 주위에 포토 다이오드 센서를 하나 이상을 배치하는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라 시뮬레이터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중심부에 태양전지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설치하고, 상기 태양전지의 좌우전후 측면의 4곳의 위치에 상기 포토 다이오드 센서를 각각 배치하는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측정 유니트는 일정 범위의 바이오스 전압에서 기설정된 전압 스위프 단위마다 특정 바이어스 전압을 상기 태양전지에 인가하고 0V의 바이어스 전압을 상기 포토 다이오드 센서에 인가하며, 상기 특정 바이어스 전압을 상기 태양전지에 인가하는 시점과 상기 0V의 바이어스 전압을 상기 포토 다이오드 센서에 인가하는 시점이 동일한 시점에 인가하는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측정 유니트는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전류의 측정과 상기 포토 다이오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전류의 측정시 동일한 시간 단위로 동일한 시점에 전류를 측정하는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
  7.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솔라 시뮬레이터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태양전지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설치하고 상기 태양전지의 측면 주위에 포토 다이오드 센서를 하나 이상을 설치하고, 상기 포토 다이오드 센서와 상기 태양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스 측정 유니트(Source Measurement Unit)와 상기 소스 측정 유니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PC)를 구비하고,
    상기 솔라 시뮬레이터는 상기 포토 다이오드 센서와 상기 태양전지로 광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소스 측정 유니트는 상기 포토 다이오드 센서와 상기 태양전지로 시간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기설정된 전압 스위프(Voltage Sweep) 단위마다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전류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포토 다이오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전류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상기 소스 측정 유니트로부터 측정된 상기 제2 전류의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솔라 시뮬레이터에서 출력되는 광의 조사 강도 변화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한 광의 조사 강도 변화를 기초로 상기 제1 전류의 변화량을 보정하여 태양전지의 최종 전류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전류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상기 제2 전류의 변화량을 상기 제2 전류의 변화량의 평균값으로 기설정된 전압 스위프(Voltage Sweep) 단위마다 나누어 제2 전류의 변화량 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제2 전류의 변화량 비율을 상기 제1 전류의 변화량에 곱하여 상기 태양전지의 최종 전류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류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측정 유니트는 일정 범위의 바이오스 전압에서 기설정된 전압 스위프 단위마다 특정 바이어스 전압을 상기 태양전지에 인가하고 0V의 바이어스 전압을 상기 포토 다이오드 센서에 인가하며, 상기 특정 바이어스 전압을 상기 태양전지에 인가하는 시점과 상기 0V의 바이어스 전압을 상기 포토 다이오드 센서에 인가하는 시점이 동일한 시점에 인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류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측정 유니트는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전류의 측정과 상기 포토 다이오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전류의 측정시 동일한 시간 단위로 동일한 시점에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상기 태양전지가 위치하고, 상기 태양전지의 좌우전후 측면의 4곳의 위치에 상기 포토 다이오드 센서를 배치하는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방법.
KR20130066142A 2013-06-10 2013-06-10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1472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142A KR101472782B1 (ko) 2013-06-10 2013-06-10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142A KR101472782B1 (ko) 2013-06-10 2013-06-10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782B1 true KR101472782B1 (ko) 2014-12-15

Family

ID=5267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6142A KR101472782B1 (ko) 2013-06-10 2013-06-10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7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8051A1 (en) * 2020-03-17 2021-09-23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Energy yield estimation measurement methodology for solar cells and modules
WO2023027299A1 (ko) * 2021-08-25 2023-03-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자 동작 조건에서 cu(in,ga)se2 소자에서 cds의 면저항을 직접 측정하기 위한 측면 광전류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4653A (ja) * 1994-12-28 1996-07-16 Omron Corp 太陽電池模擬電源装置
JPH0943321A (ja) * 1995-07-26 1997-02-14 Canon Inc 太陽電池出力特性測定装置および太陽電池出力特性の測定方法
JP2003069057A (ja) 2001-08-27 2003-03-07 Nisshinbo Ind Inc 太陽電池測定用ソーラシミュレータ
JP2012039036A (ja) 2010-08-11 2012-02-23 Konica Minolta Sensing Inc 太陽電池評価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光源評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4653A (ja) * 1994-12-28 1996-07-16 Omron Corp 太陽電池模擬電源装置
JPH0943321A (ja) * 1995-07-26 1997-02-14 Canon Inc 太陽電池出力特性測定装置および太陽電池出力特性の測定方法
JP2003069057A (ja) 2001-08-27 2003-03-07 Nisshinbo Ind Inc 太陽電池測定用ソーラシミュレータ
JP2012039036A (ja) 2010-08-11 2012-02-23 Konica Minolta Sensing Inc 太陽電池評価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光源評価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8051A1 (en) * 2020-03-17 2021-09-23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Energy yield estimation measurement methodology for solar cells and modules
WO2023027299A1 (ko) * 2021-08-25 2023-03-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자 동작 조건에서 cu(in,ga)se2 소자에서 cds의 면저항을 직접 측정하기 위한 측면 광전류법
KR20230030330A (ko) * 2021-08-25 2023-03-0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자 동작 조건에서 Cu(In,Ga)Se2 소자에서 CdS의 면저항을 직접 측정하기 위한 측면 광전류법
KR102553807B1 (ko) 2021-08-25 2023-07-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자 동작 조건에서 Cu(In,Ga)Se2 소자에서 CdS의 면저항을 직접 측정하기 위한 측면 광전류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3194A (en) Voltage-current-power meter for photovoltaic solar arrays
US8190386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characterize multijunction photovoltaic solar cells
JP6103311B2 (ja) 太陽電池のi−v特性測定装置、i−v特性測定方法、及び、i−v特性測定装置用プログラム
US20160233830A1 (e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and Failure Diagnosis Method Therefor
Dirnberger et al. Uncertainty in PV module measurement—Part I: Calibration of crystalline and thin-film modules
CN113169710B (zh) 太阳能电池模块内的太阳能电池单元的工作电压的推测方法及太阳能电池单元工作电压推测系统
JP2012195495A (ja) 異常診断装置およびそ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90005514A (ko) 태양전지모듈 열화율 예측방법
KR101472782B1 (ko) 솔라 시뮬레이터의 광 보정 장치 및 방법
CN117169585A (zh) 一种光伏板功率测试系统
Bardizza et al. Metastability in performance measurements of perovskite PV devices: a systematic approach
KR20030076800A (ko) 태양전지 등가회로 파라미터 추정방법 및 그 파라미터측정 장치
KR20190037657A (ko) 태양전지모듈 열화특성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화특성 측정방법
CN205353177U (zh) 一种电光独立调制的瞬态光电压测试系统
CN107919854B (zh) 一种太阳能电池iv特性的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05527483A (zh) 一种电光独立调制的瞬态光电压测试系统
CN103148779B (zh) 位置测量设备中光源的调整装置
KR101248139B1 (ko) 태양전지 신뢰성 시험용 광량 측정 장치와 방법, 및 태양전지 신뢰성 시험 장치와 방법
CN108760041B (zh) 一种光波元件分析仪电光转换模块偏移补偿装置及方法
KR101273392B1 (ko) 부분 그늘진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출력점 검출방법
CN104170246A (zh) 估算太阳能装置的短路电流的系统及方法
JP6826007B2 (ja) 光誘起キャリアのバルクキャリアライフタイムの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JP6806325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評価装置、評価方法、及び、評価装置用プログラム
Ramaprabha et al. Development of an improved model of SPV cell for partially shaded solar photovoltaic arrays
WO2021188051A1 (en) Energy yield estimation measurement methodology for solar cells and modu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