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520B1 - 배터리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520B1
KR101467520B1 KR1020120035447A KR20120035447A KR101467520B1 KR 101467520 B1 KR101467520 B1 KR 101467520B1 KR 1020120035447 A KR1020120035447 A KR 1020120035447A KR 20120035447 A KR20120035447 A KR 20120035447A KR 101467520 B1 KR101467520 B1 KR 101467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battery
unit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5122A (ko
Inventor
양진
Original Assignee
양진
(주)리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1003248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10113151A/ko
Application filed by 양진, (주)리젠텍 filed Critical 양진
Publication of KR20120115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이 완료된 폐 배터리를 신제품의 배터리에 필적하는 성능을 갖도록 복원시키는 배터리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재생장치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SMPS; 상기 SMPS에서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펄스파전원으로 변환하고, 이를 배터리의 셀판에 인가하여, 셀판에 고착되어 있는 황산염을 황산 이온으로 분해시키는 복원전원공급부; 상기 복원전원공급부에서 인가하는 펄스파전원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의 충전전원을 방전시키는 방전부; 상기 SMPS에서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정전류의 충전전원으로 변환하고, 이를 배터리에 인가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전원공급부;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감지하는 감지부; 배터리와 상기 복원전원공급부, 그리고 배터리와 상기 충전전원공급부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절환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와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복원전원공급부, 방전부, 충전전원공급부 및 절환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배터리의 셀판에 고착되어 있는 황산염을 기준치 이상으로 분해한 후에 충전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재생장치{Restoration apparatus of battery}
본 발명은 사용이 완료된 폐 배터리를 신제품의 배터리에 필적하는 성능을 갖도록 복원시키는 배터리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2차 전지로서 배터리는 전기적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충전과,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전을 반복하면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장기간 사용하면서 점차 그 성능이 떨어져 종내는 폐기처분된다.
배터리의 성능이 떨어져 폐기되는 원인은 배터리의 셀판에 황산화 현상이 발생하여 배터리 내부의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황산화 현상이란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셀판에 황산염이 고착화되어 달라붙어 있는 현상을 말한다.
배터리는 증류수와 황산이온이 혼합되어 있는 전해액과, 전해액에 담겨지는 셀판들로 구성되는데, 방전 과정에서 황산이온이 황산염으로 변환되어 셀판에 부착되고, 충전 과정에서 황산염이 다시 황산이온으로 변환되어 전해액으로 녹게된다.
그런데 장기간 방전과 충전을 반복하게 되면 셀판에 붙은 황산염이 황산이온으로 변환되지 않고 셀판에 고착화되어 달라붙게 되고, 그에 따라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다.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면 폐기하고, 새 배터리로 교체하게 되는데, 배터리의 교체비용과 폐기비용이 상당하여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성능이 저하된 폐 배터리를 재생시키는 재생장치와 재생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폐 배터리의 재생방법과 재생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0931510호 "축전지의 재생 장치", 등록특허 제0681529호 "사용 완료된 배터리의 재생 및 복원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은 폐 배터리를 반복적인 화확반응을 통해 셀판에 고착화된 황산염을 용해시켜 황산 이온으로 변화시켜, 배터리 전해질의 황산 이온 비중은 신품 수준으로 만들어 배터리의 기능을 원상태로 복원시킴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배터리 재생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재생장치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SMPS;
상기 SMPS에서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펄스파전원으로 변환하고, 이를 배터리의 셀판에 인가하여, 셀판에 고착되어 있는 황산염을 황산 이온으로 분해시키는 복원전원공급부;
상기 복원전원공급부에서 인가하는 펄스파전원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의 충전전원을 방전시키는 방전부;
상기 SMPS에서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정전류의 충전전원으로 변환하고, 이를 배터리에 인가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전원공급부;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감지하는 감지부;
배터리와 상기 복원전원공급부, 그리고 배터리와 상기 충전전원공급부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절환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와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복원전원공급부, 방전부, 충전전원공급부 및 절환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배터리의 셀판에 고착되어 있는 황산염을 기준치 이상으로 분해한 후에 충전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에 연결되고, 배터리의 재생과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마이컴에 연결되고, 배터리의 재생과정에서 이상이 발생되면 경고음을 출력하는 부저;
상기 SMPS의 출력전원을 정전압화하여 상기 마이컴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부;
상기 마이컴에 의해 제어되고, 재생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팬;
배터리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으로 전송하는 션트저항;
상기 션트저항이 검출한 전압과 전류에 따른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복원전원공급부 및 충전전원공급부가 배터리로 인가하는 전원의 전압과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재생장치는 셀판에 황산염이 고착화되어 폐기된 배터리를 반복적인 충방전을 통한 화학반응으로 황산염을 99% 황산 이온으로 분해하여 신제품 대비 95% 이상의 성능으로 복원시켜 에너지 절약, 환경오염 방지 등의 효과를 갖는 장치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재생장치의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다른 SMPS의 회로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재생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배터리를 재생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재생(복원) 전에, 선별전원공급부가 정전류의 선별전원을 폐 배터리에 공급하고, 제어부가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 재생 가능한 배터리인지를 판별한다.
