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948B1 - Bike stand - Google Patents

Bike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948B1
KR101466948B1 KR1020130099161A KR20130099161A KR101466948B1 KR 101466948 B1 KR101466948 B1 KR 101466948B1 KR 1020130099161 A KR1020130099161 A KR 1020130099161A KR 20130099161 A KR20130099161 A KR 20130099161A KR 101466948 B1 KR101466948 B1 KR 101466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parking frame
paper
parking
mit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9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수영
Original Assignee
최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영 filed Critical 최수영
Priority to KR1020130099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9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9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8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recesses or channelled rails for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14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ke stand and, more specifically, to a bike stand which can prevent a theft by a third party while parking a corresponding autobicycle vertically to the floor of a parking space to prevent the parked autobicycle (bike) from leaning to or falling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rking frame having an internal space with a length and a width enough to make one among plural wheels of an autobicycle enter and to house the wheel; a wheel stop vertically installed to protrude upwards from one sid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king frame, closely contacting and stopping the wheel having entered into the parking frame and surrounding the close contact portion; a wheel holding tray installed at an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king frame and rotating to an entrance side direction in a state of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ct portion to restrict the wheel when the wheel enters; and a locking device blocking arbitrary rotation of the wheel holding tray and preventing the wheel from being deviated out of the parking frame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and installed in a traverse side of the parking frame.

Description

바이크 스탠드{BIKE STAND}Bike stand {BIKE STAND}

본 발명은 바이크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된 오토바이(바이크)가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다른 쪽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해당 오토바이를 주차공간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세워둘 수 있으면서도 제3자에 의한 도난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바이크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st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cycle stand capable of standing the motorcycle vertically to the floor of a parking space so that a parked motorcycle (bike) does not tilt to one side or collapse to the other side, To a bike stand.

오토바이(Auto bicycle / Bike)의 사전적 의미는, 원동기(原動機, Prime mover)를 장치하여 그 동력으로 바퀴가 돌아가게 만든 자전거를 뜻하는 것으로서, 빠른 속도와 아슬아슬한 코너링을 즐기며 흔히 R차라 불리는 레플리카, 레플리카에서 카울(Cowl)을 벗겨낸 것이 특징으로 온로드(On road) 라이딩(Riding)을 위한 네이키드, 시트포지션(Seat position)이 낮고 전장(全長)이 긴 것이 특징인 아메리칸, 비포장 오프로드(Off road)를 달리기 위한 산악용 바이크인 오프로드, 통학이나 배달 등과 같은 실생활에서 근거리 이동수단으로 바퀴의 지름이 보통의 오토바이보다 작은 것이 특징인 스쿠터 등등 이 밖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A bicycle (bicycle) is a bicycle that has a prime mover mounted on it. The bicycle has a high speed and a narrow cornering. It has a replica called R car , Off the cowl on the replica, features a naked seat for on-road riding, american with low seat position and long overall length, off-road off- There are many other types of motorcycles, such as off-road bikes for off-road driving, scooters that are smaller in size than ordinary motorcycles, and are suitable for short-distance travel in real life situations such as school or delivery.

여기서, 앞서 언급한 아메리칸 바이크(American bike)는, 운전자 및 동승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를 잡을 수 있도록 낮게 설계된 서스펜션(Suspension)과 시트(Seat)를 탑재해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어, 많은 이들이 투어링(Touring)의 목적으로 운행한다. 예컨대, 친구나 연인과 함께 타고 석양이 저무는 해안도로를 한가로이 달리며 자연과 낭만을 느끼기에 매우 적합한 오토바이라 할 수 있다.Here, the above-mentioned American bike can provide a smooth ride with a low-designed suspension and seat so that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can take a more comfortable posture, Touring. For example, it can be a motorcycle suitable for feeling nature and romance, running freely on the coast road where the sun sets with friends and lovers.

그러나, 상술한 특성상 일반인들이 구입하기에는 부담이 큰 고가의 구매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어서, 대부분 여가와 취미생활을 즐기는데 부담이 없는 부류의 마니아(Mania)들이 소유하고 있다.However, due to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it is true that the public purchases a high priced purchase price which is burdensome for purchasing, and therefore they are owned by a group of mania that do not have the burden of enjoying leisure and hobbies.

일 예로, 할리데이비슨(Harley davidson), 골드윙(Gold wing) 등과 같이 해외 유명브랜드사에서 제작한 아메리칸 바이크의 경우, 일반 중형차 한대의 구매가에 맞먹는 2,000만원을 호가하는 가격대가 책정되고 있다. 따라서, 대개의 소유자들은 저택에 마련된 전용주차장에 주차 및 보관해 두는 경우가 대부분인 실정이다.For example, American bikes, such as Harley Davidson and Gold Wing, manufactured by overseas famous brands, are priced at 20 million won, equivalent to the purchase price of a typical medium-sized car. Therefore, most owners often park their car in a private car park in the residence.

헌데, 여가 및 취미생활을 즐기기 위한 목적지(여행지 등)는 저택 내 전용주차장과는 판이한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고, 해당 바이크의 안전한 주차를 위해서 특수한 주자장비를 매번 싣고 다닐 수도 없는 노릇이어서 어쩔 수 없이 차체에 장착된 간이스탠드를 이용하여 바이크를 일측으로 기울여 주차해 두게 된다.However, it is a reality that the destination (such as travel destination) for enjoying leisure and hobbies is different from the private parking in the mansion. However, since it is impossible to carry special runner equipment every time for safe parking of the bike, the bike is tilted to one side by using the simple stand attached to the body.

도 1은 바이크의 일반적인 주차형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바이크(900) 주차를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하부 일측에 힌지장착된 간이스탠드(910)를 회전시켜 그 선단이 지면과 가깝도록 세로로 세운 상태에서, 상기 바이크(900)를 일측으로 기울여서 주차하고 그 주차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general parking mode of a bike. In order to park a bike 900, as shown in FIG. 1, a simple stand 910 hinged to a lower side of a vehicle body is rotated, The bicycle 900 is tilted to one side so that the parking state can be maintained.

