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915B1 - 산불 진화 장치 - Google Patents

산불 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915B1
KR101471915B1 KR1020120116131A KR20120116131A KR101471915B1 KR 101471915 B1 KR101471915 B1 KR 101471915B1 KR 1020120116131 A KR1020120116131 A KR 1020120116131A KR 20120116131 A KR20120116131 A KR 20120116131A KR 101471915 B1 KR101471915 B1 KR 101471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unit
delete delete
decompression chamb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0203A (ko
Inventor
김점복
김종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116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915B1/ko
Publication of KR20140050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5/00Portable extinguishers with power-driven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수를 공급하는 펌프;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소화수가 이동하는 적어도 둘의 단위 호수로 이루어지는 호스부;및 인접하는 단위 호스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유입구와 인접하는 단위 호스 중 다른 하나와 연통되는 유출구를 구비하고, 감압 밸브가 형성되어 상기 호스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압 챔버를 포함하는 산불 진화 장치를 제공하여, 내압 증가에 따른 펌프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호스부를 경량화함으로써, 신속하게 산불에 대응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산불 진화 장치{Apparatus for extinguishing forest fire}
본 발명은 산불 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거리 산불 발생 지점까지 소화수를 공급하는 산불 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에서 산불은 한국 전쟁 이후 조림을 통해 조성된 산림자원에 대한 손실뿐만 아니라 인적, 재산적 손실을 가져오는 자연 재해이다. 한국은 국토의 64%가 산림으로 덮여있고 산림으로의 접근이 쉬워 90년대 이후 대부분의 산불이 입산자 실화 및 논밭두렁 소각 등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산불예방을 위해 건조한 봄철에 산불 조심 기간과 입산 금지 구역을 설정하거나 논밭두렁 소각을 금지하는 등 국가 차원에서 집중적으로 감시 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레저 활동 등으로 산을 찾는 인구의 증가와 함께 산불 발생 위험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특히, 산불 발생 지역의 접근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산불을 진화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통상적으로, 산불 진화를 위해서 산불 진화 장치를 사용한다. 산불 진화 장치는 소화수를 공급하는 펌프 이외에, 소화수를 산불 발생 지역까지 안내하는 호스부를 포함한다. 대체로 산불 발생 지역은 접근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펌프를 장착한 산불 진화 차량의 접근 영역에 한계가 있다, 이에, 호스부의 길이를 길게 하고 고압 펌프(펌프 압력 : 상용 25kg/cm2 내지 50kg/cm2, 최대 80kg/cm2)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호스부는 높은 내압에 파손되지 않도록 일정 크기 이상의 내경(예를 들어, 13mm)을 갖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산불 발생 지역이 원거리(2km이상)인 경우, 호스부의 길이가 길어지고 위와 같은 내경을 갖는 호스부의 중량이 크게 증가한다. 통상적으로, 호스부는 진화자가 호스 캐리어에 호스부를 감아 적재하고 이를 등에 짊어지고 산불 발생 지역까지 이동하는 점을 고려할 때, 호스부의 중량이 큰 경우, 산불 발생 지역까지 이동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신속한 산불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호스부를 옮기는 진화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현재 일반적인 산불 진화자의 평균 연령이 50대 이상으로 고령화되어 있는 점과 산불이 여러 지점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점을 살피면, 호스부를 경량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호스부를 경량화하기 위하여 호스부의 내경을 줄이는 경우, 유속 마찰과 고도에 의한 중력 압력으로 펌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화수를 공급하는 펌프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호스부를 경량화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산불에 대응할 수 있는 산불 진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산불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산불 진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열에 약한 경량의 호스부에 대한 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산불 진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화수를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소화수가 이동하는 적어도 둘의 단위 호수로 이루어지는 호스부 및, 인접하는 단위 호스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유입구와 인접하는 단위 호스 중 다른 하나와 연통되는 유출구를 구비하고, 감압 밸브가 형성되어 상기 호스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압 챔버를 포함하는 산불 진화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 호수의 직경은 8.0mm 내지 9.0mm이고, 적어도 둘의 상기 감압 챔버는 490m 내지 510m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압 챔버에는 압력계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압 챔버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벨트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압 챔버의 감압 밸브에는 제1 수압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압 토출구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수업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소화수를 공급하는 펌프와, 소정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와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연결되며,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단위 호스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호스 홀더를 구비한 호스 걸이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소화수가 이동하며 상기 호스 걸이에 거치되는 적어도 둘의 단위 호수로 이루어지는 호스부 및, 인접하는 단위 호스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유입구와 인접하는 단위 호스 중 다른 하나와 연통되는 유출구를 구비하고, 감압 밸브가 형성되어 상기 호스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압 챔버를 포함하는 산불 진화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 