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960B1 - 도로전광표지 - Google Patents

도로전광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960B1
KR101240960B1 KR1020120064726A KR20120064726A KR101240960B1 KR 101240960 B1 KR101240960 B1 KR 101240960B1 KR 1020120064726 A KR1020120064726 A KR 1020120064726A KR 20120064726 A KR20120064726 A KR 20120064726A KR 101240960 B1 KR101240960 B1 KR 101240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late
frame
circuit board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기
정준화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64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로전광표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엘이디가 등간격으로 실장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엘이디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는 다수의 렌즈가 실장된 렌즈 플레이트와, 상기 렌즈에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는 렌즈홀을 구비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렌즈에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광판을 구비하는 전면 플레이트는 포함하고,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렌즈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전광표지 및 정보표시장치{Road Variable Message Signboard And Informatio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도로전광표지 및 정보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밀성이 향상된 도로전광표지 및 정보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칩 발광다이오드(이하, 엘이디(LED)로 칭함)와 같은 발광소자에 관한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현재 다수 대상에게 새로운 소식, 안내 및 교통상황 등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문자, 심볼, 화상을 표현할 수 있는 대형의 옥외용 도로전광표지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도로에는 현재의 교통상황이나 방향안내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도로전광표지(Variable Message Sign: VMS)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 설치되고 있는 도로전광표지는 전방의 도로교통 상황이나 교통사고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도로전광표지는 문자, 도형 등을 통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도로교통의 흐름을 전방에서 파악하게 하여 교통 소통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도로상에 존재하는 위험 상황 등을 파악하게 하여 교통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엘이디를 구비한 도로전광표지는 강우, 강설, 습기 등으로 인한 누수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누수로 인한 엘이디에 불량이 발생하면 도로 이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고, 관리자 입장에서는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이 증가한다.
본 발명은 도로의 강우, 강설, 습기 등의 누수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도로전광표지 및 정보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풍압 등으로 인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도로전광표지 및 정보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로전광표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엘이디가 등간격으로 실장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엘이디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는 다수의 렌즈가 실장된 렌즈 플레이트와, 상기 렌즈에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는 렌즈홀을 구비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렌즈에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광판을 구비하는 전면 플레이트는 포함하고,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렌즈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회로기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 중 적어도 일측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상기 렌즈홀과 상기 차광판 사이에서 장방형으로 형성된 통풍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 플레이트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통풍구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도로전광표지는 테두리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엘이디가 등간격으로 실장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엘이디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는 다수의 렌즈가 실장된 렌즈 플레이트와, 상기 렌즈에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는 렌즈홀을 구비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렌즈에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광판과, 상기 렌즈와 상기 차광판 사이에서 장방형으로 형성된 통풍구를 구비하는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커넥터와 결합할 때 형성되는 틈새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상기 커넥터와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틈새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커넥터가스켓과, 상기 도로전광표지 외부에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과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틈새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외부가스켓과, 상기 통풍구에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틈새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통풍구가스켓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회로기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 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과 대응하는 곳에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 플레이트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된 통풍구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 플레이트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통풍구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도로전광표지는 테두리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엘이디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는 다수의 렌즈가 실장된 렌즈 플레이트와, 상기 렌즈에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는 렌즈홀을 구비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렌즈에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광판과, 상기 렌즈와 상기 차광판 사이에서 장방형으로 형성된 통풍구를 구비하는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커넥터와 결합할 때 형성되는 틈새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을 포함하고,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렌즈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화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상기 커넥터와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틈새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커넥터가스켓과, 상기 도로전광표지 외부에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과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틈새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외부가스켓과, 상기 통풍구에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틈새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통풍구가스켓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회로기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 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과 대응하는 곳에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 플레이트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된 통풍구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보표시장치는 도로에 인접한 지면에 설치된 지주; 및 상기 지주에 의해 상기 도로의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도로전광표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전광표지 및 정보표시장치에 의하면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틈새에 가스켓을 구비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면 플레이트와 렌즈 플레이트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므로 전면 플레이트와 렌즈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면 플레이트와 렌즈 플레이트를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도로전광표지의 비틀림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표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전광표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로전광표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플레이트와 렌즈 플레이트의 인서트 사출 성형을 나타낸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켓을 설치한 도로전광표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전광표지에 가스켓을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전광표지 및 정보표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표시장치(1)에는 지지대(3), 지주(4), 암(5)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전광표지(10)가 포함될 수 있다.
