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331B1 - 온수 보일러 - Google Patents

온수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331B1
KR101465331B1 KR1020130054200A KR20130054200A KR101465331B1 KR 101465331 B1 KR101465331 B1 KR 101465331B1 KR 1020130054200 A KR1020130054200 A KR 1020130054200A KR 20130054200 A KR20130054200 A KR 20130054200A KR 101465331 B1 KR101465331 B1 KR 101465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t water
raw water
port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4409A (ko
Inventor
신윤민
Original Assignee
신윤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054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331B1/ko
Application filed by 신윤민 filed Critical 신윤민
Priority to CA2879396A priority patent/CA2879396C/en
Priority to EP13819448.5A priority patent/EP2894416A4/en
Priority to CN201380038699.4A priority patent/CN104471324B/zh
Priority to PCT/KR2013/006234 priority patent/WO2014014236A1/ko
Priority to JP2015523001A priority patent/JP6243905B2/ja
Priority to US14/415,667 priority patent/US20150176847A1/en
Priority to MX2015000774A priority patent/MX2015000774A/es
Priority to CN201710174285.4A priority patent/CN107101362A/zh
Priority to CA2933964A priority patent/CA2933964A1/en
Publication of KR20140134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331B1/ko
Priority to JP2017124621A priority patent/JP2017194268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8Continuous-flow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16K15/031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the hinge being flex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4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2Connecting hydraulic components
    • F24H9/144Valve seats, piping and heat exchanger connections integrated into a one-piece hydraulic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92Fluid distribution net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수의 히팅 속도를 높임과 동시에 온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열전도 효율을 증대시켜 에너지 절감을 꾀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수탱크의 상방으로 유도 배출 시켜 관통부 및 어댑터부 내부에 원수 및 회수가 95% 이상 채워진 상태에서 원수 및 회수를 가열시켜 내부 팽창력을 크게 향상 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어댑터부와 관통부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관통부 내부의 공기가 보다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댑터부의 상방에 상향 돌출 시킨 에어 배출구와 결합하는 에어 배출 호스를 원수 탱크 일측 상방의 공기 배출구와 연결시켜 원수 탱크 뚜껑을 개방할 시 공기가 배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수 보일러{Hot Water Boiler}
본 발명은 온수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특허출원 제 10-2012-79424호를 개량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온수의 히팅 속도를 높임과 동시에 소음을 최소화 하고, 온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열전도 효율을 증대시켜 에너지 절감을 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열매트, 온수 순환 마루 등에 사용되는 난방장치인 소형 온수보일러는 원수를 저장하는 원수 탱크와 원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히터와 온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및 온열매트 또는 온돌 바닥에 포설되는 난방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난방장치는 원수 탱크에 저장된 원수를 히터에서 공급받아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면 이를 순환펌프가 작동되어 난방파이프 내로 순환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종래의 난방장치는 순환펌프를 사용하여 난방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순환펌프의 작동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었고, 순환펌프의 고장으로 인한 난방장치 전체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선행기술로 특허 제 10-0312643 호 "액체순환식 난방장치" 에 의하면, 난방장치를 이루는 방열부재 내의 순환관을 흐르는 방열부재에 매설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에 연결되며 그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가열시키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에 의해 팽창된 액체의 압력을 완충시켜 액체의 순환을 가능케 하는 압력완충수단과,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압력완충수단 사이에 설치되는 제 1역류방지수단 및 상기 제 1 역류방지수단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 2 역류방지수단으로 이루어지며, 난방장치를 이루는 방열부재 내의 순환관을 흐르는 유체를 전열에 의해 가열하고, 유체의 팽창력으로 자연 순환시킬 때 발생된 압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액체 순환식 난방장치는 액체가 가열되어 발생되는 팽창력에 의해 순환시키므로 순환관 내부에는 상당히 높은 압력이 발생되므로, 이를 완충하기 위한 압력완충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위하여 창출된 선행기술 국내 등록특허 10-0803282호 에 의하면, 히터에서 원수를 공급받아 가열하고 발생되는 스팀의 팽창력에 의해 온수 및 스팀이 혼재된 상태로 난방파이프 내부를 자동으로 순환시켜. 온수 및 스팀의 순환에 따른 소음 발생이 없는 온수 및 스팀을 이용한 난방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의 선행 기술은 원수를 히팅하여 난방 파이프로 순환 시키되, 순환되는 회수는 공기와 함께 원수 탱크로 유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공기가 원수 탱크로 회수물과 함께 유입될 시 버블현상이 발생되어 틱틱 거리거나 부글부글 되는 소음이 발생되므로 순환펌프 사용 시 큰 소음보다 작은 소음이더라도 야간 취침 시 매우 큰 소음으로 들리게 되어 소음에 의한 스트레스가 지대한 문제점이 지적된다.
