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256B1 -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검출 회로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검출 회로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256B1
KR101470256B1 KR1020130159402A KR20130159402A KR101470256B1 KR 101470256 B1 KR101470256 B1 KR 101470256B1 KR 1020130159402 A KR1020130159402 A KR 1020130159402A KR 20130159402 A KR20130159402 A KR 20130159402A KR 101470256 B1 KR101470256 B1 KR 101470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power output
transistor
output pin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삼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9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25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센서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제1 단자, 제1 단자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 제1 단자에 연결되어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2 단자, 미리 설정된 검출 기준 전압 값과 제2 단자의 전압 값을 비교하여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이 발생하면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온/오프 제어하여 단락을 방지하고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출력 핀 간의 단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단자를 통해 다수의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중 단락이 발생한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을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검출 회로 및 시스템{SYSTEM AND CIRCUIT FOR DETECTING A SHORT BETWEEN A SENSOR GROUND AND A SENSOR SUPPLY OUTPUT PIN}
본 발명은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에는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온도, 속도 또는 기타 작동 장치의 상태를 계측하거나 이를 제어하기 위한 센서가 다수 연결된다.
전자 제어 장치는 다수의 채널을 통해 전자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센서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나, 연결 불량으로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이 저항이 작은 도선에 의해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단락이 발생하면 큰 전류가 흘러 센서를 파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류가 지속적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단락 보호 회로는 센서 그라운드에 배터리나 센서 전원 출력 핀이 단락되었을 때 SCB(SHORT CIRCUIT TO BATTERY)로 진단하고 과전류를 제한하거나 주변 회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연결을 차단한다.
그러나, 종래의 단락 방지 회로에 의하면 어느 센서에서 단락이 발생했는지 알 수 없고, 단락을 검출하기 위하여 연결이 차단된 동안에는 전자 제어 장치 또는 이에 연결된 센서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이 발생하면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온/오프 제어하여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 및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출력 핀 간의 단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단자를 통해 다수의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중 단락이 발생한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을 검출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센서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 그라운드와 상기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2 단자, 미리 설정된 검출 기준 전압 값과 상기 제2 단자의 전압 값을 비교하여 상기 센서 그라운드와 상기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단락 검출 회로를 이용하여 다수의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을 검출하는 단락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락 검출 회로로부터 상기 다수의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입력받은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다수의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중 단락이 발생한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단락 검출 회로는 상기 센서 그라운드와 상기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2 단자의 전압 값과 미리 설정된 검출 기준 전압 값을 비교하여 상기 센서 그라운드와 상기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이 발생하면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온/오프 제어하여 단락을 방지하고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출력 핀 간의 단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단자를 통해 다수의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중 단락이 발생한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을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락 검출 회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락 검출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락 검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락 검출 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검출 회로(102)는 제1 단자(110), 제2 단자(112), 제1 트랜지스터(114), 제2 트랜지스터(116), 판단부(118), 제어부(120), 감지부(122)를 포함한다. 단락 검출 회로(102)는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ECU)의 센서 전원 출력 핀(180)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락 검출 회로(102)의 제 1단자(110)가 센서 전원 출력 핀(180)에 연결된다. 이 때, 단락 검출 회로(102)는 센서 전원 출력 핀(180)에서 출력하는 전압이 출력 기준 전압보다 작은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락 검출 회로(102)는 센서 그라운드(190)에 연결되는 제1 단자(110), 제1 단자(110)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114) 및 제2 트랜지스터(116), 제1 단자(110)에 연결되어 센서 그라운드(190)와 센서 전원 출력 핀(180) 간의 단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2 단자(112)를 포함한다. 즉, 제2 단자(112)를 통해 제1 단자(110)의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114) 및 제2 트랜지스터(116)는 낮은 값을 갖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트랜지스터(114) 및 제2 트랜지스터(116)는 0 옴 내지 0.1 옴의 RDSON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RDSON이란 트랜지스터 드레인과 소스 사이의 내부 저항을 의미한다. 제1 트랜지스터(114) 및 제2 트랜지스터(116) 각각의 게이트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트랜지스터(114, 116) 각각을 턴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114) 및 제2 트랜지스터(116)의 드레인은 제1 단자(110)에 연결되고, 소스는 제어기 그라운드에 연결된다.