하지만, 전술한 경우 해당 바이크(9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계속됨에 따라 함께 기울어진 타이어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더불어, 앞서와 같은 타이어 변형의 문제점은 차치하더라도 기울임 주차된 바이크(900)의 반대방향으로 어떠한 외력이 전해질 경우 해당 바이크(900)가 옆으로 쓰러지는 폐단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ase, as the bike 900 continues to be tilted to one side, the tilted tire may be deformed together. In addition, the problem of tire de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re is no way to prevent the side where the bike 900 is sideways from collapsing when any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ilted parked bike 900. [

이는, 스쿠터와 같은 소형 오토바이들에 비하여 상당한 중량을 갖는 아메리칸 바이크 등의 중형 또는 대형 오토바이 무게를 사람 혼자서 제지하기란 쉽지 않다. 때문에, 옆으로 쓰러질 때의 그 충격으로 인한 차체 훼손 및 파손의 문제를 피할 수 없음은 물론이거니와 차체 파손의 정도가 매우 심각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해당 바이크(900)를 수리하는데만 해도 큰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왔다.It is not easy for a person to restrain the weight of a midsize or large motorcycle such as an American bike having a considerable weight as compared with a small motorcycle such as a scooter. Therefore, the problem of damage to the vehicle body due to the impact when the vehicle collapses sideways can not be avoided, and the degree of the vehicle body damage may be very serious. As a result, This has led to the problem that it takes.

아울러, 행인들이 많은 장소(상가 등)에 바이크(900)를 주차해 둘 경우에는, 주변을 지나는 이들에 의한 차체의 훼손 및 파손에 더하여 도난사고 발생의 우려가 크나, 아직까지는 이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해줄 만한 장치들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In addition, if the bike 900 is parked in a place (a mall or the like) where many passengers are located, there is a fear of theft occurring in addition to the damage and destruction of the vehicle body by those passing by the periphery. However,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re are not enough devices to make it possibl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이크의 바퀴 특히 전륜(轉輪)의 수용이 가능한 주차프레임 및, 상기 전륜의 전,후 양측 각 부위를 밀착한 상태로 일부위를 둘러 감싸줄 수 있는 제지미트 및 포륜트레이를 상기 주차프레임에 추가로 장착하여, 어느 하나의 바퀴 구속에 의해 오토바이가 바닥과 수직한 기립식 주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크 스탠드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rking frame capable of receiving a wheel of a bike, in particular a turning whee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ke stand which is further provided with a papermaking tray and a papermaking tray which can be wrapped around the papermaking machine so that the motorcycle can be maintained in a standing parking state perpendicular to the floor by any one of the wheel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퀴를 둘러 감싸주는 상기 제지미트 및 포륜트레이의 회동 제한을 위한 시건장치를 상기 주차프레임에 더 장착하여, 바퀴 구속상태 지속에 따른 견고한 주차상태 유지와 더불어 주차상태의 임의해제가 불가능으로 제3자에 의한 도난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크 스탠드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rking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in which a parking mechanism fo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papermaking tray and the paper mitt surrounding the wheels is further mounted on the parking frame, Thereby preventing theft of the vehicle by the third par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주차프레임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제지미트가 차량의 평균 지상고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규격화하여, 오토바이를 주차하는 용도 이외에 차량의 주차방지 수단으로도 겸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크 스탠드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ike stand which is standardized so that the paper mitt protruding upward from the parking frame is formed higher than the average ground clearance of the vehicle,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토바이의 복수 바퀴 중 어느 하나를 진입시켜 수용할 수 있는 길이와 너비의 내부공간을 갖는 주차프레임; 상기 주차프레임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향 돌출을 이루도록 수직하게 장착되어, 상기 주차프레임 안쪽으로 진입된 상기 바퀴의 밀착 정지 및 밀착된 일부위를 둘러 감싸게 된 제지미트; 상기 주차프레임의 길이방향 타측 상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더 장착되되, 상기 바퀴 진입시의 접촉부위 외주연을 둘러 감싼 상태로 진입 측방으로 회전하여 바퀴를 구속할 수 있게 된 포륜트레이; 및, 상기 주차프레임의 횡측에 조립장착된 상태로, 상기 포륜트레이의 임의회동을 차단하여 상기 바퀴가 상기 주차프레임 외부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시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rking brake comprising: a parking frame having a length and a width of an inner space that can accommodate one of a plurality of wheels of a motorcycle; A paper mitt mounted vertically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king frame, the paper mite being enclosed by a close part and a close contact of the wheel that has entered into the parking frame; A rear wheel which is further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parking frame so as to be rotatable and which can be rotated in an entering side direction whil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tact portion at the time of entering the wheel, And a locking device for blocking arbitrary rotation of the jaw tray and preventing the wheel from moving out of the parking frame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and mount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parking frame.

또한, 상기 주차프레임은, "ㄷ"자형으로 절곡형성됨에 따라, 내측으로 상기 바퀴가 수용될 수 있게 된 앵글대와, 상기 앵글대의 중앙 절곡부 외면에 일체로 조립되되, 상기 앵글대의 횡폭 너비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에 의해, 장치설치의 균형 및 오토바이의 수직주차 균형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한 가로바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parking fram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bend portion of the angle bar so that the wheel can be received inwardly as it is bent in a " C "shape, And a combination of horizontal bars that are arranged to have a long length so as to balance the installation of the apparatus and the vertical parking balance of the motorcycle.

더하여, 상기 제지미트는, 오토바이 바퀴의 타이어 일부위를 둘러 감쌀 수 있도록 "ㄷ"자형으로 절곡형성됨에 따라, 상기 바퀴 일부위를 수용할 수 있게 된 요입공간이 일측편에 마련되고, 상기 주차프레임 상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하측 말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주차프레임 내측에 상기 제지미트의 장착 및 회동이 가능토록 복수의 상기 앵글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연이어 관통하는 제1샤프트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per mitt is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tire of the motorcycle so as to be wrapped around the tire, so that a space is formed at one side for accommodating the part of the wheel, And a first shaft which extends through the plurality of the angle bars and the base plate so that the paper mitt can be mounted and rotated inside the parking frame, Is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포륜트레이는, 오토바이 바퀴의 타이어 일부위를 둘러 감쌀 수 있도록 "ㄷ"자형으로 절곡형성됨에 따라, 상기 바퀴의 일부위를 수용할 수 있게 된 포착공간이 일측편에 마련되고, 타측편 중앙부에는, 상기 앵글대 각각의 내벽면과 근접하도록 양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주차프레임 상에 상기 포륜트레이의 장착 및 회동 중심점을 이루게 된 힌지파이프와, 양측 절곡 측부 중 어느 하나의 측부 외면에 부착조립되어, 상기 시건장치를 결속시킬 수 있게 된 걸림쇠와, 상기 앵글대 각각과 상기 힌지파이프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힌지파이프에 의한 상기 포륜트레이의 회동이 가능토록 하는 제2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ee wheel tray is formed by bending a "C" shape so as to surround a part of a tire of a motorcycle wheel, so that a catch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wheel is provided on one side, A hinge pipe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so as to be close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each of the angle bars so as to form a center of attachment and rotation of the jaw tray on the parking frame, And a second shaft connected to each of the angle bars and the hinge pipe so as to enable the rotation of the jaw pipe by the hinge pipe. .

