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155B1 -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6155B1 KR101466155B1 KR20140117562A KR20140117562A KR101466155B1 KR 101466155 B1 KR101466155 B1 KR 101466155B1 KR 20140117562 A KR20140117562 A KR 20140117562A KR 20140117562 A KR20140117562 A KR 20140117562A KR 101466155 B1 KR101466155 B1 KR 1014661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rail
- block
- rail cover
- rail
- upper bloc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레일의 기울기를 보정하여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핸드레일(20)의 정면에 레일커버(26)를 형성하고, 사다리꼴돌기(26a)와 사다리꼴홈(20g)을 레일커버(26)와 핸드레일(20) 양측에 형성하며,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을 핸드레일(20)과 레일커버(26) 내부에 삽입하여 접시머리나사(28a)(28b)(28c)(28d)에 의해 고정하며, 외주면에 수직안내판(52)(54)이 형성된 수평축(50)을 벽면(29)에 설치되는 브래킷(56)에 설치하고, 수직안내판(52)(54)과 미끄럼 결합되는 수직홈(30g)(40g)을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에 형성하며, 구면편심링(62)을 갖는 중공축(60)을 수평축(50)에 설치하고, 구면편심링(62)의 상하부에 각각 선접촉하는 호형홈(36a)(46a)을 갖는 링가이드(36)(46)를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에 형성하며, 수평축(50)과 동심을 이루는 웜휠(64)을 중공축(6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웜휠(64)에 맞물린 웜기어(70)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지지축(72)(74)을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에 형성된 수직관통구멍(30k)(40k)에 삽입하며, 웜기어(70)의 지지축(74) 하단부에 형성된 렌치결합홈(74g)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렌치삽입구멍(26m)을 레일커버(26)의 하부에 형성하고, 고무링(80)을 브래킷(56)과 핸드레일(20) 사이에 형성된 이격부(G)에 개재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난간의 핸드레일 양단을 콘크리트 벽면에 고정하는데 이용하는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레일을 벽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핸드레일의 기울기를 정밀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핸드레일의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발코니에는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난간은 통상 가로 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파이프 형태의 핸드레일과,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핸드레일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난간동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핸드레일의 양단을 레일고정구를 이용해서 콘크리트 벽면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형태의 레일고정구(13)를 핸드레일(10)의 단부에 끼운 다음 레일고정구(13)의 상부와 측부에 형성된 플랜지(13b)(13c)를 벽면(도시생략)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벽면에 천공된 구멍(도시생략)에 삽입된 인서트(15)에 결합되는 고정스크류(14)를 이용해서 플랜지(13b)(13c)를 벽면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었다.
또한, 레일고정구(13)를 핸드레일(10)에 삽입할 때 핸드레일(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난간동자(12)와 레일고정구(13)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고정구(13)의 하부에 절개된 형태의 저면개방구(13a)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핸드레일(10)이 레일고정구(13)의 밑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고정구(13)의 하단부가 “L”자 형태를 이루도록 안쪽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핸드레일(10)을 벽면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핸드레일(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오차에 의해 핸드레일(10)이 수평하게 시공되지 못하고 심하게 기울어진 경우 하자가 발생되어 철거 후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핸드레일(10)을 벽면에 설치할 때 레일고정구(13)를 핸드레일(10)의 단부에 끼운 상태에서 무거운 핸드레일(10)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벽면에 구멍을 천공한 다음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힘들고 위험할 뿐만 아니라 구멍을 천공할 때 중량물인 핸드레일(10)이 미동하지 않도록 잡고 있는 것이 매우 힘들기 때문에 정밀한 시공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핸드레일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고, 핸드레일이 기울어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기울기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출 수 있는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핸드레일의 단부를 절개하여 정면에 레일커버를 형성하고, 상호 맞물려 결합되는 사다리꼴돌기와 사다리꼴홈을 레일커버와 핸드레일 양측에 형성하며,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의 분할면에 형성된 핀구멍에 핀을 