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309B1 - 전광판 - Google Patents

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309B1
KR101464309B1 KR1020140030177A KR20140030177A KR101464309B1 KR 101464309 B1 KR101464309 B1 KR 101464309B1 KR 1020140030177 A KR1020140030177 A KR 1020140030177A KR 20140030177 A KR20140030177 A KR 20140030177A KR 101464309 B1 KR101464309 B1 KR 101464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ed substrate
base member
led
substr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환
Original Assignee
(주)경봉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봉이엔지 filed Critical (주)경봉이엔지
Priority to KR1020140030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7Displays with power supply provided by solar cells or photo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8Sun shades, shades, hoods or louvres on electronic displays to minimise the effect of direct sun light on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72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은 복수의 엘이디 발광소자들이 행과 열로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엘이디기판부재와,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결합되어 전광판의 외형을 이루는 사각 형상의 베이스부재와,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반사판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배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엘이디발광소자를 개별적으로 커버하도록 구획되는 "ㄷ" 형상 단면의 발광소자커버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의 상면은 흑색으로 도색되고,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에는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의 냉각을 위한 열전소자가 배치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의 이면에는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들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프린팅 기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에는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의 통과를 위한 통과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 사이에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감지센서와 가열코일과 팬이 설치되고,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에는 상기 엘이디발광소자에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하기 위한 발광소자전압감지부와 무선통신모듈 및 충전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카메라와 기울기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반사판부재의 상면에는 광반사코팅층이 형성되고, 또한 태양전지판이 배치되고,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에서 엘이디 발광소자를 대면하는 부분에는 광반사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와 완충부재에는 통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와 완충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들이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들은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가 결합되는 경우 일치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는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와는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와 완충부재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중공형 결합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중공형 결합부재 내부로 전력 케이블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광판{ELECTRONIC DISPLAY}
본 발명은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광판을 통한 정보의 시인성을 높이면서도,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전력 케이블을 통해 전광판 내부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함과 함께 조류나 곤충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바람 또는 전광판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내부 구성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광판을 통해 외부 상황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광판에 관한 발명이다.
전광판은 이미지 또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상 전구 또는 발광 다이오드 등의 발광소자를 복수 개 행과 열로 배치하고, 상기 발광소자들을 선택적으로 발광시킴으로써, 이미지 또는 정보를 표시하는 대형 장치이다.
상기 전광판은 그 특성 상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옥외에 배치되는데, 옥외 환경의 경우 태양광에 의한 밝기로 인해 화면의 화질이 저하되어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 눈, 비 등이 내리는 경우에는 전광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케이블 등을 통해 전광판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여 단락 또는 부식을 초래하여 전광판의 고장 또는 사용수명 저하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전광판에 배치되는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으로 인해 각종 곤충들이 모여들어 전광판 내부로 침입함으로써, 오염 또는 단락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되며, 전광판에 조류의 배설물들이 쌓일 경우 부식을 초래하여 장시간 경과 시 부식된 부위로 수분이 침투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전광판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들 중에서 일부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 정보를 나타내지 못하면서도 전원은 공급되는 상태가 되므로, 전력의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하고, 정보의 혼동을 일으켜 운전자에게 불편을 야기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전광판은 태풍 등과 같이 강풍이 부는 경우에 전체 면적에 작용되는 풍압에 의해 전광판이 기울어지거나 배면에 기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내부 구성들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전광판은 단순히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로서의 수동적 역할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광판을 통해 보여지는 정보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력 케이블 또는 기타 부분을 통해 전광판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류 또는 곤충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광판에 고장 발생 시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전원공급을 차단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람 또는 전광판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내부 구성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광판을 통해 외부 상황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은 복수의 엘이디 발광소자들이 행과 열로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엘이디기판부재와,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결합되어 전광판의 외형을 이루는 사각 형상의 베이스부재와,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반사판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배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엘이디발광소자를 개별적으로 커버하도록 구획되는 "ㄷ" 형상 단면의 발광소자커버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의 상면은 흑색으로 도색되고,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에는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의 냉각을 위한 열전소자가 배치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의 이면에는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들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프린팅 기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에는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의 통과를 위한 통과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 사이에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감지센서와 가열코일과 팬이 설치되고,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에는 상기 엘이디발광소자에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하기 