배터리에 선별전원 공급시 배터리의 전압이 갑자기 크게 튀거나 전압이 검출되지 않으면, 이 배터리는 재생이 불가능한 배터리로서 폐기처분한다.
배터리 복원단계에서는 복원전류공급부가 정전류의 펄스파전원를 배터리에 공급하여 셀판에 고착된 황산염을 분해하여 황산 이온화하여 전해액에 혼합시킨다.
상기 복원전류는 수Hz에서 수MHz에 해당하는 펄스파(P-P/고주파)로서, 1초에 10,000회 이상의 펄스파를 셀판에 흘려보내 셀판에 전기적인 충격을 줌으로써 셀판에 붙어 있는 황산염을 분해시켜 황산 이온으로 변환시킨다.
이로 인해 전해액의 양이온과 음이온의 운동이 활발해져 깨끗한 셀판과 순수한 전해액이 만들어져 폐 배터리는 신제품의 배터리 대비 95% 이상의 성능을 갖는 배터리로 복원된다.
그리고 복원단계는 펄스파전원을 한번만 공급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시간 펄스파 전원을 공급한 후에 황산염의 분해 정도를 검출하여 기준치 이하로 분해되었을 경우에는 다시 펄스파전원을 공급하여 황산염을 분해시키게 된다.
이때 다시 펄스파전원을 공급하기 전에 펄스파전원에 의해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방전부가 방전시키고 나서 다시 펄스파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황산염이 깨끗하게 분해가 되면 배터리의 전압과 전해액의 비중은 신제품의 배터리 전압과 비중에 근접하게 된다.
배터리 충전단계에서는 복원이 완료되어 방전된 배터리에 정전류의 충전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충전전원의 정전류는 복원단계의 정전류인 펄스파전원 보다 크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재생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재생장치는 마이컴(10), SMPS(20), 복원전원공급부(30A), 충전전원공급부(30B), 정전압부(40), 전원제어부(50), 절환부(60), 감지부(70), 부저(80), 디스플레이(90), 션트저항(100), 방열팬(110), 방전부(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마이컴(10)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장치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태를 감시하며, 상기 복원전원공급부(30A)와 방전부를 통해 배터리(B) 전해액의 황산 이온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 될 때까지 펄스파전원의 인가와, 그에 따른 충전전원의 방전을 지속한 후에, 상기 충전전원공급부(30B)를 통해 충전전원을 공급하여 재생된 배터리(B)를 충전하고, 절환부(60)를 통해 배터리(B)와 복원전원공급부(30A) 또는 충전전원공급부(30B)를 연결 또는 차단하고, 재생과정 정보를 디스플레이(9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고, 이상 발생시에는 부저(80)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음을 발생하는 등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재생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SMPS(20)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한다.
상기 복원전원공급부(30A)는 상기 SMPS(20)에서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펄스파전원으로 변환하고, 이를 배터리(B)의 셀판에 인가하여, 셀판에 고착되어 있는 황산염을 황산 이온으로 분해시킨다.
상기 방전부는 상기 복원전원공급부(30A)에서 인가하는 펄스파전원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B)의 충전전원을 방전시킨다.
