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276B1 -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 - Google Patents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276B1
KR101467276B1 KR1020130135379A KR20130135379A KR101467276B1 KR 101467276 B1 KR101467276 B1 KR 101467276B1 KR 1020130135379 A KR1020130135379 A KR 1020130135379A KR 20130135379 A KR20130135379 A KR 20130135379A KR 101467276 B1 KR101467276 B1 KR 101467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desk
fastening
hole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순
Original Assignee
신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순 filed Critical 신상순
Priority to KR1020130135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3Rims for table tops
    • A47B2013/085Rims for table tops having a mounting we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각 판체형상으로서 네 모서리에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가림판과, 상기 가림판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가림판이 끼워져 좌우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각각 후면부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결합 되고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축이 결합된 한 쌍의 체결판으로 구성된 전면칸막이와, 책상 좌, 우측 양면의 시선을 차단하며 손잡이가 구비되고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승강홈과 상기 승강홈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일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되고 상기 승강홈의 중단부에 연결되어 타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된 다수의 고정턱이 구비된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홈의 상단부와 중단부 및 하단부에 "X"자 형상의 체결너트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X"자 형상의 인출공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면 단부에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에 교호(交互)로 결합 되어 접철되며, 내측 및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회동축이 일체로 형성된 좌,우측칸막이로 구성되는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양측면에 고정부재가 통과하여 고정되도록 한 쌍의 고정공이 형성된 "ㄴ"자 형상의 고정구와, 원기둥 형상으로서 일측이 상기 고정구와 결합되고 타측이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봉과, "X"자 형상의 헤드에 일체로 결합 된 원통 형상의 몸체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봉에 체결되는 체결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구로 구성된다.
따라서 칸막이를 책상에 결합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책상으로부터 칸막이의 분리시 칸막이의 높낮이 위치에 관계없이 분리가 가능하고 칸막이에 형성된 인출공과 체결너트의 형태가 정확히 일치해야만 책상으로부터 칸막이의 분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고, 승강홈에 파형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칸막이가 일시에 하강하지 않아 안전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The polyfunctional variable detachable partition for a desk}
본 발명은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칸막이를 책상에 결합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책상으로부터 칸막이의 분리시 칸막이의 높낮이 위치에 관계없이 분리가 가능하고 칸막이에 형성된 인출공과 체결너트의 형태가 정확히 일치해야만 책상으로부터 칸막이의 분리가 가능한 책상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학원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실용 책상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10)을 이루는 상판(20)과 상기 상판(110)을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책상다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교실용 책상은 사방이 개방되어 있어, 학생들이 선생님의 수업을 잘 보고들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선생님의 시야가 확보되어 편안하게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형태의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실용 책상은 수업이 끝난 후 혼자 학습을 하는 경우에 전면 및 주위가 개방되어 있는 관계로 학생들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여 학습 능률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치마를 착용한 여학생들이 책상에 앉은 자세나 옷매무새에 부주의할 경우, 맞은편에서 수업을 진행하는 선생님에게 치마 안쪽의 신체 일부가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일부 학생들은 학습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업이 끝난 후 별도의 공간인 자습실이나 독서실에 가서 전면 및 양 측면이 폐쇄된 구조로 된 독서실용 책상에서 학습함으로써 학습 능률이 향상되도록 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학생들의 학습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공간에 자습실 또는 독서실을 학원 또는 학교에서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일반 교실용 책상은 일반 수업에는 효과가 좋으나 주위가 차단되지 않아 적절한 폐쇄성이 요구되는 개인 학습용으로 부적절하며 별도의 공간에 설치되는 독서실이나 자습실은 그에 따른 상당한 비용으로 인하여 학교나 학원 측의 부담이 되고 있다.
따라서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285100호 "집중력 향상 및 신상보호를 위한 책상 가림구"를 출원하여 등록받았다.
