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281B1 -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281B1
KR101464281B1 KR1020140070181A KR20140070181A KR101464281B1 KR 101464281 B1 KR101464281 B1 KR 101464281B1 KR 1020140070181 A KR1020140070181 A KR 1020140070181A KR 20140070181 A KR20140070181 A KR 20140070181A KR 101464281 B1 KR101464281 B1 KR 101464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gas
cogeneration
pressure
control unit
anaerobic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규
이태영
박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Priority to KR1020140070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7District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을 혐기성 발효처리에 의해 바이오가스가 생성되도록 하는 혐기발효조; 상기 혐기발효조로부터 생성되는 바이오가스를 공급받아 전기와 난방열을 생산하는 열병합발전기; 상기 혐기발효조로부터 상기 열병합발전기로 공급되는 바이오가스의 압력을 측정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바이오가스의 압력에 따라 상기 열병합발전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연동제어부;를 포함하는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이오가스의 상태에 따라 열병합발전기를 연동 제어함으로써, 열병합발전기의 발전 효율과 바이오가스의 활용도를 높이도록 하고, 겨울철 시설 보온 및 난방 등을 위한 열을 항상 일정하면서도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linked to biogas}
본 발명은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오가스의 상태에 따라 열병합발전기의 출력을 연동하여 자동 제어함으로써, 발전 효율 및 바이오가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오가스는 혐기적 소화작용으로 바이오매스에서 생성되는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혼합 형태인 기체를 말하는데, 화석연료의 고갈과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의 한 분야로서, 이러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 발전이 주목받고 있다.
종래의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 발전에 대한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1347호의 "바이오 연료를 이용한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있는데, 이는 전처리되어 이송된 하수처리 슬러지, 음식물쓰레기, 톱밥 등 상이한 성상의 유기성 폐기물을 혼합균질화시켜 고형화된 혼합 유기성 폐기물을 혐기성 방법으로 발효처리하여 바이오 가스를 생성하는 소화조, 상기 소화조에서 혐기성 방법으로 처리한 바이오 가스 중의 황화수소 등 황화합물을 제거하여 고순도로 정제하는 탈황장치, 탈황장치에서 정제된 바이오 가스를 압축 저장하고 저장된 가스를 열병합반전기로 이송하는 가스저장탱크, 고순도로 정제된 바이오가스를 이용해 난방열과 전기를 생산하는 열병합 발전기, 열병합 발전기에서 생성된 열을 열매체와 열교환하여 온수저장탱크로 공급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공급되는 열을 저장하고 난방, 급탕 등에 이용하는 온수저장탱크로 구성되어, 혼합 고상 폐기물을 이용하여 소화조에서 바이오 가스를 생산하고 탈황장치에서 황화수소를 제거한 다음 이렇게 생산된 바이오 가스를 가지고 열병합 발전기에서 전기와 열을 생성하여 전기는 수요처에 공급하며 생성된 열은 열교환기로 열교환하여 축열 기능의 온수 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열에너지 부하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난방과 급탕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바이오가스의 농도와 양에 따라 열병합 발전기의 출력 및 발전량이 결정됨에도, 바이오가스의 농도와 양의 변화에 대해 열병합 발전기가 상시 운전되지 못하고, 빈번하게 정지하게 되며, 소화조와 열병합 발전기 상호간의 자동 제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수동으로 가동해야 하는 등 바이오가스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바이오가스 플랜트를 운영 중인 대부분의 축산농가에서 관리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연속 감시가 어렵기 때문에, 일상적으로 관리 인력이 상주하는 시간대에 주로 전력의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가스의 압력이나, 생성가스 농도의 저하 또는 유지보수를 위한 정지 등으로 인해서 열병합 발전기를 제대로 가동하지 못하는 등 발전 효율의 저하와 생성되는 바이오가스를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여, 지속적이면서 안정적인 전력 생산을 어렵게 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겨울철에는 바이오가스의 압력과 농도 저하시, 열병합 발전기가 정지함으로써 시설 보온 및 난방 등을 가동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열병합 발전기의 고장이나 유지 및 보수를 위해 장시간 정지시, 생성되는 바이오가스에 의해 