위한 발광소자전압감지부와 무선통신모듈 및 충전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카메라와 기울기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반사판부재의 상면에는 광반사코팅층이 형성되고, 또한 태양전지판이 배치되고,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에서 엘이디 발광소자를 대면하는 부분에는 광반사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와 완충부재에는 통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와 완충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들이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들은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가 결합되는 경우 일치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는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와는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와 완충부재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중공형 결합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중공형 결합부재 내부로 전력 케이블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판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 기판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 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엘이디 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의 테두리 사이에는 수지충진부가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에는 상기 카메라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카메라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발포성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에 설치되는 엘이디 발광소자들 중에서 30% 이상 비율의 발광소자들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될 경우 전광판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로 이를 통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중공형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전압감지부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엘이디 발광소자를 감지하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엘이디 발광소자의 행과 열에 관한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기울기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가 20도 이상 기울어진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부재에는 통전선이 배치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 사이에는 곤충퇴치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는 상기 엘이디기판부재로부터 베이스부재를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높이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타단부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낮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는 30 도 내지 45 도 각도 범위로 측단면 상 우상방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는 30 도 내지 45 도 각도 범위로 측단면 상 우하방을 향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전광판을 통해 보여지는 정보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력 케이블 또는 기타 부분을 통해 전광판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류 또는 곤충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광판에 고장 발생 시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전원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 또는 전광판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내부 구성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광판을 통해 외부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 는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커버부재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3 은 상기 전광판의 측단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완충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5 는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가 결합된 모서리 부분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의 내부 구성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 는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커버부재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3 은 상기 전광판의 측단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완충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5 는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가 결합된 모서리 부분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의 내부 구성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은 복수의 엘이디 발광소자(12)들이 행과 열로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엘이디기판부재(10)와,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와 결합되어 전광판의 외형을 이루는 사각 형상의 베이스부재(20)와,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반사판부재(30)와 상기 베이스부재(20) 배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5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20)에는 상기 엘이디발광소자(12)를 개별적으로 커버하도록 구획되는 "ㄷ" 형상 단면의 발광소자커버부재(40)가 설치되며,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40)의 상면은 흑색으로 도색되고,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40)에는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12)의 냉각을 위한 열전소자가 배치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의 이면에는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들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16)가 프린팅 기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에는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40)의 통과를 위한 통과개구(14)가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 사이에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감지센서와 가열코일(25)과 팬(24)이 설치되고,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에는 상기 엘이디발광소자(12)에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하기 위한 발광소자전압감지부와 무선통신모듈 및 충전모듈(18)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재(20)에는 카메라(60)와 기울기감지센서(37)가 설치되고, 상기 반사판부재(30)의 상면에는 광반사코팅층이 형성되고, 또한 태양전지판(32)이 배치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와 완충부재(50)에는 통기구(15, 47, 52)가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와 완충부재(50)에 형성되는 통기구(15, 47, 52)들이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에 형성되는 통기구들(15, 47)은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가 결합되는 경우 일치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52)는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에 형성되는 통기구와는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20)와 완충부재(50)는 결합부재(54, 56)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54, 56)는 중공형 결합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중공형 결합부재 내부로 전력 케이블(10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는 복수 개의 엘이디 발광소자(12)들이 일정한 행과 열로 배치되며,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12)의 인접한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재(20)에 형성되는 발광소자커버부재(40)의 통과를 위한 통과개구(14)가 형성된다.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12)들에는 각각 발광소자전압감지부들이 접속되어,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12)로 전원이 공급되는지 또는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12)가 파손되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는 모두 사각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의 결합에 의해 전광판의 외형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부재(20) 배면에는 사각 형상의 완충부재(50)가 배치된다.
