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971B1 -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971B1
KR101468971B1 KR20140078964A KR20140078964A KR101468971B1 KR 101468971 B1 KR101468971 B1 KR 101468971B1 KR 20140078964 A KR20140078964 A KR 20140078964A KR 20140078964 A KR20140078964 A KR 20140078964A KR 101468971 B1 KR101468971 B1 KR 101468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generator
column
control unit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8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슬기
Original Assignee
이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슬기 filed Critical 이슬기
Priority to KR20140078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low-built type, e.g. landscape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2단 이상으로 이루어진 등주의 기둥들 중 지상에 직접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는 맨 아래 기둥의 상부에는 연료 주입구를 설치하여 발전기의 연료탱크로 활용하고, 상기 제어박스 내에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시동모터를 구비하고 제어부에서 구동신호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시동이 걸려 연료의 연소를 통해 조명등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발전하는 발전기를 내설하며, 상기 제어박스 내 제어부의 입력단자에는 일몰 검출센서 또는 조명등 점,소등시간 입력부를 설치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매일 일몰시간이 도달되거나 또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되었을 때 발전기를 자동으로 구동시키도록 하며, 상기 제어박스에는 발전기의 구동시 제어부에 구비된 충전회로를 통해 전압을 충전시켜 두었다가 제어부, 무선 RF신호 송,수신기 및 기타 전장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공급시켜 주는 비상용 축전지를 내설하고, 상기 제어박스의 상면과 맨 아래 기둥을 제외한 기둥 사이에는 발전기에 의해 발전되는 전압을 조명등에 공급시켜 주기 위한 전원공급선 배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장소에서 야외 조명기구를 연료 발전기를 통해 원활히 작동시킬 수 있고, 기본 사용전력 요금의 납부가 전혀 필요 없음은 물론 별도의 땅파기나 전력선 매설 공사 등이 전혀 필요 없어 설치 비용이 매우 적어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공사중 발생하는 소음 등에 의한 주변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려한 자연환경을 훼손시킬 우려가 전혀 없고, 골프장 등의 경우 야외 조명기구 설치 공사중에도 시설물을 지속해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잔디 보수 공사 등 별도의 정비공사 및 그에 따른 비용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발전기로 공급되고 있는 연료의 잔량이 정해진 잔량 이하일 경우 중앙감시 제어실 또는 해당 조명기구 관리자에게 무선통신을 통해 즉시 알려 줄 수 있어 연료부족으로 인해 야외 조명기구가 소등됨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A generator actuated lighting equipment}
본 발명은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깊은 계곡이나 골프장 또는 육지와 멀리 떨어진 섬 등과 같이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힘든 지역에서 야외 조명기구(예를 들어 가로등, 보안등, 투광등 등)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 해당 지역에 설치하고자 하는 각종 야외 조명기구의 등주 주변에 1차 연료(예를 들어 LPG, 휴발유, 가솔린, 경유, 등유, 중유, 경질윤활유 등; 이하 "연료"로 총칭함)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등을 구비한 조명등 제어박스를 설치하되, 등주의 맨 아래 기둥은 연료탱크로 사용하여 정해진 시간 또는 주변의 밝기가 정해진 조도 이하일 경우 1차 연료를 공급받는 발전기가 자동으로 구동되며 해당 조명기구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료탱크로 사용되는 등주 중 맨 아래 기둥과 조명등 제어박스 내에는 한계 잔량 검출센서와 양방향 무선 RF신호(radio frequency signal) 송,수신기를 설치하여 발전기로 공급되고 있는 연료의 잔량이 정해진 잔량 이하(예를 들어 해당 발전기가 2~3 시간 동안 작동하는데 필요한 연료량 이하)일 경우 이를 검출하여 중앙감시 제어실 또는 해당 조명기구 관리자에게 알려 주어 즉시 해당 발전기에서 필요로 하는 연료를 보충시켜 줄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시가지 등의 주요도로, 상업지구 도로, 주택지구 도로 등에는 차량의 주행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해 줌은 물론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가로등(street light, 街路燈)이 설치되고, 또 어두워서 범죄나 안전사고 등이 발생할 염려가 있는 지역에는 안전을 위해 보안등(security light, 保安燈)이 설치되며, 또한 