가스포가 과다하게 부풀거나 밀려서, 바이오가스가 자동압력분출장치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발산되도록 하는 등 바이오가스의 활용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이오가스의 상태에 따라 열병합발전기를 연동 제어함으로써, 열병합발전기의 발전 효율과 바이오가스의 활용도를 높이도록 하고, 겨울철 시설 보온 및 난방 등을 위한 열을 항상 일정하면서도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기성 폐기물을 혐기성 발효처리에 의해 바이오가스가 생성되도록 하는 혐기발효조; 상기 혐기발효조로부터 생성되는 바이오가스를 공급받아 전기와 난방열을 생산하는 열병합발전기; 상기 혐기발효조로부터 상기 열병합발전기로 공급되는 바이오가스의 압력을 측정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바이오가스의 압력에 따라 상기 열병합발전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연동제어부;를 포함하는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바이오가스의 압력이, 정해진 값 또는 범위 보다 큰 경우 상기 열병합발전기의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하고, 정해진 값 또는 범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열병합발전기의 출력을 줄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혐기발효조의 레벨을 측정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도록 설치되는 레벨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레벨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혐기발효조의 레벨이 정해진 값 이하일때 상기 열병합발전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바이오가스의 압력이 정해진 가동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열병합발전기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바이오가스의 압력이 상기 가동설정값 이상으로 회복하면 상기 열병합발전기를 재가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혐기발효조 내에서 가스포 내의 바이오가스 잔량이 20~30% 이하시, 상기 열병합발전기가 셧다운(shut down)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바이오가스의 압력이 상기 가동설정값의 ±2%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열병합발전기를 가동하기 전단계인 대기 모드(stand-by mode)로서, 설정된 시간 경과 후 가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열병합발전기에 공급되는 바이오가스로부터 메탄의 양을 측정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도록 설치되는 메탄측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메탄측정기로부터 측정되는 메탄의 양에 따라 상기 열병합발전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혐기발효조는, 다수로 이루어지고, 각각이 가스공급라인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가스공급라인을 통해 열병합발전기로 바이오가스를 공급하며, 상기 가스공급라인과는 별개의 가스혼합라인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스공급라인으로부터 각각 분기되는 분기라인에 각각 연결되는 바이오가스 전용보일러와 잉여가스 연소기; 및 상기 분기라인 각각을 통해서 상기 바이오가스 전용보일러와 상기 잉여가스 연소기에 각각 공급되는 바이오가스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열병합발전기의 동작 제어나 출력 제어에 의해, 남아도는 바이오가스를 상기 바이오가스 전용보일러 또는 상기 잉여가스 연소기에 공급하도록 상기 개폐밸브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에 의하면, 바이오가스의 상태에 따라 열병합발전기를 연동 제어하여, 열병합발전기의 발전 효율과 바이오가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겨울철 시설 보온 및 난방 등을 위한 열을 항상 일정하면서도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해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특정한 실시례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10)은 혐기발효조(11), 열병합발전기(12), 압력센서(13) 및 연동제어부(14)를 포함한다.
혐기발효조(11)는 유기성 폐기물을 혐기성 발효처리에 의해 바이오가스가 생성되도록 하는데, 여기서 유기성 폐기물에는 태양에너지를 받은 식물과 미생물의 광합성에 의하여 생성되는 식물체, 균체와 이를 먹고 살아가는 동물체를 포함하는 생물유기체를 지칭할 수 있고, 곡물 등의 전분질계 자원과 임목 및 볏짚, 왕겨와 같은 농부산물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의 자원, 사탕수수, 사탕무우와 같은 당질계의 자원, 축산폐수나 음식폐기물 등의 유기성 폐기물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혐기발효조(11)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이 가스공급라인(17)에 연결됨으로써 가스공급라인(17)을 통해 열병합발전기(12)로 바이오가스를 공급하며, 가스공급라인(17)과는 별개의 가스혼합라인(11a)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혼합라인(11a)에 의해 혐기발효조(11)간의 바이오가스 균질성을 높이도록 한다.