지지대(3)는 지주(4)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로(2)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주(4)는 지지대(3)에 의해 도로에 인접한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지주(4)에는 암(5)이 설치될 수 있고, 도로전광표지(10)는 암(5)에 의해 도로(2)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표시장치(1)에 사용되는 도로전광표지(1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전광표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로전광표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전광표지(10)에는 프레임(400)과, 엘이디(310)가 실장된 회로기판(300)과, 렌즈(210)가 실장된 렌즈 플레이트(200)와, 전면 플레이트(100)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400)은 장방형의 테두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프레임(400) 내의 중간 부분은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400)은 테두리 내의 중간 부분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400) 내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 중 적어도 일측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600d)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0d)와 반대측의 가장자리에도 별도의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00)의 베이스 플레이트(600d)에는 상기 도로전광표지(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판(41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기판(410)이 고정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0d)의 후면에는 커넥터(4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420)는 베이스 플레이트(600d)에 결합되며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300)은 상기 프레임(400)에 고정되며,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엘이디(310)가 등간격으로 실장되어 있다. 여기서, 엘이디(310)는 소형이면서 고휘도를 낼 수 있는 칩 엘이디(31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300) 내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 중 상기 프레임(400)의 베이스 플레이트(600d)와 대응되는 곳에도 베이스 플레이트(600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300)의 베이스 플레이트(600c)의 후면에 상기 프레임(400)의 제어기판(410)이 접촉하여 상기 회로기판(300)의 엘이디(3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렌즈 플레이트(200)는 상기 회로기판(300)의 상기 엘이디(310)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는 렌즈(210)를 구비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이디(310)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어 있는 렌즈(210)는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며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300)의 엘이디(310)는 렌즈(210)의 후면에 결합되며, 렌즈(210) 내부로 엘이디(310)가 삽입된다. 또한, 렌즈(210)는 유리 또는 아크릴과 같이 투광성이 높은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300)의 엘이디(310)가 발광하는 빛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렌즈(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전광표지(10)가 도로(2) 상에 설치되었을 때, 도로(2)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회로기판(300)의 엘이디(310)에서 발하는 빛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각도로 빛을 굴절시킬 수 있다.
상기 렌즈 플레이트(200) 내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 중 상기 프레임(400)과 상기 회로기판(300)의 베이스 플레이트(600c, 600d)와 대응되는 곳에도 베이스 플레이트(600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는 상기 렌즈 플레이트(200)의 상기 렌즈(210)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는 렌즈홀(120)을 구비하는 커버(110)와, 상기 커버(1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차광판(130)을 구비한다.
상기 커버(110)는 상기 렌즈 플레이트(200)와 상기 프레임(400)과 결합된다.
