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894B1 -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 - Google Patents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894B1
KR101464894B1 KR1020130159728A KR20130159728A KR101464894B1 KR 101464894 B1 KR101464894 B1 KR 101464894B1 KR 1020130159728 A KR1020130159728 A KR 1020130159728A KR 20130159728 A KR20130159728 A KR 20130159728A KR 101464894 B1 KR101464894 B1 KR 101464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pring
support
ball chai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연
Priority to KR1020130159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by clamping between two retaining-pl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천정면에 결합 고정되고 하부에 제1신축구(11)가 연결되는 제1지지대(12)와 상기 제1지지대(12)와 대응되고 천정면에 결합 고정되며 하부에 제2신축구(13)가 연결되는 제2지지대(14)와; 상기 제1지지대(12)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걸이봉브라켓(15) 및 상기 제2지지대(14)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걸이봉브라켓(16)과; 상기 제1걸이봉브라켓(15)과 상기 제2걸이봉브라켓(16)에 각각 양측단이 연결되는 걸이봉(17)과; 상기 제1지지대(12)에 결합되고 내측에 구동롤러(101)가 축설되는 승강체(100)와; 상기 제2지지대(14)에 결합되고 내측에 연동롤러(18a)가 축설되는 연동브라켓(18)과; 상기 제2걸이봉브라켓(16)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연동롤러(18a)와 상기 승강체(100)의 구동롤러(101)에 각각 권취되어 상기 제1걸이봉브라켓(15)과 제2걸이봉브라켓(16)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볼체인(19)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체(100)는, 상기 제1지지대(12)에 피스결합되는 피스구멍(111)이 통공되고 하단에 스프링끼움홈(112)이 구비된 고정편(113)이 양측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구동롤러(101)가 내부에 축설되어 위치되는 하우징체(110)와; 상기 하우징체(110)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고 걸림공간(121)을 갖는 걸림편(120)과; 상기 하우징체(110)의 하단 외측 양면에 각각 돌출되는 가이드돌부(130)와; 상기 가이드돌부(130)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141)가 상단에 구비되고 하단에 상기 고정편(113)의 스프링끼움홈(112)과 대응되는 스프링수용부(142)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편(120)측에 위치되는 걸림돌부(143)를 갖는 스토퍼(140)와; 상기 하우징체(110)의 스프링끼움홈(112)이 일측이 끼워지고 상기 스토퍼(140)의 스프링수용부(142)에 타측이 인입되어 수용되는 스프링(150)과; 상기 스토퍼(140)의 스토퍼면(140a)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체(110)의 하부 바닥면(110a)과 피스고정되는 장공형(長孔形)의 가이드구멍(160)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up and down device for ball chain type laundering hanger}
본 발명은 볼체인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볼체인의 볼을 록킹시킴으로써 원하는 높이로 고정된 건조대 걸이봉이 스스로 떨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작동성 향상에 의한 소비자의 사용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빨래를 널어 말리는 건조대는 가정의 베란다에 바닥에 세워서 두는 이동식 스텐드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근자들어서는 아파트나 빌라 등의 베란다 등의 천정에 메달아 두고 사용하는 천정식 건조대 등이 있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천정식 건조대는, 베란다 천정 등에 자바라식의 승하강아암을 메달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승하강아암의 끝단부에 건조대 프레임부를 장착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아암을 접었다 폈다 할수 있도록 하단부측의 중심상을 당김포인트부에 작동와이어의 끝단을 연결시켜 잡아당기거나 내리도록 하여 승하 강아암의 하단부에 형성된 건조대 프레임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천정식 건조대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작동와이어를 하부측으로 잡아당기면 건조대 프레임부는 베란다의 천정측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빨래를 건조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건조대 프레임부를 상부측으로 접어둔 상태로 보관한다.
이 때 작동와이어를 하부측으로 당기게 되면 작동와이어의 끝단부는 승하강아암의 당김포인트부에 연결되어 있어 상부측으로 당겨지면서 승하강아암이 접혀지면서 상승하고, 동시에 승하강아암의 하단에 장착된 건조대 프레임부 역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와이어는 건조대 프레임부가 완전히 상승하고 난후에는 내려오지 않도록 작동와이어를 벽에 고정된 고리 등에 묶어둔다.
또한, 빨래를 건조할시에는 벽에 묶여있는 작동와이어를 풀어 건조대 프레임부를 하강시켜 적당한 위치로 내린 후에 더 이상 내려오지 않도록 작동와이어를 다시 벽에 고정된 고리 등에 묶어둔다.