더하여, 상기 시건장치는, 상기 주차프레임의 일측편 내벽면에 구비결합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연계조립되되, 양방향 회동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포륜트레이를 결속할 수 있게 된 로킹고리와, 상기 브래킷과 상기 로킹고리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로킹고리의 회동작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힌지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device includes: a bracket coupled to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one side of the parking frame; a locking ring assembled with the bracket so as to be bi-directionally pivotable, And a hinge pin passing through a lower end of the locking ring to enable a rotation of the locking ring.

또한, 상기 앵글대는, "ㄴ"자 모양으로 구부린 철제 쇠붙이인 앵글을 채용함에 따라, 상기 제지미트 및 상기 포륜트레이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게 된 수직단과, 상기 수직단의 하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절곡됨으로써, 주차공간 바닥면에 접지될 수 있는 수평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ngle bar may include a vertical step that allows the paper mill and the jaw tray to be mounted in a rotatable state by adopting an angle that is a metal ironing bent in a "? &Quot; shape, And a horizontal plane that can be grounded on the floor surface of the parking space is formed.

더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앵글대의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양방향 회동이 가능케 된 절곡단이 양측에 동일 방향으로 각각 절곡형성되고, 상기 절곡단 각각의 동일 선단 모서리 부위에는, 상기 제1샤프트의 끼워 맞춤을 가능케 하기 위한 제2힌지공이 관통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se plate is formed by bending a bending end in a bi-directionally rotatable state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angle bar, in the same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bending step, And a second hinge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hinge hole.

또한, 상기 수직단에는, 진입되는 오토바이 바퀴의 지름 크기를 감안하여 상기한 제지미트의 전,후 이동 배치를 가능케 하기 위한 트랙부가 길이방향 일측부에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부에는, 진입되는 바퀴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상기 포륜트레이의 회동장착을 위한 제1힌지공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the vertical end, a track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nable the movement of the paper mitt in front and rear in consideration of the diameter of the motorcycle wheel to be entered, And a first hinge hole for pivotally mounting the follower tray which is rotated in a state of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ollower tray.

더하여, 상기 트랙부는, 상기 제지미트를 정해진 거리반경 내에서 전,후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장공형 가이드공이 상기 앵글대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으로부터 하향 경사형태로 연이어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지미트의 배치위치를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걸림공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걸림공의 형성으로, 상기 가이드공과 상기 걸림공 사이에는 상기 제지미트의 고정위치가 임의변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한턱이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track portion may include a slotted guide hole penetrating the one side of the ang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allow the paper sheet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dius, A plurality of hooking hol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guide holes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aper mill can be adjusted in a stepwise manner. By forming the hooking holes, And a plurality of restricting jaws for preventing the fixed position from being arbitrarily changed are formed.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바이크 스탠드는, 큰 중량을 가진 바이크의 전,후 바퀴 중 어느 하나를 주차프레임 안쪽으로 들여 넣는 과정만으로도 간편히 주차해 둘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되면서도 상기 주차프레임에 투입된 바퀴의 구속을 통해 제3자에 의한 강제 주차해제 불가로 오토바이 도난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As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bik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exerts the effect of easily parking only one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the bike having a large weight into the inside of the parking frame, It is not possible to release the forced parking by the third person through the restraint of the wheel which is inserted into the wheel.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주차시 바닥과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오토바이가 주차됨에 따라,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불균형 주차상태 유지로 인한 타이어 마모의 문제점을 단번에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어떠한 방향으로라도 오토바이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차체가 파손될 우려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torcycle is parked vertically to the floor during parking,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ire wear due to unbalanced parking state tilting to one side at once and prevent the motorcycle from falling down in any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ssibility that the vehicle body is damaged.

이와 함께, 주차프레임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는 제지미트를 활용하여, 본 발명의 바이크 스탠드가 설치된 범위공간에 다른 이동수단(자동차 등)의 주차불허를 위한 주차방지 수단으로의 겸용은 물론이거니와 주차상태의 안정감을 더하여 오토바이 수리 등의 정비장비로써 활용함과 같은 다양한 사용성을 나타낼 수 있어 소비자 구매만족도의 충족과 함께 이를 통한 관련산업분야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paper mitt protruding vertically from the parking frame so as to prevent the parking space of the other moving means (such as an automobile) from being used as parking preventing means in the range space provided with the bicycl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used variously as maintenance equipment such as motorcycle repairing. Therefore,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contribute to the satisfaction of consumer purchase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 through this.

도 1은 바이크의 일반적인 주차형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크 스탠드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크 스탠드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크 스탠드의 측면구조 및 시건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크 스탠드에 있어서, 제지미트의 위치조절관계를 나타낸 예시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크 스탠드에 있어서, 제지미트와 포륜트레이의 회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크 스탠드에 있어서, 포륜트레이 및 시건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요부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크 스탠드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general parking mode of a bik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of a bik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ik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stand.
5 is an exemplary sectional view showing a position adjustment relationship of the paper mitt in the bik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rotation of a paper mill and a jaw tray in a bik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a jaw tray and a locking device in a bik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bik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크 스탠드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크 스탠드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크 스탠드의 측면구조 및 시건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크 스탠드에 있어서 제지미트의 위치조절관계를 나타낸 예시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크 스탠드에 있어서 제지미트와 포륜트레이의 회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크 스탠드에 있어서 포륜트레이 및 시건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요부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크 스탠드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of a bicycl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itutional relationship of the bicycl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sition adjustment relation of a paper mitt in a bik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per mitt and the paper mitt in the bicycl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free wheel tray and a locking device in a bik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ik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크 스탠드(A)는, 오토바이의 바퀴 중 어느 하나를 진입시켜 넣을 수 있는 길이와 너비의 내부공간을 갖는 주차프레임(1)과, 상기 주차프레임(1)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향 돌출을 이루도록 수직하게 장착되어, 상기 주차프레임(1) 안으로 진입된 바퀴의 밀착 정지 및 밀착된 일부위를 둘러 감싸게 된 제지미트(2)와, 상기 주차프레임(1)의 길이방향 타측 상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더 장착되되, 바퀴 진입시의 접촉부 외주연(外周緣)을 둘러 감싼 상태로 진입 측방으로 회전하여 바퀴를 구속할 수 있게 된 포륜트레이(3)와, 상기 주차프레임(1)의 횡측에 조립장착된 상태로 상기 포륜트레이(3)의 임의회동을 차단하여 바퀴가 상기 주차프레임(1) 외부로 벗어나지 않게 하기 위한 시건장치(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e bicycle stand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king frame 1 having a length and a width of an inner space capable of entering any one of the wheels of the motorcycle, 1 and vertically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king frame 1, the paper mitt 2 is wrapped around a tightly stopped part of the wheel that has entered into the parking frame 1, (3) which is further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wheel in a state of being rotatable and which can b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entry side by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tact part when the wheel is entered, And a locking device (4) for blocking any rotation of the follower tray (3) in a state in which it is assembled and mount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parking frame (1), so that the wheels are prevented from moving outside the parking frame (1).