스포츠 시설이나 경관 또는 광고판 등의 조명과 같이 빛을 모아 일정한 방향으로 비추기 위해 투광등(投光燈)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가로등이나 보안등을 포함하여 일부 투광등(이하 "야외 조명기구"로 총칭함) 등의 경우, 통상 소정 높이를 갖는 전주를 세우고, 상기 전주의 상단부에 각종 광원(光源)을 설치하여 조명을 하게 되는데, 이때 광원으로는 고압수은등(高壓水銀燈)이나 형광등, 나트륨등, 보통 전구(電球)을 포함하여 최근 널리 각광을 받고 있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LED)를 이용하여 제작된 LED 조명등 등이 사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야외 조명기구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전압으로는 대부분 한전에서 공급하는 상용전압(즉, 수력 또는 화력 발전전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일부 야외 조명기구의 경우 태양전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전압 또는 풍력을 이용한 풍력 발전전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한 야외 조명기구 구동용 전원전압 중 상용전압의 경우 야외 조명기구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까지 상용전원 공급시설이 설치되어 있다면 해당 조명기구에 상용전압을 공급시켜 구동시키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러나, 만약 상용전압 공급시설이 전혀 되어 있지 않은 깊은 계곡이나 육지와 멀리 떨어진 섬 등에서 새로운 야외 조명기구를 설치하여 해당 지역을 조명하고자 한다면 해당 조명기구의 설치에 따른 효율 대비 비교적 많은 비용을 들여 상용전원 공급시설을 설치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수려한 자연환경을 훼손시키면서 시설을 설치해야하므로 주변 경관에 피해를 줄 우려가 있다.
특히, 기 시설이 완료된 골프장에서 야간 골프를 위해 별도로 조명시설을 설치하거나 또는 지존에 설치되어 있는 투광등 등과 같은 조명시설을 더 늘려야만 하는 경우, 골프공의 비행에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전력선은 필히 매립해야만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이미 잘 조성된 잔디 등을 걷어내고 중장비 등을 이용하여 땅파기 등을 실시한 다음 전력선을 매설하고 흙으로 공간을 매운 후 다시 잔디 등을 심는 작업 등을 실시해야만 하므로 불필요하게 많은 경제적 비용이 들게 될 될 뿐만 아니라, 공사 중 시설을 이용할 수 없음은 물론 주변에 소음공해 등과 같은 피해를 끼칠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태양전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설비 또는 풍력을 이용한 풍력 발전설비의 경우, 기본적으로 햇빛이 잘 조사되는 장소 및 바람이 잘 불어오는 장소이어야 할 뿐만 아니라 설비들이 차지하는 면적이 비교적 크므로 야외 조명기구를 매일 야간에 지속적으로 작동시키는데 한계가 있음은 물론 설치조건에 많은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골프장의 경우 야간 개장은 날씨가 춥지 않은 계절(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경우 4월에서 ~9월까지)에만 실시하므로 골프장에 설치되어 있는 야간 조명시설의 경우 야간에 골프를 즐기고자 하는 사람들이 있을 때만 조명기구를 작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런데, 한전 등에서 제공하는 상용전원의 경우 각 가정의 댁내를 포함하여 건물의 각 사무실 및 특정 시설들에서 사용되는 전력이 서로 상이하고, 각각 기본 사용전력을 계약하여 사용하고 있음은 물론 각각 계약된 기본 사용전력에 대한 매월 기본요금이 정해져 있어 만약 해당 시설에 설치된 전력사용 기기의 사용이 없더라도 매달 기본 사용전력에 대한 요금은 납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1년 중 사용기간이 정해진 시설 특히, 야간 골프를 위해 골프장의 각 홀 주변에 수개의 조명기구를 설치한 경우, 야간 개장이 어려운 10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는 조명기구를 전혀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기본 사용전력 요금(예를 들어 골프장에 LED 조명기구를 설치하여 조명을 실시하는 경우 각 홀당 기본 사용전력이 15KW로 계약되어 지며 통상 9홀이 운용되고 있음)을 납부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용전원을 사용하여 야외에서 조명기구를 작동시킬 경우, 해당 조명기구를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매월 약정된 기본 사용전력에 대한 요금은 계속해서 지불해야만 하므로 수용가에서 불필요하게 경제적으로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28601호(2013년 01월 25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88724호(2012년 08월 0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03854호(2010년 12월 17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2011-0006245호(2011년 06월 22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깊은 계곡이나 골프장 또는 육지와 멀리 떨어진 섬 등과 같이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힘든 지역에 가로등이나 보안등, 투광등 등과 같은 야외 조명기구를 추가 또는 새로이 설치하고자 할 경우, 해당 야외 조명기구의 등주 주변에 예를 들어 LPG, 휴발유, 가솔린, 경유, 등유, 중유, 경질윤활유 등과 