이와 같이 와이어에 의해 작동되는 건조대는 매달아 놓은 건조대 프레임부의 젖은 빨래를 말리기 위해 널어 놓았을 경우, 작동와이어가 느슨하게 묶여져 있거나 걸어 놓은 빨래의 무게에 의해 순간적으로 작동와이어가 풀리면서 건조대 프레임부에 걸어 놓은 빨래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노약자들은 작동와이어를 당겨 건조대 프레임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에는 적지 않은 힘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당겨진 작동와이어를 벽에 고정시키기 위해 묶기에는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동식 빨래건조대가 안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동식 빨래건조대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서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리모콘 형태로 제조된 무선송신부와, 상기 무선 송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와, 상기 무선 수신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입력 받아서, 이를 토대로 내부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해당된 제어신호를 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내부의 모터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모터구동부와, 기기의 동작상태를 디스플레이되는 색상으로 표시하는 LED로 이루어진 상태표시부와, 상승한계위치 및 하강한계위치에 도달할 경우에는 상기 모터구동부로 정지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한계위치 감지부와, 상기 모터구동부의 모터의 회전축에 끼워진 와이어 권취부재에 의해 와이어가 감겨지거나 풀려짐으로써 빨래건조대를 천정측으로 접거나 펼치는 빨래건조구조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동식 빨래건조대는, 리모콘에 의해 동작하므로 편리하기는 하나, 본체가 일체형이라서 그 무게 및 천정 간격 조절이 여려워 장착시 어려운 점이 있으며, 또한 와이어를 채용하므로 브레이크 장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브레이크의 잦은 사용에 따른 브레이크의 마모로 인하여 하강 위험성과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로서 볼체인을 구동부로 이용한 건조대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등록실용 제20-0350788호인 볼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천정 고정 프레임과, 상기 천정 고정 프레임의 중앙에 DC용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된 스프로켓과, 상기 스프로켓에 맞물려 이동되도록 형성되며, 다수개의 볼을 연결핀에 의해 일정간격지게 결합시킨 볼체인과, 상기 승하강 볼체인의 길이방향으로 볼체인을 감싸도록 형성된 상승 및 하강 이동 스톱퍼와, 상기 스프로켓의 양측에 볼체인이 수평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승 및 하강 이동 스톱퍼가 걸려져 멈춰지는 상승 및 하강 고정 스톱퍼를 갖는 안내 가이드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볼체인을 이용함으로써 천정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구동모터에 의한 작동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고 볼체인을 스톱시키는 고정스톱퍼를 갖는 안내 가이드부의 역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무거운 빨래의 하중에 의해 빨래가 널어진 걸이봉이 그대로 하강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02057호(2007.03.26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350788호(2004.05.06 등록)
본 발명은 무동력 빨래 건조대의 건조봉들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볼체인의 브라켓에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스토퍼를 더 구비하여 스토퍼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놓인 건조봉이 스스로 떨어짐으로써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자가 쉽게 볼체인을 당겨 걸이봉을 승강시키고 걸이봉의 승강 후에는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스토퍼에 의해 승강된 걸이봉의 위치를 고정하여 걸이봉이 자연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건조대의 건조봉의 승강 및 하강동작에 따른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는, 천정면에 결합 고정되고 하부에 제1신축구가 연결되는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와 대응되고 천정면에 결합 고정되며 하부에 제2신축구가 연결되는 제2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걸이봉브라켓 및 상기 제2지지대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걸이봉브라켓과; 상기 제1걸이봉브라켓과 상기 제2걸이봉브라켓에 각각 양측단이 연결되는 걸이봉과; 상기 제1지지대에 결합되고 내측에 구동롤러가 축설되는 승강체와; 상기 제2지지대에 결합되고 내측에 연동롤러가 축설되는 연동브라켓과; 상기 제2걸이봉브라켓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연동롤러와 상기 승강체의 구동롤러에 각각 권취되어 상기 제1걸이봉브라켓과 제2걸이봉브라켓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볼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체는, 상기 제1지지대에 피스결합되는 피스구멍이 