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786B1 - 질 세정기 - Google Patents

질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786B1
KR101465786B1 KR1020120153814A KR20120153814A KR101465786B1 KR 101465786 B1 KR101465786 B1 KR 101465786B1 KR 1020120153814 A KR1020120153814 A KR 1020120153814A KR 20120153814 A KR20120153814 A KR 20120153814A KR 101465786 B1 KR101465786 B1 KR 101465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head
jetting
ion exchang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4485A (ko
Inventor
채해경
황선아
Original Assignee
바이오닉스메디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닉스메디칼(주) filed Critical 바이오닉스메디칼(주)
Priority to KR1020120153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786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4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 A61M3/0208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supplied directly from the pressurised water source, e.g. with medicament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4Fe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61M2210/1475Vagin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도와 연결하여 가정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질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질 세정기는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공급라인과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원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손잡이와, 손잡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로 공급된 원수가 유입되는 헤드와, 헤드를 통해 배출되는 원수를 다수의 흐름으로 분산시켜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와, 분사부 내부로 유입된 원수를 이온수로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분사부 내부에 설치되며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전된 이온교환필터와, 분사부를 상기 헤드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질 세정기{Cleansing device for a vagina}
본 발명은 질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도와 연결하여 가정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질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 신체의 질(膣, vagina)은 세균에 감염되기 쉬우므로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여성의 질은 평상시에 약산성 상태를 유지하다가 생리시에는 알카리도가 높아지고 질의 점막이 얇아져서 세균의 감염이 높아지므로 청결상태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따뜻한 물 또는 소정의 의약품을 탄 물로서 뒷물을 하여 왔으나 이와 같은 뒷물 방법은 모든 동작을 손을 이용하여 하므로 오히려 뒷물시 세균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종래의 질 세정기는 사용자가 수도물 등에 세척용 의약품을 희석시켜 질 세정기에 주입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그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사용 후 재사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시 질 세정기를 소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질 세정기는 세척용기와 몸체로 나누어진 만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서 수도물 등을 직접 사용하여 질을 세척하거나 수돗물 등에 질 세척 의약품을 희석하여 질을 세척하고 있는데, 이렇게 하는 경우 질염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77858호에는 질 세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질 세척장치는 알칼리성의 수도물을 중성의 세척수로 변환시키기 위한 수도물 성질 변환수단과, 수도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수단, 중성의 세척수를 질 세척을 위한 최적 온도로 유지보관하기 위한 세척수 유지보관 수단 및 상기 최적의 온도로 유지보관된 중성의 세척수를 여성의 질에 배출시켜 상기 질이 세척되도록 하기 위한 세척수 배출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질 세척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하는 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부피가 커서 비교적 넓은 설치공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상수도와 연결하여 가정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질 세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질 세정기는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공급라인과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원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로 공급된 원수가 유입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를 통해 배출되는 원수를 다수의 흐름으로 분산시켜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 내부로 유입된 원수를 이온수로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분사부 내부에 설치되며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전된 이온교환필터와; 상기 분사부를 상기 헤드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결합유닛에 의해 상기 헤드의 개방된 전면에 결합하며 상기 이온교환필터가 내부에 수용된 이온교환필터수용부와, 상기 이온교환필터수용부에서 전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전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온교환필터를 통과한 원수가 배출되는 분사홀이 다수 형성된 세정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정노즐은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산부들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산부들 사이에는 상기 분사홀이 마련된 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헤드의 개방된 전면에 나사결합하는 캡과, 상기 이온교환필터수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이온교환필터수용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립과 결합하는 결합홈이 내측면에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외측면에 형성된 잠금돌기를 상기 캡에 마련된 끼움홈에 끼운 상태로 회전시키면 상기 잠금돌기를 구속하여 상기 커버를 상기 헤드에 고정시키는 록킹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캡의 내측에 장착되는 환형의 링부와, 상기 링부의 내측면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커버의 회전시 상기 잠금돌기와 접촉하는 탄성편과, 상기 링부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편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탄성편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탄성편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돌기를 고정시켜 상기 커버의 회전을 억제시키는 회전억제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온교환필터는 상기 양이온교환수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분사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전면에 형성되되 단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 콘부와, 상기 카트리지의 후면에 결합되며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원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분사부의 색상을 가변시키는 변색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수도와 연결하여 가정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부피가 작고 설치가 간편한 질 세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부를 헤드에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질 세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요부를 나타내기 위해 캡을 제거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다른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질 세정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질 세정기는 크게 손잡이(10)와, 헤드(30)와, 분사부(40)와, 이온교환필터(70)와, 결합유닛을 구비한다.