판단부(118)는 미리 설정된 검출 기준 전압 값과 제2 단자(112)의 전압 값을 비교하여 센서 그라운드(190)와 센서 전원 출력 핀(180) 간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검출 기준 전압 값은 센서 그라운드(190)가 제1 단자(110)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검출 기준 전압 값은 제2 단자(112)의 전압 값과 비교한다. 검출 기준 전압 값은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판단부(118)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온/오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검출 기준 전압 값과 제2 단자(112)의 전압 값을 비교하여 센서 그라운드(190)와 센서 전원 출력 핀(180)이 단락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오프 제어하여 센서 그라운드(190)가 배터리 또는 센서 전원 출력 핀(180)에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락 검출 회로(102)가 정상 동작할 때, 즉 제1 단자(110)와 센서 그라운드(190)가 단락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트랜지스터(114)를 턴온 제어하고 제2 트랜지스터(116)를 턴오프 제어한다.
제1 단자(110)와 센서 그라운드(190) 간의 단락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20)는 제1 트랜지스터(114) 및 제2 트랜지스터(116)를 턴오프 제어한다. 센서 그라운드(190)는 센서 전원 출력 핀(180) 외에, 차량의 배터리와 직접 접속될 수도 있다.
판단부(118)는 제2 단자(112)의 전압 값과 검출 기준 전압 값을 비교하여 센서 그라운드(190)와 센서 전원 출력 핀(180)이 단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단자(112)의 전압 값이 검출 기준 전압 값보다 큰 경우, 판단부(118)는 센서 그라운드(190)와 센서 전원 출력 핀(180)이 단락되었다고 판단한다. 즉, 센서 전원 출력 핀(180)은 제1 단자(110)와 연결되는데, 제1 단자(110)가 센서 그라운드(190)에 연결됨으로써 센서 그라운드(190)와 센서 전원 출력 핀(180)이 단락된다. 제1 단자(110)는 센서 전원 출력 핀(180)뿐만 아니라, 차량의 배터리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 때, 제1 단자(110)에는 매우 높은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 결과, 제2 단자(112)의 전압 값은 검출 기준 전압 값보다 크다. 센서 그라운드(190)와 센서 전원 출력 핀(180) 또는 배터리가 단락되면, 제어부(120)는 제1 트랜지스터(114) 및 제2 트랜지스터(116)를 턴오프 제어한다.
센서 전원 출력 핀(180)이 센서 그라운드(190)와 단락되었을 때, 센서 전원 출력 핀(18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는 최대 값 또는 최소 값을 가지도록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전원 출력 핀(180)이 센서 그라운드(190)와 단락되었을 때 센서 전원 출력 핀(18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류는 최소 150 mA 이상 또는 최대 330 mA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 제한은 센서 전원 출력 IC 제조 업체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시트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114)가 턴온되고 제2 트랜지스터(116)가 턴오프되었을 때 센서 전원 출력 핀(180)과 센서 그라운드(190)가 단락인 경우, 센서 전원 출력 핀(18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는 최대 전류 값으로 제한된다. 그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114)에는 센서 전원 출력 핀(180)으로부터 출력되는 최대 전류 값이 흐른다. 센서 전원 출력 핀(180)으로부터 출력되는 최대 전류가 제1 트랜지스터(114)의 드레인과 소스 사이의 내부 저항인 RDSON 양 단에서 발생시키는 전압 값(112)은 검출 기준 전압 값보다 작다. 즉, 검출 기준 전압 값은 센서 전원 출력 핀(180)으로부터 출력되는 최대 전류 값에 제1 트랜지스터의 RDSON을 곱한 값보다 크게 설정된다.
한편, 센서 전원 출력 핀(180)과 다른 센서 그라운드가 단락된 경우에도 제2 단자(112)의 전압 값이 검출 기준 전압 값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트랜지스터(114)만으로는 단락 원인을 검출하기 어렵다.
제1 트랜지스터(114)가 턴온되고 제2 트랜지스터(116)가 턴오프되었을 때 제2 단자(112)의 전압 값이 검출 기준 전압 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20)는 제1 트랜지스터를 턴오프 제어하고 제2 트랜지스터(116)를 턴온 제어한다.