통공되고 하단에 스프링끼움홈이 구비된 고정편이 양측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구동롤러가 내부에 축설되어 위치되는 하우징체와; 상기 하우징체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고 걸림공간을 갖는 걸림편과; 상기 하우징체의 하단 외측 양면에 각각 돌출되는 가이드돌부와; 상기 가이드돌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가 상단에 구비되고 하단에 상기 고정편의 스프링끼움홈과 대응되는 스프링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편측에 위치되는 걸림돌부를 갖는 스토퍼와; 상기 하우징체의 스프링끼움홈이 일측이 끼워지고 상기 스토퍼의 스프링수용부에 타측이 인입되어 수용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토퍼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체의 하부 바닥면과 피스고정되는 장공형(長孔形)의 가이드구멍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스토퍼의 걸림돌부에는 상기 볼체인을 당길 때 상기 스토퍼가 상기 고정편측으로 밀어냄이 용이하도록 호형의 굴곡면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스프링끼움홈에는 상기 스프링끼움홈에 끼워진 스프링의 일측이 스프링끼움홈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무동력의 볼체인을 이용한 건조대의 걸이봉의 승강 및 하강동작이 볼체인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걸이봉이 원하는 위치에 놓였을 때 사용자가 잡아당기던 볼체인을 놓으면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스토퍼가 전진되어 볼체인을 록킹하여 줌으로써 원하는 높이로 걸이봉을 위치한 상태에서 걸이봉의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볼체인을 다시 잡아 당기면 전진되어 있던 스토퍼가 다시 후진하면서 볼체인의 동작에 간섭을 주지 않기 때문에 사용성 및 편의성을 크게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가 설치된 볼체인 건조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생략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에 의해 볼체인이 록킹된 상태의 일부생략 정면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볼체인이 록킹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에 의해 볼체인이 언록킹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생략 정면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볼체인이 언록킹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정면에 결합 고정되고 하부에 제1신축구(11)가 연결되는 제1지지대(12)와 상기 제1지지대(12)와 대응되고 천정면에 결합 고정되며 하부에 제2신축구(13)가 연결되는 제2지지대(14)와, 상기 제1지지대(12)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걸이봉브라켓(15) 및 상기 제2지지대(14)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걸이봉브라켓(16)과, 상기 제1걸이봉브라켓(15)과 상기 제2걸이봉브라켓(16)에 각각 양측단이 연결되는 걸이봉(17)과, 상기 제1지지대(12)에 결합되고 내측에 구동롤러(101)가 축설되는 승강체(100)와, 상기 제2지지대(14)에 결합되고 내측에 연동롤러(18a)가 축설되는 연동브라켓(18)과, 상기 제2걸이봉브라켓(16)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연동롤러(18a)와 상기 승강체(100)의 구동롤러(101)에 각각 권취되어 상기 제1걸이봉브라켓(15)과 제2걸이봉브라켓(16)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볼체인(1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체(100)는, 상기 제1지지대(12)에 피스결합되는 피스구멍(111)이 통공되고 하단에 스프링끼움홈(112)이 구비된 고정편(113)이 양측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구동롤러(101)가 내부에 축설되어 위치되는 하우징체(110)와, 상기 하우징체(110)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고 걸림공간(121)을 갖는 걸림편(120)과, 상기 하우징체(110)의 하단 외측 양면에 각각 돌출되는 가이드돌부(130)와, 상기 가이드돌부(130)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141)가 상단에 구비되고 하단에 상기 고정편(113)의 스프링끼움홈(112)과 대응되는 스프링수용부(142)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편(120)측에 위치되는 걸림돌부(143)를 갖는 스토퍼(140)와, 상기 하우징체(110)의 스프링끼움홈(112)이 일측이 끼워지고 상기 스토퍼(140)의 스프링수용부(142)에 타측이 인입되어 수용되는 스프링(150)과, 상기 스토퍼(140)의 스토퍼면(140a)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체(110)의 하부 바닥면(110a)과 피스(P) 고정되는 장공형(長孔形)의 가이드구멍(160)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체(100)의 스토퍼(140)는, 상기 스프링수용부(142)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체(110)의 스프링끼움홈(112)에 일측이 끼워진 상기 스프링(150)에 의해 항상 하우징체(110)의 걸림편(120)측에 위치된다.
또한, 승강체(100)의 스토퍼(140)가 상기 하우징체(110)의 고정편(113)측으로 밀어질 때 상기 스프링(150)이 압축된다.
또한, 상기 압축된 스프링(150)의 압축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스토퍼(140)는 다시 원래의 위치인 상기 걸림편(120)측으로 밀려 이동되어 위치된다.