같은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등을 구비하고 배전반과 유사한 사각박스 형태를 갖는 조명등 제어박스를 설치하되, 등주의 맨 아래 기둥은 연료탱크로 사용하여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계절별 일몰 시간) 또는 주변의 밝기가 정해진 조도 이하일 경우 1차 연료를 공급받는 발전기가 자동으로 구동되며 해당 조명기구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외에 설치된 해당 조명기구를 작동시키지 않을 때에는 1차 연료의 사용도 전혀 없음은 물론 기본 사용전력 요금도 납부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용가 입장에서 볼 때 자신들이 필요한 시간 때에만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를 작동시켜 원하는 조명기구를 작동시키면 되므로 수용가가 불필요하게 기본 사용전력 요금을 납부함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아예 없앨 수 있는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장소에서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를 이용하여 야외 조명기구를 원활히 작동시킬 수 있고, 또 별도의 땅파기나 전력선 매설 공사 등이 전혀 필요 없어 설치 비용이 매우 적어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공사중 발생하는 소음 등에 의한 주변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수려한 자연환경을 훼손시킬 우려가 전혀 없고, 또 예를 들어 골프장의 경우 야외 조명기구 설치 공사중에도 시설물을 지속해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잔디 보수 공사 등 별도의 정비공사 및 그에 따른 비용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단으로 이루어진 등주 중 연료탱크로 사용되는 맨 아래 기둥과 조명등 제어박스 내에는 한계 잔량 검출센서와 양방향 무선 RF신호 송,수신기를 각각 설치하여 발전기로 공급되고 있는 연료의 잔량이 정해진 잔량 이하(예를 들어 해당 발전기가 2~3 시간 동안 작동하는데 필요한 연료량 이하)일 경우 이를 검출하여 중앙감시 제어실 또는 해당 조명기구 관리자에게 즉시 알려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앙 제어실의 근무자 및 관리자가 해당 발전기에서 필요로 하는 연료를 즉시 보충할 수 있어 연료부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야외 조명기구의 소등에 따른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연료 공급형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되는 야외 조명기구 자체의 상품성과 조명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방향에 대해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한 2단 이상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등주와; 상기 등주의 상단부에 착탈 및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시켜 주는 복수의 조명등과;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등들의 점,소등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박스;로 구성된 야외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등주의 기둥들 중 지상에 직접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는 맨 아래 기둥의 상부에는 연료 주입구를 설치하여 발전기의 연료탱크로 활용하고, 상기 제어박스 내에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시동모터를 구비하고 제어부에서 구동신호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시동이 걸려 연료의 연소를 통해 조명등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발전하는 발전기를 내설하며, 상기 제어박스 내 제어부의 입력단자에는 일몰 검출센서 또는 조명등 점,소등시간 입력부를 설치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매일 일몰시간이 도달되거나 또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되었을 때 발전기를 자동으로 구동시키도록 하며, 상기 제어박스에는 발전기의 구동시 제어부에 구비된 충전회로를 통해 전압을 충전시켜 두었다가 제어부, 무선 RF신호 송,수신기 및 기타 전장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공급시켜 주는 비상용 축전지를 내설하고, 상기 제어박스의 상면과 맨 아래 기둥을 제외한 기둥 사이에는 발전기에 의해 발전되는 전압을 조명등에 공급시켜 주기 위한 전원공급선 배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의 출력단자에는 제어박스 외측에 설치되는 안테나를 통해 중앙 제어실의 컴퓨터 또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과 양방향 무선 통신을 하는 양방향 무선 RF신호 송,수신기를 설치하고, 상기 맨 아래 기둥 내에는 연료주입 한계 검출센서와 한계 잔량 검출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연료의 주입시 연료주입 한계 검출센서에서 한계신호를 검출할 경우 경보기를 통해 불빛이나 소리로 표시해 주도록 하고, 발전기의 구동 중 한계 잔량 검출센서에서 연료의 잔량이 최소 잔여 연료량에 도달한 것으로 검출할 경우 상기 양방향 무선 RF신호 송,수신기를 통해 원격지의 중앙 제어실 컴퓨터 또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해당 발전기 또는 조명기구의 코드와 함께 연료보충 요청신호를 