설치하고,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을 핸드레일과 레일커버 내부에 삽입하여 접시머리나사에 의해 고정하며, 외주면에 수직안내판이 형성된 수평축을 벽면에 설치되는 브래킷에 설치하고, 수직안내판과 미끄럼 결합되는 수직홈을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에 각각 형성하며, 구면편심링을 갖는 중공축을 수평축에 설치하고, 구면편심링의 상하부에 각각 선접촉하는 호형홈을 갖는 링가이드를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의 천장과 바닥에 형성하며, 수평축과 동심을 이루는 웜휠을 중공축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웜휠에 맞물린 웜기어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지지축을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에 형성된 수직관통구멍에 삽입하며, 웜기어의 지지축 하단부에 형성된 렌치결합홈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렌치삽입구멍을 레일커버의 하부에 형성하고, 속이 빈 "T"형 단면을 갖는 고무링을 브래킷과 핸드레일 사이에 형성된 이격부에 개재하여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핸드레일을 벽면에 설치하기 전에 브래킷, 수평축, 수직안내판, 중공축, 구면편심링, 웜휠, 스냅링 등으로 이루어진 조립뭉치를 벽면에 설치한 다음 웜기어, 하부블록, 핀, 상부블록 등을 조립뭉치에 결합한 후 무거운 핸드레일의 양단을 조립된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의 후방측에 끼운 상태에서 레일커버를 씌우고 접시머리나사를 이용해서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핸드레일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드레일의 설치작업을 마친 상태에서 L-렌치와 같은 체결공구를 이용해서 내부의 웜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기울어진 핸드레일의 수평을 정밀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브래킷과 핸드레일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이격부에 고무링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격부 간격이 변화된 경우라도 고무링의 신축에 의해 흡수하면서 우천시 이격부를 통해 핸드레일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부 부품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핸드레일에 형성되어 있는 사다리꼴홈과 레일커버에 형성되어 있는 사다리꼴돌기에 의해 핸드레일과 레일커버의 결합력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웜기어를 회전시킬 때 이용하는 렌치삽입구멍이 레일커버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우천시 렌치삽입구멍을 통한 핸드레일 내부로의 빗물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레일커버를 핸드레일로부터 분리하여 내부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저면측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C-C'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핸드레일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추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레일커버를 핸드레일로부터 분리하여 내부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저면측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C-C'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핸드레일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추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레일(20)의 단부를 부분 절개하여 핸드레일(20)의 정면에 레일커버(26)를 형성하고, 상호 맞물려 결합되는 사다리꼴돌기(26a)와 사다리꼴홈(20g)을 레일커버(26)와 핸드레일(20)이 만나면서 이루는 커팅라인(20n)을 경계로 핸드레일(20)과 레일커버(26) 양측에 형성한다.
예컨대, 레일커버(26)는 사각파이프 형태의 핸드레일(20) 단부 정면 절반을 "L"자 모양으로 부분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레일커버(26)를 핸드레일(20)에 결합했을 때 사각의 파이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하로 분할된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의 분할면(32)(42)에 형성된 핀구멍(32h)(42h)에 핀(34)(44)을 설치하여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을 결합했을 때 핀(34)(44)에 의해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이 정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은 예를 들어서, 분리시에는 문(門)자 모양을 이루고, 조립시에는 입구(口)자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 핀(34)(44)의 외경을 핀구멍(32h)(42h)의 내경보다 미세한 차이로 크게 형성하게 되면,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의 조립 후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이 자중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립된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은 핸드레일(20)과 레일커버(26) 내부 형상에 맞도록 형성하여 핸드레일(20)과 레일커버(26) 내부에 삽입했을 때 유동하지 못하도록 하며, 핸드레일(20)과 레일커버(26)에 각각 형성된 원추형구멍(20c)(20d)(26c)(26d)과 구멍중심이 일치되는 탭구멍(31c)(31d)(41c)(41d)을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에 각각 형성하고, 접시머리나사(28a)(28b)(28c)(28d)를 원추형구멍(20c)(20d)(26c)(26d)을 통해 탭구멍(31c)(31d)(41c)(41d)에 결합함으로써 조립된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을 핸드레일(20)과 레일커버(26) 내측에 고정한다.
