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162B1 -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162B1
KR101466162B1 KR1020140000402A KR20140000402A KR101466162B1 KR 101466162 B1 KR101466162 B1 KR 101466162B1 KR 1020140000402 A KR1020140000402 A KR 1020140000402A KR 20140000402 A KR20140000402 A KR 20140000402A KR 101466162 B1 KR101466162 B1 KR 101466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oad
ratio
emergency generator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젠코
정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젠코, 정순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젠코
Priority to KR102014000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용전원 스위치(120); 비상발전기(G); 발전기 스위치(130); 발전기전력 검출부(143); 부하전력 검출부(145); 상용전원 스위치(120)가 온(on) 되어서 상용전원이 부하(L)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발전기 스위치(130)를 온하고, 부하전력을 모니터링하며, 모니터링된 부하전력값이 비상발전기 발전용량과 대비하여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용전원 스위치(120)를 오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모니터링된 부하전력값이 비상발전기 발전용량과 대비하여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점차 증가하는 비상발전기의 출력값을 모니터링하고, 점차 증가하는 비상발전기의 출력값을 연동하여서 비상발전기가 부담하여야 하는 부하전력값이 비상발전기 발전용량 대비하여 제1 기준값보다 작아지는 순간에 상용전원 스위치(120)를 오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용전원에서 비상발전기로의 부하 이동을 제어하는 MCU(1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의하면, 비상발전기가 다운되지 않고 최적의 절체 시점에 부하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SYSTEM FOR LOAD TRANSFER BETWEEN COMMERCIAL USE POWER SUPPLY AND EMERGENCY GENERATOR}
본 발명은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용전원에서 비상발전기로 또는 비상발전기에서 상용전원으로의 부하이동시에 부하의 전력값, 비상발전기의 발전용량, 발전기의 출력값 및 상용전원의 전력량을 고려하여 절체 시점을 제어함으로써 비상발전기가 다운되지 않고 또한 계통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용전원의 전력을 부하로 공급하다가 비상발전기에서 부하로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 또는 그 역의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상용전원에서 비상발전기로 또는 비상발전기에서 상용전원으로 부하의 이동시에 병렬운전하면서 부하가 이동한다.
이러한 비상용발전기와 상용전원 공급 간의 병렬 제어 운전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14782호(명칭: 고압 및 저압용 병렬 운전 배전반)로 개시되어 있다.
위 등록특허 제 10-121478호 기술은 상용전원 정전 시와 복전 시에 상용전원의 전력과 발전기 전력을 무정전으로 병렬 운전하여 부하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서, 그 등록특허공보에 잘 나와 있듯이, 상용전원 전압 측정부(142)와,
발전기 전압 측정부(144)와, 상용전원 스위치(120)와, 발전기 스위치(130)와, MCU(1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세한 기술은 그 등록특허공보에 잘 나와 있으므로 자세한 기술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등록특허 제 10-121478호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용전원에서 비상발전기로의 부하이동시에 부하의 현재 사용 전력값이 비상발전기 발전용량과의 관계에서 50 %를 넘는 상태에서 부하 이동이 되면 비상발전기는 순간 과부하로 인하여 운전이 중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렇게 운전이 중지되면 부하의 운영에 큰 차질이 생겨서 큰 손해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의 목적은, 상용전원에서 비상발전기로 부하의 이동시에 비상발전기의 발전용량과 부하의 현재 사용전력량을 비교하여서 비상발전기로 완전히 부하 이동하더라도 비상발전기의 기동이 정지되지 않는 최적의 절체 시점에 상용전원 스위치를 오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하 이동시 비상발전기가 다운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은,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부하 이동시 최적 절체시점을 찾아서 부하이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MCU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서 스위칭 동작하여 상용전원에서 부하로의 전력 공급을 단속하는 상용전원 스위치; 부하에 비상전력을 공급하는 비상발전기; 비상발전기와 부하 사이에 연결되고, MCU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서 스위칭 동작하여 비상발전기에서 부하로의 전력 공급을 단속하는 발전기 스위치; 상용전원의 전력량을 검출하는 상용전력 검출부; 비상발전기에서 출력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발전기전력 검출부; 부하의 현재 사용전력인 부하전력을 검출하는 부하전력 검출부; 상기 상용전원 스위치가 온(on) 되어서 상용전원이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발전기 스위치를 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MCU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MCU의 내부 메모리에는 상기 비상발전기의 발전용량값과, 비상발전기의 발전용량 대비 부하전력의 기준 비율인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MCU는, 현재의 부하전력값을 상기 부하전력 검출부를 통해서 모니터링하고, 비상발전기의 발전용량 대비 현재의 부하전력값의 비율인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을 산출하며, 산출한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과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을 비교하며,