자동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료탱크로 사용되는 상기 맨 아래 기둥에는 연료의 기화로 인해 기둥 내부압력이 정해진 압력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자동으로 열려 기둥 내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를 유지하도록 하는 과압 방지용 체크밸브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맨 아래 기둥의 하방부에는 기둥 내의 연료에서 발생하는 찌꺼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드레인 밸브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맨 아래 기둥의 외면에는 기둥 내 연료가 여름철에 과열되거나 또는 겨울철에 얼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온커버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에 의하면, 깊은 계곡이나 골프장 또는 육지와 멀리 떨어진 섬 등과 같이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힘든 지역에 가로등이나 보안등, 투광등 등과 같은 야외 조명기구를 추가 또는 새로이 설치하고자 할 경우, 해당 야외 조명기구의 등주 주변에 예를 들어 LPG, 휴발유, 가솔린, 경유, 등유, 중유, 경질윤활유 등과 같은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등을 구비하고 배전반과 유사한 사각박스 형태를 갖는 조명등 제어박스를 설치하되, 등주의 맨 아래 기둥은 연료탱크로 사용하여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계절별 일몰 시간) 또는 주변의 밝기가 정해진 조도 이하일 경우 1차 연료를 공급받는 발전기가 자동으로 구동되며 해당 조명기구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장소에서 야외 조명기구를 연료 발전기를 통해 원활히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야외에 설치된 해당 조명기구를 작동시키지 않을 때에는 1차 연료의 사용도 전혀 없어 발전기의 구동에 따른 비용 발생도 없음은 물론 기본 사용전력 요금도 납부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용가 입장에서 볼 때 자신들이 필요한 시간 때에만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를 작동시켜 원하는 조명기구를 작동시키면 되므로 불필요하게 기존 사용전력 요금을 납부함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아예 없앨 수 있다.
또, 별도의 땅파기나 전력선 매설 공사 등이 전혀 필요 없어 설치 비용이 매우 적어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공사중 발생하는 소음 등에 의한 주변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려한 자연환경을 훼손시킬 우려가 전혀 없고, 특히 예를 들어 골프장의 경우 야외 조명기구 설치 공사중에도 시설물을 지속해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잔디 보수 공사 등 별도의 정비공사 및 그에 따른 비용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단으로 이루어진 등주 중 연료탱크로 사용되는 맨 아래 기둥과 조명등 제어박스 내에는 한계 잔량 검출센서와 양방향 무선 RF신호 송,수신기를 각각 설치하여 발전기로 공급되고 있는 연료의 잔량이 정해진 잔량 이하(예를 들어 해당 발전기가 2~3 시간 동안 작동하는데 필요한 연료량 이하)일 경우 이를 검출하여 중앙감시 제어실 또는 해당 조명기구 관리자에게 즉시 알려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앙 제어실의 근무자 및 관리자가 해당 발전기에서 필요로 하는 연료를 즉시 보충할 수 있어 연료부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야외 조명기구의 소등에 따른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연료 공급형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되는 야외 조명기구 자체의 상품성과 조명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야외 조명기구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야외 조명기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야외 조명기구 중 요부 확대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야외 조명기구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야외 조명기구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야외 조명기구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야외 조명기구 중 요부 확대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야외 조명기구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직방향에 대해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한 2단 이상의 기둥(11)~(1n)으로 이루어진 등주(1)와; 상기 등주(1)의 상단부에 착탈 및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시켜 주는 복수의 조명등(2)과; 제어부(3)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등(2)들의 점,소등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사각 함체형 제어박스(4);로 구성된 야외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등주(1)의 기둥(1₁)~(1n)들 중 지상에 직접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는 