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942B1 - 음파망이 구비된 음향 원음기 - Google Patents

음파망이 구비된 음향 원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942B1
KR101469942B1 KR1020130126915A KR20130126915A KR101469942B1 KR 101469942 B1 KR101469942 B1 KR 101469942B1 KR 1020130126915 A KR1020130126915 A KR 1020130126915A KR 20130126915 A KR20130126915 A KR 20130126915A KR 101469942 B1 KR101469942 B1 KR 101469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coustic
sound wave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준우
Original Assignee
원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준우 filed Critical 원준우
Priority to KR1020130126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30Combinations of transducers with horns, e.g. with mechanical matching means, i.e. front-loaded ho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7Hearing device specific tools used for storing or handling hearing devices or parts thereof, e.g. placement in the ear, replacement of cerumen barriers, repair, cleaning hea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이나 스피커 등의 음향 출력단을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파형을 금속 재질의 음파망을 통하여 변환시켜 원음에 가까운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음파망이 구비된 음향 원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원음기는 음향기기(100)의 음향 출력단(110)으로부터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211)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212)이 형성되며, 내측에 음향이 전달되는 공간부(213)가 형성된 몸체 케이스(210)와; 표면에 복수의 통기공(250a)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 케이스(210)의 공간부(213)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음향 신호의 파형을 변화시키는 음파망(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유선 또는 무선 이어폰이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파장을 부드러운 원음에 가까운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음파망이 구비된 음향 원음기 {SOUND OUTPUT APPARATUS WITH SOUND PLATE}
본 발명은 음향 원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폰이나 스피커 등의 음향 출력단을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파형을 금속 재질의 음파망을 통하여 변환시켜 원음에 가까운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음파망이 구비된 음향 원음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휴대 전화기가 많이 보급되고, 그 기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그 활용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휴대 전화기는 전화 통화의 본래 목적 이외에도 종래 MP3 플레이어 등을 대신하여 음악을 감상하는데에도 많이 이용된다. 이렇게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음악을 감상하는 경우 휴대 전화기에 구비된 스피커나 유선 또는 무선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악을 감상하게 되는데, 이렇게 이어폰이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은 음향 전송 및 출력 과정에서 노이즈가 발생하여 출력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이어폰이나 스피커로 전달되는 음향 신호에는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어폰이나 스피커에 구비된 노이즈 제거 회로만으로는 노이즈를 충분히 제거하기 어렵고, 출력 과정에서도 고음 및 저음의 밸런스가 맞지 않아 원음에 가까운 음향을 출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음질 저하 문제는 비단 휴대 전화기 뿐만 아니라, MP3 플레이어나 PDA 등 고가의 스피커가 장착되기 어려운 개인 휴대 단말기에 모두 적용되는 문제점이었다.
한편, 이러한 휴대 전화기는 사용시 전자파가 발생하기 때문에 인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떨어뜨려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듣는 경우 귀를 휴대폰에서 이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유선 이어폰이나 블루투스 이어폰 등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이어폰을 귀에 바로 꽂고 사용하는 경우에도 음향 출력시 전자파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이어폰 또한 귀에서 어느 정도 이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종래 이어폰에는 이렇게 이어폰을 사용자의 귀에서 이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못하였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060943호 (2008.03.13)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음파망을 이용하여 음향 출력시 원음에 가까운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음파망이 구비된 음향 원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선 또는 무선 이어폰의 음향 출력단에 음향 원음기를 결합시킨 후, 이 음향 원음기를 사용자의 귀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어폰의 음향 출력단과 사용자의 귀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켜 전자파가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음향 원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원음기는 음향기기의 음향 출력단으로부터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가 형성되며, 내측에 음향이 전달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 케이스와; 표면에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 케이스의 공간부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음향 신호의 파형을 변화시키는 음파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음파망은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 