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214B1 - 다기능 에코 타일 - Google Patents

다기능 에코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214B1
KR101464214B1 KR1020140067740A KR20140067740A KR101464214B1 KR 101464214 B1 KR101464214 B1 KR 101464214B1 KR 1020140067740 A KR1020140067740 A KR 1020140067740A KR 20140067740 A KR20140067740 A KR 20140067740A KR 101464214 B1 KR101464214 B1 KR 101464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tile
sodium silicate
glass
sin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헌돈
Original Assignee
최헌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헌돈 filed Critical 최헌돈
Priority to KR1020140067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2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2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418Wet materials, e.g. slur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43Alkaline-earth metal silicates, e.g. wollasto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2Glass ; Devitrified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10Burned or pyrolised refuse
    • C04B18/103Burned or pyrolised slu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9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other than silica fume or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01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unburned 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86Glazes; Cold glaz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60Production of ceramic materials or ceramic elements, e.g. substitution of clay or shale by alternative raw materials, e.g. as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1,050℃ 이상에서 소성된 소성제품, 폐유리 분말을 주재로 하고, 황토를 무기바인더로 사용하며, 규산소다를 촉매로 사용함으로써, 종래 결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던 슬러지와 황토를 규산소다에 의해 견고한 결합을 이루도록 하여, 투수, 함수, 단열, 방음, 흡음의 기능성 외에 오염물질의 필터처리 기능과 유약사용에 의한 다양한 색상 발현 및 광택효과의 다기능 특성을 갖는 에코 타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에코 타일{MULTIFUNCTIONAL ECHO TILE}
본 발명은 슬러지, 1,050℃ 이상에서 소성된 소성제품, 폐유리 분말을 주재로 하고, 황토를 무기바인더로 사용하며, 규산소다를 촉매로 사용함으로써, 종래 결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던 슬러지와 황토를 규산소다에 의해 견고한 결합을 이루도록 하여, 투수, 함수, 단열, 방음, 흡음의 기능성 외에 오염물질의 필터처리 기능과 유약사용에 의한 다양한 색상 발현 및 광택효과의 다기능 특성을 갖는 에코 타일에 관한 것이다.
단, 상기 '황토'라 함은 '점질이 있는 점토와 고령토'를 의미한다.
종래 투수성 벽돌의 경우, 처음에는 투수작용이 원활하지만 일정시간이 지나면 흙 등의 이물질로 인해 투수 기공의 막히고 이로 인해 투수기능성이 크게 상실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10-0130603(등록일자 1997.11.20) '경량, 투수성 보도블럭';과 ,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3-0029810(공개일자 2013.03.25) '바텀 애쉬를 이용한 세라믹 투수 블록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다공성 세라믹 투수 블록 및 그 제조방법';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15432(등록일자 2009년08월27일) '아연슬래그를 이용한 투수성 바닥벽돌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에도 내부 기공의 배열이 거의 수직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바닥벽돌 상부로 유입되는 물이 바로 하부로 배출되어 투수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 반면, 시간이 지날수록 이물질로 인한 기공 막힘이 발생하여 투수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종래기술 외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0-0025097(공개일자 2000년05월06일)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투수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과, 황토를 이용한 투수관련 기술에 대해, 대한민국등록특허 10-0692143(등록일자 2007.03.02) '황토투수블록의 제조방법'; 대한민국등록특허 10-0967691(등록일자 2010.06.25) '투수성 황토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32786(등록일자 2011.04.26) '투수성 황토 콘크리트 블럭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재';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86676(등록일자 2011.11.18) '투수성 황토 포장재';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89091(등록일자 2011.11.28) '친환경 활성 황토 투수콘블럭의 제조방법';의 기술이 개시된 바 있으나, 상기 개시된 기술들은 폐타일을 주재로 하여 일부 미량의 슬러지와 유기접합제를 사용하여 투수성 타일을 제조하거나 또는 황토를 주재로 하여 블록을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산업폐기물인 슬러지를 주재로 하여 타일을 제조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외에,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29810호(공개일자 2013년03월25일) ‘바텀 애쉬를 이용한 세라믹 투수 블록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다공성 세라믹 투수 블록 및 그제조방법;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0090403호(공개일자 2011년08월10일) ’내장용 기능성 