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229B1 - feed manufactu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feed manufactur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229B1
KR101469229B1 KR1020130014666A KR20130014666A KR101469229B1 KR 101469229 B1 KR101469229 B1 KR 101469229B1 KR 1020130014666 A KR1020130014666 A KR 1020130014666A KR 20130014666 A KR20130014666 A KR 20130014666A KR 101469229 B1 KR101469229 B1 KR 101469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pulverizing
stirring
crushing
fe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6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01236A (en
Inventor
명태식
고준빈
방현석
박진수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4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229B1/en
Publication of KR20140101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2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2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by application of heat, e.g. by means of potato 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mixing feeding-stuff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2Fodder m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01F27/072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perpendicular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27/112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anchor-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05Mixing or agitating manure, du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료의 재료를 분쇄하여 공급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에서 공급되는 분쇄된 사료가 담아지는 사료용기; 상기 사료용기에 담아진 사료를 교반시키는 교반부; 및 상기 사료용기가 놓여지고 사료용기 내부의 사료를 가열하는 히팅부;를 포함하는 사료 제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crushing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a base for crushing and feeding a feed material; A feed container for containing the crushed feed supplied from the crushing unit; An agitator for agitating the feed contained in the feed container; And a heating unit in which the feed container is placed and heating the feed inside the feed container.

Description

사료 제조장치{feed manufacturing apparatus}Feed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사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의 먹이로서 친환경적인 사료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사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 produ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eed production apparatus that can easily produc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feed as a feed for a pet.

최근에는 가정의 핵가족화가 확산되면서 예전과는 달리 애완동물을 집 밖이 아닌 집 안의 가정내에서 가족들과 함께 어울리며 기르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곧, 애완동물을 단순한 동물이 아닌 가족의 구성원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나타낸다.Recently, as the nuclear family becomes more widespread, unlike in the past,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to bring pets together with their families in the home rather than outside the home. This indicates that the pet is being accepted as a member of the family, not just an animal.

따라서, 애완동물을 가정 내에서 키우는 경우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많은 애완동물 사료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시판되어 있다.
Therefore, as the number of pets is increased in the home, many pet foods have been developed and marketed.

그러나, 시판되고 있는 애완동물 사료는 대부분 그 구성 성분으로 음식물에서 나오는 각종 부산물, 사료를 오랜 시간 동안 보존하기 위한 방부제, 착색제 그리고 사료의 맛을 내기 위한 화학 성분이 들어간 첨가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However, commercially available pet foods are mainly composed of various by-products from foods, preservatives for preserving food for a long time, coloring agents, and chemical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chemical-containing additives many.

특히, 상기한 부산물은 주로 인간이 소비하기에는 부적합한 도살된 동물의 내장류, 피하지방 힘줄 등의 육류나 농작물 찌꺼기인 것으로, 애완동물들에게 피부병 또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주요 요소로 작용한다.Particularly, the above-mentioned by-products are meat or crop residue such as intestines, subcutaneous fat tendons and the like of slaughtered animals, which are unsuitable for human consumption, and serve as a main factor causing skin diseases or allergies to pets.

이러한 부산물이 함유된 사료를 애완동물에게 먹이게 되면, 피부병, 알레르기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의 비장과 위장 부위 기능이 감퇴하고, 구토 증상 및 설사를 야기하는 장염 등에 걸리기 쉽다.Feeding the feed containing these by-products to pets can cause skin diseases, allergies, etc., and it is prone to vomiting and diarrhea, which cause vomiting and diarrhea.

또한, 집 안에서 키우는 애완동물이 부적절한 사료를 섭취하여 질병에 걸리게 되면, 애완동물의 배설물로 인하여 사람에게도 유해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if a domestic pet is infected with an inappropriate fe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harmful to a person due to the excrement of the pet.

따라서, 종래에는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해서 친환경 사료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어 왔고, 그 결과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7-0087411호 등에서와 같이 '애견 사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애견 사료' 등이 개시되었다.
Therefore, in the past, research and development on eco-friendly feeds have progressed due to the above problems. As a result, as disclosed in, for exampl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87411,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og-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7-0087411호(2007.08.28.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87411 (published on Aug. 28, 2007)

하지만, 이와 같이 개시된 종래의 애견 사료는 친환경적이기는 하나, 각 가정에서 직접 만들기에는 많은 어려움과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og feed disclosed in this way is environmentally friendly, bu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and troubles in making it directly in each household.

따라서, 각 가정에서 친환경적인 사료를 직접 만들기보다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친환경 사료를 구입하여 먹이고 있는 실정이나, 이는 친환경 사료의 가격이 고가여서 비용적인 측면에서 많은 부담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Therefore, each household purchases and feeds eco-friendly diets sold on the market rather than making eco-friendly diets directly. However, the cost of eco-friendly diets is high, which causes a problem in terms of cost.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친환경적인 애완동물 사료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사료 제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각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친환경 사료를 제조할 수 있고, 비용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는 사료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eed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producing environmentally friendly pet fee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eed manufacturing apparatus which can reduce the burden on cost.