몸체 표면에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되, 상기 통기공의 직경은 변화시키고자 하는 음향 신호의 파형에 따라 0.1mm 내지 1.5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 케이스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음파망이 서로 내측 및 외측에 위치하도록 동심원상에 배치되는데, 상기 동심원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음파망에 형성된 통기공의 직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음파망은 음향 신호의 파장 중 고음을 변화시키기 위해 동심원상의 내측에 배치되는 고음처리 음파망과, 음향 신호의 파장 중 중음을 변화시키기 위해 동심원상의 중간에 배치되는 중음처리 음파망과, 음향 신호의 파장 중 저음을 변화시키기 위해 동심원상의 외측에 배치되는 저음처리 음파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음파망의 내측에는 소리가 전달되는 길이방향으로 음향 코어가 설치되고 상기 음향 코어의 외측에는 복수의 음향판이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음향 코어의 일단 및 타단에는 코어 고정구가 형성되어 몸체 케이스의 공간부 내측에 형성된 음파망 지지대에 결합되어 고정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음향 코어의 외측에 형성된 복수의 음향판은 평판형이나 나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음파망의 개방된 전면 및 후면에는 음파망 고정구가 형성되어, 몸체 케이스의 공간부 내측에 형성된 음파망 지지대에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몸체 케이스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음파망의 일단과 음향 출력부 사이 거리가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음향 출력부는 몸체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 음향 출력부의 일단에는 인체의 귀에 끼워질 수 있는 이어캡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음향 원음기는 무선 또는 유선 이어폰의 음향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무선 또는 유선 이어폰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원음기는 음향 기기의 본체에 구비된 음향 출력단으로부터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음향 기기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파망이 구비된 음향 원음기는 유선 또는 무선 이어폰이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파장을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음파망을 통하여 변화시켜 원음에 가까운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음향 원음기가 이어폰에 구비되는 경우 음향 원음기가 이어폰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와 이어폰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켜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파망이 구비된 음향 원음기의 사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원음기의 몸체 케이스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 케이스에 음파망이 설치된 음향 원음기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파망이 설치된 음향 원음기의 부분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원음기의 몸체 케이스에 결합되는 음파망의 일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판이 설치된 음향 원음기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판이 설치된 음향 원음기의 부분 정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원음기의 몸체 케이스에 결합되는 음향판 및 음파망의 일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원음기가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에 적용된 일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파망이 구비된 음향 원음기가 휴대 전화기의 음향 출력단에 적용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파망이 구비된 음향 원음기의 사이도이고, 도 2는 음향 원음기의 몸체 케이스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몸체 케이스에 음파망이 설치된 음향 원음기의 부분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음파망이 설치된 음향 원음기의 부분 측 단면도이고, 도 5는 음향 원음기의 몸체 케이스에 결합되는 음파망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파망이 구비된 음향 원음기(200)는 이어폰이나 스피커 등의 음향 출력단으로부터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원통형의 몸체 케이스(210)와, 상기 몸체 케이스(210)의 내측 공간부(213)에 설치되어 음향 신호의 파형을 변화시키는 복수의 음파망(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서 명칭되는 음향 신호는 이어폰이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소리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몸체 케이스(210)의 일측에는 음향기기의 음향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2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음향 입력부(211)와 음향 출력부(212) 사이의 내측에는 음향이 전달되는 공간부(213)가 형성된다. 상기 음향 입력부(211) 및 음향 출력부(212)는 공간부(213)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게 되는데, 이는 음향 신호가 좁은 음향 입력부(211)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부(213)로 입력된 후 좁은 음향 출력부(212)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때까지 공간부(213) 내부에서 머물면서 음파망(250)에 의해 파형이 변화되고 진동에 의해 공명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음향 출력부(212)는 음향 입력부(2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몸체 케이스(210)는 공간부(213)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원통형의 공간부(213) 내측의 일측 및 타측에는 음파망(250)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음파망 지지대(215)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음파망 지지대(215)는 "+" 또는 "-" 형태로 원통형의 공간부(213) 내측에 형성되며, 이 음파망 지지대(215)에 음파망(250)의 일단 및 타단에 형성된 음파망 고정구가 결합되어 고정되게 된다.