이러한 스토퍼(1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체(110)에 구비되는 구동롤러(101)에 권취된 볼체인(19)의 록킹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상기 걸이봉(17)을 올리거나 내리고자 하기 위해 상기 볼체인(19)을 잡아 당기면 걸이봉(17)이 승강 또는 하강되는 바, 이와 같이 걸이봉(17)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원하는 위치에 걸이봉(17)을 위치한 상태에서 볼체인(19)을 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스토퍼(140)에 의해 볼체인(19)이 힘을 해제한 상태에서 록킹됨으로써 걸이봉(17)이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토퍼(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체인(19)이 록킹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편(120)측으로 위치됨으로써 볼체인(19)이 상기 걸림편(120)과 스토퍼(140)의 걸림돌부(143)에 의해 밀착되어 볼체인(19)의 움직임을 방지함으로써 걸이봉(17)의 하강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볼체인(19)을 당기게 되면 상기 볼체인(19)의 당기는 동작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40)의 걸림돌부(143)이 볼체인(19)에 의해 밀리게 되어 스프링(150)이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돌부(143)가 하우징체(110)의 고정편(113)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140)가 밀리면 상기 하우징체(110)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볼체인 인출공간부(a)가 개방됨으로써 볼체인(19)을 당겨 걸이봉(17)을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스토퍼(140)의 스토퍼면(140a)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체(110)의 하부 바닥면(110a)과 피스(P) 고정되는 장공형(長孔形)의 가이드구멍(160)은, 상기 스토퍼(140)가 상기 걸림편(120)측에 위치될 때 상기 스토퍼(140)가 상기 하우징체(110)의 가이드돌부(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P)가 가이드구멍(160)을 통과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체(110)의 하부 바닥면(110a)에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140)가 걸림편(120)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피스(P)에 가이드구멍(160)이 걸림으로써 스토퍼(140)가 걸림편(120)을 벗어나 상기 가이드돌부(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토퍼(140)의 걸림돌부(143)에는 상기 볼체인(19)을 당길 때 상기 스토퍼(140)를 상기 하우징체(110)의 고정편(113)측으로 밀어냄이 용이하도록 호형의 굴곡면(144)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호형의 굴곡면(144)이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볼체인(19)을 당길 때 하우징체(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볼체인(19)이 상기 호형의 굴곡면(144)을 밀어내어 스토퍼(140)를 상기 고정편(113)측으로 밀어냄이 용이하며, 하우징체(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볼체인(19)이 볼체인 인출공간부(a)를 통해 하우징체(110)의 하부측으로부터 인출됨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끼움홈(112)에는 상기 스프링끼움홈(112)에 끼워진 스프링(150)의 일측이 스프링끼움홈(112)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17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스프링끼움홈(112)이 상기 고정편(113)으로부터 완전히 통공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끼움홈(112)에 일측이 끼워진 스프링(150)이 상기 통공되는 스프링끼움홈(112)으로부터 빠져나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1 : 제1신축구 12 : 제1지지대
13 : 제2신축구 14 : 제2지지대
15 : 제1걸이봉브라켓 16 : 제2걸이봉브라켓
17 : 걸이봉 18 : 연동브라켓
18a : 연동롤러 19 : 볼체인
100 : 승강체 101 : 구동롤러
110 : 하우징체 111 : 피스구멍
112 : 스프링끼움홈 113 : 고정편
120 : 걸림편 121 : 걸림공간
130 : 가이드돌부 140 : 스토퍼
141 : 슬라이딩부 142 : 스프링수용부
143 : 걸림돌부 144 : 굴곡면
150 : 스프링 160 : 가이드구멍
170 : 덮개 P : 피스
140a : 스토퍼면 110a : 하우징체 바닥면
a : 볼체인 인출공간부

Claims (3)

  1. 천정면에 결합 고정되고 하부에 제1신축구(11)가 연결되는 제1지지대(12)와 상기 제1지지대(12)와 대응되고 천정면에 결합 고정되며 하부에 제2신축구(13)가 연결되는 제2지지대(14)와; 상기 제1지지대(12)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걸이봉브라켓(15) 및 상기 제2지지대(14)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걸이봉브라켓(16)과; 상기 제1걸이봉브라켓(15)과 상기 제2걸이봉브라켓(16)에 각각 양측단이 연결되는 걸이봉(17)과; 상기 제1지지대(12)에 결합되고 내측에 구동롤러(101)가 축설되는 승강체(100)와; 상기 제2지지대(14)에 결합되고 내측에 연동롤러(18a)가 축설되는 연동브라켓(18)과; 상기 제2걸이봉브라켓(16)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연동롤러(18a)와 상기 승강체(100)의 구동롤러(101)에 각각 권취되어 상기 제1걸이봉브라켓(15)과 제2걸이봉브라켓(16)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볼체인(19)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체(100)는,