상기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과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의 비교의 결과 상기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이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 미만인 경우에는 곧바로 상기 상용전원 스위치를 열기 위한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과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의 비교의 결과 상기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이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 이상인 경우에는, 점차 증가하는 비상발전기 출력전력을 모니터링하고,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는 현재의 부하전력과 비상발전기의 출력전력값을 감산 연산한 후에, 상기 감산 연산한 전력의 차이값을 비상발전기 발전용량으로 제산 연산하고, 상기 제산 연산한 값과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의 크기를 비교하며, 상기 제산 연산한 값이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보다 작아지는 순간 상기 상용전원 스위치를 오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용전원에서 비상발전기로의 부하 이동을 제어하며,
상기 MCU의 내부 메모리에는 상용전원의 용량값과, 상용전원 용량 대비 부하전력의 기준 비율인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이 저장되어있으며, 상기 MCU는, 현재의 부하전력값을 상기 부하전력 검출부를 통해서 모니터링하고, 상용전원 용량 대비 현재의 부하전력값의 비율인 제2 현재 부하전력 비율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한 제2 현재 부하전력 비율과 기 저장된 상기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을 비교하고 그 비교의 결과, 상기 제2 현재 부하전력 비율이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 미만인 경우에는 곧바로 발전기 스위치를 열기 위한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산출한 제2 현재 부하전력 비율과 기 저장된 상기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을 비교하고 그 비교의 결과, 상기 제2 현재 부하전력 비율이 상기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상용전력 검출부를 통해서 점차 증가하는 상용전원의 출력전력을 모니터링하고,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는 현재의 부하전력과 상용전원의 출력전력값을 감산 연산한 후에, 상기 감산 연산한 전력의 차이값을 상용전원 용량으로 제산 연산하고, 상기 제산 연산한 값과 상기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을 비교하며, 상기 제산 연산한 값이 상기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보다 작아지는 순간 발전기 스위치를 오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비상발전기로부터 상용전원으로의 부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인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은,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은 0.5 ~ 0.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은, 상용전원에서 비상발전기로 부하의 이동시에 비상발전기의 발전용량과 부하의 현재 사용전력량을 비교하여서 비상발전기로 완전히 부하 이동하더라도 비상발전기의 기동이 정지되지 않는 최적의 절체 시점에 상용전원 스위치를 오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하 이동시 비상발전기가 다운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용전원에서 비상발전기로의 최적 부하이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상발전기에서 상용전원로의 최적 부하이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은,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부하 이동시 비상발전기가 다운되지 않는 최적 절체 시점에 상용전원 스위치 또는 비상발전기 스위치를 오프하여서 부하를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용전원 스위치(120)와 비상발전기(G)와 발전기 스위치(130)와 발전기전력 검출부(143)와 부하전력 검출부(145)와 상용전력 검출부(141)와 MCU(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용전원 스위치(120)는 MCU(11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서 스위칭 동작하여 상용전원에서 부하(L)로의 전력 공급을 단속하는 구성이다.
상기 비상발전기(G)는 부하(L)에 비상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기 발전기 스위치(130)는 비상발전기(G)와 부하(L) 사이에 연결되고, MCU(11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서 스위칭 동작하여 비상발전기(G)에서 부하로의 전력 공급을 단속하는 구성이다.
상기 발전기전력 검출부(143)는 비상발전기(G)에서 출력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부하전력 검출부(145)는 부하(L)의 현재 사용전력인 부하전력[P(n)]을 검출하는 구성이다.