상술한 목적은,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료의 재료를 분쇄하여 공급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에서 공급되는 분쇄된 사료가 담아지는 사료용기; 상기 사료용기에 담아진 사료를 교반시키는 교반부; 및 상기 사료용기가 놓여지고 사료용기 내부의 사료를 가열하는 히팅부;를 포함하는 사료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 is achieved by a grinding apparatus comprising: a grind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a base for grinding and feeding a feed material; A feed container for containing the crushed feed supplied from the crushing unit; An agitator for agitating the feed contained in the feed container; And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feed inside the feed container, in which the feed container is placed.

그리고, 상기 분쇄부는, 중공의 분쇄통; 상기 분쇄통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사료의 재료를 분쇄통으로 공급하는 호퍼; 상기 분쇄통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분쇄통 내부로 투입된 재료를 분쇄하는 분쇄스크류; 및 상기 분쇄스크류에 설치되어 분쇄스크류를 회전 구동시키는 분쇄모터;를 포함한다.The crushing unit may include a hollow crushing cylinder; A hopper formed on one side of the crusher to feed the material of the feed to the crusher; A pulverizing screw rotatably provided in the pulverizing cylinder to pulverize the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pulverizing cylinder; And a crushing motor installed on the crushing screw and rotating the crushing screw.

상기 분쇄스크류는 그 외주면에 분쇄날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분쇄스크류로 구성되되, 상기 한쌍의 분쇄스크류는, 양 분쇄스크류의 분쇄날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1차 분쇄영역; 상기 1차 분쇄영역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양 분쇄날이 1차 분쇄영역보다 좁은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2차 분쇄영역; 및 상기 2차 분쇄영역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양 분쇄스크류의 분쇄날이 서로 맞물려 형성되는 3차 분쇄영역;을 포함한다.Wherein the pulverizing screw comprises a pair of pulverizing screws having a pulverizing blad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lverizing screw, wherein the pair of pulverizing screws comprise: a primary pulverizing region in which pulverizing blades of both pulverizing screw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 secondary pulverization zon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primary pulverization zone and spaced apart at a smaller interval than the primary pulverization zone; And a tertiary grinding zon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ary grinding zone, wherein the grinding blades of the two grinding screws are meshed with each other.

또, 상기 교반부는, 베이스의 일측에 수직하게 세워진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블럭; 상기 승강블럭에 고정되는 교반모터; 상기 교반모터에 연결되어 교반모터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교반축; 및 상기 교반축에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어 사료용기 내에서 회전되면서 사료를 교반시키는 교반날개;를 포함한다.The agitating unit may include: a fixing bar vertical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e; An ascending / descending block installed vertically above and below the fixed bar; A stirring motor fixed to the elevating block; A stirring shaft connected to the stirring motor and driven to rotate by a stirring motor; And a stirring vane provided on the stirring shaft so as to protrude outward to stir the feed while being rotated in the feed container.

상기 승강블럭은, 고정바가 관통되는 한편 그 일측이 절개된 제 1,2 블럭부; 및 상기 제 1,2 블럭부의 절개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조정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날개는, 교반축의 외측면에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교반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된다.The elevating block includes a first and a second block portion through which the fixing bar is inserted and one side thereof is cut away; And an adjusting screw threaded through the cutout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 portions, wherein the stirring vane is installed axi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irring shaft to increase stirring efficiency.

한편, 상기 히팅부는 열선 또는 히팅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히팅부의 가열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조절기가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heating unit may include a heating wire or a heating plate, and the base may include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또, 상기 사료용기에는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사료용기의 손잡이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은 사료용기의 손잡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손잡이의 크기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고정브라켓은 베이스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에서 연장되어 사료용기의 손잡이 양측부에 접하여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한다.The feed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handle and a fixing bracket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handle of the feed container is formed on the base. The fixing bracke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of the feed container, Wherein the fixing bracket is fixed to the base by screws; And a support plate extending from the fixing plate and being held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handle of the feed container.

또, 상기 베이스에는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사료용기를 지지하여 사료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는 힌지부 반대편의 일단부가 마주하는 베이스와 자력으로 탈.부착되게 구성된다.In addition, a stopper for supporting the feed container provided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preventing the disengagement of the feed container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and the stopper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se facing one end of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portion, do.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는 분쇄부, 교반부, 히팅부를 포함하는 사료 제조장치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된다.
The base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gener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eed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a crushing unit, a stirring unit, and a heating unit.

본 발명의 사료 제조장치에 따르면, 생식의 재료를 사료 제조장치에 투입하여 분쇄 및 혼합하여 친환경 사료를 만들게 됨으로써 각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친환경 사료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도 얼마든지 다양한 친환경 사료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eed 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w materials are fed into the feed producing apparatus and pulverized and mixed to produce eco-friendly feeds, so that eco-friendly feeds can be easily produced at home, and various eco- Can be manufactured.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사료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친환경 사료를 각 애완동물에 맞는 레시피대로 얼마든지 다양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various eco-friendly feeds manufactured by the feed production apparatus can be made as many as recipes suitable for each p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제조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제조장치의 내부를 보인 도면으로, 도 2a는 교반부와 사료용기를 보인 일부 절개도이고, 도 2b는 분쇄부와 교반부를 보인 절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제조장치의 분쇄부에 구성되는 분쇄기어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제조장치에 구성되는 교반부의 분리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제조장치의 사료용기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5a는 사료용기의 손잡이부가 고정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b는 스톱퍼를 보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ee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fee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 partial cutaway view showing a stirring part and a feed container, and FIG. 2 (b) is a cutaway view showing a crushing part and a stirring part.
3 is a view showing a pulverizing gear included in the pulverizing unit of the feed 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agitating part constituting the feed 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feed container of the fee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5A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handle portion of the feed container is fixed, and FIG. 5B is a view showing the stopp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feed 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사료 제조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110)와, 분쇄부(200), 교반부(300), 히팅부(400), 사료용기(600) 등을 포함한다.
1 to 2B, the feed manufactur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10, a crushing unit 200, a stirring unit 300, a heating unit 400, a feed container 600 ) And the like.

