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632B1 - 벤츄리팬 구조 - Google Patents

벤츄리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632B1
KR101469632B1 KR20130115409A KR20130115409A KR101469632B1 KR 101469632 B1 KR101469632 B1 KR 101469632B1 KR 20130115409 A KR20130115409 A KR 20130115409A KR 20130115409 A KR20130115409 A KR 20130115409A KR 101469632 B1 KR101469632 B1 KR 101469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 mouth
venturi
fan housing
fixing portio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5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윤성
이헌재
김규호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5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1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D2260/31Retaining bolt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츄리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개방부(11)와 공기배출구(12)가 형성된 팬하우징(10)과, 상기 팬하우징(10)의 개방부(11)를 덮어씌우고 공기유입구(21)가 마련된 벨마우스(20)와, 상기 벨마우스(20)의 공기유입구(21) 상에 배치되는 벤츄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벤츄리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20)의 일측부와 상기 벤츄리(30)의 고정부(34)가 단일 체결구(50)에 의해 상기 팬하우징(10)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팬하우징의 개방부에 장착되는 벨마우스의 공기유입구 상에 축선배치관체가 놓이도록 하여 벤츄리를 팬하우징에 고정시키되, 상기 벨마우스의 일측부와 벤츄리의 고정부가 단일 체결구에 의해 팬하우징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벤츄리 고정을 위한 별도의 체결구가 삭감되면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 조립성 및 생산성 향상도 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팬하우징에 밀착 고정되는 벤츄리의 고정부에 단턱부를 마련하여 이 벤츄리가 팬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 유동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벤츄리의 안전적인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팬하우징으로의 유입 공기의 유속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벤츄리팬 구조{Ventury pan structure}
본 발명은 벤츄리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팬하우징의 개방부에 장착되는 벨마우스의 공기유입구 상에 축선배치관체가 놓이도록 하여 벤츄리를 팬하우징에 고정시키되, 상기 벨마우스의 일측부와 벤츄리의 고정부가 단일 체결구에 의해 팬하우징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벤츄리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벤츄리팬은 보일러에서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벤츄리팬 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내부에 날개차(미도시)를 투입하기 위해 측면이 개방된 개방부(11)가 마련되고 상단부 일측에 상기 날개차를 통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2)가 형성된 팬하우징(10)과, 상기 팬하우징(10)의 개방부(11)를 덮어씌우고 그 중앙부에 상기 날개차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구(21)가 마련된 벨마우스(20)와, 상기 벨마우스(20)의 공기유입구(21) 상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공기유입구(21)의 중심축에서 공기유입 방향과 동일선상에 놓이는 축선배치관체(31)와 이 축선배치관체(31)의 일단부와 일체형으로 연통되어 측방으로 직각 연장되는 직각배치관체(32)와 이 직각배치관체(32)의 연장단부와 그 일측이 연결되고 그 타측이 상기 팬하우징(10)에 고정되는 고정부(33)를 갖는 벤츄리(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벤츄리(30)를 팬하우징(1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벨마우스(20)의 테두리 일측에 복수의 돌출리브(22)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벤츄리(30)의 고정부(33)에 상기 돌출리브(22)가 관통되어 형합되도록 하는 관통홀(33a)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의 벤츄리팬의 조립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벨마우스(20)를 상기 팬하우징(10)의 개방부(11)로 덮어씌워 각각의 체결부위에 별도의 체결구(40)를 통해 서로 체결 고정시키고 나서, 상기 벤츄리(30)의 고정부(33)의 관통홀(33a)을 상기 벨마우스(20)의 돌출리브(22)와 일치시켜 관통되도록 하여 벤츄리(30)의 고정부(33)가 상기 벨마우스(20)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고 나서, 상기 벤츄리(30)의 고정부(33)를 별도의 체결구(40)로 상기 팬하우징(10)에 체결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팬하우징 구조는 팬하우징에 벨마우스와 벤츄리를 각각 개별적으로 체결 고정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개별 체결에 따른 체결구의 개수가 증가되면서 이에 따른 비용증가로 이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벨마우스와 벤츄리의 두 번의 조립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조립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팬하우징의 