맨 아래 기둥(1₁)의 상부에는 연료 주입구(12)를 설치하여 발전기(5)의 연료탱크로 활용하고, 상기 제어박스(4) 내에는 제어부(3)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시동모터(51)를 구비하고 제어부(3)에서 구동신호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시동이 걸려 연료의 연소를 통해 조명등(2)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발전하는 발전기(5)를 내설하며, 상기 제어박스(4) 내 제어부(3)의 입력단자에는 일몰 검출센서(31) 또는 조명등 점,소등시간 입력부(31)를 설치하여 제어부(3)로 하여금 각 계절별로 매일 일몰시간이 도달되거나 또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되었을 때 발전기(5)를 자동으로 구동시키도록 하며, 상기 제어박스(4)에는 발전기(5)의 구동시 제어부(3)에 구비된 충전회로(33)를 통해 전압을 충전시켜 두었다가 제어부(3), 무선 RF신호 송,수신기(6) 및 기타 전장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공급시켜 주는 비상용 축전지(34)를 내설하고, 상기 제어박스(4)의 상면과 맨 아래 기둥(1₁)을 제외한 기둥(1₁)~(1n) 사이에는 발전기(5)에 의해 발전되는 전압을 조명등(2)에 공급시켜 주기 위한 전원공급선 배관(7)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3)의 출력단자에는 제어박스(4) 외측에 설치되는 안테나(61)를 통해 중앙 제어실의 컴퓨터(8a) 또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8b)과 양방향 무선 통신을 하는 양방향 무선 RF신호 송,수신기(6)를 설치하고, 상기 맨 아래 기둥(1₁) 내에는 연료주입 한계 검출센서(13)와 한계 잔량 검출센서(14)를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3)로 하여금 연료의 주입시 연료주입 한계 검출센서(13)에서 한계신호를 검출할 경우 경보기(35)를 통해 불빛이나 소리로 표시해 주도록 하고, 발전기(5)의 구동 중 한계 잔량 검출센서(14)에서 연료의 잔량이 최소 잔여 연료량에 도달한 것으로 검출할 경우 상기 양방향 무선 RF신호 송,수신기(6)를 통해 원격지의 중앙 제어실 컴퓨터(8a) 또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8b)에 해당 발전기 또는 조명기구의 코드와 함께 연료보충 요청신호를 자동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료탱크로 사용되는 상기 맨 아래 기둥(1₁)에는 연료의 기화로 인해 맨 아래 기둥(1₁) 내부압력이 정해진 압력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자동으로 열려 기둥 내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를 유지하도록 하는 과압 방지용 체크밸브(15)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맨 아래 기둥(1₁)의 하방부에는 기둥 내의 연료에서 발생하는 찌꺼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드레인 밸브(16)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맨 아래 기둥(1₁)의 외면에는 기둥 내 연료가 여름철에 과열되거나 또는 겨울철에 얼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온커버(17)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주(1)와 복수의 조명등(2) 및 상기 조명등(2)들의 점,소등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3)가 내설된 사각 함체형 제어박스(4)로 구성된 공지의 야외 조명기구에 있어서, 수직방향에 대해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한 2단 이상의 기둥(1₁)~(1n)으로 이루어진 등주(1) 중 지상에 직접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는 맨 아래 기둥(1₁)을 발전기(5)의 연료탱크로 활용하고, 상기 제어박스(4) 내에는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5)와 무선 RF신호 송,수신기(6) 등을 설치한 것을 기본적인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등주(1)의 기둥(1₁)~(1n)들 중 지상에 직접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는 맨 아래 기둥(1₁)의 상부에는 자동차에 설치된 연료 주입구 등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연료 주입구(12)를 설치하여 발전기(5)의 연료탱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발전기(5)의 연료탱크로 사용되는 기둥은 상기와 같이 맨 아래 기둥(1₁)에 한정할 수는 없으며, 기둥 내부의 용적이나 발전기(5)의 크기와 연료 소모량 또는 중앙 제어실과의 거리 등을 감안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두 번째 기둥도 연료탱크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연료탱크로 사용하는 맨 아래 기둥(1₁)에는 과압 방지용 체크밸브(15)를 더 설치하여, 상기 맨 아래 기둥(1₁) 내로 주입시킨 각종 연료가 기화됨으로 인해 맨 아래 기둥(1₁) 내부압력이 상기 과압 방지용 체크밸브(15)를 더 설치에 의해 정해진 압력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상기 과압 방지용 체크밸브(15)를 더 설치가 자동으로 열리면서 내부압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둥 내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를 유지하도록 하여 연료탱크로 사용되는 기둥이 과압에 의해 폭발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맨 