외주면 상하부에 수직안내판(52)(54)이 형성된 수평축(50)을 벽면(29)에 설치되는 브래킷(56)에 수평하게 설치하고, 수직안내판(52)(54)과 미끄럼 결합되는 수직홈(30g)(40g)을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의 단부에 각각 형성하며, 구면편심링(62)을 갖는 중공축(60)을 수평축(50)에 설치하고, 구면편심링(62)의 상하부에 선접촉하는 호형홈(36a)(46a)을 갖는 링가이드(36)(46)를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의 천장과 바닥에 각각 형성한다.
즉, 첨부도면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면편심링(62)의 중심은 수평축(50)의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편심량(E)으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구면편심링(62)의 회전시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을 통해 핸드레일(20)의 단부가 편심량(E)의 범위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핸드레일(2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브래킷(56)에는 체결구멍(56h)을 형성하고, 체결구멍(56h)과 중심이 일치되는 인서트(23)를 벽면(29)에 삽입한 후 체결구멍(56h)을 통해 나사못(21)을 인서트(23)에 결합함으로써 브래킷(56)을 벽면(29)에 고정하도록 한다.
중공축(60)은 수평축(50)의 외측에 삽입되며, 중공축(60)이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축(50)의 일측단부에는 걸림턱(51)을 형성하고, 수평축(50)의 타측단에는 스냅링(58) 설치를 위한 환형의 멈춤홈(57)을 형성하여 중공축(60)의 양단을 걸림턱(51)과 스냅링(58)에 의해 구속함으로써 중공축(60)이 축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고 수평축(50)을 중심으로 회전만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수평축(50)과 동심을 이루는 웜휠(64)을 중공축(6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웜휠(64)에 맞물린 웜기어(70)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지지축(72)(74)을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에 각각 형성된 수직관통구멍(30k)(40k)에 삽입하며, 웜기어(70)의 지지축(74) 하단부에 형성된 렌치결합홈(74g)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렌치삽입구멍(26m)을 레일커버(26)의 하부에 형성한다.
속이 빈 "T"형 단면을 갖는 고무링(80)을 브래킷(56)과 핸드레일(20) 사이에 형성된 이격부(G)에 개재하여 이격부(G) 간격이 변화되거나 핸드레일(20)의 기울기를 보정할 때 핸드레일(20)이 길이방향으로 약간의 유동성을 갖도록 하는 동시에 우천시 이격부(G)를 통해 핸드레일(20)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고무링(80)에 의해 차단하여 핸드레일(20)과 내부 부품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2는 난간동자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레일(20)을 시공하는 과정은 먼저 브래킷(56)에 형성된 체결구멍(56h)과 동일한 중심의 구멍을 벽면(29)에 천공한 다음 그 천공된 구멍에 인서트(23)를 삽입한 후 브래킷(56)을 벽면(29)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나사못(21)을 체결구멍(56h)을 통해 인서트(23)에 결합하여 조이게 되면 브래킷(56)이 벽면(29)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브래킷(56)에 설치되어 있는 수평축(50)에 중공축(60), 구면편심링(62), 웜휠(64), 스냅링(58)을 공장 등에서 미리 조립한 상태에서 현장으로 조립뭉치 형태로 반입하여 사용하게 되면, 현장에서 조립하는 작업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공기를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웜기어(70)를 웜휠(64)에 맞물린 상태에서 하부블록(40)에 형성된 핀구멍(42h)에 핀(34)(44)의 하측절반을 삽입한 다음 웜기어(70)의 하단부에 형성된 지지축(74)을 하부블록(40)에 형성된 수직관통구멍(40k)에 삽입하고, 수평축(50)에 형성된 수직안내판(54)이 하부블록(40)에 형성된 수직홈(40g)에 끼워지도록 조립하게 되면, 하부블록(40)에 형성된 호형홈(46a)이 구면편심링(62)의 하측에 밀착된다.