개방부에 장착되는 벨마우스의 공기유입구 상에 축선배치관체가 놓이도록 하여 벤츄리를 팬하우징에 고정시키되, 상기 벨마우스의 일측부와 벤츄리의 고정부가 단일 체결구에 의해 팬하우징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벤츄리 고정을 위한 별도의 체결구가 삭감되면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 조립성 및 생산성 향상도 꾀할 수 있도록 하는 벤츄리팬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팬하우징에 밀착 고정되는 벤츄리의 고정부에 단턱부를 마련하여 이 벤츄리가 팬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 유동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벤츄리의 안전적인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팬하우징으로의 유입 공기의 유속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벤츄리팬 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팬 구조는 내부에 날개차를 투입하기 위해 측면이 개방된 개방부가 마련되고 상단부 일측에 상기 날개차를 통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팬하우징; 상기 팬하우징의 개방부를 덮어씌우고 그 중앙부에 상기 날개차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구가 마련된 벨마우스; 상기 벨마우스의 공기유입구 상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공기유입구의 중심축에서 공기유입 방향과 동일선상에 놓이는 축선배치관체와, 이 축선배치관체의 일단부와 일체형으로 연통되어 측방으로 직각 연장되는 직각배치관체와, 이 직각배치관체의 연장단부와 그 일측이 연결되고 그 타측이 상기 팬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벤츄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벤츄리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의 일측부와 상기 벤츄리의 고정부가 단일 체결구에 의해 상기 팬하우징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팬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팬하우징의 개방부 테두리 일측에 체결홀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벨마우스의 테두리 일측에 상기 체결홀과 일직선상에 놓이는 관통홀이 마련되어 별도의 체결구를 통해 상기 벨마우스가 상기 팬하우징에 체결 고정되는 구조로 되며, 상기 벤츄리의 고정부는 상기 벨마우스의 표면을 덮어씌우는 판재 형상으로 그 일측에 상기 벨마우스의 관통홀과 일직선상에 놓이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단일 체결구에 의해 상기 벤츄리 고정부가 상기 벨마우스와 일체형으로 상기 팬하우징에 고정되는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의 고정부가 상기 벨마우스 표면상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를 힌지축으로 하여 상기 벤츄리의 고정부 타측의 축선배치관체가 축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구조가 더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팬 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구조는, 상기 벤츄리의 고정부가 상기 벨마우스의 테두리 단부 외측을 벗어나 상기 팬하우징의 표면과 밀착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내측면에 상기 벨마우스의 테두리 단부에 걸려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턱부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의 테두리 단부 일측에 이 벨마우스의 테두리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중앙부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체결부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의 단턱부는 상기 체결부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의 체결부는 반원판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고정부의 단턱부는 상기 체결부의 반원호 테두리와 맞닿도록 라운드진 곡면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팬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단턱부는 상기 체결부의 반원판 형상 최외각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배면에 형성되어 양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한 쌍으로 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팬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벨마우스의 체결부에서 그 양측의 벨마우스 테두리의 일정부분까지 덮어씌울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타원 구조로 되고, 상기 고정부의 단턱부는 상기 고정부의 타원 방향을 따라 그 대응되는 벨마우스의 체결부에서 벨마우스의 인접 테두리까지 연속해서 연장되어 상기 테두리에도 맞닿아 걸리도록 하는 곡선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팬 구조는 팬하우징의 개방부에 장착되는 벨마우스의 공기유입구 상에 축선배치관체가 놓이도록 하여 벤츄리를 팬하우징에 고정시키되, 상기 벨마우스의 일측부와 벤츄리의 고정부가 단일 체결구에 의해 팬하우징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벤츄리 고정을 위한 별도의 체결구가 삭감되면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 조립성 및 생산성 향상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팬하우징에 밀착 고정되는 벤츄리의 고정부에 단턱부를 마련하여 이 벤츄리가 팬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 유동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벤츄리의 안전적인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팬하우징으로의 