상기 발명은 가림판(30)을 책상(1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200)와 가림판(30)으로 구성되는 책상 가림구로서, 상기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도 1a(종래 책상가림구의 구성 중 체결구의 분리사시도)와, 도 1b(종래 책상가림구의 결합관계 분리사시도)를 참고하면, 책상(10)의 전면과 좌우 양측면의 시선을 차단할 수 있도록 "ㄷ"자형으로 이루어진 가림판(30) 및 상기 가림판(30)을 책상(10)에 체결하는 체결구(200)로 구성되는 책상 가림구로서, 상기 가림판(30)은 책상 전면의 시선을 차단하며, 책상(10) 상판(20)의 상면(21)에 접하지 않도록 공간부(38)가 형성된 전면가림판(31)과, 책상 좌우측 양면의 시선을 차단하며, 손잡이(34)가 구비되고,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승강홈(36) 및 상기 승강홈(36)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일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되고 상기 승강홈(36)의 중단부에 연결되어 타측으로 상향 형성된 다수의 고정턱(37)이 구비된 체결홈(35)이 형성되는 우측가림판(32) 및 좌측가림판(3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구(200)는 책상(10) 상판(20)의 측면(22)에 고정부재(300)에 의해 고정되는 "ㄴ"자 형상의 고정구(211)와, 상기 고정구(211)와 일측이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고정봉(212)과, 상기 고정봉(212)의 타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봉(212)에 체결되는 체결너트(230)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구(211)에는 한 쌍의 고정공(21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고정공(213)을 통과하여 상기 책상 상판(20)의 측면(22)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형성된 상기 발명은 가림판을 상하로 승,하강시키면서 학습자의 집중력을 향상시켜 학습 능률을 높일 수 있고, 치마를 착용한 여학생의 다리 부분을 가려 신상보호를 함으로써 여학생이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모든 학교의 책상이 규격화되어 있지 않아 학교마다 책상의 가로폭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책상의 가로폭에 맞는 가림판을 매번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더불어 책상으로부터 가림판을 탈착하여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책상으로부터 가림판의 분리가 필요한 시험시간 등에 있어서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13-0093406호 "다 기능성 책상 칸막이"를 출원하였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도 1c 내지 도 1e를 참고하면, 책상(10) 전면의 시선을 차단하며 책상(10) 상판(20)의 상면(21)에 접하지 않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전면칸막이(110)와, 책상 좌우측 양면의 시선을 차단하며 손잡이(112)가 구비되고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승강홈(113) 및 상기 승강홈(113)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일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되고 상기 승강홈(113)의 중단부에 연결되어 타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된 다수의 고정턱(114)이 구비된 체결홈(115)이 형성되는 좌측칸막이(120) 및 우측칸막이(130)로 구성되는 칸막이(100)와, 상기 칸막이(100)를 책상(10)에 체결하는 체결구(200)로 구성되는 책상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전면칸막이(110)는 사각 판체형상으로서 좌,우측 상측단에 각각 일자형의 레일편(141)이 일체로 결합 형성되고 네 모서리에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142)이 각각 형성된 가림판(140)과, 상기 가림판(140)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가림판(140)의 레일편이 끼워져 좌우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후면부 상측단 및 하측단에 각각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림판(140)의 관통공(142)과 마주보며 서로 관통되도록 각각 우측 상,하단 및 좌측 상,하단 모서리에 통공이 형성되며, 각각 후면부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결합 되고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축이 형성된 한 쌍의 체결판(150, 160);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 우측칸막이(120, 130)는 상기 승강홈(113)의 상단부에 체결너트(230)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인출공(116)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면 단부에는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에 교호(交互)로 결합 되어 접철되며 내,외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회동축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형성된 상기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보관이 용이하며 안전한 장점이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지만, 상기 칸막이를 책상에 결합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구를 구비해야 하며, 상기 체결구를 책상에 먼저 장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상기 좌, 우측칸막이는 상기 승강홈의 상단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서만 체결너트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단점이 있었으며, 승강홈이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칸막이가 체결봉을 따라 거침없이 일시에 떨어져 내려 체결봉에 하중을 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0901243호, 2009년 06월 08일 공고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285100호, 2012년 06월 22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칸막이를 책상에 결합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책상으로부터 칸막이의 분리시 칸막이의 높낮이 위치에 관계없이 분리가 가능한 책상 칸막이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두 번째 목적은 칸막이에 형성된 인출공과 체결너트의 형태가 정확히 일치해야만 책상으로부터 칸막이의 분리가 가능한 책상 칸막이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세 번째 목적은 승강홈에 파형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칸막이가 일시에 하강하지 않아 안전한 책상 칸막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 판체형상으로서 네 모서리에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가림판과, 상기 가림판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가림판이 끼워져 좌우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각각 후면부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결합 되고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축이 결합된 한 쌍의 체결판으로 구성된 전면칸막이와, 책상 좌, 우측 양면의 시선을 차단하며 손잡이가 구비되고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승강홈과 상기 승강홈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일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되고 상기 승강홈의 중단부에 연결되어 타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된 다수의 고정턱이 구비된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홈의 상단부와 중단부 및 하단부에 "X"자 형상의 체결너트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X"자 형상의 인출공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면 