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325B1 -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325B1
KR101470325B1 KR20140071540A KR20140071540A KR101470325B1 KR 101470325 B1 KR101470325 B1 KR 101470325B1 KR 20140071540 A KR20140071540 A KR 20140071540A KR 20140071540 A KR20140071540 A KR 20140071540A KR 101470325 B1 KR101470325 B1 KR 101470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anel
roof
strut
baton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건치
이용욱
Original Assignee
(주)하나산업
유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산업, 유건치 filed Critical (주)하나산업
Priority to KR20140071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의 지붕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하수처리장의 저장조 상부를 덮는 커버 패널을 지붕 프레임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 브라켓을 이용하여 설치하되, 상기 고정 브라켓은 커버 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스트럿과, 상기 커버 패널의 상부를 스트럿에 대하여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배턴과, 그리고 상기 배턴의 상부를 관통하며 스트럿과 배턴 사이를 조여주는 체결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 패널은 태양전지판으로 구성하는 것으로부터 하수처리장의 저장조 지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조 지붕의 커버 패널로 태양전지판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태양광 발전을 통한 전기 생산의 이중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조{ROOF INSTALLATION STRUCTURE FOR SEWAGE DISPOSAL PLANT USING SOLAR PANEL}
본 발명은 화학공업 현장이나 생활폐수를 처리하는 하수처리장의 지붕 설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처리장에 설치되는 저장조의 지붕 패널을 구성함과 동시에 태양광 발전 기능을 갖춘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수처리장에서 오폐수를 집수하여 정화하는 방법으로는 먼저, 일반 가정 및 식당 등지에서 배출되는 하수를 침사지 및 스크린실에 공급하여 집수하고, 침사지 내의 부유물질과 침사물을 제거한 뒤 최초 침전기로 공급하며, 최초 침전기에서 하수를 약 2.5시간 체류시켜 슬러지를 제거하고, 하수는 생물반응조에 공급한다.
생물반응조는 일반적으로 탈질조, 협기조, 무산소조, 폭기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반응조를 거쳐 하수 속의 유기물 및 인, 질소를 제거하고, 생물반응조를 거친 하수를 최종 침전기에 공급하여 최종적으로 슬러지를 제거한 뒤 방류한다.
한편, 최초/최종 침전기에서 수집되는 슬러지는 슬러지 혼합조에 공급되고, 이후 농축조를 거처 농축된 후, 탈수 건조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하수처리장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오폐수를 정화하는 과정에서 슬러지가 수집되는 혼합조(이하, '저장조'라 함; 100)에서 많은 양의 메탄가스가 방출되는데, 이러한 메탄가스의 악취로 인해 주변 환경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어 슬러지를 수집하는 저장조(100)에는 외부로 메탄가스가 방출되지 못하도록 그 상부를 FRP로 만든 지붕(200)을 덮고 볼트와 너트 등을 사용하여 체결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혼합조, 즉 저장조용 지붕은 단순히 볼트와 너트만을 이용하여 체결되므로, 일명 '매미'와 같은 초대형 태풍이 불어올 경우는 물론 장기간 경과 후 부식이 진행될 경우에는 작은 외력에도 지붕이 떨어져나가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종래의 지붕 설치 구조는 저장조의 상부를 덮는 기능만을 제공할 뿐 그 외의 다른 용도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것에 비해 경제적 효율성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태풍과 같은 강한 외력에도 끄떡없는 매우 안정적인 하수처리장 지붕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넓은 설치공간을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이 가능하게 되는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해결 과제에 따라서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의 저장조 상부를 덮는 커버 패널을 지붕 프레임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 브라켓을 이용하여 설치하되, 상기 고정 브라켓은 커버 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스트럿, 상기 커버 패널의 상부를 스트럿에 대하여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배턴, 및 상기 배턴의 상부를 관통하며 스트럿과 배턴 사이를 조여주는 체결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 패널은 태양전지판으로 구성한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스트럿은 지붕 프레임을 따라서 그 상방향에 위치되는 커버 패널을 지지하도록 일정한 높이와 길이를 갖는 빔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빔의 상단 중앙에는 배턴을 연결·고정하기 위한 연결구가 상기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구의 중앙부에는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또한 배턴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그 중앙부에, 상기 체결볼트가 통과하도록 상기 연결구 중앙의 체결홈과 연통되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지붕 프레임을 따라서 상기 스트럿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되, 그 너비는 양측의 커버 패널을 눌러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들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구는 좌우측에 커버 패널이 배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커버 