제2 트랜지스터(116)에는 직렬로 연결된 저항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116)가 턴온되면, 센서 전원 출력 핀(180)으로부터 출력되는 최대 전류는 제2 트랜지스터(116)의 증가된 저항으로 흐른다. 그에 따라 제2 단자(112)의 전압 값은 검출 기준 전압 값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제1 트랜지스터(114)가 턴오프되고 제2 트랜지스터(116)가 턴온되었을 때 제2 단자(112)의 전압 값이 검출 기준 전압 값보다 작은 경우, 판단부(118)는 센서 그라운드(190)와 센서 전원 출력 핀(180)이 단락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센서 전원 출력 핀(180)과 센서 그라운드(190) 간의 단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전원 출력 핀(180)가 센서 그라운드(190)가 단락되지 않았으므로 제어부(120)는 제1 트랜지스터(114)를 턴온 제어하고 제2 트랜지스터(116)를 턴오프 제어한다. 제2 단자(112)의 전압 값이 검출 기준 전압 값보다 큰 경우, 판단부(118)는 센서 그라운드(190)와 센서 전원 출력 핀(180)이 단락되었다고 판단하고 제어부(120)는 제1 트랜지스터(114) 및 제2 트랜지스터(116)를 턴오프 제어한다.
감지부(102)는 센서 전원 출력 핀(180)의 전압 값이 미리 설정된 센서 출력 기준 전압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센서 전원 출력 핀(180)의 전압 값이 미리 설정된 센서 출력 기준 전압 값보다 낮은 경우에만 제2 단자(112)의 전압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의 단락 검출 회로를 이용하여 다수의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단락 검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세 개의 단락 검출 회로 및 이에 연결되는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으로 구성되는 단락 검출 시스템을 예로 든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락 검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락 검출 시스템(202)은 다수의 단락 검출 회로(230, 250, 252)를 이용하여 다수의 센서 그라운드(290, 292, 294)와 센서 전원 출력 핀(260, 270, 280) 간의 단락을 검출한다. 이 실시예에서, 단락 검출 시스템(202)은 세 개의 단락 검출 회로(230, 250, 252), 입력부(204), 검출부(206)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락 검출 회로(230)는 센서 그라운드(290)와 센서 전원 출력 핀(260) 간의 단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2 단자(234)의 전압 값과 미리 설정된 검출 기준 전압 값을 비교하여 센서 그라운드(290)와 센서 전원 출력 핀(260) 간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240)를 포함한다. 또한, 단락 검출 회로(230)는 센서 전원 출력 핀(260)에 연결되는 제1 단자(232), 제1 단자(232)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236) 및 제2 트랜지스터(238)를 포함한다. 제2 단자(234)는 제1 단자(232)에 연결되어 센서 그라운드(290)와 센서 전원 출력 핀(260) 간의 단락을 모니터링하는데 이용된다. 그리고 단락 검출 회로(230)는 판단부(24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236) 및 제2 트랜지스터(238)를 턴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242)를 더 포함한다.
도 2에서, 단락 검출 회로(250, 252)는 상술한 단락 검출 회로(23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단락 검출 회로(230, 250, 252)는 입력부(204)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부(204)는 다수의 단락 검출 회로(230, 250, 252)로부터 다수의 센서 그라운드(290, 292, 294)와 센서 전원 출력 핀(260, 270, 280) 간의 단락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단락 검출 회로의 판단부로부터 해당 단락 검출 회로에 연결되는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입력받을 수 있다.
검출부(206)는 입력받은 판단 결과를 기초로 다수의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중 단락이 발생한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1의 단락 검출 회로를 이용하여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에 단락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러한 단락 검출 회로를 이용하여 단락 검출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다수의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중 단락이 발생한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을 검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락 검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단자는 센서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가 제1 단자에 연결된다. 또한,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2 단자는 제1 단자에 연결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서, 판단부는 미리 설정된 검출 기준 전압 값과 제2 단자의 전압 값을 비교하여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부는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온/오프 제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1 트랜지스터를 턴온 제어하고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오프 제어한다(302).
그 다음, 센서 전원 출력 핀의 전압 값이 미리 설정된 센서 출력 기준 전압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304). 센서 전원 출력 핀의 전압 값이 미리 설정된 센서 출력 기준 전압보다 크면,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발생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다.
그 다음, 제2 단자의 전압 값이 검출 기준 전압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306). 제2 단자의 전압 값이 검출 기준 전압 값보다 큰 경우,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이 단락되었다고 판단한다(312). 단계(306)에서 제2 단자의 전압 값이 검출 기준 전압 값보다 작은 경우, 제1 트랜지스터를 턴오프 제어하고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온 제어한다(308).
그 다음, 단계(308)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되고 제2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었을 때 제2 단자의 전압 값이 검출 기준 전압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310). 제2 단자의 전압 값이 검출 기준 전압 값보다 작은 경우,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이 단락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제1 트랜지스터를 턴온 제어하고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오프 제어한다(302).