단부에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에 교호(交互)로 결합 되어 접철되며, 내측 및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회동축이 일체로 형성된 좌,우측칸막이로 구성되는 칸막이와, 책상 상판의 양측면에 고정부재가 통과하여 고정되도록 한 쌍의 고정공이 형성된 "ㄴ"자 형상의 고정구와, 원기둥 형상으로서 일측이 상기 고정구와 결합되고 타측이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봉과, "X"자 형상의 헤드에 일체로 결합 된 원통 형상의 몸체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봉에 체결되는 체결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구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칸막이를 책상에 결합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책상으로부터 칸막이의 분리시 칸막이의 높낮이 위치에 관계없이 분리가 가능하고 칸막이에 형성된 인출공과 체결너트의 형태가 정확히 일치해야만 책상으로부터 칸막이의 분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승강홈에 파형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칸막이가 일시에 하강하지 않아 안전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a는 종래 책상가림구의 구성 중 체결구의 분리사시도
도 1b는 종래 책상가림구의 결합관계 분리사시도
도 1c는 종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책상 칸막이를 보여주는 전면 사시도
도 1d는 종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책상 칸막이를 보여주는 후면 사시도
도 1e는 종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책상 칸막이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의 구성 중 체결구의 분리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의 구성 중 체결구의 분리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의 구성 중 체결구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의 구성 중 체결판의 회동축과 고정축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의 구성 중 체결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2a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는 칸막이(100)와 체결구(201)로 구성된다.
상기 칸막이(100)는 전면칸막이(110)와 좌,우측칸막이(120, 130)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칸막이(110)는 사각 판체형상으로서 네 모서리에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142)이 각각 형성된 가림판(140)과, 상기 가림판(140)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가림판(140)이 끼워져 좌우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각각 후면부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결합 되고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축이 결합된 한 쌍의 체결판(150, 1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칸막이(120, 130)는 책상 좌, 우측 양면의 시선을 차단하며 손잡이(112)가 구비되고 높이 방향으로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된 승강홈(113)과 상기 승강홈(113)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일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되고 상기 승강홈(113)의 중단부에 연결되어 타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된 다수의 고정턱(114)이 구비된 체결홈(115)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홈(113)의 상단부와 중단부 및 하단부에 "X"자 형상의 체결너트(231)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X"자 형상의 인출공(116)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면 단부에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에 교호(交互)로 결합 되어 접철되며, 내측 및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회동축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201)는 책상 상판의 양측면에 고정부재가 통과하여 고정되도록 한 쌍의 고정공(213)이 형성된 "ㄴ"자 형상의 고정구(211)와, 원기둥 형상으로서 일측이 상기 고정구(211)와 결합되고 타측이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봉(212)과, "X"자 형상의 헤드에 일체로 결합 된 원통 형상의 몸체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봉(212)에 체결되는 체결너트(231)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체결구(201)의 구성은 상기 체결너트(231)가 종래의 겉도는 방식의 구성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로는 상기 칸막이를 책상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너트를 상기 인출공의 형상에 맞추기 위해 회전해야 하며, 이러한 체결너트의 계속되는 회전에 의해 사기 체결구로부터 체결너트가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책상으로부터 칸막이의 분리시 칸막이의 높낮이 위치에 관계없이 상단과 중단 및 하단에서 분리가 가능하고 칸막이에 형성된 인출공과 체결너트의 형태가 정확히 일치해야만 책상으로부터 칸막이의 분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의 구성 중 체결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2b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는 칸막이(100)와 체결구(202)로 구성된다.
상기 칸막이(100)는 전면칸막이(110)와 좌,우측칸막이(120, 130)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칸막이(110)는 사각 판체형상으로서 네 모서리에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142)이 각각 형성된 가림판(140)과, 상기 가림판(140)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가림판(140)이 끼워져 좌우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각각 후면부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결합 되고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축이 결합된 한 쌍의 체결판(150, 1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칸막이(120, 130)는 책상 좌, 우측 양면의 시선을 차단하며 손잡이(112)가 구비되고 높이 방향으로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된 승강홈(113)과 상기 승강홈(113)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일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되고 상기 승강홈(113)의 중단부에 연결되어 타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된 다수의 고정턱(114)이 구비된 체결홈(115)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홈(113)의 상단부와 중단부 및 하단부에 바람개비 형상의 체결너트(231)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바람개비 형상의 인출공(116)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면 단부에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에 교호(交互)로 결합 되어 접철되며, 내측 및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회동축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202)는 책상 상판의 양측면에 고정부재가 통과하여 고정되도록 한 쌍의 고정공(213)이 형성된 "ㄴ"자 형상의 고정구(211)와, 원기둥 형상으로서 일측이 상기 고정구(211)와 결합되고 타측이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봉(212)과, 바람개비 형상의 헤드에 일체로 결합 된 원통 형상의 몸체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봉(212)에 체결되는 체결너트(232)로 구성된다.