패널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연결구의 좌우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스트럿의 빔 상부는 상기 커버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이 올려질 수 있도록 거치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스트럿의 빔 하부는 상기 지붕 프레임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빔의 좌우 양방향으로 연장된 날개 형상의 바닥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판에 상기 지붕 프레임과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볼트가 끼워지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의 저장조 상부를 덮는 커버 패널로서 태양전지판을 사용하여 지붕 프레임 상부에 직접 설치하는 구조로서, 서로 대응하는 지붕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들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덮게 되는 배턴과, 상부 및 하부 배턴을 통과하여 상기 커버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들을 상기 지붕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되, 상부 및 하부 배턴은 커버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각 배턴의 중앙부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통과하도록 볼트공이 형성되며, 서로 대응하는 커버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들에는 하나 이상의 교합돌기들을 형성하고, 상기 교합돌기들의 중앙에 상기 체결볼트가 통과하는 볼트공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공들끼리 연통되도록 구성한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턴의 양측 하단부에 일정 크기의 장착홈이 형성되고, 이 장착홈에는 탄성, 완충, 미끄럼 방지 특성을 갖는 가스켓의 단부가 끼워져서 고정되되, 상기 배턴 설치 과정에서 가스켓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스켓의 단부와 상기 장착홈은 서로 걸림되는 구조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 특징에 따라 본 발명은 외풍이나 부식 등에 강한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또한 저장조 지붕의 커버 패널로 태양전지판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태양광 발전을 통한 전기생산의 이중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성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이 실시예에 따른 지붕 설치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지붕 설치 구성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성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이 실시예에 따른 지붕 설치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지붕 설치 구성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의 저장조 지붕을 설치하는데 있어 스트럿과 배턴으로 구성되는 고정 브라켓을 사용함으로써 강한 태풍이나 부식 등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지붕이 이탈되는 일이 없고, 또한 하수처리장 지붕의 넓은 설치공간에 태양전지판을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을 통한 전력생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공간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토대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아래의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필연적인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그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고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하수처리장(H)의 건물 지붕 상부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한 형태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형태의 하수처리장 지붕 프레임(F)에 단일 또는 복수의 커버 패널(P)들을 얹어 연결·고정시키는 형태로 제공된다. 커버 패널(P)로는 스틸, 알루미늄, 스텐레스 등의 금속재나 플라스틱, FRP, PVC 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하수처리장 지붕의 악취·유독가스 유출방지 기능에 추가하여 태양광 발전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태양전지판(solar panel)을 설치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태양전지판(P)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에서는 햇빛에 의해 제공되는 광량이 가장 중요한 바, 하수처리장(H)의 지붕은 햇빛을 잘 받도록 하기 위하여 가능한 남쪽을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판(P)은 지붕 프레임(F) 상에 아래에 설명되는 고정 브라켓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성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이 실시예에 따른 지붕 설치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지붕 설치 구성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하수처리장(H)의 지붕에 설치되는 커버 패널(P), 즉 태양전지판은 지붕 프레임(F)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붕 프레임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태양전지판(P)을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1; 도 2 참조)이 이용될 수 있으며, 고정 브라켓(1)은 커버 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스트럿(strut;10)과, 커버 패널(P)의 상부를 스트럿(10)에 대하여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배턴(batten;20), 그리고 배턴의 상부를 관통하며 스트럿(10)과 배턴(20) 사이를 조여주는 체결볼트(30)로 구성될 수 있다.