유입 공기의 유속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벤츄리팬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벤츄리팬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츄리팬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츄리팬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츄리팬 구조 중 벨마우스와 벤츄리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팬 구조는 개방부(11)와 공기배출구(12)가 형성된 팬하우징(10)과, 상기 팬하우징(10)의 개방부(11)를 덮어씌우고 공기유입구(21)가 마련된 벨마우스(20)와, 상기 벨마우스(20)의 공기유입구(21) 상에 배치되는 벤츄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벤츄리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20)의 일측부와 상기 벤츄리(30)의 고정부(34)가 단일 체결구(50)에 의해 상기 팬하우징(10)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팬하우징(10)은 내부에 날개차(미도시)를 투입하기 위해 측면이 개방된 개방부(11)가 마련되고 상단부 일측에 상기 날개차를 통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2)가 형성된 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벨마우스(20)는 상기 팬하우징(10)의 개방부(11)를 덮어씌우고 그 중앙부에 상기 날개차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구(21)가 마련된 원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벤츄리(30)는 상기 벨마우스(20)의 공기유입구(21) 상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공기유입구(21)의 중심축에서 공기유입 방향과 동일선상에 놓이는 길다란 관체 구조의 축선배치관체(31)와, 이 축선배치관체(31)의 일단부와 일체형으로 연통되어 측방으로 직각 연장되는 길다란 관체 구조의 직각배치관체(32)와, 이 직각배치관체(32)의 연장단부와 그 일측이 연결되고 그 타측이 상기 팬하우징(10)에 고정되는 판재 형상의 고정부(34)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벨마우스(20)의 공기유입구(21)로 유입되는 공기는 벤츄리(30)의 축선배치관체(31) 및 이와 직각 배치된 직각배치관체(32)로 분기되어 흐르고 이 직각배치관체(32)로 흐르는 유속을 별도의 기압계(미도시) 등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팬하우징(10)의 개방부(11) 테두리 일측에 체결홀(13)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벨마우스(20)의 테두리 일측에 상기 체결홀(13)과 일직선상에 놓이는 관통홀(25)이 마련되어 별도의 체결구(50)를 통해 상기 벨마우스(20)가 상기 팬하우징(10)에 체결 고정되는 구조로 되며, 상기 벤츄리(30)의 고정부(34)는 상기 벨마우스(20)의 표면을 덮어씌우는 판재 형상으로 그 일측에 상기 벨마우스(20)의 관통홀(25)과 일직선상에 놓이는 관통공(34a)이 형성되어 상기 단일 체결구(50)에 의해 상기 벤츄리(30)의 고정부(34)가 상기 벨마우스(20)와 일체형으로 상기 팬하우징(10)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벤츄리(30)의 고정부(34)가 상기 벨마우스(20) 표면상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50)를 힌지축으로 하여 상기 벤츄리(30)의 고정부(34) 타측의 축선배치관체(31)가 축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방지구조는, 상기 벤츄리(30)의 고정부(34)가 상기 벨마우스(20)의 테두리 단부 외측을 벗어나 상기 팬하우징(10)의 표면과 밀착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4)의 내측면에 상기 벨마우스(20)의 테두리 단부에 걸려 상기 고정부(34)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턱부(34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벨마우스(20)의 테두리 단부 일측에는 이 벨마우스(20)의 테두리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중앙부에 상기 관통홀(25)이 형성된 체결부(24)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34)의 단턱부(34b)는 상기 체결부(24)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벨마우스(20)의 체결부(24)는 반원판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고정부(34)의 단턱부(34b)는 상기 체결부(24)의 반원호 테두리와 맞닿도록 라운드진 곡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4)의 단턱부(34b)는 상기 체결부(24)의 반원판 형상 최외각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부(34)의 배면에 형성되어 양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한 쌍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4)는 상기 벨마우스(20)의 체결부(24)에서 그 양측의 벨마우스(20) 테두리의 일정부분까지 덮어씌울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타원 구조로 되고, 상기 고정부(34)의 단턱부(34b)는 상기 고정부(34)의 타원 방향을 따라 그 대응되는 벨마우스(20)의 체결부(24)에서 벨마우스(20)의 인접 테두리까지 연속해서 연장되어 상기 테두리에도 맞닿아 걸리도록 하는 곡선 형상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벤츄리팬 구조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벨마우스(20)를 상기 팬하우징(10)의 개방부(11)로 덮어씌워 각각의 관통홀(25) 중 상기 벤츄리(30)의 고정부(34)와 일치되는 관통홀(25)을 제외한 나머지 관통홀(25)을 상기 팬하우징(10)의 체결홀(13)과 일치시켜 별도의 체결구(50)를 통해 서로 체결 고정시키고 나서, 상기 벤츄리(30)의 고정부(34)의 관통공(34a)을 상기 벨마우스(20)의 관통홀(25)과 일치되도록 하여 상기 벤츄리(30)의 고정부(34)를 상기 벨마우스(20) 표면 상으로 덮어씌운다.
