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788B1 -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수평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수평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788B1
KR100340788B1 KR1019990052085A KR19990052085A KR100340788B1 KR 100340788 B1 KR100340788 B1 KR 100340788B1 KR 1019990052085 A KR1019990052085 A KR 1019990052085A KR 19990052085 A KR19990052085 A KR 19990052085A KR 100340788 B1 KR100340788 B1 KR 100340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ipe
support post
coupled
slid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7732A (ko
Inventor
백승목
Original Assignee
백승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목 filed Critical 백승목
Priority to KR1019990052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788B1/ko
Publication of KR20010047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01C15/008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combined with inclination sens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G01C2009/06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op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장공사와 전기 설비공사에서 기준이 되는 수직 또는 수평의 기준선을 레이저 광선을 이용하여 오차없이 정확하게 표시하도록 하는 수직/수평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은, 천장과 바닥에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파이프형 포스트 단위부재가 다수로 서로 결합 구성되는 지지포스트; 상기 지지포스트에 슬라이딩되게 끼워 결합되고 그 하단에는 상단보다 큰 내경을 갖는 확개부와 그 주위로 등간격의 절개부가 형성된 슬라이딩 파이프와, 그 파이프에 억지결합된 중심베어링으로 구성되는 수직이동 지지기구;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하부 절개부에 끼워지고, 지지포스트와 확개부 사이의 틈새에 선택적으로 끼우도록 하여 면마찰을 발생시키는 쐐기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쐐기 조절간과, 슬라이딩 파이프의 하부 끝단에 나사결합되는 스프링 스테이와, 상기 쐐기 조절간과 스프링 스테이 사이에 탄지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위치결정기구; 및 두 개의 부재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 결합되는 한편, 중심베어링에 점접촉되도록 내경가공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의 내부에는 상기 쐐기 조절간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조작공이 형성되며, 웨이트부가 구비 형성되고, 결합상태의 상부와 하부의 각 외측부에는 선택적으로 레이저 유니트를 나사결합할 수 있는 수직위치 조절나사부가 형성된 수준레벨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수평 표시장치{LEVEL INSTRUMENT USING LASER UNIT}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수평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마감공사의 창호공사 및 타일공사, 천정틀공사, 돌공사 등 건축물의 내장공사와 전기 설비공사에서 기준이 되는 수직 또는 수평기준선을 레이저 광선을 이용하여 작업위치를 이동하여도 오차없이 정확하게 표시하여 공사의 효용성을 극대화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수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공사, 타일공사 및 조적공사나 천정틀공사 등 건축물의 내장공사는 치장공사나 마무리공사에 해당되므로 정렬과 구획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2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왔는데,
그 첫 번째로는 삼각대 위에 레벨, 트랜시트를 이용하거나 레이저 수평표시기를 설치하여 기준점을 설정하는 방법과, 두 번째로는 긴 물호스에 물을 넣어 2인 1조로 호스 양끝의 수위를 보며 수평을 맞추는 방법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중 첫 번째의 방법은,
① 레벨작업이나 레이저 수평표시기의 조작을 숙련된 작업자와 이를 보조하는 보조자가 1조로 되어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었고,
② 이러한 장치가 많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의 실내작업시에 실수로 건드리게 되면 조정작업을 다시 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으며,
③ 작업장의 이동시 휴대 및 설치가 굉장히 불편하며,
④ 또한 장비가 고가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사용을 기피하였고,
⑤ 수평 기준점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상,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한 결정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종래의 방법중 두 번째 방법은,