상기 베이스(110)는 다수의 사각 프레임이 수직 및 수평으로 연결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base 1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rectangular frames ar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connected.

이와 같이 형성되는 베이스(110)에는 각각 분쇄부(200)와 교반부(300), 히팅부(400) 등이 구성되고, 상기 히팅부(400) 위에는 사료용기(600)가 구비된다.
The base 110 form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crushing part 200, a stirring part 300 and a heating part 400 and the feed container 600 is provided on the heating part 400.

상기 분쇄부(200)는 베이스(1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사료의 재료를 분쇄하여 교반부(300)로 공급하는 구성이다.The crushing unit 200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base 110 to crush the feed material and supply the crushed material to the agitating unit 300.

상기 분쇄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중공의 분쇄통(210)과, 상기 분쇄통(21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사료의 재료를 분쇄통(210)으로 공급하는 호퍼(211)와, 상기 분쇄통(2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분쇄통(210) 내부로 투입된 재료를 분쇄하는 한쌍의 분쇄스크류(220)(221)와, 상기 분쇄스크류(220)(221) 중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 설치되어 분쇄스크류(220)(221)를 회전 구동시키는 정.역회전 가능한 분쇄모터(2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crushing unit 200 includes a hollow crushing cylinder 210 fixedly installed on the base 110, a crushing cylinder 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crushing cylinder 210, A hopper 211 for supplying the raw material to the hopper 210 and a pair of crushing screws 220 and 221 rotatably installed in the crusher 210 to crush the material charged into the crusher 210, And a crushing motor 230 installed at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rushing screws 220 and 221 to rotate the crushing screws 220 and 221.

상기 분쇄스크류(220)(221)는 그 외주면에 나선형의 분쇄날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로서, 상기 분쇄통(210) 내에 하나의 분쇄스크류가 설치될 수도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쇄통(210) 내에 복수개의 분쇄스크류(220)(221)가 한쌍으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The pulverizing screws 220 and 221 may be provided with a spiral pulverizing blad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lverizing screw 220. One pulverizing screw may be installed in the pulverizing cylinder 210, A plurality of pulverizing screws 220 and 221 may be provided in pairs.

그리고, 이와 같이 한쌍으로 구비되는 각 분쇄스크류(220)(221)는 그 직경이 다단에 걸쳐 다르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양 분쇄스크류(220)(221)에 의해 형성되는 분쇄영역은 각기 다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분쇄스크류(220)(221)의 직경이 가장 작아 양 분쇄날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1차 분쇄영역(a)과, 상기 1차 분쇄영역(a)의 일단부에서 확장되게 연장되어 양 분쇄날이 1차 분쇄영역(a)보다 좁은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2차 분쇄영역(b)과, 상기 2차 분쇄영역(b)의 일단부에서 확장되게 연장되어 양 분쇄날이 서로 맞물려 형성되는 3차 분쇄영역(c)을 포함한다.Each of the crushing screws 220 and 221 provided in a pair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diameter over a plurality of stages and thus the crushing regions formed by the crushing screws 220 and 221 are formed differently . That is, the primary pulverization region (a) is formed such that the diameter of the pulverizing screws (220) and (221) is the smallest so that both pulverizing blades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 second grinding region (b) extending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distance narrower than the first grinding region (a), and a second grinding region (b) extending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second grinding region And a tertiary grinding zone (c) meshingly formed.

따라서, 상기 1차 분쇄영역(a)에서는 큰 입자상의 재료를 1차 분쇄하여 2차 분쇄영역(b) 측으로 이송시키고, 2차 분쇄영역(b)에서는 1차 분쇄된 입자상의 재료를 더 잘게 2차 분쇄하여 3차 분쇄영역(c) 측으로 이송시키며, 3차 분쇄영역(c)에서는 2차 분쇄된 작은 입자상의 재료를 미세하게 3차 분쇄하여 분쇄통(210) 외부로 토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분쇄과정 중에 우유나 물 등과 같은 수분을 더 공급하여 주면, 분쇄된 사료를 부드러운 죽과 같은 형태로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분쇄통(210) 내에 남을 수 있는 모든 재료를 깨끗히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imary pulverization region (a), the large particle material is primarily pulverized and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pulverization region (b), and in the secondary pulverization region (b), the material of the primary pulverized particle is finer (3). In the third milling zone (c), the second milled small particulate material is minutely thirdly pulveriz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ill barrel (210). In addition, when water such as milk or water is further supplied during the crushing process, the crushed feed can be supplied in the form of soft porridge and all the materials remaining in the crusher 210 can be discharged cleanly .

