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914B1 - 주서기 - Google Patents

주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914B1
KR101469914B1 KR1020130090902A KR20130090902A KR101469914B1 KR 101469914 B1 KR101469914 B1 KR 101469914B1 KR 1020130090902 A KR1020130090902 A KR 1020130090902A KR 20130090902 A KR20130090902 A KR 20130090902A KR 101469914 B1 KR101469914 B1 KR 101469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ousing
stopper
fastening port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김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원 filed Critical 김재원
Priority to KR1020130090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서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구동력 발생수단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체;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장착되는 뚜껑;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 하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제1뚜껑체결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뚜껑체결부가 각각 서로 이격 배치되며 반경방향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상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제1하우징체결부와 상기 제2뚜껑체결부와 대응되는 제2하우징체결부가 각각 서로 이격 배치되어 반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제1뚜껑체결부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와 제2하우징체결부 사이 또는 두 제2하우징체결부 사이로 인입된 후 상기 뚜껑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뚜껑체결부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 하단에 대응되어 위치될 때 상기 뚜껑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뚜껑결합이 보다 간편해진다.

Description

주서기{JUICER}
본 발명은 주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 결합이 용이한 주서기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생활을 위하여 녹즙이나 주스를 직접 만들어 먹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야채나 과일로부터 주스 등을 만들 수 있는 블렌더, 녹즙기, 착즙주서기 등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이 많이 개시되고 있다.
종래의 주서기는 일반적으로 분쇄스크류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 내에 과일이나 야채 등의 재료를 넣고,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한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분쇄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써 재료를 압착, 분쇄하여 주스 또는 과즙을 추출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주서기들은 고속으로 구동하는 분쇄스크류에 의하여 과육 등이 잘게 부서지기 때문에 분쇄가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진다는 장점은 있을 수 있으나, 고속 회전되는 분쇄스크류에 의해 재료 고유의 향과 영양소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신선한 야채나 과일의 고유한 특성을 유지한 채 이를 그대로 음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최근에는 재료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고 고유한 맛을 유지하기 위하여, 스크류를 저속으로 회전시켜 재료를 서서히 짜내어 착즙하는 주서기가 제시되고 있다.
회전체(스크류)의 속도와는 관계없이 스크류의 회전을 이용하여 착즙하는 주서기는 공통적으로 착즙 재료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재료 투입구가 형성된 뚜껑으로 덮어 하우징의 상면을 밀폐하도록 구비된다.
그런데 기기가 계속 작동하는 상태에서 뚜껑이 열리게 되면 이용자의 안전에 문제가 된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60851호에서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원액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고안은 뚜껑뭉치에 센서발생부가 구비되고, 이 뚜껑뭉치가 결합된 하우징이 안착되는 본체에는 센서감지부가 구비된다. 이로서 뚜껑뭉치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회전하는 경우에는 센서발생부가 센서감지부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스크류의 회전이 멈춘다.
종래의 뚜껑뭉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외결착턱은 하우징에 구비되는 복수의 내결착턱 사이로 인입되어 일정 각도 회전하면 뚜껑뭉치와 하우징이 결합된다. 그런데 뚜껑뭉치의 외결착턱과 하우징의 내결착턱은 각각 크기나 간격이 모두 다르게 형성되어 정확한 결합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뚜껑뭉치와 하우징이 서로 결합되지 못한다. 즉, 센서발생부가 센서감지부 영역 내에 놓일 수 있는 위치에서만 뚜껑뭉치와 하우징이 결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특정 위치에서만 뚜껑뭉치와 하우징이 결합되는 경우, 그 결합 위치를 맞추어서 조립하는 것이 불편하고, 이는 사용자들의 불만으로 제기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센서발생부가 구비된 뚜껑이 하우징에 결합되어 센서감지부가 구비된 본체에 장착될 때, 뚜껑과 하우징의 결합 위치를 어느 특정 위치로 한정하지 않아도 센서발생부가 센서감지부 영역 내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하여 뚜껑을 하우징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주서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는, 내부에 구동력 발생수단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체;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장착되는 뚜껑;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 하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제1뚜껑체결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뚜껑체결부가 각각 서로 이격 배치되며 반경방향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상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제1하우징체결부와, 상기 제2뚜껑체결부와 대응되는 제2하우징체결부가 각각 서로 이격 배치되어 반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제1뚜껑체결부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와 제2하우징체결부 사이 또는 두 제2하우징체결부 사이로 인입된 후 상기 뚜껑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뚜껑체결부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 하단에 대응되어 위치될 때 상기 뚜껑의 회전이 저지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본체는 일측에 센서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은 일측에 센서발생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 하단에 상기 제1뚜껑체결부가 위치되면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센서발생부가 상기 센서감지부 영역 내에 들어오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는 상기 제1뚜껑체결부의 일측과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의 