이를 해소하기위하여,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특허출원 제 10-2012-79424호에 의하면 원수 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원수 공급 유입관 일측과 난방 파이프로 부터 순환되는 회수관 일측 각각을 결합하여 회수가 원수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을 해소하도록 하는 어댑터부와, 상기 하나의 어댑터부 내부에서 원수와 회수가 관통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락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어댑터부와 난방 파이프 타측에 결합된 연결구 사이에 설치한 관통부 내부에서 원수 및 회수를 동시에 가열시키는 히터부와로 구성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공기가 원수 탱크로 회수물과 함께 유입될 시 원수 탱크 내부에서 버블현상이 발생되어 틱틱 거리거나 부글부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어댑터부 내부와 관통부 내부 및 난방 파이프 내부에 잔존해 있는 공기에 의해 버블현상이 발생되어 틱틱 거리거나 부글부글 되는 소음이 이들 내부에서 발생되어 특히, 난방 파이프가 포설된 온수매트 또는 온돌 바닥에서 소음이 발생되어 사용자가 이 소음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해 커다란 피로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원수 탱크에서 원수를 보충하여 어댑터부측으로 공급할 경우 어댑터부 내부와 관통부 내부측으로 원수에 포함된 공기가 함께 유입됨과 동시에 어댑터부 및 관통부 내부에서 발생된 잔존 공기에 의해 어댑터부 및 관통부 내부에 원수가 충분히 채워지지 않게 된다. 또한, 회수되는 회수 역시 관통부 내부로 인입될 때 난방 파이프 내부의 잔존 공기가 관통부 내부로 인입되므로 관통부 내부에 원수 및 회수가 충분히 채워지지 않게 된다. 즉, 관통부 내부에 채워지면서 통과되는 물이 관통부 내부의 80~85% 정도만 채워진 상태에서 히팅부의 히팅에 의해 팽창 가열되면서 내부 압력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관통부 내부의 잔존 공기에 의해 내부 압력이 그만큼 줄어들게 되므로 히터부의 히팅에 의해 관통부 내부의 원수 및 회수가 가열팽창되어 이동되더라도 그 이동되는 추진력이 크게 저하되어 원수 및 회수의 원활한 순환이 부족할 뿐 아니라 잔존 공기가 열전도를 방해하게 되므로 열전도효율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또한, 온수에 대하여 열전도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관통부 내부의 온수를 히팅작업을 높여야 하므로 에너지 절감도모를 크게 훼손하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제 10-0312643 호
본 발명은 관통부 또는 어댑터부 내부에 잔존해있는 공기를 충분히 배출 시켜 관통부 내부에서의 가열 팽창력을 높여 열전도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에너지 절감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은 원수탱크의 상방으로 유도 배출 시켜 관통부 및 어댑터부 내부에 원수 및 회수가 95% 이상 채워진 상태에서 원수 및 회수를 가열시켜 내부 팽창력을 크게 향상 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어댑터부와 관통부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관통부 내부의 공기가 보다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댑터부의 상방에 상향 돌출 시킨 공기 배출구와 결합하는 공기 배출 호스를 원수 탱크 일측 상방의 공기 배출구와 연결시켜 원수 탱크 뚜껑을 개방하여 최초 원수를 주입할 시 공기가 배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 배출구 및 공기 유입구를 Y 형상으로 하여 공기 배출 시 수증기의 배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물과 공기를 분리하여 물의 역류는 방지하여 소음을 최소화하고, 공기 배출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통부측 입구에 원수 유입구 및 회수 유입구 이외에 또 하나의 회수 유입구를 설치하고, 타측의 연결구측에 온수 배출관 이외에 또 하나의 온수 배출관을 설치하여 상호 난방 파이프로 연결하여 보다 넓은 면적의 온수 매트 또는 온돌 바닥을 온열시키도록 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통부를 합성수지재로 하되, 관통부 삽입부에 열전도용 금속판을 인서트 사출 형성하고, 상기 열전도용 금속판에 히터부를 설치하여 관통부의 중량을 감소시켜 전체 온수 보일러의 무게를 줄이도록 함은 물론 열손실 방지와 원가절감을 도모 하도록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수 및 회수가 통과하는 관통부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시켜 관통부 내부에서의 가열 팽창력을 높여 열전도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에너지 절감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소음을 최소화 하고, 열손실 방지 및 원가절감을 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4a는 도 3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요부 발췌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일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부 발췌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내부를 본 일부 측면도