이때, 상기 고정부(34) 내측면의 단턱부(34b)는 상기 벨마우스(20)의 체결부(24) 테두리 및 팬하우징(10)의 테두리와 맞닿아 걸린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일치된 상기 벤츄리(30)의 고정부(34)의 관통공(34a)과 상기 벨마우스(20)의 관통홀(25)을 통해 별도의 체결구(50)를 체결시켜 상기 벤츄리(30)의 고정부(34)가 상기 벨마우스(20) 및 팬하우징(10)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벤츄리(30)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벤츄리팬 구조는 팬하우징의 개방부에 장착되는 벨마우스의 공기유입구 상에 축선배치관체가 놓이도록 하여 벤츄리를 팬하우징에 고정시키되, 상기 벨마우스의 일측부와 벤츄리의 고정부가 단일 체결구에 의해 팬하우징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벤츄리 고정을 위한 별도의 체결구가 삭감되면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 조립성 및 생산성 향상도 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팬하우징에 밀착 고정되는 벤츄리의 고정부에 단턱부를 마련하여 이 벤츄리가 팬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 유동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벤츄리의 안전적인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팬하우징으로의 유입 공기의 유속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팬하우징 11 : 개방부
12 : 공기배출구 20 : 벨마우스
21 : 공기유입구 22 : 돌출리브
30 : 벤츄리 31 : 축선배치관체
32 : 직각배치관체 33 : 고정부
33a : 관통홀 34 : 고정부
34a : 관통홀 34b : 단턱부
40 : 체결구 50 : 체결구

Claims (8)

  1. 내부에 날개차를 투입하기 위해 측면이 개방된 개방부가 마련되고 상단부 일측에 상기 날개차를 통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팬하우징;
    상기 팬하우징의 개방부를 덮어씌우고 그 중앙부에 상기 날개차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구가 마련된 벨마우스;
    상기 벨마우스의 공기유입구 상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공기유입구의 중심축에서 공기유입 방향과 동일선상에 놓이는 축선배치관체와, 이 축선배치관체의 일단부와 일체형으로 연통되어 측방으로 직각 연장되는 직각배치관체와, 이 직각배치관체의 연장단부와 그 일측이 연결되고 그 타측이 상기 팬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벤츄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벤츄리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의 일측부와 상기 벤츄리의 고정부가 단일 체결구에 의해 상기 팬하우징에 일체형으로 고정되고,
    상기 팬하우징의 개방부 테두리 일측에 체결홀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벨마우스의 테두리 일측에 상기 체결홀과 일직선상에 놓이는 관통홀이 마련되어 별도의 체결구를 통해 상기 벨마우스가 상기 팬하우징에 체결 고정되는 구조로 되며, 상기 벤츄리의 고정부는 상기 벨마우스의 표면을 덮어씌우는 판재 형상으로 그 일측에 상기 벨마우스의 관통홀과 일직선상에 놓이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단일 체결구에 의해 상기 벤츄리 고정부가 상기 벨마우스와 일체형으로 상기 팬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벤츄리의 고정부가 상기 벨마우스의 테두리 단부 외측을 벗어나 상기 팬하우징의 표면과 밀착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내측면에 상기 벨마우스의 테두리 단부에 걸려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턱부가 마련되며, 상기 벤츄리의 고정부가 상기 벨마우스 표면상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를 힌지축으로 하여 상기 벤츄리의 고정부 타측의 축선배치관체가 축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구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팬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의 테두리 단부 일측에 이 벨마우스의 테두리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중앙부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체결부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의 단턱부는 상기 체결부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팬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의 체결부는 반원판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고정부의 단턱부는 상기 체결부의 반원호 테두리와 맞닿도록 라운드진 곡면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팬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단턱부는 상기 체결부의 반원판 형상 최외각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배면에 형성되어 양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한 쌍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팬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벨마우스의 체결부에서 그 양측의 벨마우스 테두리의 일정부분까지 덮어씌울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타원 구조로 되고, 상기 고정부의 단턱부는 상기 고정부의 타원 방향을 따라 그 대응되는 벨마우스의 체결부에서 벨마우스의 인접 테두리까지 연속해서 연장되어 상기 테두리에도 맞닿아 걸리도록 하는 곡선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팬 구조.