손잡이(10)는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공급라인(미도시)과 연결되며 내부에 원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다. 원수공급라인으로 상수도관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원수는 상수를 의미한다.
손잡이(10)에는 유로를 따라 흐르는 원수 중의 각종 이물질, 냄새,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가령, 원수 중에 함유된 유해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항균필터와, 원수 중의 이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필터와, 원수 중의 염소를 제거하기 위한 염소제거필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탈취필터(11)와, 염소제거필터(15)가 손잡이(10)에 설치된다. 그리고 탈취필터(11)와 염소제거필터(15)를 통과한 원수 중에 함유된 석회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석회제거필터(20)가 설치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를 구획하기 위해 다수의 구획패널이 설치된다. 구획패널에는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통수홀이 형성된다.
탈취필터(11)는 2개의 구획패널(13)(14) 사이에 충전된 탈취부재로 이루어진다. 탈취부재로 활성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탈취부재로 아로마향 캡슐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염소제거필터(15)는 2개의 구획패널(14)(17) 사이에 충전된 염소제거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염소제거부재는 원수 속에 포함된 차아염소산이온(ClO)을 환원시키고 자신은 산화되어 유산칼슘(CaSO4)으로 되는 다량의 아류산칼슘(CaSO3)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석회제거필터(20)는 2개의 구획패널(17)(19) 사이에 충전된 부직포를 이용하여 원수 중의 석회물질을 걸러낸다.
도시된 예에서는 탈취필터(150) 및 염소제거필터(160)가 원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질 세정에 적절한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헤드(30)는 손잡이(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손잡이(10)의 유로를 따라 흐르는 원수는 탈취필터(11), 염소제거필터(15), 석회제거필터(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헤드(30)의 내부로 유입된다. 헤드(30)의 내부에는 손잡이(10)의 유로와 연결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헤드(30)는 전면에 개방된 개구(31)가 형성된다. 헤드(31)의 전면 가장자리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33)가 마련된다. 헤드의 나사부(33)에는 후술할 캡(80)이 나사결합된다. 헤드의 내측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타공판(37)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사부를 제거하게 되면 타공판에 의해 샤워기로 이용할 수 있다.
분사부(40)는 헤드(30)의 개구(31)에 결합되어 헤드(30)를 통해 배출되는 원수를 외부로 분사한다. 분사부(40)는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부(40)는 결합유닛에 의해 헤드의 개방된 전면에 결합하며 이온교환필터(70)가 내부에 수용된 이온교환필터수용부(43)와, 이온교환필터수용부(43)에서 전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연결부(47)와, 연결부(47)에서 전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이온교환필터(70)를 통과한 원수가 배출되는 분사홀(51)이 다수 형성된 세정노즐(50)을 구비한다.
원통형으로 형성된 이온교환필터수용부(43)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립(45)이 형성된다. 각 립(45)은 전후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연결부(47)의 전면에 형성된 세정노즐(50)은 여성의 질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이온교환필터(70)를 통과한 원수가 분사홀(51)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도시된 예에서 세정노즐(50)은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산부들(53)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산부들(53) 사이에는 골부(55)가 형성된다.
원수가 분사되는 분사홀(51)은 세정노즐(50)의 단부와 골부(55)에 형성된다. 이러한 세정노즐(50)의 구조에 의해 여성의 질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도 원수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여성의 질 내부로 분사된 원수는 골부(55)를 따라 질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것과 달리 분사홀(51)은 세정노즐(50)의 산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분사부(40) 내부로 유입된 원수를 이온수로 변환시키기 위해 분사부(40)의 이온교환필터수용부(43) 내부에 이온교환필터(70)가 설치된다.
이온교환필터(70)는 양이온교환수지(79)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분사부의 이온교환필터수용부(45)의 내측에 삽입되는 카트리지(71)와, 카트리지(71)의 전면에 형성되되 단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 콘부(73)와, 카트리지(71)의 후면에 결합되며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 덮개(75)를 구비한다. 덮개(75)에는 걸림돌기(77)가 형성되어 카트리지(71)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미도시)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카트리지(71)의 내부에는 양이온교환수지(79)가 충전된다. 양이온교환수지(79)는 원수 중에 함유된 양이온을 수소 양이온(H+타입)으로 교환 처리하는 양이온 교환수지로 구성된다.