일측이 나란한 순간부터 상기 센서발생부가 상기 센서감지부의 감지 영역 내에 있다가 상기 뚜껑이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뚜껑체결부의 일측이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의 타측과 나란해지기 이전에 상기 센서발생부가 상기 센서감지부의 감지 영역을 벗어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뚜껑체결부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뚜껑체결부의 타측에서 최측방에 구비된 상기 제2뚜껑체결부의 일측까지의 거리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뚜껑체결부, 상기 제2뚜껑체결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 및 상기 제2하우징체결부는 동일한 중심각을 구비하는 원호형상으로 구비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는 상기 제1뚜껑체결부의 하부 또는 상부에는 뚜껑스토퍼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의 하부 또는 상부에는 하우징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스토퍼의 일측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의 일측과 나란하게 구비되고, 상기 뚜껑스토퍼의 타측은 상기 제1뚜껑체결부의 타측과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뚜껑스토퍼와 상기 하우징스토퍼의 총길이는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뚜껑스토퍼는 제1뚜껑스토퍼와 제2뚜껑스토퍼로 일정거리 이격되며 서로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뚜껑스토퍼의 일측에서 상기 제2뚜껑스토퍼의 타측까지의 거리와 상기 하우징스토퍼의 길이의 합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하우징스토퍼는 제1하우징스토퍼와 제2하우징스토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스토퍼의 일측에서 상기 제2하우징스토퍼의 타측까지의 거리와 상기 뚜껑스토퍼의 길이의 합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뚜껑 외주면에는 하향으로 돌출된 뚜껑스토퍼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 상부 외주면에는 하우징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제1뚜껑체결부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의 하부에 위치될 때 상기 뚜껑스토퍼와 상기 하우징스토퍼가 맞닿아 상기 뚜껑의 회전이 저지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는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 및 상기 뚜껑에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를 누르는 누름돌기;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면 상기 누름돌기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눌러지며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주서기는, 내부에 구동력 발생수단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하부에 즙 배출구와 찌꺼기 배출구가 각각 이격 형성되고, 상면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장착되고, 상부 일측에 재료 투입구가 형성된 뚜껑;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상면은 개방되며, 측벽에 다수의 망공이 형성된 망드럼; 및 상기 망드럼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면에 스크류 나선이 형성된 스크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 하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복수의 뚜껑체결부가 각각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이격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상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복수의 하우징체결부가 각각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체결부 사이로 상기 뚜껑체결부가 어느 위치에서 인입되어 결합되어도 인입 후 뚜껑이 회전되면 소정의 위치에서만 뚜껑의 회전이 저지되며, 상기 하우징체결부 하부에 상기 뚜껑체결부가 위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센서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의 일측에는 센서발생부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체결부 하부에 상기 뚜껑체결부가 위치되며 상기 뚜껑의 회전이 저지되면,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센서발생부가 상기 센서감지부 영역 내에 들어오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뚜껑체결부 중 어느 하나의 하부 또는 상부에는 뚜껑스토퍼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체결부 중 어느 하나의 하부 또는 상부에는 상기 뚜껑스토퍼와 맞닿는 하우징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뚜껑스토퍼와 상기 하우징스토퍼의 총길이는 상기 하우징체결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는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 및 상기 뚜껑에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를 누르는 누름돌기;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이 상기 하우징이 결합되면 상기 누름돌기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눌러지며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측면에 따른 주서기는, 내부에 구동력 발생수단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체;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장착되는 뚜껑;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 하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뚜껑체결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뚜껑체결부가 각각 서로 이격 배치되며 반경방향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상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상기 제1뚜껑체결부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하우징체결부와, 상기 제2뚜껑체결부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하우징체결부가 각각 서로 이격 배치되어 반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제1뚜껑체결부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 또는 제2하우징체결부 사이로 인입된 후 상기 뚜껑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뚜껑체결부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 하단에 대응되어 위치될 때 상기 뚜껑의 회전이 저지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센서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에는 센서발생부가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뚜껑이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때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 하단에 상기 제1뚜껑체결부가 위치되면 상기 뚜껑의 회전이 저지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복수의 상기 센서발생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센서감지부 영역 내에 들어오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는 상기 뚜껑이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때 상기 뚜껑의 최대 회전각이 180°이하로 된다.