주차프레임(1)은, 바이크(900, 오토바이)의 복수 바퀴 중 어느 하나, 특히 전륜을 수용하여 주차가 가능하도록 한 공간마련의 수단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형으로 절곡형성됨에 따라 내측으로 바퀴가 수용될 수 있게 된 앵글대(11)와, 상기 앵글대(11)의 중앙 절곡부 외면에 일체로 조립되되, 상기 앵글대(11)의 횡폭 너비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장치의 설치균형 및 주차된 오토바이의 수직균형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한 가로바(1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parking frame 1 is a space providing means for accommoda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wheels of the bike 900 (motorcycle), particularly a front wheel, (11)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ral bent portion of the angle bar (11), and has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angle bar (11) And a horizontal bar 12 which, as it is formed, makes it possible to correct the installation balance of the device and the vertical balance of the parked motorcycle.

상기 앵글대(11)는, "ㄴ"자 모양으로 구부린 철제 쇠붙이를 일컫는 앵글(Angle)을 이용함에 따라, 상기 제지미트(2) 및 포륜트레이(3)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게 된 수직단(11-1), 및, 상기 수직단(11-1)의 하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절곡됨으로써 주차공간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접지될 수 있는 수평단(11-2)이 형성된다.The angle bars 11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aper mats 2 and the jogger tray 3 can be mounted in a rotatable state by using angles which are referred to as " The vertical end 11-1 and the horizontal end 11-1 are bent to one side to form a horizontal end 11-2 that can be stably grounded on the floor of the parking space.

또한, 상기 수직단(11-1)의 길이방향 일측부에는, 진입되는 오토바이 바퀴의 지름 크기를 감안하여 상기한 제지미트(2)의 전,후 이동 배치를 가능케 하기 위한 트랙부(11-11)가 형성된다.In addition, at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end 11-1, a track portion 11-11 (see FIG. 11) for allowing the movement of the paper mitt 2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diameter of the motorcycle wheel, Is formed.

더하여, 상기 수직단(11-1)의 길이방향 타측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되는 바퀴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상기 포륜트레이(3)의 회동장착을 위한 제1힌지공(11-12) 관통형성된다.6, on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vertical end 11-1, there is formed a first (first) and second (second) And is formed through the hinge holes 11-12.

상기 트랙부(11-11)는, 오토바이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바퀴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주차프레임(1) 앵글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지미트(2)의 진,퇴식 위치변경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지미트(2)를 정해진 거리반경 내에서 전,후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장공형 가이드공(11-111)이 상기 앵글대(11)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11-111)으로부터 하향 경사형태로 연이어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한 제지미트(2)의 배치위치를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상기 가이드공(11-111)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걸림공(11-112)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걸림공(11-112)의 형성으로 상기의 가이드공(11-111)과 걸림공(11-112) 사이에는 상기한 제지미트(2)의 고정위치가 임의변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한턱(11-113)이 다수 형성된다.The track part 11-1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a wheel having diameters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motorcycle and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ngle frame 11 of the parking frame 1, As shown in FIG. 5, a slotted guide hole 11-111 for allowing the paper mitt 2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dius is provided in order to achieve the position change. Is formed to extend along one side of the angle bar (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urther downwardly inclined from the guide hole (11-111),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aper mitt (2)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11-11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guide holes 11-111 and the locking holes 11-112 are formed in the guide holes 11-111 and the locking holes 11-111, -112, the fixing position of the paper mitt 2 is not arbitrarily changed A plurality of limiting jaws 11-113 are formed.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프레임(1)의 "ㄷ"자형 절곡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된 복수의 앵글대(11)를 횡으로 가로질러, 내부공간의 너비가 평행함을 유지토록 하는 다수의 평행대(11-21)가 일정간격을 두고 일체로 부착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across the plurality of angle bars 11, which face each other with the " C "-shaped bend of the parking frame 1, to keep the width of the inner space parallel A plurality of parallel bars 11-21 are integrally attach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가로바(1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당한 하중을 갖는 바이크를 주차해 둘 경우의 무게로 인해 상기 앵글대(11)이 좌,우로 뒤틀리거나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지지수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크 스탠드(A) 이송의 편의를 위해 견인와이어(도시하지 않음)를 걸어 맬 수 있게 된 견인고리(121)가 양단에 각각 체결됨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bar 12 is a support means for preventing the angle bar 11 from being twisted left or right or tilted to one side due to the weight when the bike having a considerable load is parked.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ulling ring 121, which is capable of hanging a pulling wire (not shown), is fastened to both ends for convenience of conveyance of the bike stand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지미트(2)는, 상기 주차프레임(1)의 내부공간 안으로 진입하는 오토바이 바퀴의 제지 및 제지로 인한 정지시의 밀착 외주연 일부위를 둘러 감싸 지탱하는 한편 바퀴 지름 크기에 대응한 위치이동을 통해 상기 포륜트레이(3)와 더불어 타이어의 전,후방 각각의 일부위를 둘러 감싸 구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타이어 일부위를 둘러 감쌀 수 있도록 "ㄷ"자형으로 절곡형성되되, 양측 선단부의 가로폭이 중앙 절곡부의 가로폭 보다 넓게 형성됨으로써 바퀴의 내재수용이 용이하다.The paper mill 2 surrounds and supports a par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close contact at the time of stopping due to papermaking and papermaking of the motorcycle wheel that enters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parking frame 1 and moves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heel diameter size Is bent in a "C" shape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tire by means of means for wrapping and restraining a part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tire together with the jogger tray (3) And is wider than the transverse width of the central bent portion, so that the wheels can be easily accommodated.

이로써, 상기 제지미트(2)의 일측편으로는 바퀴 일부위를 수용하여 둘러 감쌀 수 있게 된 요입공간(2a)이 마련되고, 상기 주차프레임(1) 상에서 수직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베이스플레이트(21)가 하측 말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주차프레임(1) 내측에 상기 제지미트(2)의 장착 및 회동이 가능토록 복수의 상기 앵글대(11)와 베이스플레이트(21)를 연이어 관통하는 제1샤프트(22)가 더 구비된다.As a result, the one side of the paper mitt 2 is provided with a recessed space 2a which can receive and surround a part of the wheel, and a base plate (not shown) A plurality of the angle bars 11 and the base plate 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able to mount and rotate the paper mitt 2 inside the parking frame 1, A first shaft 22 is provided.