상기 충전전원공급부(30B)는 상기 SMPS(20)에서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정전류의 충전전원으로 변환하고, 이를 배터리(B)에 인가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상기 감지부(70)는 상기 배터리(B)의 충전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마이컴(10)으로 전송한다.
상기 절환부(6)는 상기 배터리(B)와 상기 복원전원공급부(30A), 그리고 배터리(B)와 상기 충전전원공급부(30B)를 연결 또는 차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90)는 상기 마이컴(10)에 연결되고, 배터리(B)의 재생과정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상기 부저(80)는 상기 마이컴(10)에 연결되고, 배터리(B)의 재생과정에서 이상이 발생되면 경고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한다.
상기 정전압부(40)는 상기 SMPS(20)의 출력전원을 정전압화하여 상기 마이컴(10)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방열팬(110)은 상기 마이컴(10)에 의해 제어되고, 재생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킨다.
상기 션트저항(100)은 상기 배터리(B)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10)으로 전송한다.
상기 전원제어부(50)은 상기 션트저항(100)이 검출한 전압과 전류에 따른 상기 마이컴(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복원전원공급부(30A) 및 충전전원공급부(30B)가 배터리(B)로 인가하는 전원의 전압과 전류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2의 SMPS 회로도를 참조하여 SMPS(2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SMPS(20)는 안정화부(21), 정류부(23), 보조전원부(25), 주전원부(27), 출력감시부(29)를 포함하여 일어진다.
상기 안정화부(21)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안정화시키는 구성으로서, 입력 상용 교류전원으로 과전류가 인가되는 때에 이를 차단하는 퓨즈(F3)와, 과전압이 인가되는 때에 이를 차단하는 바리스터(VR1, VR2, VR3), 상용 교류전원의 초기 투입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완화부(22), 입력 상용 교류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코일(L1, L2) 및 캐패시터(C1, C2, C5, C6, C7)을 포함한다.
상기 충격완화부(22)는 전원라인에 상호 병렬 연결되는 써미스터저항(RT1)과 릴레이의 접점(RYS)과 상기 접점(RYS)을 온오프시키는 릴레이의 구동코일(RY1)을 포함한다.
상용전원이 투입되기 전에는 상기 접점(RYS)은 오픈 상태에 있어, 상용전원이 투입되면 상기 써미스터저항(RT1)이 투입된 상용전원을 일부 부담하고, 상기 써미스터저항(RT1)을 통과하여 부담이 완화된 초기 상용전원은 상기 정류부(23)의 캐패시터(C4, C9)를 약하게 충전시키고, 상기 캐패시터(C4, C9)에 충전된 전압은 상기 보조전원부(25)의 제1 IC칩(U1)에 공급되고, 전원을 공급받은 제1 IC칩(U1)은 상기 릴레이의 구동코일(RY1)을 구동시켜 접점(RYS)을 온시킴으로써, 초기 상용전원의 투입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고 이후에는 써미스터저항(RT1)의 상용전원 부담은 없이 상용전원은 접점(YRS)을 통해 공급된다.
상기 정류부(23)는 상기 안정화부(21)를 통해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직류화한다.
상기 정류부(23)는 상용 교류전원을 전파 정류하는 브릿지다이오드(BD1)와, 정류된 전원을 평활하여 직류전원화하는 캐패시터(C4, C9) 및 저항(R4, R6)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전원부(25)는 상기 정류부(23)의 출력 직류전원(BD1+)을 정전압화하여 SMPS(20)의 제1IC칩(U1), 제2IC칩(U3), 제1비교기(U4A) 제2비교기(U4B) 등에 구동전원(VCC+12V)을 공급한다.
상기 보조전원부(25)는
상기 정류부(23)에서 입력되는 전원(BD1+)을 강압하는 제1트랜스(T1)와,
상기 제1트랜스(T1)의 출력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직류전원화하는 다이오드(D3, D9) 및 캐패시터(C8),
상기 정류부(23)의 출력 직류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제1트랜스(T1) 1차측에 스위칭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제1트랜스(T1)의 2차측 출력전원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제1IC칩(U1)과,
상기 다이오드(D3, D9) 및 캐패시터(C8)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1트랜스(T1)의 2차측 출력전원의 크기를 상기 제1IC칩(U1)으로 피드백하여, 제1IC칩(U1)의 스위칭 제어로 제1트랜스(T1)의 출력 전원이 안정되게(즉, 정전압이 되도록) 하는 포토커플러(PC1)를 포함한다.