열병합발전기(12)는 혐기발효조(11)로부터 생성되는 바이오가스를 공급받아 전기와 난방열을 생산하도록 한다. 이러한 열병합발전기(12)는 바이오가스로부터 열과 동력이라는 2 가지의 유용한 에너지를 생산하여, 순차적으로 이용하는 고효율 에너지 이용 장치로서, 전력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열(배열)을 재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및 비용절감에 기여할 수 있으며, 대기오염 저감에 의한 환경보호와 전기와 열수요의 계절적 불균형에 적극 대응할 수 있다.
압력센서(13)는 혐기발효조(11)로부터 열병합발전기(12)로 공급되는 바이오가스의 압력을 측정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도록 하는데, 일례로 혐기발효조(11)로부터 생성되는 바이오가스를 열병합발전기(12)로 공급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스공급라인(17)에서 열병합발전기(12)의 전단에 설치될 수 있다.
가스공급라인(17)에는 가스승압송풍기(22), 탈황장치(23) 및 제습장치(2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스승압송풍기(22)는 혐기발효조(11)로부터 생성되는 바이오가스를 열병합발전기(12)에 공급하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한다. 탈황장치(23)는 혐기발효조(11)에서 생성되어 가스공급라인(17)을 통해 공급되는 바이오가스에 포함되는 황화합물을 제거하도록 한다. 제습장치(24)는 혐기발효조(11)로부터 생성되어 가스공급라인(17)을 통해 공급되는 바이오가스에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하도록 한다.
연동제어부(14)는 압력센서(13)의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바이오가스의 압력에 따라 열병합발전기(12)의 출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열병합발전기(12)의 출력은 예컨대 발전기 터빈의 속도일 수 있고, 이러한 터빈의 속도가 바이오가스의 공급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연동제어부(14)는 일례로 압력센서(13)에 의해 측정되는 바이오가스의 압력이, 정해진 값 또는 범위 보다 큰 경우 열병합발전기(12)의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정해진 값 또는 범위보다 작은 경우 열병합발전기(12)의 출력을 줄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정해진 값 또는 범위는 열병합발전기(12)의 정상 출력일 때, 필요로 하는 바이오가스의 공급량일 수 있다.
혐기발효조(11)에는 혐기발효조(11)의 레벨을 측정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도록 레벨센서(15)가 설치될 수 있다. 연동제어부(14)는 레벨센서(15)에 의해 측정되는 혐기발효조(11)의 레벨이 정해진 값 이하일 때 열병합발전기(12)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정해진 값이란 혐기발효조(11) 내에 채워진 유기성 폐기물이 열병합발전기(12)의 동작에 요구되는 바이오가스의 양을 생성시키는데 필요한 최소의 양일 때, 혐기발효조(11) 내의 수위일 수 있다.
연동제어부(14)는 압력센서(13)에 의해 측정되는 바이오가스의 압력이 정해진 가동설정값 미만이면 열병합발전기(12)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고, 바이오가스의 압력이 가동설정값 이상으로 회복하면 열병합발전기(12)를 재가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연동제어부(14)는 바이오가스의 압력이 가동설정값의 ±2% 범위 내인 경우, 열병합발전기(12)를 가동하기 전단계인 대기 모드(stand-by mode)로서, 설정된 시간 경과 후 가동되도록 하여, 오차값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연동제어부(14)는 일례로 재가동신호 출력시, 초기 설정압, 예컨대 0.1bar를 압력센서(13)에 의해서 열병합발전기(12)에 자동 시그널을 주어 재가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압력센서(13)와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동제어부(14)는 혐기발효조(11) 내에서 가스포(11b) 내의 바이오가스 잔량이 20~30% 이하시, 안전을 위해 자동으로 열병합발전기(12)가 셧다운(shut down)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혐기발효조(11) 내에서 가스포(11b) 내의 바이오가스 잔량은 압력센서(13)에 의해 측정되는 바이오가스의 압력으로부터 실험적으로 구해질 수 있다. 따라서 연동제어부(14)는 압력센서(13)에 의해 측정되는 바이오가스의 압력으로부터 가스포(11b) 내의 바이오가스 잔량이 20~30%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열병합발전기(12)를 셧다운시킬 수 있다. 