    상기 제1지지대(12)에 피스결합되는 피스구멍(111)이 통공되고 하단에 스프링끼움홈(112)이 구비된 고정편(113)이 양측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구동롤러(101)가 내부에 축설되어 위치되는 하우징체(110)와;
    상기 하우징체(110)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고 걸림공간(121)을 갖는 걸림편(120)과;
    상기 하우징체(110)의 하단 외측 양면에 각각 돌출되는 가이드돌부(130)와;
    상기 가이드돌부(130)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141)가 상단에 구비되고 하단에 상기 고정편(113)의 스프링끼움홈(112)과 대응되는 스프링수용부(142)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편(120)측에 위치되는 걸림돌부(143)를 갖는 스토퍼(140)와;
    상기 하우징체(110)의 스프링끼움홈(112)이 일측이 끼워지고 상기 스토퍼(140)의 스프링수용부(142)에 타측이 인입되어 수용되는 스프링(150)과;
    상기 스토퍼(140)의 스토퍼면(140a)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체(110)의 하부 바닥면(110a)과 피스(P)고정되는 장공형(長孔形)의 가이드구멍(160)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40)의 걸림돌부(143)에는 상기 볼체인(19)을 당길 때 상기 스토퍼(140)를 상기 하우징체(110)의 고정편(113)측으로 밀어냄이 용이하도록 호형의 굴곡면(144)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끼움홈(112)에는 상기 스프링끼움홈(112)에 끼워진 스프링(150)의 일측이 스프링끼움홈(112)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17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
KR1020130159728A 2013-12-19 2013-12-19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 KR101464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728A KR101464894B1 (ko) 2013-12-19 2013-12-19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728A KR101464894B1 (ko) 2013-12-19 2013-12-19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894B1 true KR101464894B1 (ko) 2014-11-28

Family

ID=52291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728A KR101464894B1 (ko) 2013-12-19 2013-12-19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8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8119A (zh) * 2017-08-01 2018-01-09 刘海娟 一种家用晒衣架
CN112176670A (zh) * 2020-09-11 2021-01-05 闽江学院 一种服装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617Y1 (ko) * 2004-07-08 2004-09-18 오영춘 빨래 건조대
JP2006000628A (ja) * 2004-05-15 2006-01-05 Tokio Yoshii 昇降チェーンストッパー
JP2007325754A (ja) * 2006-06-08 2007-12-20 Kyowa Nasta Co Ltd 昇降式物干し装置
KR20130084001A (ko) * 2012-01-16 2013-07-24 주식회사 대연 볼체인 건조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0628A (ja) * 2004-05-15 2006-01-05 Tokio Yoshii 昇降チェーンストッパー
KR200362617Y1 (ko) * 2004-07-08 2004-09-18 오영춘 빨래 건조대
JP2007325754A (ja) * 2006-06-08 2007-12-20 Kyowa Nasta Co Ltd 昇降式物干し装置
KR20130084001A (ko) * 2012-01-16 2013-07-24 주식회사 대연 볼체인 건조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8119A (zh) * 2017-08-01 2018-01-09 刘海娟 一种家用晒衣架
CN112176670A (zh) * 2020-09-11 2021-01-05 闽江学院 一种服装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315642A1 (en) Movable hidden clothing hanger
CN113047011B (zh) 一种晾衣装置、空调器和烘干控制方法
KR101464894B1 (ko) 볼체인 건조대용 승강체
KR101212832B1 (ko) 창틀 부착형 빨래 건조대
JP2012130483A (ja) 昇降物干し装置
KR200457494Y1 (ko) 다단식 세탁물 건조대
KR101440265B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빨래건조대
KR100733819B1 (ko) 빨래 건조대
CN209779260U (zh) 带晾被杆的晾衣组件和晾衣机
KR200454176Y1 (ko) 반자동 승/하강 장치
KR101609537B1 (ko) 천장 고정형 세탁물 건조대
KR101327142B1 (ko) 볼체인 건조대
CN109234986B (zh) 一种升降式晾晒架
KR20080112517A (ko) 빨래 걸이
JP2008161613A (ja) 吊下げ式昇降装置
CN211395056U (zh) 一种简易落地移动式晾衣架
CN111549500A (zh) 一种双级滑移式衣架升降装置
KR101822379B1 (ko) 수납식 세탁물 건조대
JP3211193U (ja) 洗濯物干し具の昇降装置
KR20090006051U (ko) 천정 부착용 자동 빨래 건조대의 승하강 제어장치
KR101327143B1 (ko) 자석 접철식 다단 세탁물 건조대
KR20210097971A (ko) 전동식 빨래 건조대
KR20110001202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빨래건조대
KR20200019808A (ko) 베란다 난간 거치형 접이식 건조대
CN215481844U (zh) 一种安装位置微调的电动晾衣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