상기 주전원부(27)는 상기 정류부(23)의 출력 직류전원(BD1+)을 정전압 및 정전류화하여 상기 복원전원공급부(30A) 및 충전전원공급부(30B)에 공급한다.
상기 주전원부(27)는
상기 정류부(23)에서 입력되는 전원(BD1+)을 강압하는 제2트랜스(T2)와,
상기 제2트랜스(T2)의 출력 전원을 정류하는 다이오드(D9, D11), 노이즈를 제거하는 코일(L3), 평활하여 직류화하고 이를 상기 복원전원공급부(30A) 및 충전전원공급부(30B)에 공급하는 다수의 캐패시터(C22, C24, C27, C30, C29, C26, C33),
상기 제2트랜스의 출력전원의 전류 세기를 감지하는 전류감지저항(SHUNT1,2,3), 출력전원의 전압 세기를 감지하는 캐패시터(C25) 및 저항(R23),
상기 제2트랜스(T2)의 1차측에서 온오프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Q1, Q7),
상기 전류감지저항(SHUNT1,2,3)과 상기 캐패시터(C25) 및 저항(R23)이 감지한 출력전원의 전류와 전압 세기를 피드백 받고, 그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1, Q7)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상기 제2트랜스(T2)의 출력전원의 정전압 및 정전류화되어 상기 복원전원공급부(30A) 및 충전전원공급부(30B)에 공급되도록 하는 제2IC칩(U3)과,
상기 제2IC칩(U3)이 출력하는 스위칭제어신호를 상기 트랜지스터(Q1, Q7)에 전달하되, 상기 제2IC칩(U3)과 상기 트랜지스터(Q1, Q7)를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트랜스(PT1, PT2)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감시부(29)는 상기 주전원부(27)의 출력전원을 감시하여, 과전압이 출력될 때에는 상기 주전원부(27)의 제2IC칩(U3)가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여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저전압이 출력될 때에는 이를 상기 마이컴(10)으로 전달하여 상기 부저(80)나 표시부(9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상기 출력감시부(29)는
상기 주전원부(27)의 출력전원을 비반전단자로 입력받고, 기준 과전압을 반전단자로 입력받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상기 제2IC칩(U3)로 전송하는 제1비교기(U4A)와,
상기 주전원부(27)의 출력전원을 비반전단자로 입력받고, 기준 저전압을 반전단자로 입력받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상기 마이컴(10)으로 전송하는 제2비교기(U4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비교기(U4B)는 저전압이 감시된 때에는 발광다이오드(LED1)를 통해 점멸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성을 갖는 배터리 재생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마이컴 20 : SMPS
30A : 복원전원공급부 30B : 충전전원공급부
40 : 정전압 50 : 전원제어부
60 : 절환부 70 : 감지부
80 : 부저 90 : 디스플레이
100 : 션트저항 110 : 방열팬

Claims (2)

  1.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SMPS;
    상기 SMPS에서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펄스파전원으로 변환하고, 이를 배터리의 셀판에 인가하여, 셀판에 고착되어 있는 황산염을 황산 이온으로 분해시키는 복원전원공급부;
    상기 복원전원공급부에서 인가하는 펄스파전원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의 충전전원을 방전시키는 방전부;
    상기 SMPS에서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정전류의 충전전원으로 변환하고, 이를 배터리에 인가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전원공급부;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감지하는 감지부;
    배터리와 상기 복원전원공급부, 그리고 배터리와 상기 충전전원공급부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절환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와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복원전원공급부, 방전부, 충전전원공급부 및 절환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배터리의 셀판에 고착되어 있는 황산염을 기준치 이상으로 분해한 후에 충전하는 배터리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에 연결되고, 배터리의 재생과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마이컴에 연결되고, 배터리의 재생과정에서 이상이 발생되면 경고음을 출력하는 부저;
    상기 SMPS의 출력전원을 정전압화하여 상기 마이컴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부;
    상기 마이컴에 의해 제어되고, 재생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팬;
    배터리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으로 전송하는 션트저항;
    상기 션트저항이 검출한 전압과 전류에 따른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복원전원공급부 및 충전전원공급부가 배터리로 인가하는 전원의 전압과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SMPS는