따라서 책상으로부터 칸막이의 분리시 칸막이의 높낮이 위치에 관계없이 상단과 중단 및 하단에서 분리가 가능하고 칸막이에 형성된 인출공과 체결너트의 형태가 정확히 일치해야만 책상으로부터 칸막이의 분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체결구(202)의 구성은 상기 체결너트(232)가 종래의 겉도는 방식의 구성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로는 상기 칸막이를 책상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너트를 상기 인출공의 형상에 맞추기 위해 회전해야 하며, 이러한 체결너트의 계속되는 회전에 의해 사기 체결구로부터 체결너트가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책상으로부터 칸막이의 분리시 칸막이의 높낮이 위치에 관계없이 상단과 중단 및 하단에서 분리가 가능하고 칸막이에 형성된 인출공과 체결너트의 형태가 정확히 일치해야만 책상으로부터 칸막이의 분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의 구성 중 체결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2c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는 칸막이(100)와 체결구(203)로 구성된다.
상기 칸막이(100)는 사각 판체형상으로서 네 모서리에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142)이 각각 형성된 가림판(140)과, 상기 가림판(140)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가림판(140)이 끼워져 좌우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각각 후면부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결합 되고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축이 결합된 한 쌍의 체결판(150, 160)으로 구성된 전면칸막이(110)와, 책상 좌, 우측 양면의 시선을 차단하며 손잡이(112)가 구비되고 높이 방향으로 일자형으로 홈이 길게 형성되며 상기 홈에 파형의 돌기가 형성된 승강홈(113)과 상기 승강홈(113)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일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되고 상기 승강홈(113)의 중단부에 연결되어 타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된 다수의 고정턱(114)이 구비된 체결홈(115)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홈(113)의 상단부와 중단부 및 하단부에 체결너트(233)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인출공(116)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면 단부에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에 교호(交互)로 결합 되어 접철되며, 내측 및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회동축이 일체로 형성된 좌,우측칸막이(120, 130)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구(203)는 책상 상판의 양측면에 고정부재가 통과하여 고정되도록 한 쌍의 고정공(213)이 형성된 "ㄴ"자 형상의 고정구(211)와, 원기둥 형상으로서 일측이 상기 고정구(211)와 결합되고 타측이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봉(212)과, 원형상의 헤드에 일체로 결합 된 몸체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돌기와 홈이 연접하여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봉(212)에 체결되는 체결너트(233)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는 승강홈에 파형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칸막이가 일시에 하강하지 않아 안전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로서,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는 칸막이(100)와 체결나사(220)로 구성된다.
상기 칸막이(100)는 사각 판체형상으로서 네 모서리에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142)이 각각 형성된 가림판(140)과, 상기 가림판(140)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가림판(140)이 끼워져 좌우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각각 후면부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결합 되고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축이 결합된 한 쌍의 체결판(150, 160)으로 구성된 전면칸막이(110)와, 책상 좌, 우측 양면의 시선을 차단하며 손잡이(112)가 구비되고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승강홈(113)과 상기 승강홈(113)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일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되고 상기 승강홈(113)의 중단부에 연결되어 타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된 다수의 고정턱(114)이 구비된 체결홈(115)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홈(113)의 상단부와 중단부 및 하단부에 체결너트(230)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인출공(116)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면 단부에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에 교호(交互)로 결합 되어 접철되며, 내측 및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회동축이 일체로 형성된 좌,우측칸막이(120, 130)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나사는 나사형상으로서 헤드에 십자형의 홈이 형성되고 중단에서 하단까지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100)를 책상(10)에 체결하기 위하여 책상 상판의 양측면에 장착되며, 좌우 양측 각각 한 쌍이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는 칸막이를 책상에 결합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의 구성 중 체결판의 회동축과 고정축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로서, 도 7을 참고하면, 본원 발명의 체결판(150, 160)에는 각각 후면부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결합 되고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1)와 홈(2)이 교대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축(155)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축(155)은 후술하는 회동축(121)과 결합하여 절첩 된다.