그리고, 상기 분쇄모터(230)는 한쌍의 분쇄스크류(220)(221) 중 일측의 분쇄스크류(220)에만 연결되고, 분쇄모터(230)에 의해 일측의 분쇄스크류(220)가 직접 회전 구동되면 3차 분쇄영역(c)에서 서로 맞물린 분쇄날을 통해서 타측의 분쇄스크류(221)도 일측의 분쇄스크류(220)와 같이 연동되어 회전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맞물린 상태로 회전되는 3차 분쇄영역(c)의 분쇄날로 인해서 분쇄통(210) 내로 공급된 재료를 아주 잘게 분쇄시킬 수 있게 된다.The pulverizing motor 230 is connected to only one of the pulverizing screws 220 of the pair of pulverizing screws 220 and 221. When the pulverizing screw 220 of one side is directly driven and rotated by the pulverizing motor 230 The pulverizing screws 221 on the other side are also rotated and driven together with the one pulverizing screw 220 through the pulverizing blades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third pulverizing area c. Therefore, the material supplied into the pulverizing cylinder 210 can be finely pulverized due to the pulverizing blade of the third pulverizing region c rotated in the meshing state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분쇄통(210)의 일측 상부에 연통되게 설치된 호퍼(211)를 통해서 사료의 재료를 공급할 때, 재료의 공급이 원활치 않으면 호퍼(211) 내부로 봉 형태의 방망이 등과 같은 부재로서 재료를 호퍼(211) 내로 밀어 넣을 수도 있다.
Meanwhile, when feeding the feed material through the hopper 211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one side of the crusher 210, if the feed of the feed material is not smooth, the material such as a bat, It may be pushed into the hopper 211.

상기 교반부(300)는 분쇄부(200)와 인접한 베이스(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부(200)에서 잘게 분쇄된 재료를 잘 섞어 혼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The agitating unit 30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ase 110 adjacent to the crushing unit 200 and mixes finely crushed material in the crushing unit 200 to mix the materials.

즉, 상기 교반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정.역회전 가능한 교반모터(310)와, 상기 교반모터(310)의 하부에 연결되어 교반모터(31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교반축(320)과, 상기 교반축(320)에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어 사료용기(600) 내에 담아진 사료를 교반시키는 교반날개(321)를 포함한다.4, the stirring unit 300 includes a stirring motor 310, which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ase 110 and is capable of rotating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A stirring shaft 320 driven to rotate by a motor 310 and a stirring vane 321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stirring shaft 320 and stirring the feed contained in the feed container 600.

상기 교반날개(321)는 통상의 프로펠러와 같은 회전날개를 교반축(320)에 직교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교반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 4에서와 같이 교반축(320)의 외측면에 교반날개(321)를 축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교반날개(321)의 높이는 사료용기(600)를 넘지 않는 높이 내에서 다양한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The stirring blade 321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that a rotating blade similar to a normal propeller is orthogonal to the stirring shaft 320.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stirring efficiency, the stirring blade 320 may be agit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irring shaft 320, It is more preferable to form the vanes 321 in the axial direction, that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stirring vanes 321 may be variously increased within a height not exceeding the feed container 600.

또,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교반날개(321)는 판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굵은 와이어의 양단부를 각각 교반축(320)의 상측과 하측에 원호형태로 연결하고, 이와 같이 연결된 와이어를 교반축(320)에 +자 형태 또는 방사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교반 시 교반날개(321)에 작용하는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교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agitating blades 321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but both end portions of the thick wires ar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agitating shaft 320 in the form of an arc, Shaped or radial shape on the stirring blade 320, thereby maximizing the stirring efficiency while minimizing the resistance acting on the stirring blade 321 during stirring.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교반부(300)는 베이스(110) 상에서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Meanwhile, the stirring unit 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be vertically adjustable in height on the base 110.

즉, 상기 교반부(300)의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110)의 일측에 수직하게 세워진 고정바(330)와, 상기 고정바(330)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블럭(350)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블럭(350)에는 교반모터(310)가 고정되게 설치된다.That is, the height adjusting means of the stirring unit 300 includes a fixing bar 330 vertically erected on one side of the base 110, a lifting block 350 installed vertically on the fixing bar 330 And a stirring motor 31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ascending / descending block 350.

이때, 상기 고정바(330)는 베이스(110)에 고정블럭(340)을 통해서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블럭(340)은 승강블럭(350)과 동일한 구성과 구조로 형성되며, 이하에서는 승강블럭(35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설명으로 고정블럭(340)의 구성과 작동에 대한 설명을 대체하기로 한다. 따라서, 고정블럭(340)에는 별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기로 한다.The fixing block 330 is fixed to the base 110 through a fixing block 340. The fixing block 340 is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nd structure as the elevating block 350.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lock 350 will be replaced with a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ixed block 340. [ Accordingly, the fixed block 340 is not designated with another reference numeral.

한편, 상기 승강블럭(350)은 그 중앙부에 고정바(330)가 관통되는 관통공(350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50a)에서 승강블럭(350)의 일측면으로는 절개된 절개부(351)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351) 반대편의 승강블럭(350) 타측면에는 교반모터(310)가 고정되게 설치된다.The lifting block 35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350a through which the fixing bar 330 passes, and a through hole 350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ifting block 350, And a stirring motor 31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evating block 350 opposite to the cutout portion 351.