호수의 직경은 8.0mm 내지 9.0mm이고, 적어도 둘의 상기 감압 챔버는 490m 내지 510m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압 챔버에는 압력계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압 챔버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벨트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압 챔버의 감압 밸브에는 제1 수압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압 토출구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수업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스 홀더는 상기 단위 호스의 외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스 홀더에 상기 단위 호스를 밀어 넣으면, 상기 입구가 벌어지고, 상기 단위 호스가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면, 상기 입구가 좁혀져 상기 단위 호스를 구속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발명은, 소화수를 공급하는 펌프와, 소정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와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연결되며,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단위 호스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호스 홀더를 구비한 호스 걸이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소화수가 이동하며 상기 호스 걸이에 거치되는 적어도 둘의 단위 호수로 이루어지는 호스부와, 인접하는 단위 호스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유입구와 인접하는 단위 호스 중 다른 하나와 연통되는 유출구를 구비하고, 감압 밸브가 형성되어 상기 호스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압 챔버 및, 상기 호스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소화수의 경로를 적어도 둘로 분배하는 분배기를 포함하는 산불 진화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 호수의 직경은 8.0mm 내지 9.0mm이고, 적어도 둘의 상기 감압 챔버는 490m 내지 510m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압 챔버에는 압력계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압 챔버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벨트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압 챔버의 감압 밸브에는 제1 수압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압 토출구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수업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스 홀더는 상기 단위 호스의 직경보다 작은 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스 홀더에 상기 단위 호스를 밀어 넣으면, 상기 입구가 벌어지고, 상기 단위 호스가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면, 상기 입구가 좁혀져 상기 단위 호스를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불 진화 장치에 따르면, 호스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마다 감압 챔버를 구비하여, 내압 증가에 따른 펌프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호스부를 경량화함으로써, 신속하게 산불에 대응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불 진화 장치에 따르면, 나무와 같은 산림 구조물에 장착되고 호스부가 고정되도록 거치하는 호스 걸이를 소정의 간격마다 구비함으로써, 호스부를 지면과 이격되어 소정의 높이 거치되도록 하여, 열에 약한 경량의 호스부의 열 손상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불 진화 장치에 따르면, 호스부의 단부에 공급된 소화수의 경로를 분배하는 분배기를 구비함으로써, 동시 다발적으로 여러 곳에 발생하는 산불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감압 챔버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감압 챔버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나무에 고정된 감압 챔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호스 걸이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호스 걸이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호스 걸이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나무에 고정된 호스 걸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 장치는 펌프(100)와, 호스부(200)와, 감압 챔버(300)와, 호스 걸이(400)를 포함한다.
펌프(100)는 소화수를 공급하는 역활을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펌프(100)의 펌프 압력은 상용 25kg/cm2 내지 50kg/cm2이고, 최대 80kg/cm2일 수 있다. 펌프(100)는 산불 진화차량에 탑재되어 산불 발생 지점의 인접 지역까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펌프(100)는, 소방차 및 중대형 다른 펌프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아 호스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소방차 및 기타 중대형 다른 펌프는 취수원에서 소화수를 공급받는다.
호스부(200)는 상술한 펌프(100)에서 소화수를 공급받아 산불 발생 지점까지 소화수를 안내한다. 이러한 호스부(200)는 복수 개의 단위 호스들이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펌프(100)의 펌프 압력을 고려할 때, 단위 호스의 길이는 대략 500m 정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경은 8.5mm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펌프(100)의 펌프 압력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호스들은 감압 챔버(300)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펌프(100)의 펌프 압력 대비 호스부(200)의 직경을 최소화하여 경량화하고, 경량화로 인하여 증가하는 호스부(200)의 내압은 감압 챔버(300)를 통해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호스부(200)에는 형광부재를 추가로 부착하여 야간 산불 진화 작업 시 길잡이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호스부(200)는 별도의 호스 캐리어에 권취하여 진화자가 직접 운반한다.
감압 챔버(300)는 호스부(200)의 단위 호스들 사이에 설치된다. 단위 호스들의 길이를 500m라 할 때, 산불 발생 지점이 산불 진화차량으로부터 2km 정도 떨어져 있다면, 호스부(200)에 모두 3개의 감압 챔버(3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감압 챔버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감압 챔버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나무에 고정된 감압 챔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감압 챔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2를 참조하면, 감압 챔버(300)는 실린더 형상의 감압 챔버 바디와, 유입구(310) 및 유출구(320)를 포함하고, 감압 밸브(3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310)와 유출구(320)에는 각각 단위 호스들이 연통되어 연결된다. 유입구(310)와 유출구(320)에는 별도의 커플러 장치들이 구비되어 단위 호스들과 연결을 보조할 수 있다.