① 임의로 형성한 긴 호스에 물을 넣은 다음 2인 1조의 작업자가 각각 호스 양끝의 수위를 보며 수평보기를 하여야 하지만 보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 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② 호스의 길이가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는 길이로 제한받을 뿐만 아니라 길이가 길수록 오차가 커져 신뢰성이 없으며, 수위가 안정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 있었으며,
③ 동절기에 이와 같은 작업시에는 물 대신 오일을 사용하여 왔으나 이러한 오일은 점성이 높기 때문에 수평보기의 높은 정밀성 기대할 수 없으며,
④ 작업위치 이동시 기준점 이동작업이 반복되어야 하며, 이러한 상황이 반복되면 많은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창호공사 및 타일공사 천정틀공사, 돌공사, 미장, 조적 등 건축물의 내장공사와 전기, 설비공사의 기준이 되는 수직 또는 수평기준선을 레이저 광선을 이용하여 오차없이 신속 정확하게 표시할 뿐만 아니라 설치위치를 변경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공사의 효용성을 극대화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수평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공사시 수직 또는 수평의 기준선을 설정하기 위한 수직/수평 표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천장과 바닥에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파이프형 포스트 단위부재가 다수로 서로 결합 구성되는 지지포스트;
상기 지지포스트에 슬라이딩되게 끼워 결합되고 상단에는 고정너트의 나사결합에 의해 지지포스트에 지지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단보다 큰 내경을 갖는 확개부와 그 주위로 등간격의 절개부가 형성된 슬라이딩 파이프와, 그 파이프에 억지결합된 중심베어링으로 구성되는 수직이동지지기구;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하부 절개부에 끼워지고, 지지포스트와 확개부 사이의 틈새에 선택적으로 끼우도록 하여 면마찰을 발생시키는 쐐기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쐐기 조절간과, 슬라이딩 파이프의 하부 끝단에 나사결합되는 스프링 스테이와, 상기 쐐기 조절간과 스프링 스테이 사이에 탄지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위치결정기구; 및
두 개의 부재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 결합되는 한편, 중심베어링에 점접촉되도록 내경가공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의 내부에는 상기 쐐기 조절간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조작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경가공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일정위치에 임의의 중량을 갖는 웨이트부가 구비 형성되고, 결합상태의 상부와 하부의 각 외측부에는 선택적으로 레이저 유니트를 나사결합할 수 있는 수직위치조절나사부가 형성된 수준레벨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건축물 내부공사시 기준선을 설정하기 위한 수직/수평 표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천장과 바닥에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파이프형 포스트 단위부재가 다수로 서로 결합 구성되는 지지포스트;
상기 지지포스트에 슬라이딩되게 끼워 결합되고 상단에는 고정너트의 나사결합에 의해 지지포스트에 지지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다수로 등분된 절개부를 중심으로 외경쪽에 일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원주율이 큰 테이퍼 곡면부를 갖는 로크편이 형성된 슬라이딩 파이프와, 그 파이프에 억지결합된 중심베어링으로 구성되는 수직이동지지기구;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하부 절개부에 끼워지고, 일정한 회전범위를 가지며, 그 내주면에 테이퍼 곡면부보다 원주율이 작게 형성된 로크돌기를 일정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로크편을 내압하여 지지포스트와 면마찰하도록 돌출 형성하고, 그 외측으로는 잠금상태와 해제상태를 조절하는 조절간이 형성된 위치결정기구; 및
두 개의 부재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 결합되는 한편, 중심베어링에 점접촉되도록 내경가공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의 내부에는 상기 조절간이 외부로 돌출됨과 동시에 일정 회전범위를 갖도록 조작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경가공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일정위치에 임의의 중량을 갖는 웨이트부가 구비 형성되고, 결합상태의 상부와 하부의 각 외측부에는 선택적으로 레이저 유니트를 나사결합할 수 있는 수직위치조절나사부가 형성된 수준레벨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수평 표시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결합 단면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A - A선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고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하부쪽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8 은 도 7 의 B - 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지지포스트, 12: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