도 9c는 도 9a의 작용상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작동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도
본 발명은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하는 원수 탱크(10)로부터 유입되는 원수 공급 유입관(11) 일측을 어댑터부(20)의 원수 유입구(21)에 연결하고, 상기 어댑터부(20)와 접속된 관통부(30)의 타측에 결합된 연결구(40)에 온수 배출관(41)을 설치하여 상기 온수 배출관(41)과 어댑터부(20)에 설치한 회수 유입구(22)에 연결한 회수관(22A) 사이에 난방 파이프(50)를 연결하며, 상기 관통부(30)의 삽입부(31)에 히터부(60)를 끼워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20) 상방에 설치한 공기배출구(23)와 원수 탱크(10)의 일측 상방에 설치한 공기 유입구(12)와의 사이에 공기 호스(70)를 연결하여 구성하되, 상기 공기 유입구(12)는 원수 탱크(10)의 원수 주입구(13) 내부 일측에 일체로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12)와 관통된 공기 배출구(12')가 뚜껑(80)을 폐쇄할 시 뚜껑(80)내측면에 면접되게 구성한다. 상기에서, 공기 배출구(12')가 뚜껑(80)의 내하면에 면접되어진 상태에서 후술하는 가열 팽창부(200) 내부의 팽창력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는 공기 배출구(12')와 뚜껑(80)의 내하면 사이의 미세 간극을 통해 뚜껑(80)에 형성된 미세 공기구멍(81)으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 설명중 어댑터부(20)내부 일측면에는 체크밸브 날개(20A)가 핀(20B)으로설치 되어 원수 및 회수가 인입될 경우에만 열리도록 되며, 뚜껑(80)에는 통상적으로 미세한 공기구멍(8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30)의 삽입부(31)에 끼워지는 히터부(60)는 PTC 히터로서, 양측면에 전극(61)이 형성되어 교류전류 공급에 의해 히팅되도록 설계하며, 특히 도 3과 같이 상기 관통부(30)와 어댑터부(20) 및 연결구(40)로 이루어지는 가열 팽창부(200)를 합성수지재로 하되, 관통부(30)의 삽입부(31) 둘레에 열전도용 금속판(300)을 인서트 사출 형성하고, 상기 열전도용 금속판(300)내부에 히터부(60)가 삽입되게 구성하므로서, 종전 어댑터부와 관통부 및 연결구 모두 금속재로 형성하는 경우보다 가열 팽창부(200) 전체의 중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온수 보일러 전체의 무게를 줄이도록 하므로서 원가절감을 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열전도용 금속판(300)의 내측면은 히터부(60)의 전극(61)과 면 접촉되게 하고, 열전도용 금속판(300)의 외측면은 관통부(30)의 내부에 돌출되어 온수와 접촉되게 구성하므로서 전극(62)에 발생된 열이 열전도용 금속판(300)의 외측면에 전달되어 원수 및 회수를 원하는 온도로서 자연 순횐식으로 가열시키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연결구(40) 내부에 공간부(42')를 가지는 삽입구(42)를 일체로 길게 돌출 되게 형성하여 돌출된 삽입구(42)가 관통부(30)내부에 위치토록 하되, 상기 삽입구(42)에 열전도용 금속판(300)을 인서트 사출하여 삽입구(42)내, 외측에 돌출 형성 시키고, 상기 삽입구(42)의 공간부(42') 내부에 히터부(60)를 삽입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3a와 같이 관통부(30)내부에 위치하는 삽입구(42)의 돌출부는 밀폐 형성시키고, 연결구(40)측의 삽입구(42) 입구는 개방시켜 히터부(60)가 삽입 설치되게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상기 도 3과 같이 히터부(60)의 히팅된 열이 열전도용 금속판(300)을 통하여 관통부(30) 및 연결구(40) 내부의 온수를 가열 히팅 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연결구(40)와 관통부(30) 상호 나사 결합 시 삽입구(42)가 연결구(4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호 결합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상기 설명에 포함되는 도면 중 310은 접지 단자이고, 320은 온도센서용 단자이다.