상기 완충부재(50)는 발포성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상부에는 전광판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반사하고, 눈, 비가 올 경우에 수분이 전광판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붕 역할의 반사판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반사판부재(30)의 상면에는 태양광의 반사를 위해 크롬 또는 알루미늄 코팅층 등의 광반사코팅층이 형성되고, 태양전지판(32)이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광반사코팅층에 의해 태양으로부터의 직사광선을 어느 정도 반사함과 동시에 상기 태양전지판(32)을 통해 상기 충전모듈(18)을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1 에서, 상기 반사판부재(30)는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상부에서 일체로 경사져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에서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12)들이 배치되는 면을 전면이라 하면, 그 이면에는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12)들을 구동하는 각종 회로(16)들이 프린팅 기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40)는 개별적으로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12)들을 커버하여 태양광의 입사로 인해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12)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12)에 수분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40)는 가로방향진행부(42)와 세로방향진행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로방향진행부(42)는 전체 엘이디 발광소자(12)가 배치되는 영역을 따라 일체로 신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세로방향진행부(44)는 상기 가로방향진행부(42)로부터 하방으로 한쌍 형성된다.
그리하여, 하나의 엘이디 발광소자(12)에 대해서는 "ㄷ" 형상으로 상부에서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로방향진행부(42)에는 엘이디 발광소자의 냉각을 위한 열전소자가 배치되어, 상기 열전소자에 대한 전원공급과 상기 팬(24)의 구동을 통해 의해 바로 위에 배치되는 엘이디 발광소자(12)를 직접적으로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40)에서 엘이디 발광소자를 대면하는 부분에는 크롬도금 또는 알루미늄도금과 같은 광반사코팅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12)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집광시켜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는 온도감지센서(25)와 습도감지센서(27)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온도감지센서(25)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예를 들어 70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열전소자 및 팬(24)을 구동하여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12)들을 냉각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습도감지센서(27)에 의해 감지되는 습도가 미리 설정된 예를 들어 90% 이상의 상대습도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가열코일(25)에 전력을 공급하여 가열함과 함께 상기 팬(24)을 구동하여 열풍을 가하거나, 상기 팬(24)만을 가동함으로써, 내부의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발광소자전압감지부(13)를 통해 파손된 엘이디 발광소자(12)의 갯수가 미리 지정된 범위 예를 들어, 전체 엘이디 발광소자에서 30%를 넘어갈 경우에는 전체 엘이디 발광소자(12)들에 대한 전원공급을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파손된 발광소자들로 인해 전광판을 통한 정보 전달이 난해할 경우, 오히려 전체 엘이디 발광소자(12)들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정보의 난해한 표시를 통해 운전자들에게 혼동을 주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12)들은 일정한 행과 열을 이루어 배치되고,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12)들 각각에는 발광소자전압감지부(13)가 접속되므로, 상기 발광소자전압감지부(13)를 통해 파손된 엘이디 발광소자의 행과 열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폰 또는 관리서버와 같은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외부의 단말장치를 통해 전광판 내의 파손된 엘이디 발광소자(12)의 갯수 및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여러 지점에 설치되는 전광판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의 필요성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은 평상 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에 의해 구동되지만, 상기 태양전지판(32)에 의해 충전되는 상기 충전모듈(18)에 의해 상기 무선통신모듈(21)이 구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외부로부터 전력 공급이 되지 않는 정전 또는 전력선의 단선의 경우에도 이러한 사실을 상기 무선통신모듈(21)을 통해 외부의 단말장치로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전광판의 전원공급선이 파손되거나 단선되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태풍 또는 기타의 천재지변의 경우에 이를 외부의 단말장치로 통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엘이디 기판부재(10)는 상기 베이스부재(2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 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엘이디 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의 테두리 사이에는 수지충진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엘이디 기판부재(10)는 가로 W1, 세로 H1 의 길이로 형성될 경우, 상기 베이스부재(20)의 가로는 W2, 세로 H2 로 형성되되, 상기 W2와 H2가 W1 및 H1 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 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가 도시되지 않은 나사 등으로 상호 결합될 경우 상기 엘이디 기판부재(10)의 테두리 부분과 베이스부재(20)의 테두리 부분 사이에는 에폭시 등의 합성수지(60)가 충진되어, 상기 엘이디 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엘이디 기판부재(10)에서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12)의 행과 열은 상기 엘이디 기판부재(10)의 양측부 가장자리로부터 예를 들어 50cm 와 같이 일정한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40) 역시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양측부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하여, 비가 내릴 경우에도 상부측은 상기 반사판부재(30)를 통해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12)로 빗물이 부딪히는 것을 일차적으로 방지하고,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40)를 통해 이차적으로 빗물이 엘이디 