상기 차광판(130)은 상기 커버(110)의 렌즈홀(120)보다 상측에 설치되어 햇빛이 상기 렌즈(2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엘이디(310)에서 발광하는 빛이 상측으로 발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는 장방형의 테두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 내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 중 상기 프레임(400)과 상기 회로기판(300)과 상기 렌즈 플레이트(200)의 베이스 플레이트(600b, 600c, 600d)와 대응되는 곳에 베이스 플레이트(60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0a) 사이는 등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렌즈홀(120)과 상기 차광판(130) 사이에 통풍구(500a)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00)과 상기 회로기판(300)과 상기 렌즈 플레이트(200)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의 통풍구(500a)와 대응하는 곳에 각각 부재마다 통풍구(500b, 500c, 500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로전광표지(10)에 통풍구(500)가 형성되므로, 바람이 불 경우 통풍구(500)를 통하여 기류가 원활이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전광표지(10)는 바람에 의해 가해지는 힘(풍하중, 사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엘이디(310)가 빛을 발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열이 렌즈(210) 내에 형성된 공간에 축적되면, 엘이디(310) 회로기판(300)에 실장된 다른 부품(도시되지 않음)의 열화를 초래하여 그 수명이 단축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회로기판(300)으로는 열전도율이 높은 메탈인쇄회로기판(300)(metal printed circuit board)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엘이디(310)에서 발생된 열은 회로기판(300)을 통하여 전도되어 도로전광표지(10) 외부로 발산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전광표지(10) 사이에 형성된 통풍구(500)를 통하여 이동하는 기류에 의해 방열효과가 더 증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플레이트와 렌즈 플레이트의 인서트 사출 성형을 나타낸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전광표지(10)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과 상기 렌즈 플레이트(200)는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서트 사출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의 렌즈홀(120)과 상기 렌즈 플레이트(200)의 렌즈(210)가 결합을 시키면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의 렌즈홀(120)과 상기 렌즈 플레이트(200)의 렌즈(210) 사이로 틈새가 형성되어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도로전광표지(10)에 누수가 발생하면 회로기판(300)이 오작동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로 이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며, 회로기판(300)의 오작동으로 인한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렌즈 플레이트(200)와 전면 플레이트(100)를 이중으로 사출하는 인서트 사출로 성형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렌즈 플레이트(200)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를 인서트 사출을 할 때는 상기 렌즈 플레이트(200)를 사출성형하고 전면 플레이트(100)의 금형에 렌즈 플레이트(200)를 삽입한 후 전면 플레이트(100)를 사출 성형하여 상기 렌즈 플레이트(200)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의 일체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렌즈 플레이트(200)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의 일체성이 높아지므로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의 부재가 비틀림에 의한 저항성이 증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켓을 설치한 도로전광표지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전광표지에 가스켓을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전광표지(10)에 가스켓(700)을 설치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로전광표지(10)는 도로전광표지(10)에는 프레임(400)과, 엘이디(310)가 실장된 회로기판(300)과, 렌즈(210)가 실장된 렌즈 플레이트(200)와, 전면 플레이트(100)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400)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 중 적어도 일측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600d)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00)의 베이스 플레이트(600d)에는 상기 도로전광표지(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판(41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기판(410)이 고정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0d)의 후면에는 커넥터(4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420)는 베이스 플레이트(600d)에 결합되며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300)은 상기 프레임(400)에 고정되며,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엘이디(310)가 등간격으로 실장되어 있다. 여기서, 엘이디(310)는 소형이면서 고휘도를 낼 수 있는 칩 엘이디(31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렌즈 플레이트(200)는 상기 회로기판(300)의 상기 엘이디(310)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는 렌즈(210)를 구비한다. 상기 회로기판(300)의 엘이디(310)는 렌즈(210)의 후면에 결합되며, 렌즈(210) 내부로 엘이디(310)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렌즈(210)는 상기 엘이디(310)가 빛을 발광하였을 때 빛이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굴절시킨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는 상기 렌즈 플레이트(200)의 상기 렌즈(210)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는 렌즈홀(120)을 구비하는 커버(110)와, 상기 커버(1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차광판(130)을 구비한다.
상기 커버(110)는 상기 렌즈 플레이트(200)와 상기 프레임(400)과 결합된다.