스트럿(10)은 지붕 프레임(F)을 따라서 그 상방향에 위치되는 커버 패널(P)을 지지하도록 일정한 높이와 길이를 갖는 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빔 상단 중앙에는 배턴을 연결·고정하기 위한 연결구(11)가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중앙에 체결볼트(30)가 삽입되는 체결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구(11)는 좌우측에 커버 패널(P)이 배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커버 패널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연결구(11)의 좌우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스트럿(10)의 빔 상부는 커버 패널(P)의 가장자리 부분이 올려질 수 있도록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럿(10)은 중공 형태의 빔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스트럿(10)의 빔 하부는 지붕 프레임(F) 상면에 밀착되도록 빔의 좌우 양방향으로 연장된 날개 형상의 바닥판(13)(1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바닥판(13)(14)에는 하나 이상의 볼트가 끼워지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볼트(15)를 통해 스트럿(10)이 지붕 프레임(F)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배턴(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럿(10)의 빔 상부에 거치된 커버 패널(P)의 가장자리 부분을 가압·고정하기 위해 스트럿(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붕 프레임(F)을 따라서 일정한 길이를 갖게 되는 스트럿(10)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되, 그 너비는 양측 커버 패널(P)을 눌러서 고정할 수 있도록 커버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들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턴(20)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그 중앙부에, 체결볼트(30)가 통과하도록 전술한 연결구(11) 중앙의 체결홈(12)과 연통되는 볼트공(21)이 형성되며, 또한 배턴(20)의 가압에 따른 커버 패널(P)의 파손을 방지하고 배턴(20)과 커버 패널(P) 사이에 밀착력도 높일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일정한 완충기능을 가스켓(23)이 배턴(20)의 양측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스켓(23)의 설치를 위해 배턴(20)의 저면에는 일정 크기의 장착홈(22)이 형성되고 이 장착홈에 가스켓(23)의 단부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배턴(20) 체결과정에서 가스켓(2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켓(23)의 단부와 장착홈(22)은 서로 걸림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스켓(23)의 상면은 걸림돌기(23a)가 돌출되고 저면은 커버 패널(P)의 가장자리 부분에 맞닿아 미끄럼을 일으키지 않도록 대체로 톱니부(23b)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의 지붕 패널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하수처리장의 지붕을 형성하기 위한 패널로서 다수의 태양전지판(P)들이 지붕 프레임(F)에 고정된다. 각각의 커버 패널들, 즉 서로 대응하는 태양전지판(P)의 가장자리 부분들은 스트럿(10)의 빔 좌우측 상단에 연결구(11)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하여 거치되고, 대향된 가장자리 부분들 위로 배턴(20)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체결볼트(30)를 이용하여 조여주면 배턴(20)이 태양전지판(P)의 가장자리 부분을 가압하면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체결볼트(30)는 배턴(20) 중앙의 볼트공(21)을 통과하여 연결구(11)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홈(12)에 결합되고, 스트럿(10)의 하부는 바닥판(13)(14)의 체결공을 통해 볼트(15)로 지붕 프레임(F)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위와 같이 지붕 패널을 설치한 하수처리장의 저장조 내부에 발생된 황화수소, 암모니아, 메탄 등의 가스들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덕트를 통해 탈취기로 운반된 후 악취가 모두 제거된 상태에서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성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이 실시예에 따른 지붕 설치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지붕 설치 구성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는 도 3에서와 같은 고정 브라켓을 이용하지 않고 커버 패널인 태양전지판(P')을 지붕 프레임(F) 상부에 직접 설치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서로 대응하는 태양전지판(P')의 가장자리 부분들의 상부 및 하부를 덮게 되는 배턴(20')(40)과, 상부 및 하부 배턴을 통과하여 태양전지판(P')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붕 프레임(F)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서로 대응하는 태양전지판(P')의 가장자리 부분들에는 하나 이상의 교합돌기(p1)들을 형성하고, 이들 교합돌기(p1)들의 중앙에 체결볼트(30')가 통과하는 볼트공(p2)을 형성하여 이들 볼트공들(p1)(p2)끼리 연통되도록 구성한다.
상부 및 하부 배턴(20')(40)은 태양전지판(P')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각 배턴(20')(40)의 중앙부에는 체결볼트가 통과하도록 볼트공(21)(41)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배턴(20')은 체결시의 가압력에 따른 커버 패널(P')의 파손을 방지하고 배턴(20')과 커버 패널(P') 사이에 밀착력도 높일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일정한 완충기능을 가스켓(23)이 배턴의 양측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여기서도 가스켓(23)의 설치를 위해 상부 배턴(20')의 저면에 일정 크기의 장착홈(22)이 형성되고 이 장착홈(22)에 가스켓(23)의 단부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또한, 배턴 체결과정에서 가스켓(2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켓의 단부와 장착홈은 서로 걸림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스켓(23)의 상면은 걸림돌기가 돌출되고 저면은 커버 패널(P')의 가장자리 부분에 맞닿아 미끄럼을 일으키지 않도록 대체로 톱니부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지붕 설치 구조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의 저장조 지붕을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조 지붕의 커버 패널로 태양전지판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태양광 발전을 통한 전기 생산의 이중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태양전지판, 즉 지붕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스트럿과 배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은 알루미늄 소재를 기본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여러 보강용 성분을 함유한 고인성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용 성분으로는 알루미늄 기본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규소(Si) 9.5∼10.5 중량부, 마그네슘(Mg) 0.3∼0.4 중량부, 철(Fe) 0.2 중량부 이하, 망간(Mn) 및 구리(Cu) 0.1 중량부 이하, 티타늄(Ti) 0.05∼0.15 중량부가 함유될 수 있다.