양이온교환수지(79)는 원수 중에 함유된 경도성 이온인 마그네슘(Mg) 이온과 칼숨(Ca) 이온 등을 걸러 주면서 수소 이온을 방출하여 원수를 PH 3.5 내지 5 정도의 산성수로 변화시켜주게 된다. 이러한 산성수는 살균력을 가져 질 세정에 유용하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온교환필터(70)에는 항균부재가 더 충진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가는 구멍이 다수 형성된 망체가 콘부(73)와 카트리지(71)의 경계에 설치될 수 있다. 망체를 기준으로 망체의 후방에 위치한 카트리지(71)의 내부에 양이온교환수지(79)가 충전되고, 망체의 전방에 위치한 콘부(73)의 내부에 항균부재가 충전된다.
항균부재로 나노실버 세라믹볼, 은 코팅 제오라이트, 은첨 활성섬유탄소, 원적외선볼, 은이온볼, 피톤치드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나노 실버 세라믹볼은 나노 실버의 은입자를 세라믹볼에 코팅한 것이며, 은 코팅 제오라이트는 미세한 다공질로 물리적 흡착력(질소, 인산가리 등 각 90~95%)과 화학적 양이온 치환작용(70~140meg/100g)이 뛰어나 수분 외 다른 물질, 가스 등을 20배까지 흡수, 흡착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서서히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은을 치환시켜 제조된다. 그리고 은첨 활성 섬유탄소는 활성탄을 섬유상태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은을 첨가하여 은의 항균 기능을 가진다.
원적외선볼은 공급호스로 공급되는 고온의 원수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감람석, 맥반석, 옥석, 흑석, 세라믹의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원적외선볼을 사용할 경우, 원수에 원적외선을 방사한다.
상기 음이온볼은 음이온을 방출하는 천연광물 중 희토류 계열의 자연상태의 천영원료로서, 인체에 유용한 음이온을 방출하는 재료이다.
상기 피톤치드제는 피톤치드를 발생시키는 나무의 조각이나 피톤치드를 마이크로 캡슐레이션 가공하여 원료의 성분이 항균필터를 통과하는 원수에 서서히 용출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원수를 살균 및 항균하며, 사용자에게 삼림욕하는 효과를 준다.
결합유닛은 분사부(40)를 헤드(3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결합유닛은 헤드(30)의 전면에 나사결합하는 캡(80)과, 이온교환필터수용부(43)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이온교환필터수용부(43)의 외측면에 형성된 립(45)과 결합하는 결합홈(61)이 내측면에 형성된 커버(60)와, 커버(60)를 헤드(30)에 고정시키는 록킹부(90)를 구비한다.
캡(80)의 내측면에는 헤드의 나사부(33)와 나사결합할 수 있는 나사부(85)가 마련된다. 캡(80)의 전면에는 끼움홈(81)이 마련된다. 도시된 예에서 끼움홈(81)은 3개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커버(60)는 전후가 개방된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커버(6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61)은 전후로 길게 다수가 형성된다. 결합홈(61)에는 립(45)이 결합된다. 그리고 커버(60)의 외측면에는 잠금돌기(65)가 다수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잠금돌기(65)는 3개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록킹부(90)는 커버(60)의 외측면에 형성된 잠금돌기(65)를 캡(80)에 마련된 끼움홈(81)에 끼운 상태로 회전시키면 잠금돌기(65)를 구속하여 커버(60)를 상기 헤드(3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록킹부(90)는 캡(80)의 내측에 장착되는 환형의 링부(91)와, 링부(91)의 내측면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커버(60)의 회전시 잠금돌기(65)와 접촉하는 탄성편(93)과, 링부(91)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탄성편(93)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탄성편(93)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토퍼(95)와, 상기 탄성편(93)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돌기(65)를 고정시켜 상기 커버(60)의 회전을 억제시키는 회전억제돌기(97)를 구비한다.