14: 포스트 상부 단위부재, 16: 포스트 하단 단위부재,
16a: 내접 파이프, 16b: 높이조절스프링,
16c: 볼, 16d: 베이스 플레이트,
20: 수직이동 지지기구, 21: 고정너트,
22: 절개홈, 23: 확개부,
24: 절개부, 25: 슬라이딩 파이프,
26: 로크편, 26a: 테이퍼 곡면부,
29: 중심베어링, 30: 위치결정기구,
31: 쐐기, 32: 쐐기 조절간,
33: 스프링 스테이, 34: 탄성스프링,
35: 로크돌기, 36: 조절간,
40: 수준레벨기구, 41: 체결 플랜지,
42: 체결볼트, 43: 내경가공부,
44, 44a: 조작공, 45: 웨이트부,
46, 47: 상,하부 수직위치 조절나사부,
46a, 47a: 미세눈금표시부, 50: 레이저 유니트,
60: 고정플러그, 70: X,Y축 요동기구,
71: X축 요동링크, 72: 요동지지링,
73: Y축 요동링크,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수평 표시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결합 단면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건축물 내부공사시 기준선을 설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지지포스트(10)와, 수직이동지지기구(20), 위치결정기구(30) 및 수준레벨기구(40)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지지포스트(1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로 분할형성됨과 동시에 서로간에 나사결합되는 파이프형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와, 그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의 상단에 나사결합되어 천장에 맞닿게 되는 포스트 상부 단위부재(14) 및 상기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바닥에 맞닿게 되는 포스트 하부 단위부재(16)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포스트 하부 단위부재(16)는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를 끼움결합되는 내접파이프(16a)와, 그 내접파이프(16a)내에 개재되어 지지포스트(10) 전체의 지지높이를 맞추어 세팅하는 높이조절스프링(16b)이 탄지되어 구성되며, 상기 내접파이프(16a)는 베이스 플레이트(16d)에 웰딩된 볼(16c)에 결합되어 어느 방향이든 요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직이동 지지기구(20)는, 상기 지지포스트(10)의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고, 그 상단에는 고정너트(21)의 나사결합에 의해 지지포스트(12)에 지지되도록 절개홈(22)이 등간격으로 4분할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상단보다 큰 내경을 갖는 확개부(23)와, 그 주위로 등간격의 절개부(24)가 다수 형성된 슬라이딩 파이프(25)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25)의 외경으로 억지결합하는 구형의 중심베어링(29)으로 구성된다.
또한 위치결정기구(30)는,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25)의 하부쪽 절개부(24)에끼워지고, 지지포스트(10)의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와 확개부(23) 사이의 틈새에 선택적으로 끼우도록 하여 면마찰을 일으키는 쐐기(31)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끼우는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양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쐐기 조절간(32)과, 슬라이딩 파이프(25)의 하부 끝단에 나사결합되는 스프링 스테이(33)와, 상기 쐐기 조절간(32)과 스프링 스테이(33) 사이에 탄지되는 탄성스프링(34)으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수준레벨기구(40)는, 두 개의 부재가 결합을 위한 체결 플랜지(41)로 다수의 체결볼트(42)의 체결에 의해 조합되도록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편, 중심베어링(29)에 점접촉되도록 내경가공부(43)가 형성되고, 그 하단의 내부에는 상기 쐐기 조절간(32)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일정 수직높이를 갖는 조작공(44)이 형성되며, 상기 내경가공부(43)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일정위치에 임의의 중량을 갖는 웨이트부(45)가 구비 형성되고, 결합상태의 상부와 하부의 각 외측부에는 레이저 광선이 조사되는 레이저 유니트(50)를 선택적으로 나사결합할 수 있는 상부 수직위치 조절나사부(46)와 하부 수직위치 조절나사부(47)가 형성된다.
한편, 중심베어링(29)과 내경가공부(43) 사이에는 마찰감소를 위해 볼베어링(48)을 추가로 설치 구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준레벨기구(40)의 상,하부 수직위치 조절나사부(46)(47)에는 레이저 유니트(50)의 미세한 수직높이를 결정하기 위해 미세눈금표시부(46a)(47a)를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A - A선 단면도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은 거시적으로 볼 경우에는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거의 유사하다. 특히 지지포스트(10)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제 2 실시예의 개량부분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의 구성의 도면부호를 따른다.