Si의 경우 함유량은 Al 100 중량부에 대해 그 사용함량이 9.5 중량부 미만이면 용탕의 주조성에 문제가 있고, 반면에 10.5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으로 사용하면 미세편석 등으로 가공성 저하의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Si 성분은 주조성 개선 및 강도 향상의 효과가 있다.
Mg의 경우 함유량은 Al 100 중량부에 대해 그 사용함량이 0.3 중량부 미만이면 열처리시 강도 저하의 문제가 있고, 반면에 0.4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으로 사용하면 신율 저하의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Mg 성분은 Si와 함께 열처리시 석출물을 생성시켜 강도 향상의 효과가 있다.
Fe, Mn 및 Cu의 경우 Al 및 Si와 결합하여 취약한 석출물을 생성시키므로 가급적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의 경우 함유량은 Al 100 중량부에 대해 그 사용함량이 0.05 중량부 미만이면 결정립 미세화 효과가 적어 문제가 있고, 반면에 0.15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으로 사용하면 편석에 의한 가공성 저하의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Ti 성분은 초기에 결정립 미세화를 통해 주조성 개선 및 강도 향상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스트럿과 배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한 성분들이 함유된 고인성 알루미늄 합금을 고진공 다이캐스팅 주조공법으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고진공 다이캐스팅 주조공법은 고진공 다이캐스팅 주조장치를 이용하여 금형을 주조장치에 장착한 후, 진공 보온로에 있는 알루미늄 용탕을 급탕관을 통해 사출관으로 이동시킨 다음, 곧바로 알루미늄 용탕을 고압으로 사출하여 캐비티를 채움과 동시에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주형 캐비티 내의 잔존공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열처리가 가능하고 신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배턴 하부에 결합되는 가스켓은 다음과 같은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의 구성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물 5 내지 15 중량%, 스티렌(styrene) 블록 및 디엔(diene) 블록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체 20 내지 45 중량%, 오일 성분 30 내지 40 중량%, 무기 첨가제 15 내지 35 중량%, 및 기능성 첨가제 0.01 내지 0.5 중량%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는 전체 조성물 대비 5 내지 10 중량%의 함량을 갖도록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물은 폴리에틸렌 단일 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 단일 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단일 중합체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가스켓의 물성 조절을 위하여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열가소성 탄성체는 가스켓의 인장강도 및 신율(伸率)을 조절하고,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열가소성 탄성체는 스티렌(styrene) 블록 및 디엔(diene) 블록을 함유하는 이원 또는 삼원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원 또는 삼원 공중합체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이원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삼원 공중합체 및 관능기가 부여된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f-SEBS) 삼원 공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오일 성분은 전술한 열가소성 탄성체를 저경도화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즉, 연화제로서 기능한다. 저 경도화된 소재는 성형이 용이하고, 방진, 방수성이 우수하다. 또한, 훈련 중 발생하는 발열을 감소시켜 성형시 우수한 가공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오일 성분으로서는, 납센계 오일, 파라핀계 오일, 올레핀계 오일 등 다양한 오일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물성 오일, 식물성 오일, 합성 오일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입수된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오일 성분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둘 이상의 오일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가스켓 성형시, 성분간에 상호 용해될 수 있기 때문에 가스켓용 수지 조성물로써의 특성을 상실할 수 있어 상기 오일 종류 및 함량을 엄격히 조절하여야 한다. 상기 오일 성분은 600 g/mol의 평균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일 성분의 함량은 30 내지 4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0 중량%이다. 오일 성분의 함량이 40 중량%를 초과하면 오일이 스며나오는 현상(Bleed-out)이 심해져서 제품이 끈적거리고 오히려 제품 가공성이 악화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오일 성분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이면 제품의 경도가 너무 높게 되어 방진 및 방수 특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무기 첨가제는 가스켓의 영구압축변형 등과 같은 물리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무기 첨가제로서는, 탄산칼슘, 탈크(talc), 수산화마그네슘, 점토, 황산바륨, 실리카, 산화티탄, 카본블랙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무기 첨가제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무기 첨가제들 중 특히, 상기 탄산칼슘 및 탈크가 물성 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무기 첨가제는 물성 향상을 위한 기능 외에도, 무기 첨가제의 함량 조절을 통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혼합물 및 열가소성 탄성체의 함량을 우회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무기 첨가제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이면, 영구압축 변형이 심하여 장시간 제품 사용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반면에, 무기 첨가제의 함량이 35 중량%를 초과하면, 제품의 기계적 강도가 너무 낮게 되고 가스켓에 요구되는 적합한 연성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즉, 가스켓의 고무적 특성을 급격히 약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기 첨가제의 함량은 15 내지 35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이다.