본 발명은 하우징에 대하여 어떠한 위치에서 뚜껑을 밀착시키더라도 뚜껑을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뚜껑에 구비된 센서발생부가 하우징이 본체에 안착될 때 센서감지부의 감지 영역 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만 회전이 저지되고, 뚜껑을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뚜껑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위치에서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뚜껑을 하우징에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의 뚜껑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의 뚜껑과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상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의 뚜껑과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상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의 뚜껑과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의 뚜껑과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상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의 뚜껑과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상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의 뚜껑과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상태도와 구성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의 뚜껑과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의 뚜껑과 하우징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의 뚜껑과 하우징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그러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범주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이해를 돕거나 편의를 위해, 또는 필요에 따라 과장되게 도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으로 즙과 찌꺼기를 구분하여 배출하는 주서기를 기본으로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뚜껑이 결합되는 하우징 내에서 스크류, 블레이드 등의 회전체가 회전되어 블렌더, 믹서, 착즙기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는 본체(100), 하우징(200), 회전체(300), 뚜껑(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구동력 발생수단(미도시)을 포함하고,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120)이 구비되며, 일측에 센서감지부(110)가 구비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장착되며,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120)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체(300) 및 상기 하우징(2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장착되고, 일측에 센서발생부(410)가 구비된 뚜껑(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뚜껑(400) 하단의 외주면에는 제1뚜껑체결부(420)와, 하나 이상의 제2뚜껑체결부(430)가 각각 이격 배치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하우징(200) 상단의 내주면에는 제1하우징체결부(220)와, 제2뚜껑체결부(430)와 대응되는 제2하우징체결부(230)가 각각 이격 배치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제1뚜껑체결부(420)가 제1하우징체결부(220)와 제2하우징체결부(230) 사이 또는 복수의 제2하우징체결부(230) 사이로 인입된 후, 뚜껑(400)을 어느 한 방향(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뚜껑체결부(420)가 제1하우징체결부(220) 하단에 대응되어 위치될 때 뚜껑(400)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뚜껑(400) 하단의 외주면에 제1뚜껑체결부(420)와 하나 이상의 제2뚜껑체결부(430)가 각각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하우징(200) 상단의 내주면에는 제1하우징체결부(220)와 제2뚜껑체결부(430)와 대응되는 제2하우징체결부(230)가 각각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뚜껑(400) 하단의 내주면에 제1뚜껑체결부와 제2뚜껑체결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상단의 외주면에 제1하우징체결부와, 제2하우징체결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뚜껑(4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본체(100)는 그 상면에 안착부(130)가 구비되고, 이 안착부(130) 중앙에 구동축(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부(130) 일측에는 몸체부(140)가 안착부(130)보다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구동력 발생수단인 모터(미도시)와 감속기(미도시)가 마련된다.
상기 안착부(130) 위에 하우징(200)의 하단면이 안착되는데, 이때 안착부(130)의 중앙에 형성된 구동축(120)이 본체(100) 내부에 구비된 모터 및 감속기와 연결된다. 여기서, 구동축(120)은 모터 및 감속기에 의해 저속회전을 하며 회전체(300)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회전체(300)는 바람직하게는 외면에 스크류 날이 구비된 스크류로 구비된다. 그리고 망드럼(500)이 스크류 날 외주면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회전체(300)의 회전에 의해 투입되는 재료의 착즙이 가능하다. 망드럼(500)의 측벽에는 즙이 통과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망공이 형성된다.
안착부(130) 일측에 형성되는 몸체부(140)는 하우징(200)이 안착부(130)에 놓였을 때 하우징(200)의 측면 방향으로 약간 이격된 상태로 하우징(2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몸체부(140)에는 센서감지부(110)가 마련된다. 이 센서감지부(110)는 뚜껑(400)이 하우징(200)에 결합되고 하우징(200)이 안착부(130)에 안착되었을 때, 뚜껑(400)에 구비되는 센서발생부(410)에서 발생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뚜껑(400)과 인접하는 몸체부(140) 상부 중앙에 구비된다. 센서감지부(110)는 센서발생부(410)로부터 신호를 감지하는지 여부에 따라 주서기의 작동 유무를 결정짓는다. 예를 들면, 센서감지부(110)가 센서발생부(410)로부터 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본체(100) 내부에 구비된 모터가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모터가 작동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안착부(130)의 상면에 놓이는 하우징(200)은 전체적인 외관이 용기 형상으로서, 즙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우징(200)의 외부에는 즙이 배출되는 즙배출구(250)와 찌꺼기가 배출되는 찌꺼기배출구(260)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체가(300)가 구동축(1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우징(200) 저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하우징(200)의 상단에는 뚜껑(400)의 하단이 밀착 결합된다. 이때, 회전체(300)의 상단축이 상기 뚜껑(400)의 하면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뚜껑(400)은 본 발명의 주서기의 최상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뚜껑(400)에 형성되는 재료 투입구(460)를 통해 야채 또는 과일과 같은 착즙 재료가 투입된다. 따라서 뚜껑(400)은 하우징(200)을 완전히 밀폐시키지 않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일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뚜껑(400)의 일측에는 센서발생부(410)가 구비된다. 센서발생부(410)에서 발생된 신호를 본체(100)에 구비되는 센서감지부(110)가 감지함으로써 본 발명인 주서기의 작동 여부가 좌우될 수 있다.