상기 상용전력 검출부(141)는 상용전원의 전력량을 검출하는 구성이다.
상기 MCU(110)는 상기 상용전원 스위치(120)가 온(on) 되어서 상용전원이 부하(L)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발전기 스위치(130)를 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부하전력을 모니터링하며, 모니터링된 부하전력값이 비상발전기 발전용량과 대비하여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용전원 스위치(120)를 오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모니터링된 부하전력값이 비상발전기 발전용량과 대비하여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가 병렬운전하는 동안에 점차 증가하는 비상발전기의 출력값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부하전력값과 비상발전기의 출력값을 모니터링하면서 점차 증가하는 비상발전기의 출력값을 연동하여서 비상발전기가 부담하여야 하는 부하전력값이 비상발전기 발전용량 대비하여 제1 기준값보다 작아지는 순간에 상용전원 스위치(120)를 오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MCU(110)가 상용전원 스위치(120)로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상용전원 스위치(120)는 오프되고, 상용전원에서 비상발전기로 부하가 이동된다.
상기 MCU(110)의 내부 메모리에는 비상발전기의 발전용량값[P(G)]과, 제어를 위한 기준값으로서 비상발전기의 발전용량 대비 부하전력[P(n)]의 기준 비율인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이 저장되어있다.
상기 MCU(110)의 구체적인 구성, 즉 최적화 절체를 위한 구체적인 알고리즘에 대해서 기술한다.
상기 MCU(110)는, 현재의 부하전력값을 부하전력 검출부(145)를 통해서 모니터링하고, 비상발전기의 발전용량[P(G)] 대비 현재의 부하전력값[P(n)]의 비율인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P(n)/P(G)]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한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P(n)/P(G)]과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을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P(n)/P(G)]이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 이상인 경우(동일한 경우 포함됨), 발전기전력 검출부(143)를 통해서 점차 증가하는 비상발전기 출력전력을 모니터링하고,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는 현재의 부하전력과 비상발전기의 출력전력값을 감산 연산한 후에, 상기 감산 연산한 전력의 차이값을 비상발전기 발전용량으로 제산 연산하고, 상기 제산 연산한 값과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을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이 상기 제산 연산한 결과의 비율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용전원 스위치(120)를 오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비상발전기에서 상용전원으로 부하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용전원 계통을 보호할 수 있는 최적의 절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추가 구성에 대해서 기술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 외에 부가적으로, 상기 MCU(110)의 내부 메모리에는 상기 상용전원의 용량값[P(K)]과, 제어를 위한 기준값으로서 상용전원 용량 대비 부하전력의 기준 비율인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이 저장되어있다.
비상발전기로부터 상용전원으로의 최적화 절체를 위한 구체적인 알고리즘 구성에 대해서 기술한다.
상기 MCU(110)는, 현재의 부하전력값을 부하전력 검출부(145)를 통해서 모니터링하고, 상용전원 용량 대비 현재의 부하전력값의 비율(제2 현재 부하전력 비율)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한 제2 현재 부하전력 비율과 기 저장된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을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 제2 현재 부하전력 비율이 상기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 이상인 경우(동일한 경우 포함됨) 상용전력 검출부(141)를 통해서 점차 증가하는 상용전원의 출력전력을 모니터링하고,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는 현재의 부하전력과 상용전원의 출력전력값을 감산 연산한 후에, 상기 감산 연산한 전력의 차이값을 상용전원 용량으로 제산 연산하고, 상기 제산 연산한 결과의 비율값과 상기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을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이 상기 제산 연산한 결과의 비율값보다 큰 경우에는 발전기 스위치(130)를 오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상용전원에서 비상발전기로 부하가 이동되는 경우, 즉 상용전원 스위치(120)가 온되어서 상용전원에서 부하(L)로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비상발전기(G)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비상발전기(G)로 부하를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비상발전기와 상용전원 간에 전압, 주파수 및 위상각을 일치시켜서 동기화한 후에, MCU(110)의 제어에 의해서 발전기 스위치(130)를 닫는다(on)(S210).