감압 챔버 바디의 한쪽 선단부에는 유입구(310)가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쪽 선단부에는 유출구(3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감압 챔버 바디의 면적은 이에 연결되는 유입구(310) 및 유출구(32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유입구(310)를 통해 감압 챔버 바디의 내부로 유입된 소화수는 그 유속과 압력이 저감된 다음에 유출구(320)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감압 밸브(330)는 감압 챔버 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하여 자동으로 호스부(200)의 내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감압 밸브(330)는 제1 수압 토출구(331)와 제2 수압 토출구(33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압 토출구(331)와 제2 수압 토출구(332)는 상호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제2수압 토출구(332)는 제1수압 토출구(331)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압 토출구(331)와 제2 수압 토출구(332)에는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소정의 압력 이상에 이동되어 제1 수압 토출구(331) 또는 제2 수압 토출구(332)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거나 폐쇄하는 밸브 볼 조립체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감압 챔버(300)는 호스부(200)의 내압이 일정 이상을 초과하면, 제1 수압 토출구(331)와 제2 수압 토출구(332)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여 호스부(200)의 내압을 조절하게 된다. 이렇게 감압 챔버(300)가 호스부(200)의 내압을 조절함으로써, 내압 증가로 인하여 펌프(100)가 파손되는 위험 없이, 호스부(20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진화자는 감압 밸브(330)를 조절하여 호스부(200)의 내압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감압 밸브(330)에는 압력계(3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감압 밸브(330)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벨트(600)가 연결되는 복수 개의 벨트 고리(3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벨트 고리(350) 감압 챔버(300)의 표면 사이에 벨트(60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진화자는 감압 챔버(300)를 휴대하여 이동하다가 나무(T)와 같은 산림 구조물에 벨트(600)를 이용하여 감압 챔버(3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감압 챔버(300)와 이에 연결되는 호스부(200)는 소정의 높이에서 나무(T)에 고정되기 때문에 산불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호스 걸이(400)는 호스부(200)를 소정의 높이에서 고정하거나 거치하는 역활을 한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호스 걸이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호스 걸이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호스 걸이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나무에 고정된 호스 걸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호스부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5 내지 도 7을 병행 참조하면, 호스 걸이(400)는 벨트(410)와, 베이스 플레이트(420)와, 호스 홀더(430)를 포함한다. 벨트(410)는, 나무(T:도 8 참조)와 같은 산림 구조물에 고정되어 호스 홀더(430)에 안착된 호스부(200)를 지지한다. 베이스 플레이트(420)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벨트(410)와 결합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420)에는 벨트(410)가 삽입되는 벨트 홈(421)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420)는 나무(T)와 접촉하여 호스부(200)가 안정적으로 나무(T)에 고정되도록 지지 영역을 확보한다. 호스 홀더(430)는 베이스 플레이트(420)와 이격되어 중간 부재(440)로 연결 형성될 수 있다. 호스 홀더(430)에는 오목하게 안착면이 형성되어 호스부(200)를 수용하는 공간이 확보된다. 호스 홀더(430)는 호스부(200)의 외형에 대응하여 원통형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부가 개방되어 호스부(200)가 인입되는 입구를 형성한다, 이 입구의 폭은 호스부(2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호스 홀더(430)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호스 홀더(430)에 단위 호스를 밀어 넣으면 입구가 벌어지고 인입된 단위 호스가 안착면에 안착되면 입구가 좁아져 인입된 단위 호스를 구속하게 된다.