센서발생부(410)로는 예컨대 자석으로 구비된다. 이 자석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센서감지부(110)가 감지하여 본체(100)에 구비된 모터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감지부로는 본체(100)의 몸체부(140') 상부에 모터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공지의 마이크로스위치(미도시)와 연결된 스위치(160)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발생부로는 상기 뚜껑(400)의 일측에서 상기 본체(100) 상부에 구비된 상기 스위치(160)를 향하여 돌출되는 누름돌기(47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40') 상부에는 안내홈(150)이 형성되고, 이 안내홈(150) 내부에 스위치(160)가 위치된다. 그리고 누름돌기(470)가 안내홈(150)에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스위치(160)를 누르게 된다. 이 경우 안내홈(150)은 구동축(150)을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고, 특히 일측이(또는 양측 모두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위치(160)가 눌려지면, 스위치(160)와 연결되고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마이크로스위치가 눌려진다.
이로서 본체(100)에 하우징(200)과 뚜껑(400)이 고정된 상태에서 하우징(200)은 고정된 상태로 두고 뚜껑(400)만 본체(100) 및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누름돌기(470)는 본체(100)의 안내홈(15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므로, 안내홈(150)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누름돌기(470)도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누름돌기(470)가 구비된 뚜껑(400)을 하우징(200)과 결합하고 상기 본체(100)에 안착시 결합 고정하는 경우, 뚜껑(400)의 누름돌기(470)는 본체(100)의 안내홈(150)의 개구된 쪽에서 삽입되어 스위치(160)를 누르게 된다. 스위치(160)가 눌리면, 이 스위치(160)와 연결된 본체(100) 내부의 마이크로스위치가 눌려져 주서기가 작동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누름돌기(470)가 스위치를 누르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주서기의 작동이 멈춘다. 스위치가 눌려지고 다시 원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주서기의 작동 유무가 결정되는 것은 상술한 예시 외에도 다양한 예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뚜껑(400)이 하우징(200)에 결합되도록 어느 한 방향(닫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특정 위치에서만 뚜껑(400)의 회전이 저지되면서 뚜껑(400)과 하우징(400)이 결합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센서발생부(410)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한 센서감지부(110)는 본체(100) 내부의 모터가 작동 가능하도록 송신하여 본 발명인 주서기는 작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뚜껑(400)은 하단에 덮개판(450)이 형성되고, 이 덮개판(450) 상측으로 재료 투입구(460)가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다. 센서발생부(410)는 덮개판(45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덮개판(450)은 하우징(200)과 결합되는 부분이며, 하우징(2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다. 이러한 덮개판(4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배면 중앙부에는 회전체(300)의 상부가 삽입 지지되는 축공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판(450)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재료 투입구(460)는 본 발명인 주서기 내부로 재료를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로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이 하우징 내부까지 잘 들어가지 못할 정도로 그 길이는 비교적 길고 직경은 그리 크지 않다.
상기 덮개판(450)의 하부 외주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뚜껑체결부(420)와 3개의 제2뚜껑체결부(430)가 각각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구비된다. 도 3에서는 덮개판(450)이 동일한 중심각 θ=90°로 4분할 된 영역에서, 그 테두리에 중심각α인 원호 형상으로 제1뚜껑체결부(420)와 제2뚜껑체결부(430)가 각 영역에 하나씩 배치된다. 이때 중심각α의 크기는 제1뚜껑체결부(420)와 제2뚜껑체결부(43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중심각β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좋다. 즉, α<β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상단 내주면에는 제1하우징체결부(220)와, 3개의 제2하우징체결부(230)가 각각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구비된다. 제1하우징체결부(220) 및 제2하우징체결부(230)는 제1뚜껑체결부(420) 및 제2뚜껑체결부와 각각 그 하단에 맞물려 뚜껑(400)이 하우징(200)과 결합되는 것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뚜껑체결부(420) 및 제2뚜껑체결부(430)는 제1하우징체결부(220) 및 제2하우징체결부(230) 사이 공간으로 각각 어느 위치에서 인입되더라도, 인입된 후 뚜껑(400)을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뚜껑체결부(420)가 제1하우징체결부(220)의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일정각도 회전된 후에는 회전이 저지된다. 이때 뚜껑(400)과 하우징(200)의 결합이 완료되고, 하우징(200)이 본체(100)에 장착되는 경우 센서발생부(410)가 센서감지부(110)의 감지영역 내에 들어오게 되어 본 발명인 주서기의 작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뚜껑(400)을 하우징(200) 상단에 결합하기 위하여 하우징(200) 상단을 덮는 경우, 최초 상태에서 센서발생부(410)가 센서감지부(110) 영역 내에 바로 위치하지는 않는다. 즉 뚜껑(400)을 하우징(200)에 결합되도록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특정 위치에서만 뚜껑(400)의 회전이 저지되면서 뚜껑(400)과 하우징(400)은 결합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센서발생부(410)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한 센서감지부(110)는 본체(100) 내부에 구비된 모터가 작동되도록 신호를 보내어 본 발명인 주서기는 작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뚜껑체결부(420)의 하부에는 뚜껑스토퍼(440)가 길게 구비되고, 제1하우징체결부(220)의 하부에는 뚜껑(400)이 하우징(200)에 결합될 때 뚜껑스토퍼(440)와 나란한 위치에 하우징스토퍼(240)가 이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1뚜껑스토퍼(440)의 타측(b)은 제1뚜껑체결부(420)의 타측(b')과 나란하게 되고, 하우징스토퍼(240)의 일측(c)은 제1하우징체결부(220)의 일측(c'')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도 4a는 뚜껑(400)이 하우징(200)에 결합된 상태(닫힌 상태)에서 뚜껑스토퍼(440)의 일측(a)과 하우징스토퍼(240)의 타측(d)이 서로 맞닿은 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하우징스토퍼(240)의 일측(c)으로부터 뚜껑스토퍼(440)의 타측(b)까지의 거리는 제1하우징체결부(220)의 일측(c'')에서 타측(b'')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닫힌 상태에서 뚜껑(400)이 열리는 방향(A)으로 회전되면, 센서발생부(410)는 센서감지부(110)의 감지영역 내에 있다가 제1뚜껑체결부(420)의 일측(c')이 제1하우징체결부(220)의 타측(b'')과 나란해지면서(도 4b) 뚜껑(400)이 최초로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는 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센서발생부(410)는 센서감지부(110)의 감지영역을 벗어나도록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로 인해 뚜껑(400)이 분리 가능해지는 위치에 도달하면 본 발명인 주서기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뚜껑(400)이 하우징(200)으로부터 B방향으로 들어 올려질 때 이미 회전체(300)의 작동이 멈추고 사용자의 안전이 보장되는 것이다.