링부(91)의 내측에 설치된 탄성편(93)은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링부(91)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지지부재는 2개로 마련된다. 하나의 지지부재(94a)는 탄성편(93)의 중간 부분을 지지하고, 다른 지지부재(94b)는 탄성편(93)의 일측 즉, 스토퍼(95)가 설치된 부위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재의 지지구조에 의해 탄성편(93)의 타측, 즉 회전억제돌기(97)가 형성된 부위는 외력에 의해 링부(91)의 내측면으로 휨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탄성편(93)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링부(91)의 외측면에는 결합돌기(99)가 마련된다. 결합돌기(99)는 링부(90)의 외측면에 120도 간격으로 3개서 마련된다. 이러한 결합돌기(99)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캡(8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89)에 결합된다. 따라서 링부(91)는 캡(80)에 결합되어 커버(60)의 회전시 링부(91)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분사부(40)를 헤드(30)에 탈부착하기 위한 과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먼저 타공판(37)을 헤드(30)의 개구(31)를 통해 헤드(30)의 내측에 설치한다. 그리고 캡(80)의 후면방향에서 링부(91)를 캡(80)의 내측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링부(91)에 마련된 결합돌기(99)가 캡(8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89)에 끼워지도록 삽입시킨다. 링부(91)가 결합된 캡(80)을 헤드의 나사부(33)에 체결하여 캡(80)을 헤드(30)에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이온교환수지필터(70)를 분사부의 이온교환필터수용부(43)에 삽입시킨 다음 분사부의 세정노즐(50)을 커버(60)의 내측으로 통과시킨다. 커버(60)의 내측으로 통과하는 분사부(40)는 이온교환필터수용부(43)에 외측에 형성된 립(45)이 커버(6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61)에 끼워져 분사부(40)와 커버(60)가 결합된다.
분사부(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60)의 잠금돌기(65)를 캡(80)의 끼움홈(81)에 맞춘 다음 커버(60)를 캡(80) 방향으로 밀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커버(6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돌기(65)는 탄성편(93)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회전억제돌기(97) 방향으로 이동한다. 회전억제돌기(97)와 잠금돌기(65)가 만나게 되면 탄성편(93)은 링부(91)의 내측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휘어진다. 따라서 잠금돌기(65)는 회전억제돌기(97)를 타고 넘는다. 그리고 잠금돌기(65)는 링부(91)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100)에 걸린다. 걸림턱(100)에 잠금돌기(65)가 걸림으로써 커버(60)의 회전은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분사부(40)를 통해 분사되는 원수의 온도에 따라 분사부(40)의 색상을 가변시키는 변색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원수가 질 세정에 적절한 온도로 유지되는지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위함이다.
변색수단의 일 예로 분사부(40)의 성형시 원료 수지에 분말형태로 혼합하여 분사부를 성형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변색수단은 세정노즐(50)의 단부나 일 부위에 시온안료로 이루어진 발색부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시온안료는 특정 발색온도에 따라 색상이 다르게 변하는 안료로서 비가역형과 가역형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온도가 원상태로 되돌아오면 복색되는 가역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시온안료는 원수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원수의 가열상태를 색상으로서 나타내기 위한 것이므로 시온안료는 설정된 발색온도에 예민하게 발색할 필요까지는 없다.
시온안료로 약 40~45℃ 이하에서는 색이 나타나고, 약 45℃ 이상에서는 색이 사라지거나 다른 색상을 발현하는 유색 시온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40~45℃ 이하에서는 분사부(40)가 특정의 유색으로 발색하고, 45℃를 넘어가게 되면 점진적으로 색상이 사라지거나 다른 유색이 발색한다. 따라서 원수의 온도에 따라 원수의 사용가능한 상태를 시각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손잡이 30: 헤드
37: 타공판 40: 분사부
50: 세정노즐 60: 커버
70: 이온교환수지필터 71: 카트리지
80: 캡 90: 록킹부

Claims (7)

  1. 삭제
  2.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공급라인과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원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로 공급된 원수가 유입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를 통해 배출되는 원수를 다수의 흐름으로 분산시켜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 내부로 유입된 원수를 이온수로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분사부 내부에 설치되며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전된 이온교환필터와;
    상기 분사부를 상기 헤드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결합유닛에 의해 상기 헤드의 개방된 전면에 결합하며 상기 이온교환필터가 내부에 수용된 이온교환필터수용부와, 상기 이온교환필터수용부에서 전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전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온교환필터를 통과한 원수가 배출되는 분사홀이 다수 형성된 세정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세정노즐은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산부들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산부들 사이에는 상기 분사홀이 마련된 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 세정기.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헤드의 개방된 전면에 나사결합하는 캡과, 상기 이온교환필터수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이온교환필터수용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립과 결합하는 결합홈이 내측면에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외측면에 형성된 잠금돌기를 상기 캡에 마련된 끼움홈에 끼운 상태로 회전시키면 상기 잠금돌기를 구속하여 상기 커버를 상기 헤드에 고정시키는 록킹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 세정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캡의 내측에 장착되는 환형의 링부와, 상기 링부의 내측면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커버의 회전시 상기 잠금돌기와 접촉하는 탄성편과, 상기 링부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편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탄성편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탄성편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돌기를 고정시켜 상기 커버의 회전을 억제시키는 회전억제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 세정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필터는 상기 양이온교환수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분사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전면에 형성되되 단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 콘부와, 상기 카트리지의 후면에 결합되며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 세정기.