그 다음 상부블록(30)에 형성된 핀구멍(32h)에 핀(34)(44)의 나머지 상측절반이 삽입되도록 상부블록(30)을 하부블록(40) 위에 덮어씌우면서 웜기어(70)의 상단부에 형성된 지지축(72)이 상부블록(30)에 형성된 수직관통구멍(30k)에 삽입되도록 하고, 수평축(50)에 형성된 수직안내판(52)이 상부블록(30)에 형성된 수직홈(30g)에 끼워지도록 조립하게 되면, 상부블록(30)에 형성된 호형홈(36a)이 구면편심링(62)의 상측에 밀착되고,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은 입구(口)자 모양으로 결합된다.
이때 핀(34)(44)의 외경을 핀구멍(32h)(42h)의 내경보다 미세한 차이로 크게 형성한 경우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이 조립된 후 자중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립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이 조립된 상태에서 핸드레일(20)의 안쪽으로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의 후방측 절반이 삽입되도록 핸드레일(20)의 단부를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의 후방측에 끼운 후 핸드레일(20)에 형성된 원추형구멍(20c)(20d)의 중심을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에 형성된 탭구멍(31c)(41c)의 중심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접시머리나사(28a)(28b)를 원추형구멍(20c)(20d)을 통해 탭구멍(31c)(41c)에 결합하게 되면, 핸드레일(20)이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의 후방측 절반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후 사다리꼴돌기(26a)와 사다리꼴홈(20g)이 서로 맞물리도록 레일커버(26)를 핸드레일(20)에 조립한 다음 접시머리나사(28c)(28d)를 원추형구멍(26c)(26d)을 통해 탭구멍(31d)(41d)에 조립하게 되면,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의 전방측 절반에 레일커버(26)가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사다리꼴돌기(26a)와 사다리꼴홈(20g)에 의해 핸드레일(20)과 레일커버(26)는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핸드레일(20) 설치작업을 마친 상태에서 핸드레일(20)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경우 레일커버(26)의 하부에 형성된 렌치삽입구멍(26m)을 통해 L-렌치(도시생략)와 같은 체결공구를 삽입하여 웜기어(70) 하단부에 형성된 렌치결합홈(74g)에 결합한 다음 웜기어(7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웜기어(70)의 회전에 의해 웜휠(64)이 수평축(5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동시에 중공축(60)과 구면편심링(62)이 회전된다.
이때 수평축(5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구면편심링(62)이 편심회전되면서 편심량(E) 범위내에서 상하방향의 높이가 변경되는데, 구면편심링(62)의 상하부에 선접촉되어 있는 호형홈(36a)(46a)에 의해 링가이드(36)(46) 및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 핸드레일(20)의 단부 높이가 구면편심링(62)의 회전각도에 따라 가변되면서 핸드레일(20)의 양단부 높이가 변경되어 기울어진 정도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또,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홈(30g)(40g)이 수평축(50)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안내판(52)(54)에 미끄럼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은 회전하지 못하고 상하방향 및 미세한 좌우방향으로의 움직만을 갖게 된다.
즉, 핸드레일(20)의 길이방향인 좌우방향으로 핸드레일(20)에 힘이 가해질 때 핸드레일(20)의 양단에 밀착되어 있는 고무링(80)의 탄성저항에 의해 핸드레일(20)의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핸드레일(20)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의 좌우방향 움직임이 고무링(80)의 탄성저항에 의해 미세하게 제한된다.
또한, 링가이드(36)(46)에 형성되어 있는 호형홈(36a)(46a)에 선접촉되어 있는 구면편심링(62)은 구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핸드레일(20) 설치과정 또는 기울기 보정과정에서 핸드레일(20)의 기울기가 변화되는 경우 구면편심링(62)이 호형홈(36a)(46a)에서 핸드레일(20)이 기울어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미끄러지게 된다.