한편, 위 상태를 지나 뚜껑(400)이 열리는 방향(A)으로 끝까지 계속 회전되면 제1뚜껑스토퍼(440)의 타측(b)과 하우징스토퍼(240)의 일측(c)이 맞닿게 되면서 뚜껑(400)이 하우징(200)으로부터 다시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면서 뚜껑(400)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뚜껑(400)을 하우징(200)으로부터 B방향으로 들어 올려 쉽게 분리하기 위한 위치를 찾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되, 다만 뚜껑스토퍼가 제1뚜껑스토퍼(442)와 제2뚜껑스토퍼(444)로 분리되어 구비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때 제1뚜껑스토퍼(442)의 일측(a1)은 뚜껑(400)이 하우징(200)에 닫힌 상태가 되었을 때 하우징스토퍼(240)의 타측(d)과 맞닿게 된다(도 5a). 그리고, 뚜껑(400)이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도 5b), 제2뚜껑스토퍼(444)의 타측(b2)이 하우징스토퍼(240)의 일측(c)과 맞닿게 되어 뚜껑(400)이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해지는 최종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위에서 기술된 실시예와 동일하되, 다만 하우징스토퍼(240)의 길이가 뚜껑스토퍼(440)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뚜껑스토퍼(440)의 일측은 뚜껑(400)이 하우징(200)에 닫힌 상태가 되었을 때 하우징스토퍼(240)의 타측과 맞닿게 된다(도 6a). 그리고, 뚜껑(400)이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뚜껑스토퍼(440)의 타측은 하우징스토퍼(240)의 일측과 맞닿게 됨으로써(도 6b) 뚜껑(400)이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해지는 최종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뚜껑스토퍼(440)와 하우징스토퍼(240)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7은 위에서 기술된 실시예와 동일하되, 다만 하우징스토퍼가 제1하우징스토퍼(242)와 제2하우징스토퍼(244)로 서로 분리되어 구비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때 제2하우징스토퍼(244)의 일측은 뚜껑(400)이 하우징(200)에 닫힌 상태가 되었을 때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스토퍼(440)의 타측과 맞닿게 된다. 그리고 비록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뚜껑(400)이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하우징스토퍼(242)의 타측은 상기 뚜껑스토퍼(440)의 일측과 맞닿게 됨으로써 뚜껑(400)이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해지는 최종상태가 되는 것이다.