상기 회동축(121)은 상기 고정축(155)과 교호로 결합 되어 절첩되는 것으로서 회동축에 형성되는 돌기는 고정축에 형성된 홈에, 회동축에 형성된 홈에는 고정축에 형성된 돌기가 끼워 들어가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도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구조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축(155)은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ㄱ"자 형태로 되어 있고, 교호로 결합 되는 회동축(121)이 내측에서 끼워져 결합 되는 형태로 되어 있어 회동축을 고정축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내측 방향으로만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축은 고정축 방향으로 접을 수 있어 책상으로부터 분리된 칸막이를 접어서 보관하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1 : 돌기 2 : 홈
10 : 책상 20 : 상판
21 : 상면 22 : 측면
30 : 가림판 31 ; 전면가림판
32 : 우측가림판 33 : 좌측가림판
34, 112 : 손잡이 35, 115 : 체결홈
36, 113 : 승강홈 37, 114 : 고정턱
38 : 공간부 100 : 칸막이
110 : 전면칸막이 116 : 인출공
120 : 좌측칸막이 121 : 회동축
130 : 우측칸막이 140 : 가림판
141 : 레일편 142 : 관통공
150, 160 : 체결판 155 : 고정축
200, 201, 202, 203 : 체결구 211 : 고정구
212 : 고정봉 213 : 고정공
220 : 체결나사 230, 231, 232, 233 : 체결너트
300 : 고정부재

Claims (3)

  1. 사각 판체형상으로서 네 모서리에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142)이 각각 형성된 가림판(140)과, 상기 가림판(140)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가림판(140)이 끼워져 좌우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각각 후면부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결합 되고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축이 결합된 한 쌍의 체결판(150, 160)으로 구성된 전면칸막이(110)와, 책상 좌, 우측 양면의 시선을 차단하며 손잡이(112)가 구비되고 높이 방향으로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된 승강홈(113)과 상기 승강홈(113)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일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되고 상기 승강홈(113)의 중단부에 연결되어 타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된 다수의 고정턱(114)이 구비된 체결홈(115)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홈(113)의 상단부와 중단부 및 하단부에 "X"자 형상의 체결너트(231)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X"자 형상의 인출공(116)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면 단부에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에 교호(交互)로 결합 되어 접철되며, 내측 및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회동축이 일체로 형성된 좌,우측칸막이(120, 130)로 구성되는 칸막이(100);와,
    책상 상판의 양측면에 고정부재가 통과하여 고정되도록 한 쌍의 고정공(213)이 형성된 "ㄴ"자 형상의 고정구(211)와, 원기둥 형상으로서 일측이 상기 고정구(211)와 결합되고 타측이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봉(212)과, "X"자 형상의 헤드에 일체로 결합 된 원통 형상의 몸체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봉(212)에 체결되는 체결너트(231)로 이루어지는 체결구(20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
  2. 사각 판체형상으로서 네 모서리에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142)이 각각 형성된 가림판(140)과, 상기 가림판(140)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가림판(140)이 끼워져 좌우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각각 후면부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결합 되고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축이 결합된 한 쌍의 체결판(150, 160)으로 구성된 전면칸막이(110)와, 책상 좌, 우측 양면의 시선을 차단하며 손잡이(112)가 구비되고 높이 방향으로 일자형으로 홈이 길게 형성되며 상기 홈에 파형의 돌기가 형성된 승강홈(113)과 상기 승강홈(113)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일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되고 상기 승강홈(113)의 중단부에 연결되어 타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된 다수의 고정턱(114)이 구비된 체결홈(115)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홈(113)의 상단부와 중단부 및 하단부에 체결너트(233)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인출공(116)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면 단부에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에 교호(交互)로 결합 되어 접철되며, 내측 및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회동축이 일체로 형성된 좌,우측칸막이(120, 130)로 구성되는 칸막이(100);와,
    책상 상판의 양측면에 고정부재가 통과하여 고정되도록 한 쌍의 고정공(213)이 형성된 "ㄴ"자 형상의 고정구(211)와, 원기둥 형상으로서 일측이 상기 고정구(211)와 결합되고 타측이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봉(212)과, 원형상의 헤드에 일체로 결합 된 몸체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돌기와 홈이 연접하여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봉(212)에 체결되는 체결너트(233)로 이루어지는 체결구(20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