또한 가스포(11b)는 비닐지 또는 방수성 직물지로 구성되어 신축될 수 있고, 혐기발효조(11)의 덮개(11c) 상부에 마련되어 많은 양의 바이오가스를 가두어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가스공급라인(17)에는 열병합발전기(12)에 공급되는 바이오가스로부터 메탄의 양을 측정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도록 메탄측정기(16)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기 연동제어부(14)는 메탄측정기(16)로부터 측정되는 메탄의 양에 따라 열병합발전기(12)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연동제어부(14)는 일례로 메탄측정기(16)로부터 측정되는 메탄의 양에 비례하여 열병합발전기(12)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가스공급라인(17)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라인(17a)에는 바이오가스 전용보일러(18)가 연결될 수 있고, 분기라인(17a)을 통해서 바이오가스 전용보일러(18)에 공급되는 바이오가스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개폐밸브(21a)가 마련될 수 있다. 연동제어부(14)는 열병합발전기(12)의 동작 제어나 출력 제어에 의해, 남아도는 바이오가스를 바이오가스 전용보일러(18)에 공급하도록 개폐밸브(21a)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연동제어부(14)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열병합발전기(12)의 정지나 출력 감소의 경우, 개폐밸브(21a)의 개도를 조절하여 바이오가스가 바이오가스 전용보일러(18)에 공급되도록 하여, 바이오가스 전용보일러(18)의 동작에 의해 바이오가스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가스공급라인(17)에는 바이오가스 전용보일러(18) 측의 분기라인(17a) 외에 다른 분기라인(17b)이 분기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다른 분기라인(17b)은 바이오가스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개폐밸브(21b)의 개방에 의해 잉여가스 연소기(19)에 바이오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스공급라인(17)에서 분기라인(17a,17b)이 분기되는 후단에 바이오가스가 열병합발전기(12)에 공급됨을 개폐시키도록 개폐밸브(21c)가 설치될 수 있다. 연동제어부(14)는 예컨대 개폐밸브(21a,21b,21c) 각각의 제어에 의해 혐기발효조(11)로부터 생성되는 바이오가스를 열병합발전기(12)에 공급되도록 하되, 압력센서(13)에 의한 바이오가스의 압력을 통해서, 잉여의 바이오가스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바이오가스가 바이오가스 전용보일러(18)에 공급되도록 하고, 나아가서 잉여의 바이오가스가 과다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바이오가스가 잉여가스 연소기(19)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10)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바이오가스의 압력, 메탄의 양 등에 따라, 연동제어부(14)에 의한 열병합발전기(12)의 연동 제어를 통해서, 바이오가스의 활용을 최대화하고, 에너지를 절감하면서 지속적이며, 안정적인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열병합발전기(12)의 효율과 고장률을 낮추어 수명을 연장하고, 발전폐열을 24시간 공정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남아도는 바이오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바이오가스 전용보일러(18)를 통해서 추가 열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바이오가스의 과다 생성시 이를 잉여가스 연소기(19)에서 연소시키도록 함으로써 바이오가스의 효과적인 처리를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혐기발효조(11)에서 생성되는 바이오가스는 가스공급라인(17)을 통해서 혼합 이송되지만, 농도 편차에 의해 열병합발전기(12)의 출력이 불균일 해 질 수 있기 때문에, 혐기발효조(11)간의 가스혼합라인(11a)이 연결됨으로써 바이오가스의 균질화를 통한 안정적인 공급으로 인해 발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이오가스의 상태에 따라 열병합발전기를 연동 제어함으로써, 열병합발전기의 발전 효율과 바이오가스의 활용도를 높이도록 하고, 겨울철 시설 보온 및 난방 등을 위한 열을 항상 일정하면서도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 : 혐기발효조 11a : 가스혼합라인
11b : 가스포 11c : 덮개
12 : 열병합발전기 13 : 압력센서
14 : 연동제어부 15 : 레벨센서
16 : 메탄측정기 17 : 가스공급라인
17a : 분기라인 18 : 바이오가스 전용보일러
19 : 잉여가스 연소기 21a,21b,21c : 개폐밸브
22 : 가스승압송풍기 23 : 탈황장치
24 : 제습장치

Claims (9)

  1. 유기성 폐기물을 혐기성 발효처리에 의해 바이오가스가 생성되도록 하는 혐기발효조(11);
    상기 혐기발효조(11)로부터 생성되는 바이오가스를 공급받아 전기와 난방열을 생산하는 열병합발전기(12);
    상기 혐기발효조(11)로부터 상기 열병합발전기(12)로 공급되는 바이오가스의 압력을 측정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압력센서(13);
    상기 압력센서(13)의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바이오가스의 압력에 따라 상기 열병합발전기(12)의 출력을 제어하는 연동제어부(14); 및