한편, 상기한 중앙 절곡부의 양측으로 절곡된 양측 선단부의 중앙 하측부위에는, 구멍이 더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차프레임(1) 안으로 진입된 바퀴와 상기 관통공에 통상의 와이어 자물쇠(L)를 둘러매어 결속시켜줌으로써 주차된 오토바이의 도난방지상태 유지를 더욱 견고히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holes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lower center portion of the both side ends bent to both sides of the central bent portion. As shown in FIG. 8, the wheel inserted into the parking frame 1 and the through-hole are bound by a conventional wire lock L so as to further secure the stolen state of the parked motorcycle .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는, 상기 앵글대(11)의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양방향 회동이 가능케 된 절곡단(21-1)이 양측에 동일 방향으로 각각 절곡형성되는바, 상기 절곡단(21-1) 각각의 동일 선단 모서리 부위에는 상기 제1샤프트(22)의 끼워 맞춤을 가능케 하기 위한 제2힌지공(21-11)이 관통된다.The base plate 21 is bent in the same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bent end 21-1 so as to be bidirectionally rotatable in a state of being in tight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ngle bar 11, The second hinge hole 21-11 for allowing the first shaft 22 to be fitted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nd portions 21-1 and 21-1.

포륜트레이(3)는, 진입된 바퀴의 후방 일부위를 둘러 감싸 오토바이의 수직 주차상태 유지를 더욱 견고히 하면서도 주차된 바퀴가 상기 주차프레임(1) 외부로 벗어나지 않도록 타이어 일부위를 둘러 감싸 추가 구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 절곡에 의해 타이어 외주연과 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구형과 같이 타이어 외주연과 효과적으로 밀착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것이라도 가능하다.The follower tray 3 is wrapped around a rear part of the entered wheel so as to further strengthen the vertical parking state of the motorcycle, and also to surround the part of the tire so that the parked wheel does not deviate outside the parking frame 1,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tire is such that it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ire by the central bending,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in the form of something.

또한, 상기 제지미트(2)와 동일하게, 타이어 일부위를 둘러 감쌀 수 있도록 역시 "ㄷ"자형으로 절곡형성되되, 양측 선단부의 가로폭이 중앙 절곡부의 가로폭 보다 넓게 형성됨으로써 바퀴의 내재수용이 용이하다.In addition, like the paper mitt 2, it is also bent in a "C" shape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tire, and the lateral widths of both side ends are wider than the lateral width of the central bent portion, It is easy.

더불어, 전술한 구조의 달성에 따라, 상기 포륜트레이(3)의 일측편으로는 바퀴의 일부위를 둘러 감쌀 수 있도록 된 포착공간(3a)이 마련되고, 타측편 중앙부에는 복수의 상기 앵글대(11) 내벽면과 근접하도록 양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주차프레임(1) 상에 포륜트레이(3)의 장착 및 회동 중심점을 이루게 된 힌지파이프(31)와, 양측 절곡 측부 중 어느 하나의 측부 외면에 부착조립되어 상기 시건장치(4)를 결속시킬 수 있게 된 걸림쇠(32)와, 상기 앵글대(11) 각각의 수직단(11-1) 및 상기 힌지파이프(31)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힌지파이프(31)에 의한 포륜트레이(3)의 회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샤프트(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 catching space 3a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ollower tray 3 so as to cover a part of the wheel, and a plurality of the angle bars A hinge pipe 31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so as to be close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arking frame 1 so as to form a mounting and turning center point of the jaw tray 3 on the parking frame 1, A hinge pipe 32 connected to the vertical end 11-1 of each of the angle bars 11 and the hinge pipe 31 so as to be able to bind the locking device 4, 31 to allow the rotation of the full-width trays 3.

시건장치(4)는, 상기 포륜트레이(3)의 임의회동 방지를 통해 주차프레임(1) 안쪽으로 내재수용된 바퀴의 외부이탈 방지를 위한 잠금수단인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앵글대(11) 내벽면에 구비결합되는 브래킷(41)과, 상기 브래킷(41)에 연계조립되되, 양방향 회동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포륜트레이(3)의 걸림쇠(32)에 선단이 결속될 수 있게 된 로킹고리(42)와, 상기 브래킷(41)과 로킹고리(42)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로킹고리(42)의 회동작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힌지핀(43)으로 구성된다.The locking device 4 is a locking means for preventing the wheels contained in the parking frame 1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prevention of the arbitrary rotation of the jaw tray 3. As shown in Figure 5, The bracket 41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angle bracket 11 and is coupled to the bracket 41 so that the tip of the bracket 41 is coupled to the bracket 32 of the jogger tray 3, And a hinge pin 43 for allowing the locking ring 42 to pivot through the bracket 41 and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ring 42 to enable the rotation of the locking ring 42.

한편, 상기 브래킷(41)과 상기 로킹고리(42)에는, 상기한 힌지핀(43)의 조립결합 위치보다 상측에 연속으로 관통되는 제1로킹공(41a) 및 제2로킹공(42a)의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2로킹공(41a)(42a)에 자물쇠를 채워 상기한 로킹고리(42)의 회동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포륜트레이(3)의 임의회동으로 바이크(900) 바퀴의 구속상태가 임의해제되지 않도록 하여 주차된 오토바이의 도난사고 원인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The first locking hole 41a and the second locking hole 42a are formed in the bracket 41 and the locking ring 42 in such a manner that the bracket 41 and the locking ring 42 are continuous with each other above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hinge pin 43. [ . This locks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holes 41a and 42a so as to prevent the locking ring 42 from rotating so that the locking state of the bike 900 wheels So that the cause of the theft of the parked motorcycl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미설명부호, (221)(331)은 상기 앵글대와 제지미트, 그리고 상기 앵글대와 포륜트레이에 관통삽입되는 제1,2샤프트 각각의 선단부에 끼워 맞춤하여 상기 제1,2샤프트가 앵글대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클립이다.Reference numerals 221 and 331 denote angles, paper mills, and the first and second shafts inserted into the angle bar and the jaw tray,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hafts are angled So as not to be arbitrarily detached.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크 스탠드(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ike stand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앵글대(11)의 전,후방 부위에 제1,2샤프트(22)에 의해 회동작용이 가능한 상태이도록 상기 제지미트(2) 및 포륜트레이(3)를 각각 장착시키고, 서로 마주하는 앵글대(11) 중 어느 하나의 앵글대에 상기 시건장치(4)를 별도의 볼트(b)와 너트(n) 그리고 와셔(w)를 이용하여 견고히 조립하여 본 발명의 바이크 스탠드(A)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도록 한다.2 and 3, the paper mitt 2 and the jaws 3 (see Fig. 3) are arranged such that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angle bar 11 are rotatable by the first and second shafts 22, And the angled stand 11 is assembled firmly to the angle bar by using the separate bolts b, n and washers w So that the bike stand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one device.