상기 음파망(250)은 굴곡진 몸체 표면에 복수의 통기공(250a)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져, 몸체 케이스(210)의 공간부(213) 내측에 음향 신호의 전달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공간부(213)를 통과하는 음향 신호의 파형을 변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음파망(250)은 굴곡진 측면에 복수의 통기공(250a)이 형성되고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직사각형 형태의 얇은 스테인리스 음파망을 둥글게 말아 맞닿는 테두리를 접합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음파망(250)은 얇은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이 음파망(250)에 형성된 통기공(250a)은 이 통기공(250a)을 통과하는 음향 신호의 파형을 변화시켜 음향을 조절함으로써 부드러운 원음에 가까운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음파망(250)에 형성된 통기공(250a)의 크기에 따라 음향 신호 파형의 저음, 중음, 고음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통기공(250a)이 작을수록 고음의 변화를 발생시키고, 통기공(250a)의 크기가 클수록 저음의 변화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 통기공(250a)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변화시키고자 하는 음향 신호의 파장을 선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통기공(250a)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여러 개의 음파망(250)을 통하여 고음, 중음, 저음 모두의 음향 신호 파형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음파망(250)은 음향 신호의 파장 중 고음을 변화시키기 위해 0.1mm∼0.5mm 직경의 통기공(125a)을 갖는 고음처리 음파망(251)과, 음향 신호의 파장 중 중음을 변화시키기 위해 0.5mm∼1.0mm 직경의 통기공(252a)을 갖는 중음처리 음파망(252)과, 음향 신호의 파장 중 저음을 변화시키기 위해 1.0mm∼1.5mm 직경의 통기공(253a)을 갖는 저음처리 음파망(2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음파망(250)은 변화시키고자 하는 음향 신호의 파장에 따라 몸체 케이스(210)에 하나만 설치될 수 있고, 저음과 중음 및 고음 모두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경우 여러 개의 음파망(250)이 몸체 케이스(210)에 한꺼번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음처리 음파망(251)과 중음처리 음파망(252) 및 저음처리 음파망(253)의 원통형 직경을 각각 다르게 형성하여 상호 내측 및 외측의 동심원상에 배치되어 몸체 케이스(210)에 함께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원통형의 공간부(213)에서 동심원상의 최외측에 저음처리 음파망(253)이 배치될 수 있도록 저음처리 음파망(253)의 원통형 직경을 공간부(21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고, 상기 저음처리 음파망(253)의 내측 공간에 중음처리 음파망(252)이 배치될 수 있도록 중음처리 음파망(252)의 원통형 직경을 저음처리 음파망(25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며, 상기 중음처리 음파망(252)의 내측 공간에 고음 처리 음파망(250)이 배치될 수 있도록 고음처리 음파망(251)의 원통형 직경을 중음처리 음파망(25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원통형 몸체 케이스(210)의 공간부(213)에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따라 동심원상으로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저음처리 음파망(253), 중음처리 음파망(252), 고음처리 음파망(251)이 순차적으로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음파망(250)의 배치 순서는 음향 신호의 파형이나 변화시키고자 하는 음파의 높낮이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고음처리 음파망(251)과 중음처리 음파망(252) 및 저음처리 음파망(253)의 개방된 전면 및 후면의 테두리에는 몸체 케이스(210)의 공간부(213) 내측에 설치된 음파망 지지대(215)에 결합되는 음파망 고정구(251b)(252b)(253b)가 구비된다. 즉, 음파망(251)(252)(253)의 전면 및 후면에 몸체 케이스(210)의 공간부(213) 내측에 설치된 음파망 지지대(215)에 대응하여 납땜 등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사방 또는 측면으로 돌출된 음파망 고정구(251b)(252b)(253b)가 각각 형성되어, 음파망(251)(252)(253)을 몸체 케이스(210)의 공간부(213)에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음파망(251)(252)(253)이 몸체 케이스(210)의 공간부(213)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 음파망(251)(252)(253)의 일단과 음향 입력부(211) 사이와, 음파망(251)(252)(253)의 타단과 음향 출력부(212)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음향 출력부(212)와 음파망(251)(252)(253)의 타단 사이에는 음파망(250)을 통하여 변화되는 음향 신호가 공간부(213) 내측에서 진동하면서 공명되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음향 출력부(212)와 음파망(251)(252)(253)의 타단 사이의 공간은 약 1cm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음파망이 구비된 음향 원음기(200)는 음향기기의 음향 출력단을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음향 원음기(200)의 음향 입력부(211)를 통하여 공간부(213) 내측으로 전달되고, 음향 원음기(200)의 공간부(213) 내측으로 전달되는 음향 신호는 복수의 음파망(250)을 통과하면서 그 파형이 변화됨에 따라 부드러운 음향 신호로 변화되어 음향 출력부(212)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게 된다.