제2 단자의 전압 값이 검출 기준 전압 값보다 큰 경우,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이 단락되었다고 판단한다(312).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이 단락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트랜지스터를 턴오프 제어하고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오프 제어한다(314).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오프 제어함으로써,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9)

  1.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센서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 그라운드와 상기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2 단자;
    미리 설정된 검출 기준 전압 값과 상기 제2 단자의 전압 값을 비교하여 상기 센서 그라운드와 상기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검출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의 전압 값이 상기 검출 기준 전압 값보다 큰 경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 그라운드와 상기 센서 전원 출력 핀이 단락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오프 제어하는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검출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가 턴온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되었을 때
    상기 제2 단자의 전압 값이 상기 검출 기준 전압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턴오프 제어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온 제어하는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검출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었을 때
    상기 제2 단자의 전압 값이 상기 검출 기준 전압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 그라운드와 상기 센서 전원 출력 핀이 단락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턴온 제어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오프 제어하는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검출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전원 출력 핀의 전압 값이 미리 설정된 센서 출력 기준 전압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검출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0 옴 내지 0.1 옴의 RDSON을 갖는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검출 회로.
  7. 다수의 단락 검출 회로를 이용하여 다수의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을 검출하는 단락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락 검출 회로로부터 상기 다수의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입력받은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다수의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중 단락이 발생한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단락 검출 회로는
    상기 센서 그라운드와 상기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2 단자의 전압 값과 미리 설정된 검출 기준 전압 값을 비교하여 상기 센서 그라운드와 상기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단락 검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단락 검출 회로는
    상기 센서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제1 단자; 및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 그라운드와 상기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을 모니터링하는데 이용되는
    단락 검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단락 검출 회로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단락 검출 시스템.
KR1020130159402A 2013-12-19 2013-12-19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검출 회로 및 시스템 KR101470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402A KR101470256B1 (ko) 2013-12-19 2013-12-19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검출 회로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402A KR101470256B1 (ko) 2013-12-19 2013-12-19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검출 회로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256B1 true KR101470256B1 (ko) 2014-12-05

Family

ID=52678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402A KR101470256B1 (ko) 2013-12-19 2013-12-19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검출 회로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4643A (zh) * 2017-08-15 2020-03-24 罗伯特·博世有限公司 具有用于接地线和传感器的短路保护的电路的控制设备和用于接地线和传感器的短路保护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4851A (ko) * 2005-12-19 2007-06-22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자동차 전장품의 출력 신호 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4851A (ko) * 2005-12-19 2007-06-22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자동차 전장품의 출력 신호 검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4643A (zh) * 2017-08-15 2020-03-24 罗伯特·博世有限公司 具有用于接地线和传感器的短路保护的电路的控制设备和用于接地线和传感器的短路保护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973B1 (ko) 하프-브릿지 드라이버 결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N111279571B (zh) 高温熔丝电路
KR101639488B1 (ko) 암 쇼트 방지를 위한 게이트 구동 회로 및 방법
US10044180B2 (en) Electronic circuit breaker for an electrical load in an on-board electrical system of a motor vehicle
US8582265B2 (en)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s
JP5526965B2 (ja) 電源制御装置及び故障検知方法
US200802122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Shorts i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s
US9722600B2 (en) Driving circuit of switching device for electric power control
US10008846B2 (en)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nic fu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fuse
JP6582133B2 (ja) 車載制御装置
KR101671087B1 (ko) 시퀀서 아날로그 출력 유닛
KR101470256B1 (ko) 센서 그라운드와 센서 전원 출력 핀 간의 단락 검출 회로 및 시스템
KR101948109B1 (ko) 모터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CN110914643B (zh) 具有用于接地线和传感器的短路保护的电路的控制设备和用于接地线和传感器的短路保护的方法
TWI502853B (zh) 用於高電流脈衝電源供應器的短路控制
CA2861185C (en) Short detection bus
US7116110B1 (en) Sensorless protection for electronic device
CN107181235A (zh) 用于高电流脉冲电源的短路控制
US8891217B2 (en) Input/output interface circuit with overpower protection
KR20190120527A (ko) 과전압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6625A (ko) 일체화 된 능동 퓨즈 모듈 및 이를 통한 과전압 방지 방법
JP6080669B2 (ja) 駆動装置の検出装置
KR101997360B1 (ko) 인덕티브 센서의 단선 검출 장치
JP6797035B2 (ja) 磁気センサ及び磁気センサ装置
US8508895B2 (en) Short circuit protection for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