그리고, 발전기 스위치(130)가 닫히는 순간, MCU(110)는 부하전력 검출부(145)로부터 부하(L)의 현재 전력값을 입력받아서 부하전력을 모니터링한다(S212).
현재의 부하전력값을 입력받은 MCU(110)는 비상발전기(G)의 발전용량[P(G)] 대비 현재의 부하전력[P(n)]의 비율인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P(n)/P(G)]을 산출한다(S214).
상기 산출한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과 기 설정된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을 비교한다(S216).
상기 S216 단계에서의 비교의 결과,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이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 이상인 경우(S218)에는, 비상발전기(G)에서 전력이 출력되어서 병렬 운전이 된다(S220).
발전기전력 검출부(143)는 비상발전기(G)의 출력전력을 검출하고, MCU(110)는 점차 증가하는 발전기 출력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S222).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 발전기 출력량과 부하전력량을 기초로 MCU(110)는 부하전력량에서 발전기 출력전력량을 감산 연산한다(S224).
상기 MCU(110)는 상기 감산한 전력값[P(n) - P(g)]을 발전용량[P(G)]으로 제산 연산하고, 상기 제산 연산한 값
Figure 112014063327257-pat00001
과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의 크기를 비교한다(S226).
상기 S226 비교의 결과, 제산 연산한 값
Figure 112014000355855-pat00002
이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보다 작아지는 순간 상용전원 스위치(120)로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데, 이 시점이 부하전력값과 발전기 발전용량을 고려했을 때 발전기가 다운되지 않고 부하이동할 수 있는 가장 신속하면서도 적확한 시점이 되는 것이다.
MCU(110)로부터 오프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용전원 스위치(120)는 스위칭 오프되고(S228), 부하는 비상발전기로 완전히 이동된다.
한편, 상기 S216 단계에서의 비교의 결과,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이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 미만인 경우에는 곧바로 상용전원 스위치(120)를 열기 위한 오프 제어신호가 출력된다(S218, S228).
즉,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이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 미만인 경우에는 부하의 용량과 비상발전기의 발전용량을 고려하여 비상발전기가 다운되지 않고 부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가장 빠르고 가장 적확한 시점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상용전원 스위치(120)가 오프되면 비상발전기(G)로 부하가 이동한다(S230).
다음으로 비상발전기에서 상용전원으로의 최적 부하이동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 과정은 발전기 스위치(130)가 온되어서 비상발전기(G)에서 부하(L)로 전력이 공급된 이후에 상용전원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비상발전기로부터 상용전원으로 부하를 이동하는 경우이다.
비상발전기와 상용전원 간에 전압, 주파수 및 위상각을 일치시켜서 동기화한 후에, MCU(110)의 제어에 의해서 상용전원 스위치(120)를 닫는다(on)(S310).
상용전원 스위치(120)가 닫히는 순간 MCU(110)는 부하(L)의 현재 전력값을 모니터링한다(S312).
현재의 부하전력값을 모니터링한 MCU(110)는 "상용전원 용량[P(K)] 대비 현재의 부하전력[P(n)] 비율"인 제2 현재 부하전력 비율[= P(n)/P(K)]을 산출한다(S314).
상기 산출한 제2 현재 부하전력 비율과 기 설정된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을 비교한다(S316).
상기 S316 단계에서의 비교의 결과, 제2 현재 부하전력 비율이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 이상인 경우(S318)에는, 비상발전기와 상용전원이 병렬 운전한다(S320).
상용전력 검출부(141)는 상용전원 전력량[P(k)]을 검출하고, MCU(110)는 점차 증가하는 상용전원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S322).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 상용전원 전력량[P(k)]과 부하전력량을 기초로 MCU(110)는 부하전력량[P(n)]에서 상용전원 전력량[P(k)]을 감산 연산한다(S324).
상기 MCU(110)는 상기 감산한 전력값[P(n) - P(k)]을 상용전원의 전력용량[P(K)]로 제산 연산하고, 상기 제산 연산한 값
Figure 112014000355855-pat00003
과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의 크기를 비교한다(S326).