한편, 상기 음파망(250)의 내측에는 몸체 케이스(210)의 공간부(213)로 전달되는 음향 신호의 에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음향판이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판이 설치된 음향 원음기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7은 음향판이 설치된 음향 원음기의 부분 정면 단면도이며, 도 8은 음향 원음기의 몸체 케이스에 결합되는 음향판 및 음파망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케이스(210)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음파망(250)의 내측에 음향판(261)의 지지 축이 되는 음향 코어(260)가 설치되고, 이 음향 코어(260)의 외측에 복수의 음향판(261)이 돌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음향 코어(260)는 몸체 케이스(210)에 설치되는 음파망(250) 중 가장 내측에 설치되는 고음처리 음파망(251)의 중심축 상에 설치되는데, 이 음향 코어(260)의 일단 및 타단에는 코어 고정구(262)가 형성되어, 몸체 케이스(210)의 공간부(213) 내측에 형성된 음파망 지지대(215)에 결합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음향 코어(260)의 외측에 형성된 음향판(261)은 몸체 케이스(210)의 공간부(213) 내부로 전달되는 음향 신호의 반향 및 잔향 효과음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 음향판(261)을 통과하는 음향 신호는 음향판(261)의 외측에 위치하는 음파망(250)으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음향 코어(260)에 형성되는 음향판(261)의 개수는 3∼6개 정도로 이루어지나, 이는 음향 원음기(200)의 크기나 음향 신호의 크기 및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며, 음향판(261)의 형태 또한 음향 신호의 효과적인 전달 및 효과음 발생을 위해 평판형이나 나선형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음향 코어(260)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음향판(261)은 효과적인 음향 효과를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나, 이러한 음향 코어(260) 및 음향판(261)의 재질 또한 동일 목적을 위해 다른 재질로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원음기(200)는 휴대 전화기나 PDA, MP3 플레이어 등의 음향 기기에 구비된 스피커나 유선 또는 무선 이어폰의 음향 출력단에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원음기가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에 적용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원음기(200)는 음향기기(100)인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의 음향 출력단(110)에 연결되어, 무선 이어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파형을 변화시켜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즉, 음향 원음기(200)의 일단에 형성된 음향 입력부(211)가 무선 이어폰의 출력 스피커인 음향 출력단(110)에 결합되어, 무선 이어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달받게 되는데, 음향 원음기(200)의 몸체 케이스(210) 내측 공간부(213)로 전달되는 음향 신호는 공간부(213) 내측에 설치된 복수의 음향판(261) 및 음파망(250)을 통과하면서 고음, 중음, 저음이 변화되어 공간부(213) 내부에서 진동하면서 음향 출력부(212)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게 된다. 이때, 음향 원음기(200)의 타측에 돌출 형성된 음향 출력부(212)에 실리콘 등의 부드럽고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이어캡(212a)을 결합하여 인체의 귀에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향 원음기(200)는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의 음향 출력단(110)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을 착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이 음향 원음기(200)는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의 음향 출력단(110)과 사용자의 귀 사이에 위치하여 음향 신호를 사용자의 귀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귀가 브루투스 무선 이어폰의 음향 출력단(110)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음향 원음기(200)의 길이만큼 이격되기 때문에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의 음향 출력단(212)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사용자의 귀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파망이 구비된 음향 원음기가 음향 기기중 하나인 휴대 전화기의 음향 출력단에 적용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음향기기(100)인 휴대 전화기의 배면 일측에는 음향이 출력되는 스피커 등의 음향 출력단(110)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원음기(200)는 이 음향 출력단(110)에 연결되어 음향 출력단(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변화시켜 원음기 음향 출력부(110a)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즉, 음향 원음기(200)는 휴대 전화기의 음향 출력단(110)과 직접 또는 음향 도파관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음향 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되는 음향 신호를 음향판(261) 및 음파망(250)을 통하여 변화시켜 원음기 음향 출력부(110a)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에서, 원음기 음향 출력부(110a)는 음향 원음기(200)의 몸체 케이스(210) 일측에 형성되는 음향 출력부(212)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방향을 휴대 전화기의 외부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음향 원음기(200)가 휴대 전화기의 음향 출력단(110)에 설치되는 경우, 이 음향 원음기(200)는 휴대 전화기의 음향 출력단(110) 주변에 형성되는 설치 공간에 설치되어, 배면 덮개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파망이 구비된 음향 원음기는 유선 또는 무선 이어폰, 휴대 전화기와 같은 음향 기기의 음향 출력단인 스피커 등에 직접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음향 신호를 부드럽게 변화시켜 외부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 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음향기기 110 : 음향 출력단
110a : 원음기 음향 출력부 200 : 음향 원음기
210 : 몸체 케이스 211 : 음향 입력부
212 : 음향 출력부 212a : 이어캡
213 : 공간부 215 : 음파망 지지대
250 : 음파망 250a : 통기공
251 : 고음처리 음파망 251a : 통기공
251b : 음파망 고정구 252 : 중음처리 음파망
252a: 통기공 252b : 음파망 고정구
253 : 저음처리 음파망 253a : 통기공
253b : 음파망 고정구 260 : 음향 코어
261 : 음향판 262 : 코어 고정구

Claims (13)

  1. 음향기기(100)의 음향 출력단(110)으로부터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211)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212)가 형성되며, 내측에 음향이 전달되는 공간부(213)가 형성된 몸체 케이스(210)와;