20 : 핸드레일 20c,20d,26c,26d : 원추형구멍
20g : 사다리꼴홈 20n : 커팅라인
21 : 나사못 22 : 난간동자
23 : 인서트 26 : 레일커버
26a : 사다리꼴돌기 26m : 렌치삽입구멍
28a,28b,28c,28d : 접시머리나사
29 : 벽면 30 : 상부블록
40 : 하부블록 30g,40g : 수직홈
30k,40k : 수직관통구멍 31c,31d,41c,41d : 탭구멍
32,42 : 분할면 32h,42h : 핀구멍
34,44 : 핀 36,46 : 링가이드
36a,46a : 호형홈 50 : 수평축
51 : 걸림턱 52,54 : 수직안내판
56 : 브래킷 56h : 체결구멍
57 : 멈춤홈 58 : 스냅링
60 : 중공축 62 : 구면편심링
64 : 웜휠 70 : 웜기어
72,74 : 지지축 74g : 렌치결합홈
80 : 고무링 E : 편심량
G : 이격부
20g : 사다리꼴홈 20n : 커팅라인
21 : 나사못 22 : 난간동자
23 : 인서트 26 : 레일커버
26a : 사다리꼴돌기 26m : 렌치삽입구멍
28a,28b,28c,28d : 접시머리나사
29 : 벽면 30 : 상부블록
40 : 하부블록 30g,40g : 수직홈
30k,40k : 수직관통구멍 31c,31d,41c,41d : 탭구멍
32,42 : 분할면 32h,42h : 핀구멍
34,44 : 핀 36,46 : 링가이드
36a,46a : 호형홈 50 : 수평축
51 : 걸림턱 52,54 : 수직안내판
56 : 브래킷 56h : 체결구멍
57 : 멈춤홈 58 : 스냅링
60 : 중공축 62 : 구면편심링
64 : 웜휠 70 : 웜기어
72,74 : 지지축 74g : 렌치결합홈
80 : 고무링 E : 편심량
G : 이격부
Claims (1)
- 핸드레일(20)의 단부를 절개하여 정면에 레일커버(26)를 형성하고, 상호 맞물려 결합되는 사다리꼴돌기(26a)와 사다리꼴홈(20g)을 레일커버(26)와 핸드레일(20) 양측에 형성하며,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의 분할면(32)(42)에 형성된 핀구멍(32h)(42h)에 핀(34)(44)을 설치하고,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을 핸드레일(20)과 레일커버(26) 내부에 삽입하여 접시머리나사(28a)(28b)(28c)(28d)에 의해 고정하며, 외주면에 수직안내판(52)(54)이 형성된 수평축(50)을 벽면(29)에 설치되는 브래킷(56)에 설치하고, 수직안내판(52)(54)과 미끄럼 결합되는 수직홈(30g)(40g)을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에 각각 형성하며, 구면편심링(62)을 갖는 중공축(60)을 수평축(50)에 설치하고, 구면편심링(62)의 상하부에 각각 선접촉하는 호형홈(36a)(46a)을 갖는 링가이드(36)(46)를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의 천장과 바닥에 형성하며, 수평축(50)과 동심을 이루는 웜휠(64)을 중공축(6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웜휠(64)에 맞물린 웜기어(70)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지지축(72)(74)을 상부블록(30)과 하부블록(40)에 형성된 수직관통구멍(30k)(40k)에 삽입하며, 웜기어(70)의 지지축(74) 하단부에 형성된 렌치결합홈(74g)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렌치삽입구멍(26m)을 레일커버(26)의 하부에 형성하고, 속이 빈 "T"형 단면을 갖는 고무링(80)을 브래킷(56)과 핸드레일(20) 사이에 형성된 이격부(G)에 개재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17562A KR101466155B1 (ko) | 2014-09-04 | 2014-09-04 |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17562A KR101466155B1 (ko) | 2014-09-04 | 2014-09-04 |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6155B1 true KR101466155B1 (ko) | 2014-11-28 |
Family
ID=5229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117562A KR101466155B1 (ko) | 2014-09-04 | 2014-09-04 |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615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4578B1 (ko) | 2014-12-09 | 2015-01-20 | (주)서한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 |
KR102072971B1 (ko) * | 2019-06-04 | 2020-02-04 | (주)정안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 |
CN113719503A (zh) * | 2021-08-03 | 2021-11-30 | 九江精密测试技术研究所 | 一种高接触刚度高度调节紧固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4780U (ko) * | 1989-06-08 | 1991-01-17 | ||