그리고, 상기 절개부(351)를 기준으로 그 양단부가 각각 제 1 블럭부(352)와 제 2 블럭부(353)로 형성되고, 상기 제 1,2 블럭부(352)(353)에는 절개부(351)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조정스크류(354)가 체결된다.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 parts 352 and 353 are formed with the cutout part 351 as a reference and the first and second block parts 352 and 353 have cut- The adjusting screw 354 threaded through the through hole 351 is fastened.

상기 조정스크류(354)는 그 단부에 수직하게 외향 돌출되는 핸들(355)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355)을 통해서 제 1,2 블럭부(352)(353)에 조정스크류(354)를 간편하게 체결 또는 분리시켜 낼 수 있다.The adjusting screw 354 has a handle 355 projecting perpendicularly outwardly at its end and the adjusting screw 354 is easily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block parts 352 and 353 through the handle 355 It can be fastened or separated.

상기와 같이 조정스크류(354)를 제 1,2 블럭부(352)(353)에 완전히 체결하면, 이의 체결력에 의해서 제 1,2 블럭부(352)(353)가 서로 당겨져 절개부(351)의 간격을 좁히게 되므로 승강블럭(350)을 고정바(330)에 고정시킬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조정스크류(354)를 제 1,2 블럭부(352)(353)로부터 풀어 내면, 당겨져 있던 제 1,2 블럭부(352)(353)가 원상태로 벌어지면서 절개부(351)의 간격이 원상 복귀되어 승강블럭(350)을 고정바(330) 상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adjusting screw 354 is completely fastened to the first and second block parts 352 and 353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block parts 352 and 353 are pulled together by the fastening force of the adjusting screw 354, It is possible to fix the lifting block 350 to the fixing bar 330. On the contrary, if the adjusting screw 354 is loosened from the first and second block portions 352 and 353, The interval between the incised portions 351 is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by the 1,2 block portions 352 and 353 being opened in the original state so that the lift block 350 can freely move up and down on the fixed bar 33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블럭(340) 역시도 상기와 같은 승강블럭(350)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fixed block 340 is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levating block 350 described above.

상기 히팅부(400)는 교반부(300) 하부의 베이스(110)에 설치되어 후술될 사료용기(600)를 받쳐 지지하는 한편 사료용기(600) 내부의 사료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장치이다.The heating unit 400 is a he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base 110 under the agitator 300 to support the feed container 6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o heat the feed inside the feed container 600.

이러한 히팅부(400)는 열선 또는 히팅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히팅부(400)는 제어부(500)에 의해서 히팅부(400)의 가열온도 및 시간 등을 제어한다.The heating unit 400 may include a heating wire or a heating plate. The heating unit 400 controls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of the heating unit 400 by the control unit 500.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베이스(110)의 전면에 컨트롤판넬 등으로 구현되어 사료 제조장치(100)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500)에는 히팅부(400)를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온도조절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00 may be implemented as a control panel or the like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11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eed manufacturing apparatus 100. The control unit 500 may directly control the heating unit 400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상기 사료용기(600)는 히팅부(400) 위에 놓여진 상태로 상기 분쇄부(200)에서 공급되는 분쇄된 사료가 그 내부에 담아지는 용기로서, 다양한 용량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500㎖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feed container 600 can be formed in various capacities as a container in which the crushed feed supplied from the crushing unit 200 is placed in the state that the feed container 600 is placed on the heating unit 400. However, Is most preferable.

이러한 사료용기(600)는 그 외측면에 통상의 손잡이(610)가 구성되어, 사료용기(600)의 파지를 용이케 한다.
The feed container 600 has an ordinary handle 610 formed on its outer surface to facilitate gripping of the feed container 600.

한편, 상기 베이스(110)에는 히팅부(400)에 놓여진 사료용기(600) 내의 사료를 교반할 때, 사료용기(6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110 is provided with fixing means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feed container 600 when the feed in the feed container 600 placed on the heating part 400 is stirred.

상기 고정수단은, 사료용기(600)의 손잡이(610) 양측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120)과, 사료용기(600)가 히팅부(400) 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130)를 포함한다.The fixing means includes a fixing bracket 120 for supporting and fixing both sides of the handle 610 of the feed container 600 and a stopper 130 for preventing the feed container 60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eating unit 400. [ .

상기 고정브라켓(12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용기(600)의 손잡이(610)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10)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판(121)과, 상기 고정판(121)에서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사료용기(600)의 손잡이(610) 양측부에 접하는 지지판(122)을 포함한다.5A, the fixing bracket 12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610 of the feed container 600 and includes a fixing plate 121 screwed to the base 110 and fixed thereto, And a support plate 122 extending perpendicularly upward from the fixing plate 121 and contacting both sides of the handle 610 of the feed container 600.

따라서, 상기와 같이 사료용기(600)의 손잡이(610)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판(122)이 손잡이(610)의 양측에 접하여 사료용기(600)를 고정시키고, 상기 양 고정판(121)을 베이스(110)에서 사료용기(600)의 손잡이(610) 크기에 따라 이동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사료용기(600)의 손잡이(610) 크기에 따라 양 고정브라켓(1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12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610 of the feed container 600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handle 610 to fix the feed container 600 and the both fixing plates 121 to the bas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fixing brackets 12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andle 610 of the feed container 600 by moving and fixing the handle 61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andle 610 of the feed container 600.