KR20130115409A 2013-09-27 2013-09-27 벤츄리팬 구조 KR101469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5409A KR101469632B1 (ko) 2013-09-27 2013-09-27 벤츄리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5409A KR101469632B1 (ko) 2013-09-27 2013-09-27 벤츄리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632B1 true KR101469632B1 (ko) 2014-12-05

Family

ID=5267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5409A KR101469632B1 (ko) 2013-09-27 2013-09-27 벤츄리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7809A (zh) * 2020-12-31 2021-04-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机罩组件、风机组件及具有风机组件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082U (ko) * 1996-07-19 1998-04-30 노재훈 보일러의 풍압감지구
KR100365652B1 (ko) * 2000-10-30 2002-12-26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가스보일러 송풍기용 오리피스 믹서
KR20090039210A (ko) * 2007-10-17 2009-04-22 (주) 보쉬전장 블로워유닛의 임펠러케이스와 모터하우징 조립구조
KR20140037561A (ko) * 2012-09-19 2014-03-27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급기팬의 풍압 측정용 벤츄리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082U (ko) * 1996-07-19 1998-04-30 노재훈 보일러의 풍압감지구
KR100365652B1 (ko) * 2000-10-30 2002-12-26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가스보일러 송풍기용 오리피스 믹서
KR20090039210A (ko) * 2007-10-17 2009-04-22 (주) 보쉬전장 블로워유닛의 임펠러케이스와 모터하우징 조립구조
KR20140037561A (ko) * 2012-09-19 2014-03-27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급기팬의 풍압 측정용 벤츄리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7809A (zh) * 2020-12-31 2021-04-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机罩组件、风机组件及具有风机组件的装置
CN112727809B (zh) * 2020-12-31 2021-11-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机罩组件、风机组件及具有风机组件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4024B2 (ja) 導管内を流動する媒体の少なくとも1つのパラメータ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JP6554867B2 (ja) 遠心ファン
US9257027B2 (en) Duct detector
JP6477195B2 (ja) 流量測定装置
JPH075001A (ja) 空気流量センサー構造
KR101469632B1 (ko) 벤츄리팬 구조
JP6365388B2 (ja) 流量測定装置
JP6070752B2 (ja) 遠心送風機
US10550856B2 (en) Suction nozzle and blow-out unit of a fan
JPH075000A (ja) 隔てて取付けられる空気流量センサー組立体
WO2018190067A1 (ja) 物理量計測装置
JP6394453B2 (ja) 流量測定装置
CN110753794B (zh) 送风机
ES2534704A2 (es) Dispositivo detector para la medida de flujo de un medio fluido
US10655636B2 (en) Centrifugal air blower
EP3048429B1 (en) Device for measuring a main fluid flow through a ventilation installation
KR101508316B1 (ko) 풍량 측정장치의 노즐 어셈블리
CN116324177B (zh) 风扇单元
US20240044752A1 (en) Device for sensing a fluid
CN112138253B (zh) 整流装置及呼吸机
US20230296109A1 (en) Centrifugal fan arrangement
JP2018087545A (ja) スロットルバルブ装置
KR20210080165A (ko) 플로우 셀
WO2018225217A1 (ja) シロッコファ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20150028597A (ko) 종속 원심형 임펠러 유니트를 가지는 송풍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