위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뚜껑스토퍼(440)와 하우징스토퍼(240)가 제1뚜껑체결부(420)와 제1하우징체결부(220)의 하부에 구비된 실시예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그 반대의 경우로, 도 8a 내지 10b는 뚜껑스토퍼(440)와 하우징스토퍼(240)가 제1뚜껑체결부(420)와 제1하우징체결부(220)의 상부에 구비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즉, 도 8a 및 도 8b는 위에서 기술된 실시예와 동일하되, 다만 하우징스토퍼(240)와 뚜껑스토퍼(440)가 제1하우징체결부(220)의 상부에 구비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뚜껑체결부(420)의 상부에는 뚜껑스토퍼(440)가 비교적 길게 구비되고, 제1하우징체결부(220)의 상부에는 뚜껑(400)이 하우징(200)에 결합될 때 뚜껑스토퍼(440)와 나란한 위치에 하우징스토퍼(240)가 이보다 짧게 구비된다. 이 때, 뚜껑스토퍼(440)의 타측(b)은 제1뚜껑체결부(420)의 타측(b')과 나란하게 구비되고, 하우징스토퍼(240)의 일측(c)은 제1하우징체결부(220)의 일측(c'')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 도 8a는 뚜껑(400)이 하우징(200)에 결합된 닫힌 상태에서 뚜껑스토퍼(440)의 일측(a)과 하우징스토퍼(240)의 타측(d)이 서로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데, 하우징스토퍼(240)의 일측(c)으로부터 뚜껑스토퍼(440)의 타측(b)까지의 거리는, 제1하우징체결부(220)의 일측(c'')에서 타측(b'')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닫힌 상태에서 뚜껑(400)이 열리는 방향(A)으로 계속 회전되면(도 8b), 뚜껑스토퍼(440)의 타측(b)과 하우징스토퍼(240)의 일측(c)이 맞닿게 되면서, 제1뚜껑체결부(420)가 제1하우징체결부(220)의 하부영역에서 벗어나게 되어 뚜껑(400)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하우징(200)으로부터 B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뚜껑(400)을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위치를 찾는 것이 간편해진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되, 다만 뚜껑스토퍼가 제1뚜껑스토퍼(442)와 제2뚜껑스토퍼(444)로 서로 분리되어 구비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제1뚜껑체결부(420)의 일측(a1')은 제1뚜껑스토퍼(442)의 일측(a1)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제1뚜껑체결부(420)가 제1하우징체결부(220)보다 짧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9a). 그리고 제1,2뚜껑스토퍼(442,444)는 직육면체 형상이 아니라, 빗면을 갖는 쐐기 형상으로도 구비되거나, 또는 하우징스토퍼(240)와 제1하우징체결부(220)는 서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도 9b 및 도 9c).
도 10a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되, 다만 하우징스토퍼(240)가 뚜껑스토퍼(440)보다 더 길게 구비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되, 다만 하우징스토퍼가 제1하우징스토퍼(242)와 제2하우징스토퍼(244)로 서로 분리되어 구비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물론,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8a, 8b 및 도 10a의 실시예와는 달리 뚜껑스토퍼(440)와 하우징스토퍼(240)가 서로 동일한 길이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1은 뚜껑스토퍼(440')와 하우징스토퍼(242',244')가 각각 뚜껑(400')과 하우징(2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스토퍼(440')는 뚜껑(400')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하우징(200')의 상부 외주면에는 하우징스토퍼(242',244')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하우징스토퍼는 제1하우징스토퍼(242')와 제2하우징스토퍼(244')가 서로 일정 간격으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뚜껑체결부(420)가 제1하우징체결부(220) 또는 제2하우징체결부(230) 사이로 인입되어 닫힘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뚜껑체결부(420)가 제1하우징체결부(220) 하부에 대응될 때, 뚜껑스토퍼(440')의 일측(a)과 제2하우징스토퍼(244')의 타측(d)이 맞닿게 되며, 뚜껑(400')은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한다. 이로 인해 뚜껑(400')이 하우징(200')에 대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열림 방향으로 뚜껑(400')이 회전되면 뚜껑스토퍼(440')의 타측(b)과 제1하우징스토퍼(242')의 일측(C)이 맞닿게 되면서 제1뚜껑체결부(420)는 제1하우징체결부(220) 또는 제2하우징체결부(230) 사이에 위치되고, 이때 뚜껑(400')은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가능해지는 최종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물론 적절한 설계 변경에 따라 뚜껑(400')이 열리는 방향과 닫히는 방향을 위와 반대로 할 수도 있다.
도 12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되, 뚜껑(400)에 구비되는 센서발생부(410)가 2개로 각각 이격되어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그리고 예컨대 뚜껑(400)에 구비되는 제1뚜껑체결부(420) 역시 2개가 대칭되어 서로 맞은편에 구비되고, 그 상부에 각각 뚜껑스토퍼(440)가 구비된다. 또한, 하우징(200)에는 제1뚜껑체결부(420)와 대응되도록 2개의 제1하우징체결부(220)가 대칭되어 서로 맞은편에 구비되고, 그 상부에 각각 하우징스토퍼(2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뚜껑스토퍼(440)와 하우징 스토퍼(240)가 각각 한 쌍으로서 서로 대칭되는 맞은편에 구비되면, 뚜껑(400)을 하우징(200)에 결합하기 위하여 제1뚜껑체결부(420)가 제1하우징체결부(220) 또는 상기 제2하우징체결부(430) 사이로 인입하여 어느 한 방향(닫는 방향)으로 회전시 최대 약 한바퀴(360°)가 아닌 최대 약 반바퀴(180°)만 회전시켜도 뚜껑(400)이 하우징(200)에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된다. 비록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뚜껑(400)을 최대 120° 또는 90°만 회전시키더라도 뚜껑(400)이 하우징(200)과 결합되어 센서발생부(410)가 센서감지부(110)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발생부, 뚜껑스토퍼, 하우징 스토퍼를 여러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뚜껑(400, 400')을 하우징(200, 200')의 상부 어느 위치에서도 안착시키기만 하면, 뚜껑(400, 400')을 어느 한 방향(닫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센서발생부(410)가 센서감지부(110)의 감지 영역 내에 들어올 수 있는 작동 위치에서만 뚜껑(400, 400')의 회전이 멈추게 되므로, 작동지점 확인을 위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조립이 용이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에 대해 설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된 예와 위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및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예들을 포함한다.