상기에 있어서, 공기 배출구(23) 및 공기 유입구(12)를 도 6과 같이, Y 형상으로 하여 공기 배출 시 수증기의 배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물과 공기를 분리하여 물의 역류를 방지하므로서 소음을 최소화하고, 공기 배출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배출구(23)가 Y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공기 호스(70)도 각각의 공기 배출구(23) 분기된 배출구에 끼우고, 상기 공기 호스(70) 각각의 타단은 Y 형상의 공기 유입구(12)에 분기된 공기 유입구(12) 각각에 끼워진 상태에서 공기 배출이 이루어지게하는 것으로, 가열팽창된 온수에 포함된 공기는 상기 Y 형상의 공기 배출구(23) 내부의 경사면을 따라 각각의 공기 호스(70)를 통하여 공기 유입구(12)측으로 신속하게 배출되고, 공기보다 무거운 물과 수증기는 Y 형상의 공기 배출구(23) 내부 경사면을 따라 어댑터부(20) 내부로 낙하되므로서 원수와 회수에 포함된 공기의 배출을 통하여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구(12)는 도 7과 같이 나란히 두개의 유입구로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도 8과 같이 상기 어댑터부(20)와 관통부(30)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관통부(30) 내부의 공기가 보다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할수 있다. 즉, 원수 공급 유입관(11)측으로 원수가 공급될 때 연결구(40)측이 낮아진 상태이므로 원수는 공급되면서 어댑터부(20)와 관통부(30) 및 연결구(40)와 난방 파이프(50) 내부의 공기는 공기 배출구(23)측으로 배출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어댑터부(20)와 관통부(30) 및 연결구(40)가 결합된 가열 팽창부(200) 하방을 2개의 받침부(400) 상방 각각에 탄성력을 가지는 고정편(410)에 끼워 설치하되, 상기 받침부(400)의 일측과 타측의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가열 팽창부(200)의 어댑터부(20)가 연결구(40)측보다 높게 하여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므로서, 뚜껑(80)을 열은 다음 원수 탱크(10) 내부에 원수를 공급할 때 원수 유입구(21)를 통하여 원수가 어댑터부(20) 내부로 인입되는 시간이 신속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회수관(22A)을 통해 인입되는 회수가 관통부(30) 내부를 지나 연결구(40)측으로 밀려 나가게 되므로 관통부(30)내부에는 원수 및 회수가 95% 이상 채워지게 되고, 이때 회수 및 원수에 포함된 공기가 공기 배출구(23)에 끼워진 공기 호스(70)하방 까지 채워지게된다(이 경우에는 공기 호스(70)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 원수 또는 회수가 공기 호스(70) 내부를 타고 외부로 배출되기는 매우 어렵다). 이때, 원수 공급을 위해 뚜껑(80)을 연 상태이므로 원수 및 회수에 의해 밀어 올려진 공기 호스(70)내부의 공기가 공기 유입구(12) 및 공기 배출구(12')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하게 되므로 가열 팽창부(200)내부 및 난방 파이프(50)내부에는 공기가 거의 없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뚜껑(80)을 닫고 히터부(60)를 원하는 온도로 가동시키면 공기가 거의 없는 상태의 가열 팽창부(200)내부의 원수 및 회수는 관통부(30) 및 어댑터부(20) 내부에 95% 이상 채워진 상태에서 히팅부(60) 및 그 히팅에 의한 열전도용 금속판(300)에 전도되고, 전도된 열에 의해 원수 및 회수가 면접되면서 더욱 신속하게 가열 팽창하게 된다. 즉, 공기가 거의 없는 상태이므로(공기가 있으면 공기를 데워야 하므로 가열 속도가 느림) 원수 및 회수가 보다 신속하게 가열되고, 이에 따라 가열 효율이 증대 되므로 강한 팽창력에 의한 더욱 신속한 추진력으로 온수를 순환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열 팽창부(200)내부에서 가열 팽창력을 높이게 되므로 열전도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에너지 절감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은 가열 팽창부(200) 내부 및 난방 파이프(50) 내부에 공기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작동되므로 가열 팽창부(200) 내부 및 난방 파이프(50) 내부에서 부글거리거나 틱틱 거리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가열 팽창부(200)에 의한 가열 팽창력으로 온수는 난방 파이프(50)를 통해 순환되게 되고, 가열 팽창부(200)내부의 가열 팽칭에 의해 새로 발생되는 공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 배출구(12')와 