이 상태에서, 바이크(900)의 주차 혹은 정비를 위해 마련된 장소로 본 발명의 바이크 스탠드(A)를 이동 설치하는바, 이를 위해서는, 상기한 견인고리(121)에 별도의 와이어를 결속시키고 그 와이어를 들어올려 견인하는 것을 통해 상기 바이크 스탠드(A)를 원하는 장소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In this state, the bike stand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a place provided for parking or maintenance of the bike 900. To this end, a separate wire is bound to the pulling ring 121, So that the bike stand A can be conveniently moved to a desired plac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이크 스탠드(A)의 이동시 장치의 부피축소를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샤프트(22)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한 제지미트(2)를 앵글대(11) 방향으로 절첩시켜줌으로써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apparatus when moving the bike stand 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6, the paper mitt 2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first shaft 22 It is possible to fold it in the direction of the angle base 11.

이와 함께, 상기와 같이 제지미트(2)를 주차프레임(1) 측으로 절첩시킬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바이크 스탠드(A)의 설치 높이가 주차공간 바닥면으로부터 낮게 돌출된 상태임에 따라 오토바이를 주차해 두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차와 같은 다른 이동수단을 주차시킬 수 있음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paper mitt 2 is folded toward the parking frame 1 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height of the bicycle stand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king space. If not, it is possible to park other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n automobile.

반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지미트(2)를 수직으로 세워, 타인의 자동차 등을 해당 주차공간에 주차하는 것이 불가하도록 하기 위한 주차방지의 목적으로도 겸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the paper mitt 2 can be vertically erected so as to prevent parking of another person's car or the like in the parking space.

계속해서, 앞서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바이크 스탠드(A)를 원화는 장소에 이동시킨 다음에는, 상기 앵글대(11)의 수평단(11-2) 일측에 별도의 구멍을 미리 관통한 후 앵커볼트 등을 이용해서 상기한 앵글대(11)를 주차공간 바닥에 단단히 고정설치한다.Subsequently, after the bike stand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the original position through the above process, a separate hole is previously passed through the one side of the horizontal end 11-2 of the angle bar 11 The angle bar 11 is firmly fixed to the floor of the parking space by using an anchor bolt or the like.

이어서, 상기 앵글대(11) 측으로 절첩되어 있던 상기 제지미트(2)를 세워서 주차프레임(1)과 수직한 상태를 이루도록 한 후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바(12)에 대향하는 앵글대(11)의 일측을 통해 바이크(900)의 바퀴, 특히 전륜을 진입시켜 복수의 앵글대(11) 사이로 마련된 내구공간 안으로 수용시키는 한편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제지미트(2)의 요입공간(2a) 안으로 바퀴 전방의 일부위가 수용되고 그 내벽면과 바퀴의 외면이 서로 맞닿도록 한다.8, after the paper mitt 2 folded toward the angle bar 11 is rais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parking frame 1, The wheels of the bike 900, particularly, the front wheels of the bike 900 enter through the one side of the opposite angle bars 11 to be accommodated in the endurance space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angle bars 11, A part of the front of the wheel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2a so that the inner wall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러한 과정 도중, 바이크(900)의 바퀴가 상기한 포륜트레이(3)를 타고 넘게 되는 것이며, 그때 상기 포륜트레이(3)의 포착공간(3a)으로는 바퀴의 다른 일부위가 더 수용되고 밀착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지미트(2)에는 바퀴 전방 일부위가 밀착수용되고 상기 포륜트레이(3)에는 바퀴의 후방 일부위가 밀착수용됨으로써, 상기 제지미트(2) 및 포륜트레이(3)에 의해 오토바이 바퀴가 수직한 상태로 지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결국 오토바이가 일측으로 기울어져 쓰러지지 않고 수직한 주차상태를 유지케 되는 것이다.During this process, the wheels of the bike 900 ride over the above-mentioned jaw tray 3, and then the other space of the wheel is accommodated and closely contacted with the catching space 3a of the jaw tray 3 A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wheel is closely accommodated in the paper mitt 2 and a rear part of the wheel is closely accommodated in the rear wheel trays 3 so that the paper mails 2 and the jog- So that the motorcycle is eventually tilted to one side so as to maintain the vertical parking state without collapsing.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건장치(4)의 로킹고리(42)를 브래킷(41)으로부터 회동시켜 상기한 로킹고리(42)가 상기 포륜트레이(3)의 측면 걸림쇠(32)에 결속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별도로 준비한 자물쇠를 제1,2로킹공(41a)(42a)에 채워주는 것으로써, 상기한 로킹고리(42)의 임의회동을 방지하여 상기 포륜트레이(3)의 임의회전 역지 방지되도록 함에 따라, 주차프레임(1) 안으로 내재수용(구속)된 바이크(900)의 바퀴가 주차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케 되어 오토바이의 도난사고가 예방될 수 있는 것이다.7, the locking ring 42 of the locking device 4 is pivoted from the bracket 41 so that the locking ring 42 is pushed by the side claws of the jaws 3, (32). Next, by filling the locks separately prepared i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holes 41a and 42a, it is possible to prevent any rotation of the locking ring 42 and to prevent any rotation of the accessory tray 3 The wheels of the motorcycle 900, which is internally received (restrained) in the parking frame 1, are kept in a parked state, thereby preventing a motorcycle from being stolen.

정리하자면, 상기한 주차프레임(1)을 이용한 바이크(900, 오토바이)의 복수 바퀴 중 어느 하나를 본 발명의 바이크 거치대(A) 안으로 내재수용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제지미트(2) 및 포륜트레이(3)를 이용하여 해당 바퀴의 전,후 각각의 일부위를 각각 둘러 감싸도록 함을 통해, 주차된 바이크(900)가 일측으로 쓰러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는 수직형 주차상태를 효과적이고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In summary, any one of a plurality of wheels of a motorcycle (900, motorcycle) using the above-described parking frame (1) is placed in the bike platform (A) The bikes 900 can be effectively and stably maintained in a vertically parked state in which the parked bikes 900 are not collapsed or tilted to one side, The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전술한 주차상태에서 상기한 시건장치(4)를 이용하여 포륜트레이(3)의 임의회전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주차된 바퀴가 주차프레임(1)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함을 통해, 해당 바이크(900)의 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더불어 거둘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arking state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of the jogger tray 3 is prevent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keying device 4, so that the parked wheels do not deviate from the parking frame 1,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tolen accident from occurring in advanc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 : 바이크 스탠드, 1 : 주차프레임, 2 : 제지미트
2a : 요입공간, 3 : 포륜트레이, 3a : 포착공간
4 : 시건장치, 11 : 앵글대, 11-1 : 수직단
11-2 : 수평단, 11-11 : 트랙부, 11-12 : 제1힌지공
11-21 : 평행대, 11-111 : 가이드공, 11-112 : 걸림공
11-113 : 제한턱, 11-21 : 평행대, 12 : 가로바
21 : 베이스플레이트, 21-1 : 절곡단, 21-11 : 제2힌지공
22 : 제1샤프트, 31 : 힌지파이프, 32 : 걸림쇠
33 : 제2샤프트, 41 : 브래킷, 41a : 제1로킹공
42 : 로킹고리, 42a : 제2로킹공, 43 : 힌지핀
121 : 견인고리, 221, 331 : 고정클립
A: Bike stand, 1: Parking frame, 2: Paper mitt
2a: a recess space, 3: a jaw tray, 3a: a trap space
4: locking device, 11: angle bar, 11-1: vertical bar
11-2: horizontal plane, 11-11: track portion, 11-12: first hinge ball
11-21: parallel band, 11-111: guide ball, 11-112:
11-113: Restricted jaws, 11-21: Parallel bars, 12: Horizontal bars
21: base plate, 21-1: folding end, 21-11: second hinge ball
22: first shaft, 31: hinge pipe, 32:
33: second shaft, 41: bracket, 41a: first locking hole
42: locking ring, 42a: second locking hole, 43: hinge pin
121: pulling collar, 221, 331: retaining clip