100: 본체 110: 센서감지부
120: 구동축 130: 안착부
140: 몸체부 150: 안내홈
160: 스위치 200: 하우징
220: 제1하우징체결부 230: 제2하우징체결부
240: 하우징스토퍼 242: 제1하우징스토퍼
244: 제2하우징스토퍼 250: 즙배출구
260: 찌꺼기배출구 300: 회전체
400: 뚜껑 410: 센서발생부
420: 제1뚜껑체결부 430: 제2뚜껑체결부
440: 뚜껑스토퍼 442: 제1뚜껑스토퍼
444: 제2뚜껑스토퍼 450: 덮개판
460: 재료 투입구 470: 누름돌기
500: 망드럼

Claims (16)

  1. 내부에 구동력 발생수단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체;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장착되는 뚜껑;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 하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제1뚜껑체결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뚜껑체결부가 각각 서로 이격 배치되며 반경방향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상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제1하우징체결부와, 상기 제2뚜껑체결부와 대응되는 제2하우징체결부가 각각 서로 이격 배치되어 반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제1뚜껑체결부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와 제2하우징체결부 사이 또는 두 제2하우징체결부 사이로 인입된 후 상기 뚜껑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뚜껑체결부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 하단에 대응되어 위치될 때 상기 뚜껑의 회전이 저지되는 주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측에 센서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은 일측에 센서발생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 하단에 상기 제1뚜껑체결부가 위치되면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센서발생부가 상기 센서감지부 영역 내에 들어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뚜껑체결부의 일측과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의 일측이 나란한 순간부터 상기 센서발생부가 상기 센서감지부의 감지 영역 내에 있다가 상기 뚜껑이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뚜껑체결부의 일측이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의 타측과 나란해지기 이전에 상기 센서발생부가 상기 센서감지부의 감지 영역을 벗어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뚜껑체결부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뚜껑체결부의 타측에서 최측방에 구비된 상기 제2뚜껑체결부의 일측까지의 거리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뚜껑체결부, 상기 제2뚜껑체결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 및 상기 제2하우징체결부는 동일한 중심각을 구비하는 원호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서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뚜껑체결부의 하부 또는 상부에는 뚜껑스토퍼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의 하부 또는 상부에는 하우징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스토퍼의 일측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의 일측과 나란하게 구비되고, 상기 뚜껑스토퍼의 타측은 상기 제1뚜껑체결부의 타측과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뚜껑스토퍼와 상기 하우징스토퍼의 총길이는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서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스토퍼는 제1뚜껑스토퍼와 제2뚜껑스토퍼로 일정거리 이격되며 서로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뚜껑스토퍼의 일측에서 상기 제2뚜껑스토퍼의 타측까지의 거리와 상기 하우징스토퍼의 길이의 합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서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스토퍼는 제1하우징스토퍼와 제2하우징스토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스토퍼의 일측에서 상기 제2하우징스토퍼의 타측까지의 거리와 상기 뚜껑스토퍼의 길이의 합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서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외주면에는 하향으로 돌출된 뚜껑스토퍼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 상부 외주면에는 하우징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제1뚜껑체결부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의 하부에 위치될 때 상기 뚜껑스토퍼와 상기 하우징스토퍼가 맞닿아 상기 뚜껑의 회전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서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 및
    상기 뚜껑에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를 누르는 누름돌기;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면 상기 누름돌기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눌러지며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서기.
  10. 내부에 구동력 발생수단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하부에 즙 배출구와 찌꺼기 배출구가 각각 이격 형성되고, 상면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장착되고, 상부 일측에 재료 투입구가 형성된 뚜껑;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상면은 개방되며, 측벽에 다수의 망공이 형성된 망드럼; 및
    상기 망드럼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면에 스크류 나선이 형성된 스크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 하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복수의 뚜껑체결부가 각각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이격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상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복수의 하우징체결부가 각각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체결부 사이로 상기 뚜껑체결부가 어느 위치에서 인입되어 결합되어도 인입 후 뚜껑이 회전되면 소정의 위치에서만 뚜껑의 회전이 저지되며,
    상기 하우징체결부 하부에 상기 뚜껑체결부가 위치되는 주서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센서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의 일측에는 센서발생부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체결부 하부에 상기 뚜껑체결부가 위치되며 상기 뚜껑의 회전이 저지되면,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센서발생부가 상기 센서감지부 영역 내에 들어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서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결부 중 어느 하나의 하부 또는 상부에는 뚜껑스토퍼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체결부 중 어느 하나의 하부 또는 상부에는 상기 뚜껑스토퍼와 맞닿는 하우징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뚜껑스토퍼와 상기 하우징스토퍼의 총길이는 상기 하우징체결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서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 및
    상기 뚜껑에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를 누르는 누름돌기;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이 상기 하우징이 결합되면 상기 누름돌기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눌러지며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서기.