먼저, 지지포스트(10)는 도 1 및 도 2 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로 분할형성됨과 동시에 서로간에 나사결합되는 파이프형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와, 그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의 상단에 나사결합되어 천장에 맞닿게 되는 포스트 상부 단위부재(14) 및 상기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바닥에 맞닿게 되는 포스트 하부 단위부재(16)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포스트 하부 단위부재(16)는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를 끼움결합되는 내접파이프(16a)와, 그 내접파이프(16a)내에 개재되어 지지포스트(10) 전체의 지지높이를 맞추어 세팅하는 높이조절스프링(16b)이 탄지되어 구성되며, 상기 내접파이프(16a)는 베이스 플레이트(16d)에 웰딩된 볼(16c)에 결합되어 어느 방향이든 요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직이동 지지기구(20)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포스트(10)의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에 슬라이딩되게 끼워 결합되고 상단에는 고정너트(21)의 나사결합에 의해 지지포스트(10)에 지지되도록 절개홈(22)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4등분된 절개부(24)를 중심으로 외경쪽에 일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원주율이 큰 테이퍼 곡면부(26a)를 갖는 로크편(26)이 형성된 슬라이딩 파이프(25)와, 그 파이프(25)에 억지결합된 중심베어링(29)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치결정기구(30)는,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25)의 하부쪽 절개부(24)에 끼워지고, 일정한 회전범위를 가지며, 그 내주면에 테이퍼 곡면부(26a)보다 원주율이 작게 형성된 로크돌기(35)를 일정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로크편(26)을 내압하여 지지포스트(10)의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와 면마찰하도록 4방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그 외측으로는 잠금상태와 해제상태를 조절하는 조절간(36)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수준레벨기구(40)는 두 부재의 결합을 위한 체결 플랜지(41)로 다수의 체결볼트(42)의 체결로써 조합되도록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편, 중심베어링(29)에 점접촉되도록 내경가공부(43)가 형성되고, 그 하단의 내부에는 상기 조절간(36)이 외부로 돌출됨과 동시에 일정 회전범위를 갖도록 조작공(44a)이 형성되며, 상기 내경가공부(43)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일정위치에 임의의 중량을 갖는 웨이트부(45)가 구비 형성되고, 결합상태의 상부와 하부의 각 외측부에는 선택적으로 레이저 유니트(50)를 나사결합할 수 있는 상,하부 수직위치 조절나사부(46)(47)가 형성 구성된다.
한편, 중심베어링(29)과 내경가공부(43) 사이에는 마찰감소를 위해 볼베어링(48)을 추가로 설치 구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함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수준레벨기구(40)의 상,하부 수직위치 조절나사부(46)(47)에는레이저 유니트(50)의 미세한 수직높이를 결정하기 위해 미세눈금표시부(46a)(47a)를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함은 역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로써, 지지포스트(10)가 천장에 닿지 않는 곳에서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적용된 포스트 하부 단위부재(16)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16d-1)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16d)를 구성한다.
다음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8 는 도 7 의 B - B선 단면도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 역시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거의 유사하다. 특히 지지포스트(10)와 위치결정기구(30)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제 4 실시예의 개량부분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의 구성의 도면부호를 따른다.
먼저, 지지포스트(10)와 위치결정기구(30)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구성에 기술된 바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수직이동 지지기구(25)는, 상기 지지포스트(10)의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에 슬라이딩되게 끼워 결합되고 상단에는 고정너트(21)의 나사결합에 의해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에 지지되도록 절개홈(22)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단보다 큰 내경을 갖는 확개부(23)와 그 주위로 등간격의 절개부(24)가 형성된 슬라이딩 파이프(25)로 구성된다.
또한 수준레벨기구(40)는, 두 개의 부재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 결합되고, 그하단의 내부에는 상기 쐐기 조절간(32)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조작공(44)이 형성되며, 저부에는 임의의 중량을 갖는 웨이트부(45)가 구비 형성되고, 결합상태의 상부와 하부의 각 외측부에는 선택적으로 레이저 유니트(50)를 나사결합할 수 있는 상,하부 수직위치 조절나사부(46)(47)가 형성된다. 제 4 실시예의 수준레벨기구(40)는 제 1 실시예의 내경가공부(43) 및 볼베어링(48)을 배제하고, 대신에 후술되는 X,Y축 요동기구(70)가 별도로 추가되는 구성이다.
한편, X,Y축 요동기구(70)는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25)의 외경에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서 피봇결합되는 X축 요동링크(71)와, 상기 X축 요동링크(71)를 지지하는 요동지지링(72), 요동지지링(72)의 외경에 상기 X축 요동링크(7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대향되게 피봇결합되도록 상기 수준레벨기구(4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Y축 요동링크(73)로 구성된다.
또한 각 실시예에 모두 적용되는 것으로써, 기준선을 표시하기 위한 운반이나 이동시 수준레벨기구(40)와 지지포스트(10)간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준레벨기구(40)의 하부쪽으로 선택적으로 끼움 고정되는 연질의 고정플러그(60)를 슬라이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지지포스트(10)를 구성하기 전에 먼저 수직이동 지지기구(20)를 조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심베어링(29)이 슬라이딩 파이프(25)에 압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고정너트(21)를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25)의 상단에 나사결합하되, 절개홈(22)이 수축되지 않고 느슨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슬라이딩 파이프(25) 하단의 확개부(23)의 절개부(24)로 쐐기(31)가 형성된 쐐기 조절간(32)을 끼운 다음 탄성스프링(34)과 스프링 스테이(33)를 차례로 나사결합한다.