상기 스톱퍼(13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사각형태의 프레임으로서, 상기 스톱퍼(130)는 그 일단부가 베이스(110)에 경첩(131)과 같은 힌지수단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반대편의 타단부는 마주하는 베이스(110)와 자력으로 탈.부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톱퍼(130)의 타단부에는 영구자석이나 전자석 등과 같은 자성체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스톱퍼(130)는 고정브라켓(120)과 사료용기(600)의 크기만큼 이격되게 설치되어, 사료용기(600)의 외측면에 접하여 지지한다.5B, the stopper 130 is a rectangular frame rotata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110. One end of the stopper 130 is hinge 131 on the base 110, And the other opposite end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facing base 110 with a magnetic force. At this time, a magnetic body such as a permanent magnet or an electromagnet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130. The stopper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stationary bracket 120 by the size of the feed container 600 and is hel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 container 600.

따라서, 상기 사료용기(600)는 고정브라켓(120)과 스톱퍼(130) 사이에서 지지 고정되어 교반 시 교반되는 사료의 유동에도 불구하고 사료용기(600)는 정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Therefore, the feed container 600 is supported between the stationary bracket 120 and the stopper 130 so that the feed container 600 maintains its position in spite of the flow of the feed which is stirred at the time of stirring.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제조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fee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제어부(500)를 통해 제조장치(100)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각 구동부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First,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control unit 500, power is supplied to each driving unit.

이 상태에서 제어부(500)를 통해 분쇄부(200)의 분쇄모터(230)를 작동시킨 후, 분쇄통(210) 상부의 호퍼(211)로 사료로 사용할 재료를 공급한다. 이때, 사료의 공급이 원활치 못하면 방망이 등으로 호퍼(211) 내의 재료를 눌러 강제 투입시킬 수도 있다.In this state, the crushing motor 230 of the crushing unit 200 is op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500, and then the material to be used as feed is supplied to the hopper 211 above the crushing cylinder 210. At this time, if feeding of the feed is not smooth, the material in the hopper 211 may be pressed by a bat or the like.

한편, 상기와 같이 투입된 재료는 분쇄통(210) 내로 공급되어 한쌍의 분쇄스크류(220)(221)에 의해서 잘게 분쇄된 후 분쇄통(210)에서 배출된다. 이때, 한쌍의 분쇄스크류(220)(221)에 의해서 분쇄되는 재료는 양 분쇄스크류(220)(221) 사이에 형성되는 1차 분쇄영역(a)에서 큰 입자상의 재료가 1차 분쇄되고, 1차 분쇄된 재료는 다시 2차 분쇄영역(b)에서 보다 잘게 분쇄되며, 2차 분쇄된 재료는 3차 분쇄영역(c)에서 아주 잘게 미세한 크기로 분쇄된다. 이러한 분쇄과정 중에 호퍼(211)를 통해 우유나 물 등을 공급하여 주면 분쇄통(210) 내에 잔류될 수 있는 분쇄된 재료를 모두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The supplied material is supplied into the crusher 210, finely crushed by a pair of crushing screws 220 and 221, and then discharged from the crusher 210. At this time, in the material to be pulverized by the pair of pulverizing screws 220 and 221, the large particle material is firstly pulverized in the first pulverizing region (a) formed between the two pulverizing screws 220 and 221, The secondary pulverized material is further finely ground in the secondary pulverization region (b), and the secondary pulverized material is finely finely pulverized in the tertiary pulverization region (c). When milk or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hopper 211 during the pulverizing process, the pulverized material that can remain in the pulverizing container 210 can be discharged.

그리고, 이와 같이 분쇄통(210)에서 배출되는 분쇄된 재료는 히팅부(400) 위에 놓여져 있는 사료용기(600)로 공급된다.The pulveriz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pulverizing container 210 is supplied to the feed container 600 placed on the heating unit 400.

한편, 사료용기(600) 내에는 교반부(300)의 교반날개(321)가 구비된 상태로서, 분쇄된 재료의 공급이 완료되면 교반부(300)의 교반모터(310)를 작동시켜 교반축(320)과 교반날개(321)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회전되는 교반날개(321)는 사료용기(600) 내에서 회전되면서 사료를 잘 섞어 혼합시키게 된다.The feed container 600 is provided with a stirring blade 321 of the stirring part 300. When the supply of the pulverized material is completed, the stirring motor 310 of the stirring part 300 is operated, Thereby rotating the stirring blade 320 and the stirring blade 321. Accordingly, the stirring blades 321 rotated in this manner are rotated in the feed container 600 to mix the feeds well.