발광소자(12)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엘이디 발광소자(12)가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의 양측부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거리(50cm 등) 이격되어 중심부분에 배치됨으로써, 양측부를 통해 빗물이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12)에 부딪히는 것을 일차적으로 방지하며,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40)의 세로방향진행부(44)를 통해 양측부를 통해 들이치는 빗물로부터 엘이디 발광소자(12)들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반사판부재(30)의 상면에는 통전선들이 배치되어, 조류가 상기 반사판부재(30)에 내려 앉을 경우 약한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조류가 상기 반사판부재(30) 상면에 내려 앉아 배설함으로써 상기 태양전지판(32)을 오염시켜 충전효율을 저하시키고, 배설물에 의한 상기 반사판부재(30)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 사이에는 곤충퇴치모듈(26)이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12)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모여드는 곤충에 의한 회로의 단락, 발광소자의 오염 등의 피해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곤충퇴치모듈(26)로써는 곤충의 퇴치를 위해 특정 범위 대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와 완충부재(50)에는 통기구(15, 47, 52)가 형성되어, 강풍이 부는 상황에서 상기 통기구들(15, 47, 52)을 통해 공기압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광판의 전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전광판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와 완충부재(50)에 형성되는 통기구(15, 47, 52)들은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에 형성되는 통기구들(15, 47)은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가 결합되는 경우 연속적으로 우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통기구(15, 47)를 통해 외부의 수분이 상기 전광판 내부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전광판의 전면에 가해지는 공기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50)에 형성되는 통기구(52)는 우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재(50) 이면에 빗물이 닿을 경우에도, 상기 통기구(52)를 통해 외부의 빗물이 상기 전광판 내부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통기구(15, 47, 52)를 통해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와 베이스부재(20)에 형성되는 통기구는 30 도 내지 45 도 각도 범위로 측단면 상 우상방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50)에 형성되는 통기구는 30 도 내지 45 도 각도 범위로 측단면 상 우하방을 향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부재(20)와 완충부재(50)는 중공형 볼트(54)와 너트(56) 같은 결합부재(54, 56)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볼트와 너트(54, 56) 내부로 전력 케이블(100)이 배치된다.
전광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력 케이블(100)이 연결되는데, 상기 전력 케이블(100)이 전광판과 결합되는 부분을 통해 외부의 수분이 전광판 내부로 침입되는 경우가 빈번하며, 상기와 같이 중공형 볼트와 너트(54, 56) 내부로 전력 케이블(100)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전력케이블(100)을 통해 전광판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20)에는 카메라부(60)가 설치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10)에는 카메라개구(19)가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부(60)를 통해 외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카메라부(6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무선통신모듈(21)을 통해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각종 교통 상황 또는 도로 상황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20)에는 기울기감지센서(37)가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이 예를 들어 20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모듈(21)을 통해 외부로 이러한 사실을 알리도록 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엘이디기판부재
20: 베이스부재
30: 반사판부재
40: 발광소자커버부재
50: 베이스부재

Claims (6)

  1. 복수의 엘이디 발광소자들이 행과 열로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엘이디기판부재와;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결합되어 전광판의 외형을 이루는 사각 형상의 베이스부재와;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반사판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배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엘이디발광소자를 개별적으로 커버하도록 구획되는 "ㄷ" 형상 단면의 발광소자커버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의 상면은 흑색으로 도색되고,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에는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의 냉각을 위한 열전소자가 배치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의 이면에는 상기 엘이디 발광소자들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프린팅 기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에는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의 통과를 위한 통과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 사이에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감지센서와 가열코일과 팬이 설치되고,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에는 상기 엘이디발광소자에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하기 위한 발광소자전압감지부와 무선통신모듈 및 충전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카메라부와 기울기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반사판부재의 상면에는 광반사코팅층이 형성되고, 또한 태양전지판이 배치되고,