이 후 두 개의 부재로 된 수준레벨기구(40)를 그 내경가공부(43)가 중심베어링(29)의 외주에 위치되도록 하되, 상기 쐐기 조절간(32)이 조작공(44)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나사결합한다.
이 때 레이저 유니트(50)를 상부 수직위치 조절나사부(46)나 하부 수직위치 조절나사부(47)로 선택적으로 나사결합한 다음 서로 간에 수직으로 나란히 나사결합된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의 상부로 결합상태의 슬라이딩 파이프(25)가 습동자재되도록 끼운다.
이 후 포스트 상부 단위부재(14)와 포스트 하부 단위부재(16)를 각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하여 바닥에 천정에 기립되도록 하되, 상기 포스트 하부 단위부재(16)의 내접파이프(16a)에 개재된 탄성스프링(33)에 의해 하나의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보정하게 된다.
한편, 설정하고자 하는 레이저 유니트(50)의 기준선 근접위치에 이르도록 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파이프(25)의 상단에 느슨하게 결합된 고정너트(21)를 절결홈(22)이 수축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25)의 내면이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의 외면에 면압착되도록 조여 그 위치를 확보한 다음, 조작공(44)으로 돌출된 쐐기 조절간(32)을 상부로 밀어 쐐기(31)가 확개부(23)의 내면과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의 외면으로 끼워져 완전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그 고정위치를 결정한다.
기준선의 미세조정은 레이저 유니트(50)를 상부 수직위치 조절나사부(46) 또는 하부 수직위치 조절나사부(47)의 미세눈금표시부(46a)(47a)를 인지하면서 돌려 맞춘다.
이렇게 완전한 기준선을 확보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준레벨기구(40)는 설치도중에 중심베어링(29)과 결합된 내경가공부(43)의 볼베어링(48)에 의해 방향성없이 자유롭게 요동하지만 극히 짧은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웨이트부(45)에 의해 절대 수평 및 수직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레이저 유니트(5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조사선은 내장공사를 위한 기준선이 되기에 충분히 신뢰성을 가지게 된다.
제 2 실시예의 작용은 일실시예의 작용과 거의 유사하여 동일한 작동부분에서는 생략하고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에 수준레벨기구(40)의 고정 설치되는 단계를 기술하면, 먼저 고정너트(21)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파이프(25) 상단의 절개홈(22)이 수축되도록 조여 상기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에 면압착시킨 다음 새로이 적용되는 본 발명의 위치결정기구(30)인 조절간(36)을 일정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로크돌기(35)가 슬라이딩 파이프(25) 하부쪽인 절개부(24)에 의해 4등분된 로크편(26)의 테이퍼 곡면부(26a)를 지나면서 상기 로크편(26)의 내면이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의 외면에 면압착되도록 내압시켜 고정한다.
이후의 작동단계는 제 1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다.
한편, 도 6 을 근거로 하는 제 3 실시예에서의 천정이 없는 곳에서의 설치방법은, 지지점이 한 곳이기 때문에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적용된 베이스 플레이트(16a)는 적합하지 않고 포스트 중간 단위부재(12)와 나사결합되어 위치 고정되는 나사부(16a-1)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6a)를 적용하면 얼마든지 가능하게 된다.
제 4 실시예의 조립 및 작용은 슬라이딩 파이프(25)의 외면에 서로 대향되게 피봇결합된 X축 요동링크(71)에 의해 이를 지지하는 요동지지링(72)이 그 링크를 중심으로 좌우 요동하고, 또한 상기 X축 요동링크(7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Y축 요동링크(73)가 피봇결합되어 그 링크를 중심으로 수준레벨기구(40)가 좌우 요동하게 되고, 전체적으로 4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움직이게 되므로, 제 1 실시예의 중심베어링(27)과 내경가공부(43) 및 볼베어링(48)의 역할을 대신한다.