이때, 사료용기(600)는 그 일측이 손잡이(610)가 베이스(110)에 고정된 양 고정브라켓(120)의 지지판(122)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브라켓(120)의 반대편에서는 베이스(110)에서 회전된 스톱퍼(130)가 사료용기(600)의 외측면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교반 시 사료용기(600)의 유동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eed container 600 is supported at one side by the support plate 122 of the two fixing brackets 120, the handle 610 being fixed to the base 110, Since the rotated stopper 130 supports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 container 600, the flow of the feed container 600 at the time of stirring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또, 상기와 같은 교반 시 히팅부(400)가 작동되어 사료용기(600)를 가열하고, 가열에 의해 사료용기(600) 내부의 사료가 서서히 가열되어 부드러워 지므로 교반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stirring, the heating unit 400 is operated to heat the feed container 600, and the feed inside the feed container 600 is gradually heated by heating so that the stirr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이후, 베이스(110)로부터 사료용기(600)를 분리할 시는 제어부(500)를 통해서 교반부(300)와 히팅부(400)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핸들(355)을 통해 승강블럭(350)의 제 1,2 블럭부(352)(353)에 체결되어 있는 조정스크류(354)를 풀어내 승강블럭(350)을 베이스(110)의 고정바(330)에서 고정을 해제시킨 후, 교반부(300) 즉 교반날개(321)를 상방향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사료용기(600)로부터 빼낸다.When the feed container 600 is separated from the base 110, the operation of the stirring unit 300 and the heating unit 400 is stopped through the control unit 500, The adjustment screws 354 fastened to the first and second block portions 352 and 353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350 and 350 are released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lift block 350 to the fixing bar 330 of the base 110, The stirring part 300, that is, the stirring vane 321 is completely moved upward and is pulled out from the feed container 600.

상기와 같이 사료용기(600)로부터 교반날개(321)를 빼낸 후, 베이스(110)로부터 사료용기(600)를 분리시켜 내면 된다.
After the stirring vane 321 is removed from the feed container 600 as described above, the feed container 600 may be separated from the base 110.

이상과 같이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 제조장치 110 : 베이스
120 : 고정브라켓 121 : 고정판
122 : 지지판 130 : 스톱퍼
131 : 경첩 200 : 분쇄부
210 : 분쇄통 211 : 호퍼
220,221 : 분쇄스크류 230 : 분쇄모터
300 : 교반부 310 : 교반모터
320 : 교반축 321 : 교반날개
330 : 고정바 340 : 고정블럭
350 : 승강블럭 350a : 관통공
351 : 절개부 352,353 : 제 1,2 블럭부
354 : 조정스크류 355 : 핸들
400 : 히팅부 500 : 제어부
600 : 사료용기 610 : 손잡이
a : 1차 분쇄영역 b : 2차 분쇄영역
c : 3차 분쇄영역
100: Manufacturing apparatus 110: Base
120: Fixing bracket 121: Fixing plate
122: support plate 130: stopper
131: hinge 200: crushing part
210: Grinding cylinder 211: Hopper
220,221: Crushing screw 230: Crushing motor
300: stir part 310: stirring motor
320: stirring shaft 321: stirring blade
330: Fixing bar 340: Fixing block
350: Lift block 350a: Through hole
351: incision part 352,353: first and second block parts
354: adjusting screw 355: handle
400: heating unit 500: control unit
600: Feed container 610: Handle
a: primary grinding zone b: secondary grinding zone
c: tertiary grinding zone

Claims (12)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료의 재료를 분쇄하여 공급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에서 공급되는 분쇄된 사료가 담아지는 사료용기; 상기 사료용기에 담아진 사료를 교반시키는 교반부; 및 상기 사료용기가 놓여지고 사료용기 내부의 사료를 가열하는 히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쇄부는, 중공의 분쇄통; 상기 분쇄통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사료의 재료를 분쇄통으로 공급하는 호퍼; 상기 분쇄통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분쇄통 내부로 투입된 재료를 분쇄하는 분쇄스크류; 및 상기 분쇄스크류에 설치되어 분쇄스크류를 회전 구동시키는 분쇄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스크류는 그 외주면에 분쇄날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분쇄스크류로 구성되되,
상기 한쌍의 분쇄스크류는, 양 분쇄스크류의 분쇄날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1차 분쇄영역;
상기 1차 분쇄영역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양 분쇄날이 1차 분쇄영역보다 좁은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2차 분쇄영역; 및
상기 2차 분쇄영역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양 분쇄스크류의 분쇄날이 서로 맞물려 형성되는 3차 분쇄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제조장치.
A crush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for crushing and feeding the feed material; A feed container for containing the crushed feed supplied from the crushing unit; An agitator for agitating the feed contained in the feed container; And a heating unit on which the feed container is placed and heating the feed inside the feed container,
Wherein the crushing section comprises: a hollow crushing cylinder; A hopper formed on one side of the crusher to feed the material of the feed to the crusher; A pulverizing screw rotatably provided in the pulverizing cylinder to pulverize the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pulverizing cylinder; And a crushing motor installed on the crushing screw for rotatively driving the crushing screw,
Wherein the pulverizing screw comprises a pair of pulverizing screws having a pulverizing blad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pair of pulverizing screws may include: a primary pulverizing region where pulverizing blades of both pulverizing screws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 secondary pulverization zon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primary pulverization zone and spaced apart at a smaller interval than the primary pulverization zone; And
And a third grinding zon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ary grinding zone to form a grinding blade of the two grinding screws so as to engage with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베이스의 일측에 수직하게 세워진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블럭;
상기 승강블럭에 고정되는 교반모터;
상기 교반모터에 연결되어 교반모터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교반축; 및
상기 교반축에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어 사료용기 내에서 회전되면서 사료를 교반시키는 교반날개;를 포함하는 사료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irring unit may include: a fixing bar vertical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e;
An ascending / descending block installed vertically above and below the fixed bar;
A stirring motor fixed to the elevating block;
A stirring shaft connected to the stirring motor and driven to rotate by a stirring motor; And
And a stirring blade installed to be protruded outwardly from the stirring shaft and stirring the feed while being rotated in the feed contain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승강블럭은, 고정바가 관통되는 한편 그 일측이 절개된 제 1,2 블럭부; 및
상기 제 1,2 블럭부의 절개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조정스크류;를 포함하는 사료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elevating block includes a first and a second block portion through which the fixing bar is inserted and one side thereof is cut away; And
And an adjusting screw threaded through the cutout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 part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는, 교반축의 외측면에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교반효율을 높이도록 한 사료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irring vanes are provided axi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irring shaft to increase the stirring efficienc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열선 또는 히팅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사료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ing unit comprises a heating wire or a heating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료용기에는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사료용기의 손잡이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이 형성되는 사료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andle is protruded from the feed container,
Wherein the base is provided with a fixing bracket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handle of the feed contain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사료용기의 손잡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손잡이의 크기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고정브라켓은 베이스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에서 연장되어 사료용기의 손잡이 양측부에 접하여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사료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fixing bracket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of the feed container so that the distanc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andle,
The fixing bracket being fixed to the base by screwing; And
And a support plate extending from the fixing plate and being held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handle of the feed contai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사료용기를 지지하여 사료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사료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is provided with a stopper rotatably installed to support a feed container provided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to prevent dislodgement of the feed contain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힌지부 반대편의 일단부가 마주하는 베이스와 자력으로 탈.부착되게 구성되는 사료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opper is detachably attached to a base facing one end of the stopper opposite to the hinge by magnetic for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분쇄부, 교반부, 히팅부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성되는 사료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rushing unit, the agitating unit, and the heating unit as a whole.
KR1020130014666A 2013-02-08 2013-02-08 feed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4692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666A KR101469229B1 (en) 2013-02-08 2013-02-08 feed manufactu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666A KR101469229B1 (en) 2013-02-08 2013-02-08 feed manufactur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236A KR20140101236A (en) 2014-08-19
KR101469229B1 true KR101469229B1 (en) 2014-12-09