벽돌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29810호의 경우, 바텀애쉬를 사용하고 있으며, 황토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 않아, 슬러지에 황토를 첨가하여 친환경적인 에코타일을 제공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지 않으며,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0090403호의 경우, 결합강도를 높이기 위해 별도의 시멘트를 사용하고 있어 친환경적인 타일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어, 친환경적인 에코타일을 제공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목적에 역시 부합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자는 산업폐기물인 슬러지, 1,050℃ 이상에서 소성된 소성제품, 폐유리분말을 주재로 하여 타일을 제조하되, 타일 내부에 미세하면서도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투수, 함수, 단열, 방음, 흡음의 다기능성 및 고기능성을 갖는 타일에 대한 기술을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36173(등록일자 2013년11월27일) '투수 친환경 특수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을 통해 개시한 바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36173호에 개시된 기술에 친환경적인 특성을 부여하고 부가적으로 오염물질 필터기능과 각종 유약 사용에 의한 다양한 색상의 발현과 광택효과를 주기 위해 무기바인더를 대체하여 황토를 적용하고자 하였으나, 성형과정에서는 황토를 부가하여 타일 제작이 가능하였으나, 소성과정에서는 황토와 슬러지의 결합력에 문제가 발생하여 황토를 적용한 타일의 제작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문제를 규산소다를 사용하여 해소함으로써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130603(등록일자 1997.11.20)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3-0029810(공개일자 2013.03.2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15432(등록일자 2009년08월27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0-0025097(공개일자 2000년05월06일)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36173(등록일자 2013년11월27일)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32786(등록일자 2011.04.26)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86676(등록일자 2011.11.18)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89091(등록일자 2011.11.28)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러지, 1,050℃ 이상에서 소성된 소성제품, 폐유리 분말을 주재로 하고, 여기에 황토와 규산소다를 추가로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 투수, 함수, 단열, 방음, 흡음의 기능성 외에 오염물질의 필터처리 기능과 각종 유약처리에 의한 다양한 색상 발현 및 광택효과를 줄 수 있는 다기능 에코 타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러지에 1,050℃ 이상에서 소성된 소성제품, 황토, 규산소다, 유리분말을 첨가하여 조성된 혼합물로 성형한 후 소성과정을 거쳐 제조된 다기능 에코 타일을 제공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제철슬러지 또는 소각슬러지 20~70wt%와,
1,050℃ 이상에서 소성된 소성제품 0.1~50wt%와,
황토 10~50wt%와,
규산소다 5~20wt%와,
유리분말 10~50wt%를 혼합하여 조성된 혼합물로 성형한 후 소성과정을 거쳐 제조된 다기능 에코 타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수 황토 타일은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첫째. 타일을 제조함에 있어, 슬러지의 재활용과 함께 황토의 사용으로 인한 친환경적인 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둘째. 슬러지를 주재로 하되, 황토를 포함하고 있어 물 투과시 필터 효과를 가지며, 이로 인해 타일 상부에서 공급되는 흙탕물 등의 오염수를 필터 처리하여 깨끗한 물이 지하로 스며들도록 함으로써 지하수의 오염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셋째. 황토를 포함하여 타일을 구성하기 때문에 타일 성형시 유약성분을 함께 배합하여 타일을 제조함으로써 반짝이는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야간에 차도와 보도의 식별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의 기술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에코 타일은 슬러지에 황토, 규산소다, 유리분말을 첨가하여 조성된 혼합물로 성형한 후 소성과정을 거쳐 제조된 타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철슬러지 또는 소각슬러지 20~70wt%와,
1,050℃ 이상에서 소성된 소성제품 0.1~50wt%와,
황토 10~50wt%와,
규산소다 5~20wt%와,
유리분말 10~50wt%를 혼합하여 조성된 혼합물로 성형한 후 소성과정을 거쳐 제조된 타일이다.
상기 슬러지는 제철공정에서 고로 노정을 통하여 분진을 함유한 배가스가 배출되는데, 이 배가스를 청정하는 과정에서 포집되는 슬러지에는 유용 성분인 철분과 탄소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그 발생량도 많다. 그러나 이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아연 성분 때문에 제철 원료로 재활용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시멘트 제조시 산화철원으로 사용되거나 매립 처리되고 있다.
고로에 장입물 중의 아연 성분은 대부분 분진의 형태로 배가스에 포함되어 배출되지만, 일부는 고로 내에 축적되어 노벽 부착물을 형성함으로써 내화물 침식의 요인이 되며, 또한 이 부착물이 탈락될 때에는 노황 변동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제철공정에서는 장입물 중의 아연이 약 0.16~0.20 kg/ton-pig 이하가 되도록 원료 중의 아연함량을 제한하고 있다. 광양지역에서 발생하는 제철슬러지의 연간 발생량은 약 18만 ton 정도인데, 이 슬러지에는 유용성분인 철분 36%, 탄소분 31.4%, 유해 성분인 아연 1.05% 정도가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슬러지 중에 포함되어 있는 철분과 탄소분을 광석원료로 환산하면, 철분 60%의 철광석 8.6만 ton과 고정탄소 88%의 코크스 5.2만 ton에 상당하는 막대한 잠재적인 자원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제철공정에서 발생하는 제철슬러지를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철 슬러지와 생활 쓰레기 소각과정에서 발생하는 소각 슬러지를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조성된 슬러지를 사용한다.