나머지 구성의 작용은 제 1 실시예에 따른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삼각대를 사용하지 않고 좁은 공간에서도 얼마든지 설치가 가능한 양단지지 방식의 일자형 포스트이기 때문에 조립성이 양호하고, 볼베어링 방식이므로 어떠한 각도의 흔들림에서도 중력을 이용한 웨이트부의 구성에 의해 절대수평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지지포스트를 절대 수평으로 맞출 필요가 없어 작업시간이 훨씬 단축되며, 미세조정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설정하는 기준선을 신뢰성을 기대할 수 있는 매우 바람직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건축물 내부공사시 기준선을 설정하기 위한 수평/수직 표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천장과 바닥에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파이프형 포스트 단위부재가 다수로 서로 결합 구성되는 지지포스트;
    상기 지지포스트에 슬라이딩되게 끼워 결합되고 상단에는 고정너트의 나사결합에 의해 지지포스트에 지지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단보다 큰 내경을 갖는 확개부와 그 주위로 등간격의 절개부가 형성된 슬라이딩 파이프와, 그 파이프에 억지결합된 중심베어링으로 구성되는 수직이동 지지기구;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하부 절개부에 끼워지고, 지지포스트와 확개부 사이의 틈새에 선택적으로 끼우도록 하여 면마찰을 발생시키는 쐐기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쐐기 조절간과, 슬라이딩 파이프의 하부 끝단에 나사결합되는 스프링 스테이와, 상기 쐐기 조절간과 스프링 스테이 사이에 탄지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위치결정기구; 및
    두 개의 부재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 결합되는 한편, 중심베어링에 점접촉되도록 내경가공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의 내부에는 상기 쐐기 조절간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조작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경가공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일정위치에 임의의 중량을 갖는 웨이트부가 구비 형성되고, 결합상태의 상부와 하부의 각 외측부에는 선택적으로 레이저 유니트를 나사결합할 수 있는 수직위치 조절나사부가 형성된 수준레벨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수평 표시장치.
  2. 건축물 내부공사시 기준선을 설정하기 위한 수직/수평 표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천장과 바닥에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파이프형 포스트 단위부재가 다수로 서로 결합 구성되는 지지포스트;
    상기 지지포스트에 슬라이딩되게 끼워 결합되고 상단에는 고정너트의 나사결합에 의해 지지포스트에 지지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다수로 등분된 절개부를 중심으로 외경쪽에 일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원주율이 큰 테이퍼 곡면부를 갖는 로크편이 형성된 슬라이딩 파이프와, 그 파이프에 억지결합된 중심베어링으로 구성되는 수직이동 지지기구;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하부 절개부에 끼워지고, 일정한 회전범위를 가지며, 그 내주면에 테이퍼 곡면부보다 원주율이 작게 형성된 로크돌기를 일정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로크편을 내압하여 지지포스트와 면마찰하도록 돌출 형성하고, 그 외측으로는 잠금상태와 해제상태를 조절하는 조절간이 형성된 위치결정기구; 및
    두 개의 부재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 결합되는 한편, 중심베어링에 점접촉되도록 내경가공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의 내부에는 상기 조절간이 외부로 돌출됨과 동시에 일정 회전범위를 갖도록 조작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경가공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일정위치에 임의의 중량을 갖는 웨이트부가 구비 형성되고, 결합상태의 상부와 하부의 각 외측부에는 선택적으로 레이저 유니트를 나사결합할 수 있는 수직위치 조절나사부가 형성된 수준레벨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수평 표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준레벨기구의 상,하부 수직위치 조절나사부에는 레이저 유니트의 미세한 수직높이를 결정하기 위해 미세눈금표시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수평 표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심베어링과 내경가공부 사이에는 마찰감소를 위해 볼베어링을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수평 표시장치.
  5. 건축물 내부공사시 기준선을 설정하기 위한 수직/수평 표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천장과 바닥에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파이프형 포스트 단위부재가 다수로 서로 결합 구성되는 지지포스트;
    상기 지지포스트에 슬라이딩되게 끼워 결합되고 상단에는 고정너트의 나사결합에 의해 지지포스트에 지지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단보다 큰 내경을 갖는 확개부와 그 주위로 등간격의 절개부가 형성된 슬라이딩 파이프로 구성되는 수직이동 지지기구;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하부 절개부에 끼워지고, 지지포스트와 확개부 사이의 틈새에 선택적으로 끼우도록 하여 면마찰을 발생시키는 쐐기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쐐기 조절간과, 슬라이딩 파이프의 하부 끝단에 나사결합되는 스프링 스테이와, 상기 쐐기 조절간과 스프링 스테이 사이에 탄지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위치결정기구;
    두 개의 부재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 결합되고, 그 하단의 내부에는 상기 쐐기 조절간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조작공이 형성되며, 저부에는 임의의 중량을 갖는 웨이트부가 구비 형성되고, 결합상태의 상부와 하부의 각 외측부에는 선택적으로 레이저 유니트를 나사결합할 수 있는 수직위치 조절나사부가 형성된 수준레벨기구; 및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의 외경에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서 피봇결합되는 X축 요동링크와, 상기 X축 요동링크를 지지하는 요동지지링, 요동지지링의 외경에 상기 X축 요동링크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대향되게 피봇결합되도록 상기 수준레벨기구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Y축 요동링크로 구성된 X,Y축 요동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수평 표시장치.