    표면에 복수의 통기공(250a)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 케이스(210)의 공간부(213)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음향 신호의 파형을 변화시키는 음파망(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음향 원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망(250)은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 몸체 표면에 복수의 통기공(250a)이 형성되되, 상기 통기공(250a)의 직경은 변화시키고자 하는 음향 신호의 파형에 따라 0.1mm 내지 1.5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원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케이스(210)에 형성된 공간부(213)에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음파망(250)이 서로 내측 및 외측에 위치하도록 동심원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원음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원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음파망(250)에 형성된 통기공(250a)의 직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원음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파망(250)은
    음향 신호의 파장 중 고음을 변화시키기 위해 동심원상의 내측에 배치되는 고음처리 음파망(251)과,
    음향 신호의 파장 중 중음을 변화시키기 위해 동심원상의 중간에 배치되는 중음처리 음파망(252)과,
    음향 신호의 파장 중 저음을 변화시키기 위해 동심원상의 외측에 배치되는 저음처리 음파망(2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원음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파망(250 ; 251, 252, 253)의 개방된 전면 및 후면에는 음파망 고정구(251b)(252b)(253b)가 형성되어, 몸체 케이스(210)의 공간부(213) 내측에 형성된 음파망 지지대(215)에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원음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망(250)의 내측에는 소리가 전달되는 길이방향으로 음향 코어(260)가 설치되고, 상기 음향 코어(260)의 외측에는 복수의 음향판(261)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원음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코어(260)의 일단 및 타단에는 코어 고정구(262)가 형성되어, 몸체 케이스(210)의 공간부(213) 내측에 형성된 음파망 지지대(215)에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원음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코어(260)의 외측에 형성된 복수의 음향판(261)은 평판형이나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원음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케이스(210)의 공간부(213)에 설치되는 음파망(250)의 일단과 음향 출력부(212) 사이 거리가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원음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212)는 몸체 케이스(2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 음향 출력부(212)의 일단에는 인체의 귀에 끼워질 수 있는 이어캡(212a)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원음기.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원음기(200)는 무선 또는 유선 이어폰의 음향 출력단(212)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무선 또는 유선 이어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원음기.
  13.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원음기(200)는 음향 기기의 본체에 구비된 음향 출력단(212)으로부터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음향 기기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원음기.
KR1020130126915A 2013-10-24 2013-10-24 음파망이 구비된 음향 원음기 KR101469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915A KR101469942B1 (ko) 2013-10-24 2013-10-24 음파망이 구비된 음향 원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915A KR101469942B1 (ko) 2013-10-24 2013-10-24 음파망이 구비된 음향 원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942B1 true KR101469942B1 (ko) 2014-12-16

Family

ID=5267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915A KR101469942B1 (ko) 2013-10-24 2013-10-24 음파망이 구비된 음향 원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9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9807A (ja) 2009-06-23 2011-01-13 Audio Technica Corp 単一指向性筒型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9807A (ja) 2009-06-23 2011-01-13 Audio Technica Corp 単一指向性筒型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7701B2 (en) Protective enclosure for enhancing sound from an electronic device
EP2238769B1 (en) Acoustic reconfiguration devices and methods
US10085086B2 (en) Resonance damping for audio transducer systems
US8989425B2 (en) Earphone
US8948423B2 (en) Micro speaker
US8582794B2 (en) Speaker with acoustic damped port
KR100882329B1 (ko) 스피커와 하우징 사이에 전방 챔버의 조절 가능한 체적을가진 귀 삽입형 및 이어플러그 유형 이어폰
JP2012085257A (ja) イヤホン
JP2011041241A (ja) イヤホン
CN206350126U (zh) 具有双前声腔和双后声腔的耳机
CN105848042B (zh) 一种组合式扬声器装置及其方法
CN101919262A (zh) 用于增强便携式音频设备的频率输出的设备和方法
US20120237052A1 (en) Dual mode electronic headset with local and remote focused microphones
CN206402403U (zh) 具有双前声腔的耳机
GB2504723A (en) Waveguide housing for a portable device with built-in passive amplification of the loudspeaker
JP2007053719A (ja) イヤホン及びイヤホン用スピーカモジュール
US20070280498A1 (en) Speaker and speaker enclosure
KR101470983B1 (ko) 마이크로 스피커
KR101045613B1 (ko) 마이크로 스피커
KR101469942B1 (ko) 음파망이 구비된 음향 원음기
US11595755B1 (en) In-ear audio system
CN104581492B (zh) 可产生超声波的听筒及其构成的多媒体设备
CN101483796B (zh) 头戴式受话器
JP2017108362A (ja) 携帯電子機器用拡声機
CN212231706U (zh) 一种主动降噪模组及降噪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