    상기 혐기발효조(11)의 레벨을 측정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도록 설치되는 레벨센서(15);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제어부(14)는,
    상기 압력센서(13)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바이오가스의 압력이 정해진 가동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열병합발전기(12)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바이오가스의 압력이 상기 가동설정값 이상으로 회복하면 상기 열병합발전기(12)를 재가동시키도록 제어하되, 상기 바이오가스의 압력이 상기 가동설정값의 ±2%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열병합발전기(12)를 가동하기 전단계인 대기 모드(stand-by mode)로서, 설정된 시간 경과 후 가동되도록 하며, 상기 레벨센서(15)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혐기발효조(11)의 레벨이 정해진 값 이하일 때 상기 열병합발전기(12)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14)는,
    상기 압력센서(13)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바이오가스의 압력이, 정해진 값 또는 범위 보다 큰 경우 상기 열병합발전기(12)의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하고, 정해진 값 또는 범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열병합발전기(12)의 출력을 줄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부(14)는,
    상기 혐기발효조(11) 내에서 가스포(11b) 내의 바이오가스 잔량이 20~30% 이하시, 상기 열병합발전기(12)가 셧다운(shut down)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병합발전기(12)에 공급되는 바이오가스로부터 메탄의 양을 측정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도록 설치되는 메탄측정기(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동제어부(14)는,
    상기 메탄측정기(16)로부터 측정되는 메탄의 양에 따라 상기 열병합발전기(12)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혐기발효조(11)는,
    다수로 이루어지고, 각각이 가스공급라인(17)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가스공급라인(17)을 통해 열병합발전기(12)로 바이오가스를 공급하며, 상기 가스공급라인(17)과는 별개의 가스혼합라인(11a)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라인(17)으로부터 각각 분기되는 분기라인(17a,17b)에 각각 연결되는 바이오가스 전용보일러(18)와 잉여가스 연소기(19); 및
    상기 분기라인(17a,17b) 각각을 통해서 상기 바이오가스 전용보일러(18)와 상기 잉여가스 연소기(19)에 각각 공급되는 바이오가스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개폐밸브(21a,21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동제어부(14)는,
    상기 열병합발전기(12)의 동작 제어나 출력 제어에 의해, 남아도는 바이오가스를 상기 바이오가스 전용보일러(18) 또는 상기 잉여가스 연소기(19)에 공급하도록 상기 개폐밸브(21a,21b)를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
KR1020140070181A 2014-06-10 2014-06-10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 KR101464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181A KR101464281B1 (ko) 2014-06-10 2014-06-10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181A KR101464281B1 (ko) 2014-06-10 2014-06-10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281B1 true KR101464281B1 (ko) 2014-11-21

Family

ID=52291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181A KR101464281B1 (ko) 2014-06-10 2014-06-10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28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24B1 (ko) * 2018-04-06 2018-07-06 포트래치 주식회사 바이오가스 기반 지역난방 에너지설비 및 그 동작 방법
CN109266689A (zh) * 2018-08-27 2019-01-25 山东宝力生物质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质沼气发电及余热利用的方法
KR102242398B1 (ko) 2021-02-25 2021-04-21 (주)태준바이오 공기를 활용한 바이오가스 전력생산 시스템
KR102307333B1 (ko) * 2021-05-06 2021-09-29 이지숙 바이오 발전 플랜트