  14. 내부에 구동력 발생수단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력 발생수단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체;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장착되는 뚜껑;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 하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뚜껑체결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뚜껑체결부가 각각 서로 이격 배치되며 반경방향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상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상기 제1뚜껑체결부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하우징체결부와, 상기 제2뚜껑체결부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하우징체결부가 각각 서로 이격 배치되어 반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제1뚜껑체결부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 또는 제2하우징체결부 사이로 인입된 후 상기 뚜껑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뚜껑체결부가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 하부에 대응되어 위치될 때 상기 뚜껑의 회전이 저지되는 주서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센서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에는 센서발생부가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뚜껑이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때 상기 제1하우징체결부 하단에 상기 제1뚜껑체결부가 위치되면 상기 뚜껑의 회전이 저지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복수의 상기 센서발생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센서감지부 영역 내에 들어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서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때 상기 뚜껑의 최대 회전각이 18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서기.
KR1020130090902A 2013-07-31 2013-07-31 주서기 KR101469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902A KR101469914B1 (ko) 2013-07-31 2013-07-31 주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902A KR101469914B1 (ko) 2013-07-31 2013-07-31 주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914B1 true KR101469914B1 (ko) 2014-12-08

Family

ID=52677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902A KR101469914B1 (ko) 2013-07-31 2013-07-31 주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9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739A (ko) * 2015-03-17 2016-09-27 코웨이 주식회사 안전 센서를 구비한 주서기
CN106361126A (zh) * 2014-09-11 2017-02-01 金再垣 榨汁模块
KR20170013012A (ko) * 2015-07-27 2017-02-06 김재원 커팅 기능을 갖는 주스기
KR101964970B1 (ko) 2018-07-06 2019-04-02 김민재 싸이클론 주스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52B1 (ko) * 2005-03-21 2008-01-11 김영기 착즙주스기
KR20100008882U (ko) * 2009-03-02 2010-09-10 김영기 원액기
KR20120001706U (ko) * 2010-08-31 2012-03-08 (주)흥국에프엔비 일회용 용기용 믹서기 유니트 및 믹서기 유니트의 안전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52B1 (ko) * 2005-03-21 2008-01-11 김영기 착즙주스기
KR20100008882U (ko) * 2009-03-02 2010-09-10 김영기 원액기
KR20120001706U (ko) * 2010-08-31 2012-03-08 (주)흥국에프엔비 일회용 용기용 믹서기 유니트 및 믹서기 유니트의 안전커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1126A (zh) * 2014-09-11 2017-02-01 金再垣 榨汁模块
KR20160111739A (ko) * 2015-03-17 2016-09-27 코웨이 주식회사 안전 센서를 구비한 주서기
KR102358628B1 (ko) * 2015-03-17 2022-02-04 코웨이 주식회사 안전 센서를 구비한 주서기
KR20170013012A (ko) * 2015-07-27 2017-02-06 김재원 커팅 기능을 갖는 주스기
CN106388544A (zh) * 2015-07-27 2017-02-15 金再垣 具有切割功能的榨汁机
KR101713779B1 (ko) * 2015-07-27 2017-03-08 김재원 커팅 기능을 갖는 주스기
KR101964970B1 (ko) 2018-07-06 2019-04-02 김민재 싸이클론 주스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914B1 (ko) 주서기
US10299629B2 (en) Translatable interlocking mechanism for a blending system
US10399047B2 (en) Blending system
US11627837B2 (en) Kitchen appliance
KR200465636Y1 (ko) 일회용 용기용 믹서기 유니트 및 믹서기 유니트의 안전커버
KR102127034B1 (ko) 식품 가공 장치
US20140247686A1 (en) Blending system
KR200460851Y1 (ko) 원액기
US6112649A (en) Safety switch structure of a mixer adjustable for a juice extractor
WO2009057940A1 (en) Closure of vessel
US9296526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utomatic cap for liquid vessel
CA2242983C (en) Container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of particulates
KR200494286Y1 (ko) 착즙기
US10441113B2 (en) Blender jar lid with tortuous airflow path
US5680968A (en) Container closure system
KR101431766B1 (ko) 고속 과립기
KR20100010391U (ko) 회전방지수단을 갖는 두부 제조용 믹서기
KR101516372B1 (ko)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
KR20160111739A (ko) 안전 센서를 구비한 주서기
KR200456837Y1 (ko)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
US7351943B1 (en) Automated microwave turntable
CN103908150A (zh) 一种电压力烹饪器具
KR20200000718U (ko) 착즙기
KR101496102B1 (ko) 액체 용기용 마개
CN106175497B (zh) 食品加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