상기 소각슬러지는 일반 가정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쓰레기를 소각장에서 연소시킨 후 발생한 소각재를 보관 또는 포장을 하기 위하여, 연소를 마친 연소재 위로 물을 뿌림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다.
생활폐기물을 소각하면 소각재가 발생하는데, 이 소각재는 소각장의 배출부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누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소각재의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은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상기 소각재는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바닥재(Bottom ash)와 연소가스 속에 함유된 분진을 포집, 제거하는 분진제거설비로부터 배출되는 비산재(Flyash)의 두 부분으로 크게 나뉠 수 있다.
상기 바닥재는 평균 수분함량 기준 폐기물량의 10~15% 발생하며, 상기 비산재는 1~1.5% 발생한다.
상기 바닥재의 물리적 특성은 입자크기, 수분함량, 강열감량(Losson Ignition), 비중, 수분-밀도 관계, 압축강도, 탄성계수 등으로 평가된다. 바닥재는 주로 유리상(Glassform), Fe2O3, Quartz(SiO2), Melilites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리상은 화산 유리의 일종인 흑요석과 같은 형태로, 매우 맑은 표면과 매우 단단한 구조로 된 검은 암석과 같은 형태이다. 공극 구조는 소각 처리시, 낮은 온도에서 발생하고, 미세 결정질 형태는 바닥재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형태로 밝은 회색과 갈색으로 이루어진 매우 단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소각재 중에서 비산재는 Pb, Zn이 0.3~3%, Cd가 20~40mg/kg, Cr이 200~500mg/kg 정도 함유되어 있고, 바닥재는 비산재의 1/2~1/100정도 포함되어 있다. 바닥재에는 Cd, Hg 등의 저융점 금속이 거의 연소가스화 되어 연소가스와 함께 이동하고 다른 중금속, 알칼리 성분의 일부도 기화되어 연소가스의 냉각과 함께 응축되어 거의 비산재로 된다.
상기 제철 슬러지 또는/및 소각슬러지는 그 사용량을 20~70wt%으로 한정한다. 상기 슬러지의 사용량이 20wt% 미만인 경우에는 산업폐기물의 재활용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지 않고, 7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에코타일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슬러지의 사용량은 20~7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050℃ 이상에서 소성된 소성제품은 그 품목이 한정되어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폐타일, 폐소성벽돌, 폐도자기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1,050℃ 이상에서 소성된 소성제품은 슬러지와 함께 사용됨으로써, 흡음의 기능성을 유지하면서도 강도를 더욱 높여주는 기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기능성을 갖기 위해, 상기 1,050℃ 이상에서 소성된 소성제품의 사용량은 0.1~5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토는 주로 0.05~0.005㎜의 입자크기를 갖는 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대부분 0.02~0.05㎜이다. 그리고 균일하고 층리가 발달되어 있지 않으며, 공극률(50~55%)이 크며, 자연함수비 16~18% 정도로 사질토의 아터버그 한계(Atterberg limit) 분류에서 보면 연경도Consistency)가 액성한계 38%~48%, 소성지수 15% 정도이며 무기질의 실트 또는 유기질의 실트점토 등의 범위에 있다.
황토입자의 종류는 석영, 장석, 운모, 방해석 등 다양한 광물 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황색 퇴적물로써 황색토와 적색토가 있으며, 공극률이 큰 실리카(SiO2)가 50~60%, 알루미나(Al2O3)는 8~12%, 석회(CaO)는 5~12%, 산화마그네슘(MgO)는 2~6%. 제2산화철(Fe2O3)는 2~4%, 산화철II(F2O3)는 0.8~1.1% 이산화티탄(TiO2)과 산화망간(MnO)은 각각 0.5%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화철의 함량이 다소 많은 것이 특징이다.
상기 황토는 다기능 에코 타일의 전체 중량비의 10~50wt%로 사용하며, 이때 그 사용량이 10wt% 미만인 경우에는 타일의 성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또한 물의 필터 기능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5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슬러지의 사용량이 줄어드는 단점과 타일의 투수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황토는 다기능 에코 타일의 전체 중량비의 10~50wt%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산소다(Sodium Silicate)는 이산화규소(SiO2)와 알칼리를 혼합 용융시켜 얻은 규산알칼리염을 수용액으로 제조한 것으로 알칼리는 대부분 Na2이고 조성은 Na2O·nSiO2(n=2~4) 외에 소량의 Fe2O3로 되어 있으며 수분은 10~20%이다.