아래 기둥(1₁) 내에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료주입 한계 검출센서(13)와 한계 잔량 검출센서(14)를 각각 설치하여, 연료의 주입시 연료주입 한계 검출센서(13)에서 한계신호를 검출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발전기(5)의 구동시에는 상기 한계 잔량 검출센서(14)에서 연료의 잔량이 최소 잔여 연료량에 도달하는지를 계속해서 검출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3)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내부의 연료 상태를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기둥을 연료탱크로 사용하더라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료의 주입시 제어부(3)에서 구동시키는 경보기(35)를 통해 연료가 가득 찬 상태를 알 수 있음은 물론 연료가 최소 잔여 연료량에 도달하였을 때 원격지의 근무자 및 관리자가 컴퓨터(8a) 또는 휴대용 단말기을 통해 즉시 인식하고 연료보충을 빠른 시간 내에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맨 아래 기둥(1₁)의 하방부에 드레인 밸브(16)를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액체 연료를 사용할 경우, 상기 기둥 내의 연료에서 발생하는 찌꺼기를 상기 드레인 밸브(16)를 통해 외부로 깨끗이 배출시켜 청소할 수 있어 기둥 내의 연료가 찌꺼기에 의해 오염되어 발생할 수 있는 발전기(5)의 고장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맨 아래 기둥(1₁)의 외면에 보온커버(17)를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기둥 내 연료가 여름철에 햇빛 등에 의해 과열되거나 또는 겨울철에 차가운 공기에 의해 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기둥의 손상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박스(4) 내에는 제어부(3)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시동모터(51)를 구비한 발전기(5)를 내설하고, 상기 발전기(5)의 연료공급 파이프는 상기 맨 아래 기둥(1₁)과 연통되게 연결시켜 줌은 물론 상기 제어박스(4) 내 제어부(3)의 입력단자에는 cds 센서 등을 포함하는 일몰 검출센서(31) 또는 조명등 점,소등시간 입력부(31)를 설치하여 주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에서 통상시 일몰 검출센서(31)를 통해 매일 서로 다른 시간을 갖는 일몰시간이 된 것으로 검출되거나 또는 관리자가 조명등 점,소등시간 입력부(31)를 통해 설정한 점등시간이 도달하였을 경우, 시동모터(51)를 통해 발전기를 자동으로 구동시켜 주므로 해당 조명기구에 구비된 조명등(2)들이 자동으로 점등되어 해당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조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상기와 같이 발전기(5)를 구동시켜 조명등(2)을 점등시키던 중 날이 새어 상기 일몰 검출센서(31)에서 일출에 따른 검출신호를 제어부(3)로 전송하거나, 또는 조명등 점,소등시간 입력부(31)를 통해 설정한 소등시간에 도달된 경우, 상기 제어부(3)는 발전기(5)의 구동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연료 소모 및 전력소모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박스(4) 내의 제어부(3)에 충전회로(33)와 비상용 축전지(34)를 구비시켜 주어, 상기 발전기(5)의 구동시 상기 제어부(3)에서 충전회로(33)를 통해 비상용 축전지(34)에 전압을 충전시켜 두었다가 상기 제어부(3)를 포함하여 무선 RF신호 송,수신기(6) 및 기타 전장품(예를 들어 발전기(5)에 구비된 시동모터(51) 등)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전기(5)가 발전동작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도(즉, 발전기(5)의 구동과 무관하게) 상기 발전기(5)의 시동제어는 물론 연료의 소모시 연료보충 메시지 등을 자동으로 송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박스(4)의 상면과 맨 아래 기둥(1₁)을 제외한 기둥(1₁)~(1n) 사이에 전원공급선 배관(7)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발전기(5)에서 발전되는 전압을 조명등(2)들에 공급시켜 주는 전원공급선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외관상 미려함을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누전이나 전기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3)의 출력단자에 중앙 제어실의 컴퓨터(8a) 또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8b)과 양방향 무선 통신을 하는 양방향 무선 RF신호 송,수신기(6)를 설치하고, 상기 양방향 무선 RF신호 송,수신기(6)의 안테나(61)는 제어박스(4) 외측에 설치하여 주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에서 연료의 주입시 연료주입 한계 검출센서(13)에서 한계신호를 검출할 경우 경보기(35)를 통해 불빛이나 소리로 표시해 줄 수 있고, 또 발전기(5)의 구동 중 한계 잔량 검출센서(14)에서 연료의 잔량이 최소 잔여 연료량에 도달한 것으로 검출할 경우 상기 양방향 무선 RF신호 송,수신기(6)를 통해 원격지의 중앙 제어실 컴퓨터(8a) 또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8b)에 해당 발전기 또는 조명기구의 코드와 함께 연료보충 요청신호를 자동으로 송출할 수 있으므로 중앙 제어실의 근무자 또는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연료의 