상기 차광판(130)은 상기 커버(110)의 렌즈홀(120)보다 상측에 설치되어 햇빛이 상기 렌즈(2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엘이디(310)에서 발광하는 빛이 상측으로 발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와 상기 렌즈 플레이트(200)는 수밀성 향상을 위하여 사출 성형을 할 때 인서트 사출로 성형을 하여 수밀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는 장방형의 테두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는 상기 프레임(400)의 베이스 플레이트(600d)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600a)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0a) 사이는 등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렌즈홀(120)과 상기 차광판(130) 사이에 통풍구(500a)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00)과 상기 회로기판(300)과 상기 렌즈 플레이트(200)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의 베이스 플레이트(600a)와 통풍구(500a)와 대응하는 곳에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600b, 600c, 600d)와 통풍구(500b, 500c, 500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로전광표지(10)는 부재간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틈새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재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곳에 가스켓(70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700)은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와 상기 프레임(400)이 결합되는 상기 도로전광표지(10)의 외부면에 설치하는 외부가스켓(720)과 통풍구(500)에 설치하는 통풍구가스켓(73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400)의 베이스 플레이트(600d)에 결합하는 커넥터(420)에 의한 틈새를 막기 위하여 커넥터가스켓(7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부가스켓(720)은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와 상기 프레임(400)이 결합한 후에 발생하는 도로전광표지(10)의 외부면 틈새를 막기 위한 것이므로 외부가스켓(720)을 설치하였을 때 이탈되거나 이동이 없어야 한다. 상기 외부가스켓(720)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로전광표지(10)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하고 탄성이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도로전광표지(10)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외부가스켓(720)을 설치하고 이동이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등과 같이 접착성이 있는 접착제를 외부가스켓(720)과 상기 도로전광표지(10)가 접하는 부위에 도포할 수 있다.
상기 통풍구가스켓(730)은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와 상기 프레임(400)이 결합할 때 상기 전면 플레이트(100)의 통풍구(500a)와 상기 프레임(400)의 통풍구(500b)가 결합하여 발생하는 틈새를 막기 위한 것으로 통풍구가스켓(730)을 설치하였을 때 이탈되거나 이동이 없어야 한다. 상기 통풍구(500)는 바람이 이동하는 통로이므로 통풍구가스켓(700)의 이동이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통풍구가스켓(730)을 고정하여야 한다.
상기 커넥터가스켓(710)은 상기 프레임(400)에 결합되는 커넥터(420)와 상기 프레임(400)의 베이스 플레이트(600d)가 결합될 때 발생하는 틈새를 막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420)에 누수가 발생하면 상기 커넥터(420)와 근접해 있는 제어기판(410)이나 회로기판(300)으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가스켓(710)이 이동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전광표지 및 정보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정보표시장치 10: 도로전광표지
100: 전면 플레이트 110: 커버
120: 렌즈홀 130: 차광판
200: 렌즈 플레이트 210: 렌즈
300: 회로기판 310: 엘이디
400: 프레임 410: 제어기판
420: 커넥터 500: 통풍구
600: 베이스 플레이트 700: 가스켓
710: 커넥터가스켓 720: 외부가스켓
730: 통풍구가스켓

Claims (16)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엘이디가 등간격으로 실장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엘이디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는 다수의 렌즈가 실장된 렌즈 플레이트와,
    상기 렌즈에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는 렌즈홀을 구비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렌즈에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광판을 구비하는 전면 플레이트는 포함하고,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렌즈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전광표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회로기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전광표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 중 적어도 일측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전광표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상기 렌즈홀과 상기 차광판 사이에서 장방형으로 형성된 통풍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전광표지.
  5. 삭제
  6. 테두리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엘이디가 등간격으로 실장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엘이디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는 다수의 렌즈가 실장된 렌즈 플레이트와,
    상기 렌즈에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는 렌즈홀을 구비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렌즈에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광판과, 상기 렌즈와 상기 차광판 사이에서 장방형으로 형성된 통풍구를 구비하는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커넥터와 결합할 때 형성되는 틈새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을 포함하는 도로전광표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커넥터와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틈새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커넥터가스켓과,
    상기 도로전광표지 외부에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과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틈새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외부가스켓과,
    상기 통풍구에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틈새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통풍구가스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전광표지.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회로기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전광표지.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 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전광표지.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 플레이트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상기 통풍구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된 통풍구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전광표지.
  11. 테두리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엘이디가 등간격으로 실장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엘이디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는 다수의 렌즈가 실장된 렌즈 플레이트와,
    상기 렌즈에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는 렌즈홀을 구비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렌즈에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광판과, 상기 렌즈와 상기 차광판 사이에서 장방형으로 형성된 통풍구를 구비하는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커넥터와 결합할 때 형성되는 틈새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을 포함하고,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렌즈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전광표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커넥터와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틈새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커넥터가스켓과,
    상기 도로전광표지 외부에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과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틈새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외부가스켓과,
    상기 통풍구에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틈새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통풍구가스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전광표지.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회로기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전광표지.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 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전광표지.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 플레이트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상기 통풍구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된 통풍구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전광표지.