KR1019990052085A 1999-11-23 1999-11-23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수평 표시장치 KR100340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085A KR100340788B1 (ko) 1999-11-23 1999-11-23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수평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085A KR100340788B1 (ko) 1999-11-23 1999-11-23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수평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732A KR20010047732A (ko) 2001-06-15
KR100340788B1 true KR100340788B1 (ko) 2002-06-20

Family

ID=1962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085A KR100340788B1 (ko) 1999-11-23 1999-11-23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수평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07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111B1 (ko) 2009-10-16 2012-07-06 고동욱 벽면 표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516B1 (ko) * 2008-02-25 2008-05-22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송전철탑용 레이저 포인터 각입오차 측정구
KR200445330Y1 (ko) * 2009-05-26 2009-07-21 이정애 레이저 표시장치
KR101568639B1 (ko) * 2015-06-09 2016-07-20 정민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레이저 레벨기
KR20200019029A (ko) 2018-08-13 2020-02-21 주식회사 엘케이 레이저 레벨기용 위치조절장치
CN113607143B (zh) * 2021-07-26 2023-07-04 新疆大明矿业集团股份有限公司 井下巷道可调式放线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4271A (ja) * 1992-03-19 1993-10-12 Rapurashian:Kk レーザ・オートレベル
JPH0821727A (ja) * 1994-07-06 1996-01-23 Hooshin Prod Kk 水平レベル測定装置
US5754582A (en) * 1995-04-03 1998-05-19 Momentum Laser, Inc. Laser lev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4271A (ja) * 1992-03-19 1993-10-12 Rapurashian:Kk レーザ・オートレベル
JPH0821727A (ja) * 1994-07-06 1996-01-23 Hooshin Prod Kk 水平レベル測定装置
US5754582A (en) * 1995-04-03 1998-05-19 Momentum Laser, Inc. Laser lev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111B1 (ko) 2009-10-16 2012-07-06 고동욱 벽면 표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732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304B2 (en) Laser level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9109892B2 (en) Light-enabled plumb indicator and wall brace device
KR101892472B1 (ko)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 및 그 제어 시스템
KR100340788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수직/수평 표시장치
KR101400998B1 (ko) 공동주택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US3277579A (en) Telescopic vertical level
US7797845B2 (en) Levelling device
US6857234B2 (en) Masonry control joint guide
CN219604907U (zh) 一种用于超高墙体砌筑的垂直度和平整度控制装置
CN219732331U (zh) 一种装配式建筑用的钢梁连接装置
KR101466155B1 (ko)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구조
KR200445330Y1 (ko) 레이저 표시장치
KR200402042Y1 (ko) 스프링클러설비의 신축배관 설치높이장치
CN104677339A (zh) 一种便携式平面、竖直面测量用多功能水平尺
CN204388850U (zh) 一种便携式多功能水平尺
CN103744164A (zh) 吸附式棱镜及高精度预埋件安装施工监控方法
CN208984063U (zh) 一种工程施工放样用塔尺装置
RU2320837C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поверхности
KR200280764Y1 (ko) 건축용 석재판넬의 위치결정 고정장치
CN217302424U (zh) 一种gnss接收机便携一体式安装架
JP4129849B2 (ja) 玄関ポーチなど建造物迫り出し構造部用柱位置の割出し具、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水準器等用仮着金具
KR100455560B1 (ko) 건축용 석재판넬의 위치결정 고정장치
CN220062984U (zh) 一种工程测量用强制对中装置
CN217105499U (zh) 一种加装电梯钢结构廊道固定可调节装置
RU2699692C1 (ru) Разметчик для сопряжения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поручней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