한편, 입구를 이루는 호스 걸이(400)의 상단부는 외향하여 만곡되게 형성됨으로써, 호스부(200)가 원활하게 호스 홀더(430) 안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호스 걸이(400)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에서 나무(T)에 고정되어 호스부(200)를 지지함으로써, 열에 취약한 호스부(200)를 보호한다. 또한, 호스 걸이(400)는 호스부(200)가 접히거나 꺽이는 것을 방지하여 소화수가 원활하게 공급되며, 소화에 충분한 수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분배기(500)는 호스부(200)의 단부에 연결되어 소화수의 경로를 복수 개로 분배하는 역활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분배기(500)는 호스부(200)와 연결되고 복수 개의 출구와 연결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분배기(500)의 출구에는 산불 발생 지점(A1,A2,A3,A4,A5)까지 도달하는 진화 호스들이 결합되고 각 진화 호스들의 단부에는 분사 건이 결합된다. 이러한 분배기(500)를 통해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산불에 대해서 신속하게 대응하여 효과적인 산불 진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펌프
200 : 호스부
300 : 감압 챔버
310 : 유입구
320 : 유출구
330 : 감압 밸브
340 : 압력계
350 : 벨트 고리
400 : 호스 걸이
410 ; 벨트
420 : 베이스 플레이트
430 : 호스 홀더
500 : 분배기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소화수를 공급하는 펌프;
    소정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와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연결되며, 오목하게 형성되어 단위 호스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호스 홀더를 구비한 호스 걸이;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소화수가 이동하며, 상기 호스 걸이에 거치되는 적어도 둘의 상기 단위 호수로 이루어지고, 형광부재가 부착된 호스부;
    실린더 형상의 감압 챔버 바디와, 인접하는 상기 단위 호스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감압 챔버 바디의 한쪽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유입구, 인접하는 상기 단위 호스 중 다른 하나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감압 챔버 바디의 다른쪽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유출구, 및 상기 감압 챔버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감압 챔버 바디의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 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호스부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압 챔버; 및
    상기 호스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소화수의 경로를 적어도 둘로 분배하는 분배기를 포함하며;
    상기 감압 밸브는
    제1 수압 토출구,
    상기 제1 수압 토출구보다 높은 위치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수압 토출구, 및
    기 설정된 압력에 의하여 이동되어 상기 제1 수압 토출구 또는 제2 수압 토출구를 개방시키거나 폐쇄하는 밸브 볼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호수의 직경은 8.0mm 내지 9.0mm이고, 적어도 둘의 상기 감압 챔버는 490m 내지 510m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챔버에는 압력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챔버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벨트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 장치.
  17. 삭제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홀더는 상기 단위 호스의 직경보다 작은 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 장치.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홀더에 상기 단위 호스를 밀어 넣으면, 상기 입구가 벌어지고, 상기 단위 호스가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면, 상기 입구가 좁혀져 상기 단위 호스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 장치.
KR1020120116131A 2012-10-18 2012-10-18 산불 진화 장치 KR101471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131A KR101471915B1 (ko) 2012-10-18 2012-10-18 산불 진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131A KR101471915B1 (ko) 2012-10-18 2012-10-18 산불 진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203A KR20140050203A (ko) 2014-04-29
KR101471915B1 true KR101471915B1 (ko) 2014-12-26

Family

ID=5065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131A KR101471915B1 (ko) 2012-10-18 2012-10-18 산불 진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9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492B1 (ko) 2016-09-06 2017-02-14 주식회사 링크로드씨앤씨 소화수 확보를 위한 링 형태의 수면 결빙방지장치
KR200488697Y1 (ko) * 2017-10-10 2019-04-05 (주)파슨텍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산불소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968A (ko) * 2003-04-15 2004-10-22 이원일 질소가스와 소화액을 이용한 미분무 소화 장치
KR20090068451A (ko) * 2007-12-24 2009-06-29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살수 장치
KR100981287B1 (ko) * 2010-03-03 2010-09-10 (주) 삼진정밀 산불 초기진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968A (ko) * 2003-04-15 2004-10-22 이원일 질소가스와 소화액을 이용한 미분무 소화 장치
KR20090068451A (ko) * 2007-12-24 2009-06-29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살수 장치
KR100981287B1 (ko) * 2010-03-03 2010-09-10 (주) 삼진정밀 산불 초기진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203A (ko)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135407T7 (es) Equipo de lucha contra incencios.
KR102209056B1 (ko) 드론을 이용한 산불 진화 시스템 및 그 방법
ES2229050T3 (es) Instalacion para la extincion de incendios concebida para descargar una niebla de liquido-gas.
KR101471915B1 (ko) 산불 진화 장치
CA2700403A1 (en) Hybrid inert gas fire suppression system
CN102821818A (zh) 用于基于叠氮化钠的灭火的系统和方法
CA2302631A1 (en) Wet-type sprinkler system
US4064944A (en)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floating-roof tanks
US11207552B2 (en) Fire suppression systems
US3965988A (en) Fire extinguishing method and apparatus
US4069873A (en)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floating-roof tanks
US6581878B1 (en) Airborne fire fighting system
CN110446534A (zh) 具有可调节推动连接式装配件的消防喷洒器组件以及安装
KR20220014256A (ko) 이동식산불진화시설 겸용 대피소
KR20200055359A (ko) 드라이 팬턴트 조립체
US20120067348A1 (en) Breathing apparatus system
KR101245106B1 (ko) 다목적 진화기
AU685245B2 (en) 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by a pressure gas source
CN105939763A (zh) 喷洒器保护
JP2648829B2 (ja) 洞道内ケーブルの消火方法及び発泡消火装置
SK139295A3 (en) Extinguish device
CA2184895C (en) 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by a pressure gas source
KR20210131628A (ko) 복수의 드론을 이용한 산불 진화 시스템
US11224774B1 (en) Configurable support for an autonomous firefighting tower
US20220119114A1 (en) Multipurpose Aerial Sprinkl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