  16. 삭제
KR1020120064726A 2012-06-18 2012-06-18 도로전광표지 KR101240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726A KR101240960B1 (ko) 2012-06-18 2012-06-18 도로전광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726A KR101240960B1 (ko) 2012-06-18 2012-06-18 도로전광표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960B1 true KR101240960B1 (ko) 2013-03-11

Family

ID=4818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726A KR101240960B1 (ko) 2012-06-18 2012-06-18 도로전광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9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505B1 (ko) 2017-12-13 2018-09-19 윤영산 멀티비전용 엘이디 표시장치
CN109137777A (zh) * 2018-08-31 2019-01-04 安徽指南针交通设施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透风功能的交通指示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407B1 (ko) 2000-04-11 2002-05-08 이정태 절접 및 회전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고가 전광판
KR200347655Y1 (ko) 2003-12-23 2004-04-17 김연성 전광판용 선스크린
JP2010181721A (ja) 2009-02-06 2010-08-19 Seiwa Electric Mfg Co Ltd Led発光表示装置
KR20110133737A (ko) * 2010-06-07 2011-12-14 (주)베이직테크 박막 필름 커버를 구비한 엘이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407B1 (ko) 2000-04-11 2002-05-08 이정태 절접 및 회전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고가 전광판
KR200347655Y1 (ko) 2003-12-23 2004-04-17 김연성 전광판용 선스크린
JP2010181721A (ja) 2009-02-06 2010-08-19 Seiwa Electric Mfg Co Ltd Led発光表示装置
KR20110133737A (ko) * 2010-06-07 2011-12-14 (주)베이직테크 박막 필름 커버를 구비한 엘이디 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505B1 (ko) 2017-12-13 2018-09-19 윤영산 멀티비전용 엘이디 표시장치
CN109137777A (zh) * 2018-08-31 2019-01-04 安徽指南针交通设施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透风功能的交通指示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632B1 (ko) 도로전광표지 및 정보표시장치
KR101077921B1 (ko) Led 내부조명식 도로표지판
WO2009147897A1 (ja) 画像表示装置
KR20080057564A (ko) 칩 엘이디 모듈을 이용한 실외용 전광판
KR101306188B1 (ko) 방수구조를 갖춘 전광표지판
KR101243112B1 (ko) 옥내외용 액정 광고보드의 방열구조
KR101053785B1 (ko) 광고판 투광등
KR101240960B1 (ko) 도로전광표지
US8610357B2 (en) LED assembly for a signage illumination
KR101541402B1 (ko) Led 모듈 및 led 모듈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88363B1 (ko) 픽셀모듈, 이를 구비한 전광판 및 도로용 정보표시장치
KR101471389B1 (ko) 표지판의 면광원 장치
US8267564B2 (en) Light emitting structure for backlighted sign
KR101399469B1 (ko) 가변정보표지
CN204114717U (zh) 一种内置补光灯及使用该内置补光灯的抓拍一体机
KR100768585B1 (ko) 발광 다이오드 칩을 이용한 전광판용 픽셀 모듈
KR100923653B1 (ko) 변형 방지 그릴을 가지는 칩 엘이디 모듈
KR101400376B1 (ko) 방수 및 방열성이 향상된 엘이디 전광모듈
KR102532934B1 (ko) 냉각 효율을 높인 고휘도용 양면 사이니지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002784A1 (en) Heat dissipation construction for indoor-outdoor lcd sign board
KR102376617B1 (ko) 도로정보표시장치
KR101458397B1 (ko) 가변정보표지
KR20110051070A (ko) 광차단 구조물을 갖는 엘이디 디스플레이
KR101200544B1 (ko) 칩led를 사용한 옥외용 방수 디스플레이 모듈
KR101753122B1 (ko) 가변정보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