  7.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공급라인과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원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로 공급된 원수가 유입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를 통해 배출되는 원수를 다수의 흐름으로 분산시켜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 내부로 유입된 원수를 이온수로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분사부 내부에 설치되며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전된 이온교환필터와;
    상기 분사부를 상기 헤드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원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분사부의 색상을 가변시키는 변색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 세정기.
KR1020120153814A 2012-12-26 2012-12-26 질 세정기 KR101465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814A KR101465786B1 (ko) 2012-12-26 2012-12-26 질 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814A KR101465786B1 (ko) 2012-12-26 2012-12-26 질 세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485A KR20140084485A (ko) 2014-07-07
KR101465786B1 true KR101465786B1 (ko) 2014-12-02

Family

ID=5173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814A KR101465786B1 (ko) 2012-12-26 2012-12-26 질 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7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00Y1 (ko) 2017-06-29 2017-09-05 정소용 휴대용 질세정기
KR20200060810A (ko)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현진기업 항생 기능성 펩타이드 세정 조성물용 휴대형 질 세정기
KR20210075385A (ko) 2019-12-13 2021-06-23 현진이엔지(주) 항생 기능성 펩타이드 세정 조성물용 휴대형 여성용 질 세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751B1 (ko) 2019-02-21 2020-11-27 메카디안(주) 여성용 세정기
KR102222393B1 (ko) 2019-02-28 2021-03-04 메카디안(주) 여성용 세정 트로카
KR20240000532U (ko) 2022-09-16 2024-03-25 김용숙 질 세정 기능을 갖는 샤워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108U (ko) * 1999-03-12 2000-10-16 이형수 샤워기를 겸한 질세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108U (ko) * 1999-03-12 2000-10-16 이형수 샤워기를 겸한 질세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00Y1 (ko) 2017-06-29 2017-09-05 정소용 휴대용 질세정기
KR20200060810A (ko)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현진기업 항생 기능성 펩타이드 세정 조성물용 휴대형 질 세정기
KR20210075385A (ko) 2019-12-13 2021-06-23 현진이엔지(주) 항생 기능성 펩타이드 세정 조성물용 휴대형 여성용 질 세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485A (ko)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786B1 (ko) 질 세정기
KR101298922B1 (ko) 버블 효과가 극대화된 다기능 샤워기
KR101439946B1 (ko) 질 세정기
KR101410677B1 (ko) 두피마사지 기능 및 수량 조절기능을 구비한 음이온 샤워장치
KR200473266Y1 (ko) 수도직결식 관장기
KR20060059623A (ko) 샤워기용 다기능필터
CN215798615U (zh) 龙头软水机和用于龙头软水机的控制阀
CN211246995U (zh) 一种带有滤芯的花洒
JP3139277B2 (ja) 浄水器及び浄水システム
WO2014030807A1 (ko) 질 세정기
KR101690106B1 (ko) 살균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수전
CN105310580B (zh) 洗浴设备
KR20140131095A (ko) 세척가능한 필터를 갖는 샤워기
KR100536638B1 (ko) 필터형 카트리지 및 수처리 방법
CN102849874B (zh) 一种消毒滤芯及应用该消毒滤芯的净水装置
KR20210000575A (ko) 석회생성 방지를 위한 샤워기
KR100634136B1 (ko) 온수 세정 장치용 전처리 필터
JP4107747B2 (ja) 浄水シャワーシステム
KR200362554Y1 (ko) 연수장치 및 그 연수장치가 구비된 바디 안마 샤워기
KR101522566B1 (ko) 토수기구용 필터링 및 기능성 물 공급장치
KR200363659Y1 (ko) 직관식 염소제거 정수기
CN212713075U (zh) 一种远红外功能沐浴过滤器
CN211964629U (zh) 淋浴花洒头
JPH11239740A (ja) 浄水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KR101809718B1 (ko) 수압조절이 가능한 질 세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