상기 S326 비교의 결과, 제산 연산한 값
Figure 112014000355855-pat00004
이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보다 작아지는 순간 발전기 스위치(130)로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데, 이 시점이 부하전력값과 상용전원의 용량값을 고려했을 때 계통이 손상되지 않은채 부하이동할 수 있는 가장 신속하면서도 적확한 시점이 되는 것이다.
상용전원 스위치(120)가 오프되면(S328) 부하가 상용전원으로 완전히 이동된다.
한편, 상기 S316 단계에서의 비교의 결과, 제2 현재 부하전력 비율이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 미만인 경우에는 곧바로 발전기 스위치(130)를 열기 위한 오프 제어신호가 출력된다(S318, S328).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10 : MCU 120 : 상용전원 스위치
130 : 발전기 스위치 141 : 상용전력 검출부
143 : 발전기전력 검출부 145 : 부하전력 검출부
G : 비상발전기

Claims (4)

  1.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부하 이동시 최적 절체시점을 찾아서 부하이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MCU(11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서 스위칭 동작하여 상용전원에서 부하(L)로의 전력 공급을 단속하는 상용전원 스위치(120);
    부하(L)에 비상전력을 공급하는 비상발전기(G);
    비상발전기(G)와 부하(L) 사이에 연결되고, MCU(11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서 스위칭 동작하여 비상발전기(G)에서 부하로의 전력 공급을 단속하는 발전기 스위치(130);
    상용전원의 전력량을 검출하는 상용전력 검출부(141);
    비상발전기(G)에서 출력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발전기전력 검출부(143);
    부하(L)의 현재 사용전력인 부하전력[P(n)]을 검출하는 부하전력 검출부(145);
    상기 상용전원 스위치(120)가 온(on) 되어서 상용전원이 부하(L)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발전기 스위치(130)를 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MCU(1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MCU(110)의 내부 메모리에는 상기 비상발전기의 발전용량값[P(G)]과, 비상발전기의 발전용량 대비 부하전력[P(n)]의 기준 비율인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MCU(110)는,
    현재의 부하전력값을 상기 부하전력 검출부(145)를 통해서 모니터링하고,
    비상발전기의 발전용량[P(G)] 대비 현재의 부하전력값[P(n)]의 비율인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P(n)/P(G)]을 산출하며,
    산출한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P(n)/P(G)]과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을 비교하며,
    상기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P(n)/P(G)]과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의 비교의 결과 상기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P(n)/P(G)]이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 미만인 경우에는 곧바로 상기 상용전원 스위치(120)를 열기 위한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P(n)/P(G)]과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의 비교의 결과 상기 제1 현재 부하전력 비율[P(n)/P(G)]이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 이상인 경우에는, 점차 증가하는 비상발전기 출력전력을 모니터링하고,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는 현재의 부하전력[P(n)]과 비상발전기의 출력전력값[P(G)]을 감산 연산한 후에, 상기 감산 연산한 전력의 차이값[P(n) - P(G)]을 비상발전기 발전용량[P(G)]으로 제산 연산하고, 상기 제산 연산한 값{[P(n)-P(G)]/P(G)}과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의 크기를 비교하며,
    상기 제산 연산한 값{[P(n)-P(G)]/P(G)}이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보다 작아지는 순간 상기 상용전원 스위치(120)를 오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용전원에서 비상발전기(G)로의 부하 이동을 제어하며,
    상기 MCU(110)의 내부 메모리에는 상용전원의 용량값[P(K)]과, 상용전원 용량 대비 부하전력의 기준 비율인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이 저장되어있으며,
    상기 MCU(110)는,
    현재의 부하전력값을 상기 부하전력 검출부(145)를 통해서 모니터링하고, 상용전원 용량 대비 현재의 부하전력값의 비율인 제2 현재 부하전력 비율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한 제2 현재 부하전력 비율과 기 저장된 상기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을 비교하고 그 비교의 결과, 상기 제2 현재 부하전력 비율이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 미만인 경우에는 곧바로 발전기 스위치(130)를 열기 위한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산출한 제2 현재 부하전력 비율과 기 저장된 상기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을 비교하고 그 비교의 결과, 상기 제2 현재 부하전력 비율이 상기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상용전력 검출부(141)를 통해서 점차 증가하는 상용전원의 출력전력을 모니터링하고,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는 현재의 부하전력과 상용전원의 출력전력값을 감산 연산한 후에, 상기 감산 연산한 전력의 차이값을 상용전원 용량으로 제산 연산하고, 상기 제산 연산한 값과 상기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을 비교하며,