Claims (9)

오토바이의 복수 바퀴 중 어느 하나를 진입시켜 수용할 수 있는 길이와 너비의 내부공간을 갖는 주차프레임;
상기 주차프레임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향 돌출을 이루도록 수직하게 장착되어, 상기 주차프레임 안쪽으로 진입된 상기 바퀴의 밀착 정지 및 밀착된 일부위를 둘러 감싸게 된 제지미트;
상기 주차프레임의 길이방향 타측 상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더 장착되되, 상기 바퀴 진입시의 접촉부위 외주연을 둘러 감싼 상태로 진입 측방으로 회전하여 바퀴를 구속할 수 있게 된 포륜트레이; 및,
상기 주차프레임의 횡측에 조립장착된 상태로, 상기 포륜트레이의 임의회동을 차단하여 상기 바퀴가 상기 주차프레임 외부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시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시건장치는, 상기 주차프레임의 일측편 내벽면에 구비결합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연계조립되되, 양방향 회동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포륜트레이를 결속할 수 있게 된 로킹고리와,
상기 브래킷과 상기 로킹고리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로킹고리의 회동작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힌지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크 스탠드.
A parking frame having an inner space of a length and a width capable of accommodating and accommoda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wheels of a motorcycle;
A paper mitt mounted vertically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king frame, the paper mite being enclosed by a close part and a close contact of the wheel that has entered into the parking frame;
A rear wheel which is further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parking frame so as to be rotatable and which can be rotated in an entering side direction whil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tact portion at the time of entering the wheel, And
And a lock mechanism for blocking any rotation of the follower tray so as to prevent the wheel from moving out of the parking frame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and mount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parking frame,
The locking device includes a bracket coupled to an inner wall surface on one side of the parking frame,
A locking ring that is assembled with the bracket and is capable of biasing the bi-directionally rotatable shaft to bind the jaw tray,
And a hinge pin for passing through the bracket and a lower end of the locking ring to enable a rotation operation of the locking r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프레임은, "ㄷ"자형으로 절곡형성됨에 따라, 내측으로 상기 바퀴가 수용될 수 있게 된 앵글대와,
상기 앵글대의 중앙 절곡부 외면에 일체로 조립되되, 상기 앵글대의 횡폭 너비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에 의해, 장치설치의 균형 및 오토바이의 수직주차 균형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한 가로바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크 스탠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rking frame is formed by bending a " C "-shaped shape, and includes an angle base for receiving the wheel inwardly,
The angle ba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bend portion of the angle bar so as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width of the angle bar so as to balance the installation of the apparatus and the vertical parking balance of the motorcycle. Features a bike stan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미트는, 오토바이 바퀴의 타이어 일부위를 둘러 감쌀 수 있도록 "ㄷ"자형으로 절곡형성됨에 따라,
상기 바퀴 일부위를 수용할 수 있게 된 요입공간이 일측편에 마련되고,
상기 주차프레임 상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하측 말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주차프레임 내측에 상기 제지미트의 장착 및 회동이 가능토록 복수의 상기 앵글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연이어 관통하는 제1샤프트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크 스탠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aper mitt is bent in a "C " shape so as to wrap around a part of the tire of the motorcycle wheel,
Wherein a recessed space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wheel is provided on one side,
A base plate for holding a vertical state on the parking frame is integrally provided at a lower end thereof,
Further comprising a first shaft extending through the plurality of the angle bars and the base plate so as to be able to mount and rotate the paper mitt inside the parking fram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륜트레이는, 오토바이 바퀴의 타이어 일부위를 둘러 감쌀 수 있도록 "ㄷ"자형으로 절곡형성됨에 따라,
상기 바퀴의 일부위를 수용할 수 있게 된 포착공간이 일측편에 마련되고,
타측편 중앙부에는, 상기 앵글대 각각의 내벽면과 근접하도록 양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주차프레임 상에 상기 포륜트레이의 장착 및 회동 중심점을 이루게 된 힌지파이프와,
양측 절곡 측부 중 어느 하나의 측부 외면에 부착조립되어, 상기 시건장치를 결속시킬 수 있게 된 걸림쇠와,
상기 앵글대 각각과 상기 힌지파이프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힌지파이프에 의한 상기 포륜트레이의 회동이 가능토록 하는 제2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크 스탠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jogging tray is bent in a "C" shape so as to wrap around a part of the tire of the motorcycle wheel,
Wherein a catching space for receiving a part of the wheel is provided on one side,
A hinge pipe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so as to be close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each of the angle bars so as to form a mounting and rotation center point of the jaw tray on the parking frame,
An engaging member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one of the side portions of the side folding portion and capable of binding the locking device,
And a second shaft connected to each of the angle bars and the hinge pipe so as to enable the rotation of the jaw pipe by the hinge pipe.
삭제delet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대는, "ㄴ"자 모양으로 구부린 철제 쇠붙이인 앵글을 채용함에 따라,
상기 제지미트 및 상기 포륜트레이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게 된 수직단과,
상기 수직단의 하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절곡됨으로써, 주차공간 바닥면에 접지될 수 있는 수평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크 스탠드.
3. The method of claim 2,
By adopting an angle which is a steel metal iron bent in a "? &Quot; shape,
A vertical stage capable of mounting the paper mill and the jaw tray in a rotatable state,
Wherein a vertical plane is formed which is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vertical end to one side so as to be grounded on the floor surface of the parking spa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앵글대의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양방향 회동이 가능케 된 절곡단이 양측에 동일 방향으로 각각 절곡형성되고,
상기 절곡단 각각의 동일 선단 모서리 부위에는, 상기 제1샤프트의 끼워 맞춤을 가능케 하기 위한 제2힌지공이 관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크 스탠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ase plate has bent ends which are biased in a biased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ngle bar,
And a second hinge hole for allowing the first shaft to be fitted therethrough is formed at the same leading edge corner of each of the bending stage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단에는, 진입되는 오토바이 바퀴의 지름 크기를 감안하여 상기한 제지미트의 전,후 이동 배치를 가능케 하기 위한 트랙부가 길이방향 일측부에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부에는, 진입되는 바퀴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상기 포륜트레이의 회동장착을 위한 제1힌지공이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크 스탠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track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portion in the lengthwise direction for enabling the movement of the paper mitt before and after taking into account the diameter of the motorcycle wheel to be entered,
And a first hinge hole for pivotal mounting of the jaw tray rotated in a state of being in tight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coming wheel is formed through the other longitudinal side portion of the bike stan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부는, 상기 제지미트를 정해진 거리반경 내에서 전,후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장공형 가이드공이 상기 앵글대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으로부터 하향 경사형태로 연이어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지미트의 배치위치를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걸림공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걸림공의 형성으로, 상기 가이드공과 상기 걸림공 사이에는 상기 제지미트의 고정위치가 임의변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한턱이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크 스탠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rack portion includes a slotted guide hole penetrating the one side of the angle pie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paper sheet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dius,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guide holes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aper mitt can be adjusted step by step,
Wherein a plurality of restricting jaws are formed between the guide hole and the engaging hole in order to prevent the fixing position of the paper mitt from being arbitrarily changed by forming the engaging hole.
KR1020130099161A 2013-08-21 2013-08-21 Bike stand KR1014669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161A KR101466948B1 (en) 2013-08-21 2013-08-21 Bike 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161A KR101466948B1 (en) 2013-08-21 2013-08-21 Bike st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948B1 true KR101466948B1 (en) 2014-12-03