CN113554406A (zh) * 2021-06-10 2021-10-26 诸城舜沃农业科技有限公司 基于沼气发电运行的管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4886A (ja) * 2007-11-02 2009-05-28 Yanmar Co Ltd バイオガス発電システム及びバイオガス発電の制御方法
JP2012182876A (ja) * 2011-02-28 2012-09-20 Yanmar Co Ltd バイオガス発電装置
JP2012217896A (ja) * 2011-04-06 2012-11-12 Yanmar Co Ltd バイオガス発電装置
KR101248311B1 (ko) * 2012-12-14 2013-03-27 효성에바라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기성 폐기물 혐기성 소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4886A (ja) * 2007-11-02 2009-05-28 Yanmar Co Ltd バイオガス発電システム及びバイオガス発電の制御方法
JP2012182876A (ja) * 2011-02-28 2012-09-20 Yanmar Co Ltd バイオガス発電装置
JP2012217896A (ja) * 2011-04-06 2012-11-12 Yanmar Co Ltd バイオガス発電装置
KR101248311B1 (ko) * 2012-12-14 2013-03-27 효성에바라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기성 폐기물 혐기성 소화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24B1 (ko) * 2018-04-06 2018-07-06 포트래치 주식회사 바이오가스 기반 지역난방 에너지설비 및 그 동작 방법
CN109266689A (zh) * 2018-08-27 2019-01-25 山东宝力生物质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质沼气发电及余热利用的方法
KR102242398B1 (ko) 2021-02-25 2021-04-21 (주)태준바이오 공기를 활용한 바이오가스 전력생산 시스템
KR102307333B1 (ko) * 2021-05-06 2021-09-29 이지숙 바이오 발전 플랜트
CN113554406A (zh) * 2021-06-10 2021-10-26 诸城舜沃农业科技有限公司 基于沼气发电运行的管理系统
CN113554406B (zh) * 2021-06-10 2023-12-08 诸城舜沃农业科技有限公司 基于沼气发电运行的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ia et al. Innovation in biological production and upgrading of methane and hydrogen for use as gaseous transport biofuel
Mahmudul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recent development and challenges of a solar-assisted biodigester system
KR101464281B1 (ko) 바이오가스 연동화 발전 시스템
KR101439425B1 (ko) 에너지 절감형 바이오가스 플랜트
Salomoni et al. Enhanced methane production in a two-phase anaerobic digestion plant, after CO2 capture and addition to organic wastes
EP2220004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verting biomass into methane
US8272436B2 (en) Reducing methane slack when starting and stopping biogas fermenters
Luostarinen et al. Overview of biogas technology
CA2771678C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gas-tight process control of percolators in a biogas method having two or more stages
CN104276737B (zh) 一种能源输出型污水污泥处理方法
CN110465534B (zh) 一种用于养殖场的综合能源利用系统
US100410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biomass
KR20120103777A (ko) 신재생에너지 복합발전시스템
KR101442730B1 (ko) 연료전지용 바이오가스 전처리 장치
KR101493731B1 (ko) 바이오가스의 급속 수분 제거장치
Liebetrau et al. Flexible power generation from biogas
CN103589755A (zh) 一种沼气发电的工艺
RU106895U1 (ru) Биогазовая установка
KR101181834B1 (ko) 발전소 배가스의 폐열을 이용한 미세조류 전열처리와 고온 고효율 수소 및 메탄발효장치
CN201644487U (zh) 易腐性有机垃圾高固体两相三段厌氧消化产沼气的装置
DK2486169T3 (en) System for clean energy
Hassan et al. Methane capture and clean development mechanism project for the sustainability of palm oil industry in Malaysia
Pavithran et al. A study on the influencing parameters on biogas production from Jack Fruit Waste Feedstock
CN211620483U (zh) 一种利用生物质原料和生活污水大规模工业化生产沼气的系统
CN211707688U (zh) 用于养殖场的综合能源利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