잔량이 최소 잔여 연료량에 도달한 상태를 인식하고 즉시 연료보충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연료고갈로 인한 발전기(5)의 발전정지 상태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조명등(2)들을 지속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된 야간 조명기구에서 사용되는 조명등(2)으로는 고압수은등을 포함하여 형광등, 나트륨등, 보통 전구는 물론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LED)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LED 조명등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야외 조명기구를 추가 또는 새로이 설치하고자 할 때, 해당 야외 조명기구의 등주 중 맨 아래 등주를 연료탱크로 사용하고 제어박스 내에는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를 설치하여 정해진 시간 또는 주변의 밝기가 정해진 조도 이하일 경우 발전기를 자동으로 구동시켜 해당 조명기구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줌으로써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장소에서 야외 조명기구를 연료 발전기를 통해 원활히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야외에 설치된 해당 조명기구를 작동시키지 않을 때에는 1차 연료의 사용도 전혀 없어 발전기의 구동에 따른 비용 발생도 없음은 물론 기본 사용전력 요금도 납부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용가 입장에서 볼 때 자신들이 필요한 시간 때에만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를 작동시켜 원하는 조명기구를 작동시키면 되므로 불필요하게 기존 사용전력 요금을 납부함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아예 없앨 수 있다.
특히, 별도의 땅파기나 전력선 매설 공사 등이 전혀 필요 없어 설치 비용이 매우 적어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공사중 발생하는 소음 등에 의한 주변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려한 자연환경을 훼손시킬 우려가 전혀 없고, 골프장 등의 경우 야외 조명기구 설치 공사중에도 시설물을 지속해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잔디 보수 공사 등 별도의 정비공사 및 그에 따른 비용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단으로 이루어진 등주 중 연료탱크로 사용되는 맨 아래 기둥과 조명등 제어박스 내에는 한계 잔량 검출센서와 양방향 무선 RF신호 송,수신기를 각각 설치하여 발전기로 공급되고 있는 연료의 잔량이 정해진 잔량 이하일 경우 중앙감시 제어실 또는 해당 조명기구 관리자에게 무선통신을 통해 즉시 알려 줄 수 있어 연료부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야외 조명기구의 소등에 따른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야외 조명기구 자체의 상품성과 조명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등주 11~1n : 기둥
12 : 연료 주입구 13 : 연료주입 한계 검출센서
14 : 한계 잔량 검출센서 15 : 과압 방지용 체크밸브
16 : 드레인 밸브 17 : 보온커버
2 : 조명등
3 : 제어부
31 : 일몰 검출센서 32 : 조명등 점,소등시간 입력부
33 : 충전회로 34 : 비상용 축전지
35 : 경보기
4 : 제어박스
5 : 발전기 51 : 시동모터
6 : 무선 RF신호 송,수신기 61 : 안테나
7 : 전원공급선 배관
8a : 컴퓨터 8b : 휴대용 단말기

Claims (5)

  1. 수직방향에 대해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한 2단 이상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등주와; 상기 등주의 상단부에 착탈 및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시켜 주는 복수의 조명등과;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등들의 점,소등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박스;로 구성된 야외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등주의 기둥들 중 지상에 직접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는 맨 아래 기둥의 상부에는 연료 주입구를 설치하여 발전기의 연료탱크로 활용하고, 상기 제어박스 내에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시동모터를 구비하고 제어부에서 구동신호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시동이 걸려 연료의 연소를 통해 조명등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발전하는 발전기를 내설하며, 상기 제어박스 내 제어부의 입력단자에는 일몰 검출센서 또는 조명등 점,소등시간 입력부를 설치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매일 일몰시간이 도달되거나 또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되었을 때 발전기를 자동으로 구동시키도록 하며, 상기 제어박스에는 발전기의 구동시 제어부에 구비된 충전회로를 통해 전압을 충전시켜 두었다가 제어부, 무선 RF신호 송,수신기 및 기타 전장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공급시켜 주는 비상용 축전지를 내설하고, 상기 제어박스의 상면과 맨 아래 기둥을 제외한 기둥 사이에는 발전기에 의해 발전되는 전압을 조명등에 공급시켜 주기 위한 전원공급선 배관을 설치하며, 