KR100580186B1 (ko) | 2006-02-15 | 2006-05-16 | 주식회사 우리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 베란다 난간의 상부바 고정구조 |
JP2006274780A (ja) | 2005-03-29 | 2006-10-12 | Yasushi Miyauchi | 昇降式手摺支持装置 |
KR101364518B1 (ko) | 2013-09-16 | 2014-02-20 |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 |
-
2014
- 2014-09-04 KR KR20140117562A patent/KR10146615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4780U (ko) * | 1989-06-08 | 1991-01-17 | ||
JP2006274780A (ja) | 2005-03-29 | 2006-10-12 | Yasushi Miyauchi | 昇降式手摺支持装置 |
KR100580186B1 (ko) | 2006-02-15 | 2006-05-16 | 주식회사 우리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 베란다 난간의 상부바 고정구조 |
KR101364518B1 (ko) | 2013-09-16 | 2014-02-20 |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난간고정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4578B1 (ko) | 2014-12-09 | 2015-01-20 | (주)서한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 |
KR102072971B1 (ko) * | 2019-06-04 | 2020-02-04 | (주)정안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 |
CN113719503A (zh) * | 2021-08-03 | 2021-11-30 | 九江精密测试技术研究所 | 一种高接触刚度高度调节紧固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15915B1 (ko) | 건축용 서포터 | |
KR101466155B1 (ko) |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 | |
AU2019232888B2 (en) | A void platfor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platform support across a building void | |
US20150129359A1 (en) | Self-climbing scaffold system in construction works of buildings and self-climbing method | |
CN108442693A (zh) | 一种快速移动安装支撑系统 | |
CA2657148A1 (en) | Leveling mechanism for floor drain | |
EP3762559B1 (en) | Modifiable profile system | |
KR101400998B1 (ko) | 공동주택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 |
KR20150003622A (ko) | 석재 오픈 조인트용 연결철물 및 이를 이용한 석재의 고정구조 | |
US10113324B2 (en) | Re-positionable floor guide system and tool for use in the same | |
EP2841658B1 (en) | Balcony glazing arrangement | |
KR100749048B1 (ko) | 건축용 수직 서포트 | |
KR100767293B1 (ko) | 건축용 동바리 | |
KR101590093B1 (ko) | 오픈조인트공법용 기능성 외장마감재 고정장치 | |
KR200402042Y1 (ko) | 스프링클러설비의 신축배관 설치높이장치 | |
KR100756266B1 (ko) | 건축용 동바리 | |
KR100340788B1 (ko) |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수평 표시장치 | |
KR20160001842U (ko) |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장치 | |
KR101761111B1 (ko) | 공동주택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 |
GB2573741A (en) | A void platfor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platform support across a building void | |
JP6289810B2 (ja) | 天井吊り金具及び天井下地材支持構造 | |
KR101545865B1 (ko) | 건축용 서포트 | |
KR100783972B1 (ko) |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 | |
IT201600074949A1 (it) | Sistema di fissaggio di una o piu' pannellature ad un componente edilizio, in particolare per la realizzazione e l'installazione di pensiline, tettoie o simili | |
JP2021095791A (ja) | 自在手摺り及び親綱支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