기능성 첨가제로서는, 중화제, 안정제,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자외선 안정제, 슬립제 및 칼라 마스터 배치(color master batch)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능성 첨가제는 필수 구성은 아니며 조성물 내에 미량 첨가된다. 기능성 첨가제는 전체 조성물 내에 0.01 내지 0.5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와 작동형태들을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그 일부를 예시한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키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하여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5)

  1. 삭제
  2. 하수처리장의 저장조 상부를 덮는 커버 패널을 지붕 프레임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 브라켓을 이용하여 설치하되, 상기 고정 브라켓은 커버 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스트럿, 상기 커버 패널의 상부를 상기 스트럿에 대하여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배턴, 및 상기 배턴의 상부를 관통하며 상기 스트럿과 배턴 사이를 조여주는 체결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 패널은 태양전지판으로 구성하며,
    상기 스트럿은 지붕 프레임을 따라서 그 상방향에 위치되는 커버 패널을 지지하도록 일정한 높이와 길이를 갖는 빔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빔의 상단 중앙에는 배턴을 연결·고정하기 위한 연결구가 상기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구의 중앙부에는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턴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그 중앙부에, 상기 체결볼트가 통과하도록 상기 연결구 중앙의 체결홈과 연통되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지붕 프레임을 따라서 상기 스트럿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되, 그 너비는 양측의 커버 패널을 눌러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들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좌우측에 커버 패널이 배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커버 패널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연결구의 좌우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스트럿의 빔 상부는 상기 커버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이 올려질 수 있도록 거치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스트럿의 빔 하부는 상기 지붕 프레임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빔의 좌우 양방향으로 연장된 날개 형상의 바닥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판에 상기 지붕 프레임과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볼트가 끼워지는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조.
  4. 하수처리장의 저장조 상부를 덮는 커버 패널로서 태양전지판을 사용하여 지붕 프레임 상부에 직접 설치하는 구조로서, 서로 대응하는 지붕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들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덮게 되는 배턴과, 상부 및 하부 배턴을 통과하여 상기 커버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들을 상기 지붕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및 하부 배턴은 커버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각 배턴의 중앙부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통과하도록 볼트공이 형성되며, 서로 대응하는 커버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들에는 하나 이상의 교합돌기들을 형성하고, 상기 교합돌기들의 중앙에 상기 체결볼트가 통과하는 볼트공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공들끼리 연통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조.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턴의 양측 하단부에 일정 크기의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는 탄성, 완충, 미끄럼 방지 특성을 갖는 가스켓의 단부가 끼워져서 고정되되, 상기 배턴 설치 과정에서 가스켓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스켓의 단부와 상기 장착홈은 서로 걸림되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조.