상기 제어부의 출력단자에는 제어박스 외측에 설치되는 안테나를 통해 중앙 제어실의 컴퓨터 또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과 양방향 무선 통신을 하는 양방향 무선 RF신호 송,수신기를 설치하고, 상기 맨 아래 기둥 내에는 연료주입 한계 검출센서와 한계 잔량 검출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연료의 주입시 연료주입 한계 검출센서에서 한계신호를 검출할 경우 경보기를 통해 불빛이나 소리로 표시해 주도록 하고, 발전기의 구동 중 한계 잔량 검출센서에서 연료의 잔량이 최소 잔여 연료량에 도달한 것으로 검출할 경우 상기 양방향 무선 RF신호 송,수신기를 통해 원격지의 중앙 제어실 컴퓨터 또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해당 발전기 또는 조명기구의 코드와 함께 연료보충 요청신호를 자동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연료탱크로 사용되는 상기 맨 아래 기둥에는 연료의 기화로 인해 기둥 내부압력이 정해진 압력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자동으로 열려 기둥 내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를 유지하도록 하는 과압 방지용 체크밸브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맨 아래 기둥의 하방부에는 기둥 내의 연료에서 발생하는 찌꺼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드레인 밸브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맨 아래 기둥의 외면에는 기둥 내 연료가 여름철에 과열되거나 또는 겨울철에 얼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온커버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
KR20140078964A 2014-06-26 2014-06-26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 KR101468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8964A KR101468971B1 (ko) 2014-06-26 2014-06-26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8964A KR101468971B1 (ko) 2014-06-26 2014-06-26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971B1 true KR101468971B1 (ko) 2014-12-04

Family

ID=5267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8964A KR101468971B1 (ko) 2014-06-26 2014-06-26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9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603A (ko) * 2002-03-20 2003-09-26 변영지 가스연소식 가로등
KR20040067535A (ko) * 2003-01-24 2004-07-30 한.중기계산업(주) 액화석유가스 공급장치
JP2006044586A (ja) * 2004-08-06 2006-02-16 Piolax Inc 燃料タンク用チェックバルブ
JP3159847U (ja) * 2010-03-18 2010-06-03 元奎 何 モバイルled投光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603A (ko) * 2002-03-20 2003-09-26 변영지 가스연소식 가로등
KR20040067535A (ko) * 2003-01-24 2004-07-30 한.중기계산업(주) 액화석유가스 공급장치
JP2006044586A (ja) * 2004-08-06 2006-02-16 Piolax Inc 燃料タンク用チェックバルブ
JP3159847U (ja) * 2010-03-18 2010-06-03 元奎 何 モバイルled投光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2035B1 (en) Street light
US9810387B2 (en) Solar and fuel powered portable light tower
KR101714033B1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하는 보도블록 장치
US20150021990A1 (en) Energy-efficient solar-powered outdoor lighting
CN205351173U (zh) 一种太阳能环保路灯
US20140062188A1 (en) Solar Retrofit Pole
KR101780587B1 (ko) 친환경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CN204313161U (zh) 一种建筑工地施工用的拼装式临时照明装置
KR101468971B1 (ko) 1차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전압 작동형 야외 조명기구
KR101343032B1 (ko) 태양광 전지를 이용한 연료전지 발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가로등
CN204853279U (zh) 一种太阳能路灯
KR102246832B1 (ko) 제설용 보도블록
CN204408728U (zh) 一种led照明灯具自动控制系统
KR20110001966U (ko) 옥외광고용 지중전력기기 보호함
CN205960767U (zh) 一种太阳能供能系统
CN207422050U (zh) 便携式手提led中光强太阳能航空障碍灯
CN205155820U (zh) 一种太阳能led广告路灯
CN201018691Y (zh) 一种led自动控制照明装置
CN106868978A (zh) 太阳能道路设施
CN109591639B (zh) 充电桩led系统
CN206802986U (zh) 一种可调式太阳能光伏板路灯
CN205305163U (zh) 一种太阳能智能监控壁灯
CN205211333U (zh) 一种电子信息显示装置
CN204593210U (zh) 一种多功能太阳能路灯
CN105305582A (zh) 车辆行人碾压式路灯供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