    상기 발광소자커버부재에서 엘이디 발광소자를 대면하는 부분에는 광반사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와 완충부재에는 통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와 완충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들이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들은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가 결합되는 경우 일치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는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와는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와 완충부재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중공형 결합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중공형 결합부재 내부로 전력 케이블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 기판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 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엘이디 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의 테두리 사이에는 수지충진부가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에는 상기 카메라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카메라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발포성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에 설치되는 엘이디 발광소자들 중에서 30% 이상 비율의 발광소자들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될 경우 전광판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로 이를 통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중공형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전압감지부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엘이디 발광소자를 감지하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엘이디 발광소자의 행과 열에 관한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기울기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가 20도 이상 기울어진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부재에는 통전선이 배치되며,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 사이에는 곤충퇴치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는 상기 엘이디기판부재로부터 베이스부재를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높이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타단부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낮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기판부재와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는 30 도 내지 45 도 각도 범위로 측단면 상 우상방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에 형성되는 통기구는 30 도 내지 45 도 각도 범위로 측단면 상 우하방을 향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KR1020140030177A 2014-03-14 2014-03-14 전광판 KR101464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177A KR101464309B1 (ko) 2014-03-14 2014-03-14 전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177A KR101464309B1 (ko) 2014-03-14 2014-03-14 전광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309B1 true KR101464309B1 (ko) 2014-11-24

Family

ID=52291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177A KR101464309B1 (ko) 2014-03-14 2014-03-14 전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3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505B1 (ko) 2017-12-13 2018-09-19 윤영산 멀티비전용 엘이디 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944B1 (ko) * 2008-01-09 2008-10-14 (주)럭스맥스네트웍스 엘이디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광판
KR101024695B1 (ko) * 2010-11-23 2011-03-25 주식회사 에버아이티 방수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엘이디 전광판의 엘이디 모듈
KR20130042177A (ko) * 2011-10-18 2013-04-26 (주)에스티씨네트웍스 표면실장형 엘이디가 장착된 방수전광판
KR101274733B1 (ko) * 2013-04-05 2013-06-12 (주)경봉 전광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944B1 (ko) * 2008-01-09 2008-10-14 (주)럭스맥스네트웍스 엘이디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광판
KR101024695B1 (ko) * 2010-11-23 2011-03-25 주식회사 에버아이티 방수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엘이디 전광판의 엘이디 모듈
KR20130042177A (ko) * 2011-10-18 2013-04-26 (주)에스티씨네트웍스 표면실장형 엘이디가 장착된 방수전광판
KR101274733B1 (ko) * 2013-04-05 2013-06-12 (주)경봉 전광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505B1 (ko) 2017-12-13 2018-09-19 윤영산 멀티비전용 엘이디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514B1 (ko) 방수성능과 충격 흡수성이 개선된 전광판
JP5241416B2 (ja) 画像表示装置
KR101274733B1 (ko) 전광판
CA2697567C (en) Incident light management device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EP1589584A3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KR101197632B1 (ko) 도로전광표지 및 정보표시장치
US10219417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blocking element
KR101088363B1 (ko) 픽셀모듈, 이를 구비한 전광판 및 도로용 정보표시장치
WO2008015762A1 (fr) Dispositif d'affichage
KR101464309B1 (ko) 전광판
JP5241414B2 (ja) 画像表示装置
KR20130042177A (ko) 표면실장형 엘이디가 장착된 방수전광판
KR101284733B1 (ko) 조명유닛 및 조명장치
KR101861332B1 (ko) 경량화된 방열엔진을 구비한 가로등 및 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정보 제공 장치
JP2017016451A (ja) 信号機
KR20150131793A (ko) 행인들의 시선을 유도하여 광고효과를 향상토록 한 돌출간판
KR101647638B1 (ko) 엘이디 신호표시장치
JP5687047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8076862A (ja) Ledモジュール及びled表示装置
AU2014204827A1 (en) Outdoor public lighting lamp having light-emitting diodes and street lamp or lamp-post provided with such a lamp
KR20070036411A (ko) 레일 픽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
KR102277744B1 (ko) 능동형 냉각방식 및 해충, 조류접근방어기능이 동시에 적용되는 가로등기구
KR101240960B1 (ko) 도로전광표지
JP2022120482A (ja) 屋外制御盤
KR200404198Y1 (ko) 레일 픽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