Family

ID=5174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666A KR101469229B1 (en) 2013-02-08 2013-02-08 feed manufactur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2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901B1 (en) 2014-11-28 2016-08-04 주식회사 에코플랜 Apparatus for mamufacturing pet foods
KR101709335B1 (en) * 2015-04-17 2017-02-23 주식회사 흥진정밀 Mortar mix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CN114259073B (en) * 2022-03-02 2022-05-17 新乡市正原机械设备有限公司 Mixing arrangement is smashed to raw materials for animal feed produ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265A (en) * 1999-03-19 2000-09-26 Minori Sangyo Kk Feed-producing machine
JP2006109746A (en) * 2004-10-14 2006-04-27 P・ボール株式会社 Apparatus for producing individual response type pet fo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dividual response type pet food
JP2007306879A (en) * 2006-05-22 2007-11-29 Akira Kiko Kk Small granul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265A (en) * 1999-03-19 2000-09-26 Minori Sangyo Kk Feed-producing machine
JP2006109746A (en) * 2004-10-14 2006-04-27 P・ボール株式会社 Apparatus for producing individual response type pet fo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dividual response type pet food
JP2007306879A (en) * 2006-05-22 2007-11-29 Akira Kiko Kk Small granulato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한문화사 발행 사료생산공학 제149-157면 및 제178-181면(2002.06.28) *
유한문화사 발행 사료생산공학 제149-157면 및 제178-181면(2002.06.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236A (en) 201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229B1 (en) feed manufacturing apparatus
CN102962113B (en) Crushing machine
CN111406963B (en) A high-efficient feed processing device for animal husbandry
CN205164538U (en) Circulation cutting formula ejection of compact stirring type feed mixing processingequipment
CN110787894A (en) Novel seedling substrate pulverizer
CN208098234U (en) A kind of edible mushroom raw material pulverizer
CN104289133A (en) Novel horizontal mixer
CN113477158A (en) Automatic mixer for fish feed manufacturing
CN211329754U (en) Novel seedling substrate pulverizer
CN219519043U (en) Bait batching rubbing crusher
CN207929360U (en) One boar food stirs grinding device
CN214416301U (en) Agitating unit for feed processing with control by temperature change function
CN205235869U (en) Feeding stirring formula extrusion cutting type feed mixing device
CN205321149U (en) Grinding is extruded type fodder and is smashed processing machine
CN205266934U (en) Heat preservation formula circulation cutting feed processing device
CN204973678U (en) Device for crushing feed
CN205321150U (en) Extrusion cutting type that keeps warm feed processing device
CN114260056A (en) Multifunctional pulverizer based on clean feed production
CN210630617U (en) Chicken fodder quenching and tempering curing system
CN106135039A (en) A kind of Pet feeding device with comminuted food products function
CN205266922U (en) High -efficient feeding formula cutting mixed type feed processor
CN205233416U (en) Annular cutting formula feed mixing device
CN219849431U (en) Seaweed feed crushing and mixing device
CN214234346U (en) Mixing stirring device is smashed to poultry fodder
CN212418179U (en) Broiler feed crushing device capable of sufficiently crus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