    입력 상용 교류전원으로 과전류가 인가되는 때에 이를 차단하는 퓨즈(F3)와,
    과전압이 인가되는 때에 이를 차단하는 바리스터(VR1, VR2, VR3),
    입력 상용 교류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코일(L1, L2) 및 캐패시터(C1, C2, C5, C6, C7)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안정화부(21)와,

    상기 안정화부(21)를 통해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직류화하는 정류부(23)와,

    상기 정류부(23)에서 입력되는 전원(BD1+)을 강압하는 제1트랜스(T1)와,
    상기 제1트랜스(T1)의 출력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직류전원화하는 다이오드(D3, D9) 및 캐패시터(C8),
    상기 정류부(23)의 출력 직류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제1트랜스(T1) 1차측에 스위칭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제1트랜스(T1)의 2차측 출력전원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제1IC칩(U1)과,
    상기 다이오드(D3, D9) 및 캐패시터(C8)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1트랜스(T1)의 2차측 출력전원의 크기를 상기 제1IC칩(U1)으로 피드백하여, 제1IC칩(U1)의 스위칭 제어로 제1트랜스(T1)의 출력 전원이 안정되게 하는 포토커플러(PC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정류부(23)의 출력 직류전원(BD1+)을 정전압화하여 구동전원(VCC+12V)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25)와,

    전원라인에 상호 병렬 연결되는 써미스터저항(RT1)과 릴레이의 접점(RYS)과 상기 접점(RYS)을 온오프시키는 릴레이의 구동코일(RY1)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용전원이 투입되기 전에는 상기 접점(RYS)은 오픈 상태에 있어, 상용전원이 투입되면 상기 써미스터저항(RT1)이 투입된 상용전원을 일부 부담하고, 상기 써미스터저항(RT1)을 통과하여 부담이 완화된 초기 상용전원은 상기 정류부(23)의 캐패시터(C4, C9)를 약하게 충전시키고, 상기 캐패시터(C4, C9)에 충전된 전압은 보조전원부(25)의 제1 IC칩(U1)에 공급되고, 전원을 공급받은 제1 IC칩(U1)은 상기 릴레이의 구동코일(RY1)을 구동시켜 접점(RYS)을 온시킴으로써, 초기 상용전원의 투입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고 이후에는 써미스터저항(RT1)의 상용전원 부담은 없이 상용전원은 접점(YRS)을 통해 공급되도록 하는 충격완화부(22)와,

    상기 정류부(23)에서 입력되는 전원(BD1+)을 강압하는 제2트랜스(T2)와,
    상기 제2트랜스(T2)의 출력 전원을 정류하는 다이오드(D9, D11), 노이즈를 제거하는 코일(L3), 평활하여 직류화하고 이를 상기 복원전원공급부(30A) 및 충전전원공급부(30B)에 공급하는 다수의 캐패시터(C22, C24, C27, C30, C29, C26, C33),
    상기 제2트랜스의 출력전원의 전류 세기를 감지하는 전류감지저항(SHUNT1,2,3), 출력전원의 전압 세기를 감지하는 캐패시터(C25) 및 저항(R23),
    상기 제2트랜스(T2)의 1차측에서 온오프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Q1, Q7),
    상기 전류감지저항(SHUNT1,2,3)과 상기 캐패시터(C25) 및 저항(R23)이 감지한 출력전원의 전류와 전압 세기를 피드백 받고, 그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1, Q7)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상기 제2트랜스(T2)의 출력전원의 정전압 및 정전류화되어 상기 복원전원공급부(30A) 및 충전전원공급부(30B)에 공급되도록 하는 제2IC칩(U3)과,
    상기 제2IC칩(U3)이 출력하는 스위칭제어신호를 상기 트랜지스터(Q1, Q7)에 전달하되, 상기 제2IC칩(U3)과 상기 트랜지스터(Q1, Q7)를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트랜스(PT1, PT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정류부(23)의 출력 직류전원(BD1+)을 정전압 및 정전류화하여 상기 복원전원공급부(30A) 및 충전전원공급부(30B)에 공급하는 주전원부(27)와,

    상기 주전원부(27)의 출력전원을 비반전단자로 입력받고, 기준 과전압을 반전단자로 입력받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상기 제2IC칩(U3)로 전송하는 제1비교기(U4A)와,
    상기 주전원부(27)의 출력전원을 비반전단자로 입력받고, 기준 저전압을 반전단자로 입력받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상기 마이컴(10)으로 전송하는 제2비교기(U4B)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주전원부(27)의 출력전원을 감시하여, 과전압이 출력될 때에는 상기 주전원부(27)의 제2IC칩(U3)이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여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저전압이 출력될 때에는 이를 상기 마이컴(10)으로 전달하여 상기 부저(80)나 표시부(9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출력감시부(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재생장치.