뚜껑(80)의 내하면 사이의 미세 간극을 통해 뚜껑(80)에 형성된 미세 공기구멍(81)으로 배출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가열 팽창부(200) 내부의 가열 팽창력에 의해 순환되는 회수는 회수 유입구(22)를 통해 어댑터부(20)내부로 인입될 때 체크밸브 날개(20A) 일측면과 충돌하여 공기가 발생되거나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공기는 회수에 포함되어 재차 관통부(30)내부로 혼입 되어질 경우 가열 팽창부(200) 내부의 가열 팽창력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 하기위하여, 도 8,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어댑터부(20)일측 내 상부 벽면에 공기 배출 요홈부(20-1)(이 공기 배출 요홈부는 상/하 요홈폭을 동일하게 하거나, 하부측 요홈부를 상부측 요홈부 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다)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 배출 요홈부(20-1) 직 상방의 어댑터부(20)에 공기 배출구멍(23A)을 뚫어 공기 호스(70)와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배출구멍(23A)은 공기 배출구(23) 하방에 뚫은 공기 배출구멍(23B)과 연통시켜 공기 배출구(23)를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열 팽창부(200) 내부의 강한 팽창력에 의해 순환되는 회수가 체크밸브 날개(20A)와 충돌하여 발생하는 공기를 공기 호스(70)측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되므로 관통부(30)내부에 공기가 혼합된 회수가 채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관통부(30)내부에서 가열 팽창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조 중 체크밸브 날개(20A)의 운동 진폭을 줄이기 위하여, 체크밸브 날개(20A) 후방측 어댑터부(20) 내부둘레에 스토퍼(5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체크밸브 날개(20A)가 회수의 유입에 따라 개방되거나 가열 팽창부(200)의 가동 중지(정해진 온도에 도달한 상태)에 의해 폐쇄될 경우 상기 스토퍼(500)에 의해 정해진 움직임 만큼의 진폭만을 움직이게 되므로 그 움직임의 진폭을 줄여 체크밸브 날개(20A)의 진폭 움직임에 의한 소음을 배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1과 같이 어댑터부(20)에 설치한 회수 유입구(22)에 연결한 회수관(22A)이외에 또 하나의 회수 유입구(22') 및 회수관(22A')를 설치하고, 타측의 연결구(40)측에 온수 배출관(41) 이외에 또 하나의 온수 배출관(41')을 설치하되, 상기 회수관(22A')과 온수 배출관(41')을 난방 파이프(50')로 연결하여 보다 넓은 면적의 온수 매트 또는 온돌 바닥을 온열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난방 파이프(50) 및 난방 파이프(50')는 온수 매트 또는 온돌 마루 등에 각각 다른 위치에 포설할 수 있고, 이 경우 온수 배출관(41')의 연결 헤드(600)에 개폐밸브(700)를 설치하여 그 개폐여부에 따라 난방 파이프(50)에만 온수가 순환되게 하거나, 난방 파이프(50) 및 난방 파이프(50') 모두 온수가 순환되게 하여 사용자의 적성에 맞게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난방 파이프(50) 내부를 지나는 온수의 온도를 높여 난방 파이프(50)가 포설된 온수 매트에는 뜨거운 것을 선호하는 사용자가 사용하고, 난방 파이프(50') 내부를 지나는 온수의 온도를 낮추어 난방 파이프(50')가 포설된 온수 매트에는 약간 데워진 것을 선호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연결 헤드에 조절밸브를 설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면 중 600A, 600B, 600C는 연결 헤드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원수가 부족하거나 보충할 필요가 있을 경우 원수를 원수 탱크(10)의 원수 주입구(13)에 나사 결합시킨 뚜껑(80)을 열어 주입하면서 가열 팽창부(200) 및 난방 파이프(5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 다음 뚜껑(80)을 닫고, 가열 팽창부(200)의 히터부(60)를 가동시켜 내부 압력을 높이게 하므로서 가열 팽찰력이 증대되면서 보다 신속하게 온수가 순환되어지고, 상기 온수가 순환되면서 발생되는 공기는 뚜껑(80)의 미세 공기구멍(81)으로 배출되게 되므로, 가열 팽창부(200) 내부 및 난방 파이프(50)내부에서 발생되는 부글거림 또는 틱틱거리는 소음을 배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공기가 많이 혼합된 원수나 회수가 히터부(60)의 히팅에 의해 가열 되면서 순환될 경우 가열 팽창부(200) 내부 및 난방 파이프(50)내부에서 버블현상에 의한 소음이 크게 증대되어 온돌 매트 또는 온돌 마루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소음 공해에 의한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를 해소하므로서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 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원수 탱크 11 : 원수 공급 유입관