Family

ID=5267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161A KR101466948B1 (en) 2013-08-21 2013-08-21 Bike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948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3097A (en) * 2018-05-28 2018-08-21 烟台合威机电产品制造有限公司 Clip wheel device
CN108625632A (en) * 2018-05-16 2018-10-09 华南农业大学 The parking baseplate device of shared bicycle
CN110155216A (en) * 2019-05-31 2019-08-23 嘉兴云顶机械设备有限公司 A kind of motorcycle parking device that parking is stable
DE202019104413U1 (en) * 2019-08-09 2020-11-10 Werner Hülsmann Bicycle racks, in particular for caravans
GB2584785A (en) * 2019-04-10 2020-12-16 Tilt Ind Llc Apparatus for retaining a bicycle
KR102256758B1 (en) * 2020-01-28 2021-05-26 강기화 Parking device for bicycle
KR102569378B1 (en) * 2023-01-19 2023-08-22 이종욱 Height adjustable bike ra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192U (en) * 1998-11-25 1999-02-25 김영한 Bicycle parking stand
JP2001020550A (en) * 1999-07-12 2001-01-23 Nippon Tekko Kensetsu Kogyo Kk Bicycle parking device
KR20060135461A (en) * 2005-06-25 2006-12-29 이일영 Locking device for motorcycle
JP2008207685A (en) * 2007-02-27 2008-09-11 Aitekku:Kk Two-wheeler fixing device and two-wheeler park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192U (en) * 1998-11-25 1999-02-25 김영한 Bicycle parking stand
JP2001020550A (en) * 1999-07-12 2001-01-23 Nippon Tekko Kensetsu Kogyo Kk Bicycle parking device
KR20060135461A (en) * 2005-06-25 2006-12-29 이일영 Locking device for motorcycle
JP2008207685A (en) * 2007-02-27 2008-09-11 Aitekku:Kk Two-wheeler fixing device and two-wheeler parking system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5632A (en) * 2018-05-16 2018-10-09 华南农业大学 The parking baseplate device of shared bicycle
CN108423097A (en) * 2018-05-28 2018-08-21 烟台合威机电产品制造有限公司 Clip wheel device
GB2584785A (en) * 2019-04-10 2020-12-16 Tilt Ind Llc Apparatus for retaining a bicycle
GB2584785B (en) * 2019-04-10 2023-03-01 Tilt Ind Llc Apparatus for retaining a bicycle
US11878756B2 (en) 2019-04-10 2024-01-23 TILT Industries LLC Apparatus for retaining a bicycle
CN110155216A (en) * 2019-05-31 2019-08-23 嘉兴云顶机械设备有限公司 A kind of motorcycle parking device that parking is stable
DE202019104413U1 (en) * 2019-08-09 2020-11-10 Werner Hülsmann Bicycle racks, in particular for caravans
KR102256758B1 (en) * 2020-01-28 2021-05-26 강기화 Parking device for bicycle
KR102569378B1 (en) * 2023-01-19 2023-08-22 이종욱 Height adjustable bike r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948B1 (en) Bike stand
US9022265B2 (en) Bicycle rack installable in a pickup truck bed or trailer
US7175192B1 (en) Foldable bicycle
CN105189275A (en) Motor scooter
FR2546123A1 (en) Device for the overhead parking of lightweight vehicles
KR101506366B1 (en) An injury protection accessory
EP2336014A1 (en) Convertible vehicle suitable for changing from a driving mode with a long wheelbase to one with a short wheelbase in a single quick operation
EP2548764B1 (en) Loading aid device
CN107963026A (en) Loading space carries the picking-up vehicle of elevated bicycle shelf
JP4875114B2 (en) bicycle
JP2006062517A (en) Stand for motorcycle and stand facility for motorcycle equipped with stand for motorcycle
KR101655687B1 (en) A Bicycle Carrier for vehicles
JP4846261B2 (en) Motorcycle stand
US20240002008A1 (en) Electric Small-Sized Vehicle
JP6916069B2 (en) Motorcycle
AU2002100033B8 (en) Quad rear mount bike rack
US20210179215A1 (en) Road bike stand
US20230312034A1 (en) Bicycle with integrated anti-theft system
US20060066075A1 (en) Towing trailer for two or three wheeled vehicles
JP3152280U (en) Bicycle parking unit installed in multilevel parking lot and multilevel parking lot installed with this bicycle parking unit
FR2734528A1 (en) Telescopic support for bicycles in vans or minibuses
NL1005420C2 (en) Bicycle frame with gripping device for a bicycle carrier.
EP3279120B1 (en) Vehicle immobilisation device and use thereof
FR2762343A1 (en) Storage locker for two-wheeled vehicles, especially bicycles or mopeds
KR20110112667A (en) Foldable bi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