KR20140071540A 2014-06-12 2014-06-12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조 KR101470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1540A KR101470325B1 (ko) 2014-06-12 2014-06-12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1540A KR101470325B1 (ko) 2014-06-12 2014-06-12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325B1 true KR101470325B1 (ko) 2014-12-09

Family

ID=5267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1540A KR101470325B1 (ko) 2014-06-12 2014-06-12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32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820B1 (ko) 2019-09-18 2020-04-07 주식회사 엔비코아키텍쳐 개량형 돔 지지구조체
KR102320611B1 (ko) 2021-06-11 2021-11-02 다우시스템 주식회사 돔 구조물과 태양광 패널이 서로 접합되어 밀폐기능을 유지하면서 태양광 발전을 지원하는 덮개 구조물
WO2021255112A1 (en) * 2020-06-16 2021-12-23 Gruppsol Ab Solar panel roof
KR102347264B1 (ko) * 2021-02-15 2022-01-07 케이제이이엔씨 주식회사 농업기반시설용 내염해성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347263B1 (ko) * 2021-02-15 2022-01-11 케이제이이엔씨 주식회사 노지형 내염해성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432203B1 (ko) * 2021-12-27 2022-08-12 코리아엔텍(주) 오폐수 집수기능 향상 하수처리장 설비 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221B1 (ko) * 2008-03-27 2009-05-04 (주)하나산업 지붕 패널 조립체
KR20130028430A (ko) * 2011-09-09 2013-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221B1 (ko) * 2008-03-27 2009-05-04 (주)하나산업 지붕 패널 조립체
KR20130028430A (ko) * 2011-09-09 2013-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820B1 (ko) 2019-09-18 2020-04-07 주식회사 엔비코아키텍쳐 개량형 돔 지지구조체
WO2021255112A1 (en) * 2020-06-16 2021-12-23 Gruppsol Ab Solar panel roof
KR102347264B1 (ko) * 2021-02-15 2022-01-07 케이제이이엔씨 주식회사 농업기반시설용 내염해성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347263B1 (ko) * 2021-02-15 2022-01-11 케이제이이엔씨 주식회사 노지형 내염해성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320611B1 (ko) 2021-06-11 2021-11-02 다우시스템 주식회사 돔 구조물과 태양광 패널이 서로 접합되어 밀폐기능을 유지하면서 태양광 발전을 지원하는 덮개 구조물
KR102432203B1 (ko) * 2021-12-27 2022-08-12 코리아엔텍(주) 오폐수 집수기능 향상 하수처리장 설비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325B1 (ko)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하수처리장 지붕 설치 구조
Appels et al. Principles and potential of the anaerobic digestion of waste-activated sludge
EP2612841B1 (en) Constructed wetland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for continuous operation at low temperatures
CN101560315B (zh) 改性发泡三元乙丙橡胶
CN204939097U (zh) 一种用于河流水体原位修复治理的微生物装置
Chang et al. Characteristics of granular methanogenic sludge grown on phenol synthetic medium and methanogenic fermentation of phenolic wastewater in a UASB reactor
JPS61258864A (ja) アスフアルトエラストマ−組成物
EP1550693A4 (en) THERMOPLASTIC ELASTOMER AND FORMK RPER THEREOF
US20050045550A1 (en) Clarification basin membrane
Tran et al. Anaerobic baffled reactor in treatment of natural rubber processing wastewater: reactor performance and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y
WO2003027640A3 (en) Polymorphism detection and separation
KR102432203B1 (ko) 오폐수 집수기능 향상 하수처리장 설비 제공방법
KR100709234B1 (ko) 처리효율 향상을 위한 고도하수처리장 반응조의 부유성수표면차단체
Trang et al. Effect of ammonia load on microbial communities in mesophilic anaerobic digestion of propionic acid
CN105111832A (zh) 一种建筑防水涂料
CN213448795U (zh) 柔性卡扣连接水箅子
CN216427018U (zh) 一种可提升微生物活性的多功能组合污水处理系统
ATE483746T1 (de) Blockcopolymer und seine verwendung
CN106100528B (zh) 一种能安装太阳能发电板的无金属骨架玻璃钢臭气罩盖
CN204325080U (zh) 分散式农村污水处理系统
KR100203948B1 (ko) 최적의 고온 호기성 소화시스템 및 혐기 소화 시스템 전환 겸용 복합 폐수 처리 시스템
CN216005330U (zh) 高原湖泊截污调蓄沟水质提升改造系统
CN203558918U (zh) 反硝化除磷sbbr反应器
US20090118419A1 (en) Material for use in contact with drinking water as well as having microbe-resistant properties
CN211873302U (zh) 大跨度污水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