12 : 공기 유입구 12' : 공기 배출구
13 : 원수 주입구 20 : 어댑터부
20-1 : 공기 배출 요홈부 21 : 원수 유입구 22, 22' : 회수 유입구 22A : 회수관 23 : 공기 배출구 23A, 23B : 공기 배출구멍
20A : 체크밸브 날개 20B : 핀 30 : 관통부 31 : 삽입부 40 : 연결구 41, 41' : 온수 배출관 50, 50' : 난방 파이프 60 : 히터부 61 : 전극 70 : 공기 호스
80 : 뚜껑 81 : 미세 공기구멍 100 : 케이스 200 : 가열 팽창부 300 : 열 전도용 금속판 310 : 접지 단자
320 : 온도센서용 단자 400 : 받침부 400 : 고정편 500 : 스토퍼 600 : 연결 헤드 700 : 개폐밸브

Claims (7)

  1.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하는 원수 탱크(10)로부터 유입되는 원수 공급 유입관(11) 일측을 어댑터부(20)의 원수 유입구(21)에 연결하고, 상기 어댑터부(20)와 접속된 관통부(30)의 타측에 결합된 연결구(40)에 온수 배출관(41)을 설치하여 상기 온수 배출관(41)과 어댑터부(20)에 설치한 회수 유입구(22)에 연결한 회수관(22A) 사이에 난방 파이프(50)를 연결하며, 상기 관통부(30)의 삽입부(31)에 히터부(60)를 끼워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20) 상방에 설치한 공기 배출구(23)와 원수 탱크(10)의 일측 상방에 설치한 공기 유입구(12)와의 사이에 공기 호스(70)를 연결하여 구성하되, 상기 공기 유입구(12)는 원수 탱크(10)의 원수 주입구(13) 내부 일측에 일체로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12)와 관통된 공기 배출구(12')가 뚜껑(80)을 폐쇄할 시 뚜겅 내측면에 면접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어댑터부(20)와 관통부(30) 및 연결구(40)가 결합된 가열 팽창부(200) 하방을 2개의 받침부(400) 상방 각각에 탄성력을 가지는 고정편(410)에 끼워 설치하되, 상기 받침부(400)의 일측과 타측의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가열 팽창부(200)의 어댑터부(20)가 연결구(40)측보다 높게 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30)와 어댑터부(20) 및 연결구(40)로 이루어지는 가열 팽창부(200)를 합성수지재로 하되, 관통부(30)의 삽입부(31) 둘레에 열전도용 금속판(300)을 인서트 사출 형성하고, 상기 열전도용 금속판(300)내부에 히터부(60)가 삽입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
  5. 제 1항에 있어서, 어댑터부(20)일측 내 상부 벽면에 공기 배출 요홈부(20-1)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 배출 요홈부(20-1) 직 상방의 어댑터부(20)에 공기 배출구멍(23A)을 뚫어 공기 호스(70)와 연결하되, 상기 공기 배출구멍(23A)은 공기 배출구(23) 하방에 뚫은 공기 배출구멍(23B)과 연통시켜 공기 배출구(23)를 통하여 공기가 배출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
  6. 제 1항에 있어서, 관통부(30)측 입구에 원수 유입구(21) 및 회수 유입구(22) 또 하나의 회수 유입구(22')를 설치하고, 타측의 연결구(40)측에 온수 배출관(41) 이외에 또 하나의 온수 배출관(41')을 설치하되, 상기 회수 유입구(22')와 온수 배출관(41')을 난방 파이프(50')로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
  7. 제 1항에 있어서, 연결구(40) 내부에 공간부(42')를 가지는 삽입구(42)를 일체로 길게 돌출 되게 형성하여 돌출된 삽입구(42)가 관통부(30)내부에 위치토록 하되, 상기 삽입구(42)에 열전도용 금속판(300)을 인서트 사출하여 삽입구(42)내, 외측에 돌출 형성 시키고, 상기 삽입구(42)의 공간부(42') 내부에 히터부(60)를 삽입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
KR1020130054200A 2012-07-20 2013-05-14 온수 보일러 KR101465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200A KR101465331B1 (ko) 2013-05-14 2013-05-14 온수 보일러
EP13819448.5A EP2894416A4 (en) 2012-07-20 2013-07-12 HOT WATER BOILERS, HEATING TUBES AND INSTALLATION STRUCTURE FOR THIS