  3. 사각 판체형상으로서 네 모서리에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142)이 각각 형성된 가림판(140)과, 상기 가림판(140)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가림판(140)이 끼워져 좌우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각각 후면부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결합 되고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축이 결합된 한 쌍의 체결판(150, 160)으로 구성된 전면칸막이(110)와, 책상 좌, 우측 양면의 시선을 차단하며 손잡이(112)가 구비되고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승강홈(113)과 상기 승강홈(113)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일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되고 상기 승강홈(113)의 중단부에 연결되어 타측 방향으로 상향 형성된 다수의 고정턱(114)이 구비된 체결홈(115)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홈(113)의 상단부와 중단부 및 하단부에 체결너트(230)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인출공(116)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면 단부에 상측면 및 하측면에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에 교호(交互)로 결합 되어 접철되며, 내측 및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회동축이 일체로 형성된 좌,우측칸막이(120, 130)로 구성되는 칸막이(100);와,
    나사형상으로서 헤드에 십자형의 홈이 형성되고 중단에서 하단까지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100)를 책상(10)에 체결하기 위하여 책상 상판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체결나사(220);로 구성되는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
KR1020130135379A 2013-11-08 2013-11-08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 KR101467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379A KR101467276B1 (ko) 2013-11-08 2013-11-08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379A KR101467276B1 (ko) 2013-11-08 2013-11-08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276B1 true KR101467276B1 (ko) 2014-12-01

Family

ID=52677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379A KR101467276B1 (ko) 2013-11-08 2013-11-08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2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322A (ko) * 2020-12-10 2022-06-17 김태환 인출식 칸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
CN114847636A (zh) * 2022-04-25 2022-08-05 温州医科大学仁济学院 一种心理咨询智能交互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775A (ko) * 2010-05-20 2011-11-28 신상순 집중력 향상 및 신상보호를 위한 책상 가림구
KR20120066221A (ko) * 2010-12-14 2012-06-22 신상순 집중력 향상 및 신상보호를 위한 책상 가림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775A (ko) * 2010-05-20 2011-11-28 신상순 집중력 향상 및 신상보호를 위한 책상 가림구
KR20120066221A (ko) * 2010-12-14 2012-06-22 신상순 집중력 향상 및 신상보호를 위한 책상 가림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322A (ko) * 2020-12-10 2022-06-17 김태환 인출식 칸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
KR102431298B1 (ko) 2020-12-10 2022-08-10 김태환 인출식 칸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
CN114847636A (zh) * 2022-04-25 2022-08-05 温州医科大学仁济学院 一种心理咨询智能交互设备
CN114847636B (zh) * 2022-04-25 2023-11-07 温州医科大学仁济学院 一种心理咨询智能交互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65772T3 (es) Sistema de mobiliario de sala de aprendizaje
US9883737B2 (en) Height-adjustable table and method of assembly
KR102032188B1 (ko) 휴대용 가림판
EP3116346B1 (de) Laborvorrichtung
KR101438404B1 (ko) 다 기능성 책상 칸막이
US20150086968A1 (en) Education carrell for instruction and testing environments
US201701021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n interactive/flat panel display device
KR101285100B1 (ko) 집중력 향상 및 신상보호를 위한 책상 가림구
KR101467276B1 (ko) 다 기능 가변형 탈부착 책상 칸막이
US9781996B1 (en) Computerized desk with a touch screen
CN203493070U (zh) 一种多功能讲台
CN209993118U (zh) 多媒体教学演示装置
CN205030726U (zh) 一种高等数学教学用多功能教具
CN111127960A (zh) 一种安全性强的多媒体教学装置
KR101101303B1 (ko) 집중력 향상 및 신상보호를 위한 책상 가림구
CN208351762U (zh) 一种数学教学展示设备
KR101670186B1 (ko) 시청각 교육용 칠판
US5515125A (en) Storage cart for instructional devices
KR200467609Y1 (ko) 칸막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교실 학습용 다목적 책상
JP5360396B2 (ja) ボードを着脱可能に備えた間仕切り装置
KR20170003120U (ko) 가림판을 구비한 교실용 책상
CN108065638A (zh) 美术专业用多功能桌
CN213371050U (zh) 一种带有算盘的学习桌
KR20230017490A (ko) 3면 1인 책상용 일체형 독서실 칸막이
CN215603867U (zh) 一种便于教学展示用教学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