    상기 제산 연산한 값이 상기 제2 기준 부하전력 비율보다 작아지는 순간 발전기 스위치(130)를 오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비상발전기(G)로부터 상용전원으로의 부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부하전력 비율은 0.5 ~ 0.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
  4. 삭제
KR1020140000402A 2014-01-02 2014-01-02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 KR101466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402A KR101466162B1 (ko) 2014-01-02 2014-01-02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402A KR101466162B1 (ko) 2014-01-02 2014-01-02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162B1 true KR101466162B1 (ko) 2014-11-27

Family

ID=5229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402A KR101466162B1 (ko) 2014-01-02 2014-01-02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1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053B1 (ko) * 2015-12-29 2018-05-21 한국전기안전공사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861053B1 (ko) * 2018-01-25 2018-05-24 정정심 비상전원 자동 절체장치
KR102542499B1 (ko) * 2022-11-29 2023-06-14 주식회사 정도건설산업 자가 발전 기능을 가진 비점 오염 저감 시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782B1 (ko) * 2012-10-12 2012-12-24 정순희 고압 및 저압용 병렬 운전 배전반
KR101255651B1 (ko) * 2012-01-03 2013-04-17 이승철 스마트 배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651B1 (ko) * 2012-01-03 2013-04-17 이승철 스마트 배전반
KR101214782B1 (ko) * 2012-10-12 2012-12-24 정순희 고압 및 저압용 병렬 운전 배전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053B1 (ko) * 2015-12-29 2018-05-21 한국전기안전공사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861053B1 (ko) * 2018-01-25 2018-05-24 정정심 비상전원 자동 절체장치
KR102542499B1 (ko) * 2022-11-29 2023-06-14 주식회사 정도건설산업 자가 발전 기능을 가진 비점 오염 저감 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9179B1 (en) Fault current limiting control and protection coordination method for converter operating in isolated state in flexible direct current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1466162B1 (ko)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 간의 최적 부하이동 시스템
JP6183727B2 (ja) 周波数制御方法、周波数制御装置、及び、蓄電池システム
WO2015096586A1 (zh) 一种微电网系统无缝切换的方法及系统
US10291016B2 (en) Arc handling control device, arc handling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201374586Y (zh) 一种双电源切换器
US9722458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147739B2 (ja) 配電系統の地絡保護システム、配電系統の地絡保護方法、プログラム
KR20160064973A (ko) 신재생 에너지 발전 전력 안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EP26538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state of overcurrent protector for battery
RU2013119629A (ru) Электронное у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потребления энергии электрическим бытовым прибором, находящимся в режиме ожидания
KR101859053B1 (ko) 무정전절체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 동기 제어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3021A (ko) 분산전원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그의 무순단 절체 방법
CN113470999A (zh) 开关控制方法、开关控制器、系统及存储介质
CN103699147A (zh) 一种压力预估器控制压力开关的方法
KR20090037554A (ko) 무정전 부하 순차 제어형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ATE532247T1 (de) Softwaregesteuerte auswertung eines fehlerstroms für schutz- und überwachungssysteme
KR101214782B1 (ko) 고압 및 저압용 병렬 운전 배전반
JP5635156B1 (ja) 配電線転負荷システム
KR101815904B1 (ko) 전자기기 식별 시스템 및 그 식별 방법
CN106771879B (zh) 一种电网状态检测方法、装置及静态切换开关柜
TN2009000183A1 (en) Electric installa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of an electric installation arrangement
JP6398057B2 (ja) 交流電源装置及びその瞬時電圧変動検出方法
CN104577945A (zh) 一种方向性电流保护方法及装置
JP2007037225A (ja) 充電回路及び充電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