CN201380038699.4A CN104471324B (zh) 2012-07-20 2013-07-12 热水锅炉和制热管用管道及其设置结构
PCT/KR2013/006234 WO2014014236A1 (ko) 2012-07-20 2013-07-12 온수 보일러와 난방 배관용 파이프 및 그 설치구조
CA2879396A CA2879396C (en) 2012-07-20 2013-07-12 Hot-water boiler, heating pipes and installation structure therefor
JP2015523001A JP6243905B2 (ja) 2012-07-20 2013-07-12 温水ボイラー
US14/415,667 US20150176847A1 (en) 2012-07-20 2013-07-12 Hot-water boiler, heating pipes and installation structure therefor
MX2015000774A MX2015000774A (es) 2012-07-20 2013-07-12 Calentador de agua caliente, tuberías de calentamiento y estructura de instalación de los mismos.
CN201710174285.4A CN107101362A (zh) 2012-07-20 2013-07-12 热水锅炉和制热管用管道及其设置结构
CA2933964A CA2933964A1 (en) 2012-07-20 2013-07-12 Hot-water boiler, heating pipes and installation structure therefor
JP2017124621A JP2017194268A (ja) 2012-07-20 2017-06-26 温水ボイラーと暖房配管用パイプ及びその設置構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200A KR101465331B1 (ko) 2013-05-14 2013-05-14 온수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409A KR20140134409A (ko) 2014-11-24
KR101465331B1 true KR101465331B1 (ko) 2014-11-25

Family

ID=5229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200A KR101465331B1 (ko) 2012-07-20 2013-05-14 온수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3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225A (ko) * 2008-02-20 2009-08-25 김성년 온수순환장치 및 이를 갖는 온수매트리스
KR20130015778A (ko) * 2011-08-05 2013-02-14 채현기 체크밸브 및 이 체크밸브가 이용되는 무동력 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225A (ko) * 2008-02-20 2009-08-25 김성년 온수순환장치 및 이를 갖는 온수매트리스
KR20130015778A (ko) * 2011-08-05 2013-02-14 채현기 체크밸브 및 이 체크밸브가 이용되는 무동력 난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409A (ko) 201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168B1 (ko) 난방용 자연순환식 보일러
KR101418947B1 (ko)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KR100861167B1 (ko) 온수 순환 시스템
CN206303521U (zh) 一种智能冷热沙发
KR101465331B1 (ko) 온수 보일러
KR101230543B1 (ko) 역류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동력 간이 난방용 보일러
KR20190002339U (ko) 캠핑용 온수 보일러
KR101805244B1 (ko) 대기차단식 온수매트용 보일러
US20170248324A1 (en) Heating device for hot water mat
KR101197371B1 (ko) 휴대용 온수생성공급장치
KR20130015778A (ko) 체크밸브 및 이 체크밸브가 이용되는 무동력 난방장치
KR101549549B1 (ko) 냉온수 공급장치
CN210123185U (zh) 水箱组件、空调加湿器及空调器
KR101274498B1 (ko) 온수매트용 체크 밸브
KR101854782B1 (ko) 슬림 매트를 이용한 보일러 장치
KR20140134993A (ko) 온수 매트용 보일러
JP6363291B2 (ja) 温水生成装置
KR101700530B1 (ko) 온수매트의 온수 순환장치
KR200469591Y1 (ko) 냉각부를 구비하여 냉각 기능이 부가된 온수매트장치
KR200309547Y1 (ko) 열에너지를 이용한 무동력 강제순환 온수매트
CN112128982B (zh) 用于热水器的混水装置和具有其的热水器
KR20130008685A (ko) 역류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동력 간이 난방용 보일러를 위한 온수순환 핀
KR101322794B1 (ko) 온수매트
CN208595700U (zh) 一种节能型空气能热泵供水装置
CN207906504U (zh) 地暖四通节能恒温混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