  2. 삭제
KR1020120035447A 2011-04-08 2012-04-05 배터리 재생장치 KR101467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484 2011-04-08
KR20110032484A KR20110113151A (ko) 2010-04-08 2011-04-08 배터리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122A KR20120115122A (ko) 2012-10-17
KR101467520B1 true KR101467520B1 (ko) 2014-12-02

Family

ID=47296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447A KR101467520B1 (ko) 2011-04-08 2012-04-05 배터리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5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940B1 (ko) * 2012-12-05 2013-08-30 (주)오씨티 폐 배터리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499816B1 (ko) * 2013-11-29 2015-03-12 (주) 퓨리켐 납축전지 성능 개선형 복합 펄스파워 충전장치
CN110365075B (zh) * 2019-07-05 2023-01-13 西安新摩尔半导体有限公司 一种电池充电装置和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0939A (ko) * 2006-07-13 2006-08-17 공선택 연축전지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KR20100114953A (ko) * 2009-04-17 2010-10-27 나준길 배터리 충전재생기
KR101003881B1 (ko) * 2010-05-04 2010-12-30 정은철 배터리 재생장치
KR20110033757A (ko) * 2009-09-25 2011-03-31 임만식 배터리 재생/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0939A (ko) * 2006-07-13 2006-08-17 공선택 연축전지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KR20100114953A (ko) * 2009-04-17 2010-10-27 나준길 배터리 충전재생기
KR20110033757A (ko) * 2009-09-25 2011-03-31 임만식 배터리 재생/충전 장치
KR101003881B1 (ko) * 2010-05-04 2010-12-30 정은철 배터리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122A (ko)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9465B2 (en) Battery charging circuit generating an oscillating triangular waveform to remove sulphate from battery plates
US20040232885A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KR101467520B1 (ko) 배터리 재생장치
JP2009278822A (ja) 電子機器
JP5961121B2 (ja) 電池劣化計測装置および方法
KR20060090939A (ko) 연축전지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JP2010035401A (ja) センサ制御式洗浄装置,およびその電源管理方法と電源管理システム
CN115051049A (zh) 一种蓄电池能量保护装置、方法和系统
US20160285290A1 (en) Charger
KR101844855B1 (ko) 정전 대응 기능을 구비한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JP2011078246A (ja) 充電装置及び充電システム
KR101490335B1 (ko) 축전지의 성능 향상을 위한 축전지 충방전 장치와 이를 이용한 축전지의 충방전 방법
KR102378696B1 (ko) 이차전지 성능 복원 장치
KR101195875B1 (ko) 배터리 컨트롤러 및 그 배터리 제어방법
KR20120010805A (ko) 배터리의 재생 및 충전방법
KR20110113151A (ko) 배터리 재생장치
CN112271805A (zh) 一种电源切换电路、电源切换方法、线控器及空调设备
JP2014023300A (ja) 過電圧保護装置
JP2010129538A (ja) 鉛蓄電池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JP3980758B2 (ja) 小型電気機器
KR20060047468A (ko) 축전지의 충전 기능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1798563B1 (ko)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시스템 및 그 수명예측방법
KR200330414Y1 (ko) 배터리 전극 회복장치
KR101628450B1 (ko) 고전압 펄스 시스템 및 고전압 펄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869105B1 (ko) 전원 장치 제어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