이산화규소에 탄산나트륨을 일정 비율로 섞어 1,300~1,500℃에서 서로 용융한 후 오토클래이브(autoclave)에서 처리하면 규산소다가 만들어지며 액상 규산소다(물유리)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비중, 물 불용분, Na2O, SiO2, Fe2O3의 함량에 따라 1종~4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액상 규산소다의 성질
타입 1 타입 2 타입 3 타입 4
비중
(Specific gravity; 20℃)
1.690 이상 1.590 이상 1.380 이상
1.260 이상
불수용성 양
(%)
0.2 이하 0.2 이하 0.2 이하 0.2 이하
산화나트륨
(Na2O)(%)
17~18 14~15 9~10 6~7
이산화규소
(SiO2)(%)
36~38
34~36 28~30
23~25
산화철(Ⅲ)
(Fe2O3)(%)
0.05 이하 0.05 이하 0.03 이하
0.03 이하
규산소다 용액에는 규산이온 모노머, 폴리 규산이온 및 콜로이드상의 미셀(micelle)이 SiO2/Na2O의 농도와 몰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무색무취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액상, 고형, 결정체, 비정질 분말로 사용되고 있다
액상 규산소다(물유리)의 pH는 보통 11.5~13.0으로 제조되며 몰비가 낮을수록 pH는 높아진다. 산과의 중화반응에 의해 pH가 낮아지고 규산 이온(SiO2)끼리의 중합이 진행되어 점도가 상승하고 겔화가 일어나며 SiO2가 침전하게 된다.
그리고 100%의 탈수는 1,000℃이상에서 가능하며 다공질화는 대부분 120~500℃에서 발생하며 600~1,000℃에서 유리화된다. 약 95%정도의 탈수는 200℃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규산소다는 결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슬러지; 폐타일, 폐소성벽돌과 같은 1,050℃ 이상에서 소성된 소성제품; 황토 간의 결합상태를 소성과정 중에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타일 성형시에는 점질이 있는 점토와 고령토에 의해 형태를 갖출 수는 있으나, 건조과정이 진행되면서 황토가 서서히 분리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슬러지와 황토를 동시에 사용하여 타일을 제조한다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상기 규산소다를 사용함으로써, 소성과정 중에 슬러지와 황토간의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게 되어, 슬러지에 일정비율로 황토를 첨가한 다기능 에코 타일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외에 상기 규산소다는 타일 내에 미세한 기공을 형성시켜주는 역할도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규산소다는 pH 12~13, 비중(Specific gravity; 20℃) 1.59 이상, Na2O 14~15%, SiO2 34~36%의 성상을 갖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유리는 일반적으로 융해된 액체를 냉각하면 일정한 온도에서 응고하여 결정으로 되지만 어떤 종류의 것은 냉각해도 응고, 결정화하지 않고,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점차 점성이 증가하고, 나중에는 굳은 고형물이 된다. 이와 같이 된 비결정 고형물을 유리상태에 있다고 하며, 특히 무기물로서 이와 같은 상태가 된 것을 유리라고 한다.
유리가 포함하고 있는 성분은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석영유리와 같은 특별한 것을 제외한 대부분의 유리는 유리 조직의 주체가 되는 망목형성의 물질과, 그것과 화학적으로 느슨하게 결합하여 유리에 특정한 성질, 즉 용해성, 착색, 투명도, 화학내구성, 전도성 등을 가지게 하는 보조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유리의 망목구조의 주체를 이루고 있는 성분에 따라 규산염유리, 붕규산염유리, 인산염유리 등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도 실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유리는 규산염유리인데 규산 이외의 주요 성분의 이름을 연달아 부르는 수가 많아 석영 유리, 나트륨 유리, 나트륨 석회 유리, 납알칼리 유리, 나트륨 석회 알루미나 유리 등으로 나뉜다.
상기 유리분말은 폐유리를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수세 및 건조된 폐유리를 Disk mill로 분쇄하여 300㎛, 500㎛, 710㎛, 1mm, 2mm의 체로 체거름하여 1mm 이하의 분말을 사용하거나,
타일 제조시에 사용하는 황토를 사전에 폐유리 분말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폐유리 분말:황토를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여 ball mill로 3~24시간 동안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유리분말은 폐유리를 사용함으로써, 타일의 마모감량이 적으며, 미끄럼 저항이 크고 우수한 강도와 내약품성을 부여하게 되며, 이때 그 사용량이 10wt% 미만인 경우에는 전술한 내용의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50wt%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타일의 성형성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슬러지의 사용량이 줄어들어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상기 유리 분말의 사용량은 10~50wt%의 범위 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기술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에코 타일은 1,050℃ 이상에서 소성된 소성제품 0.1~50wt%와, 황토 10~50wt%와, 규산소다 5~20wt%와, 유리분말 10~50wt%와, 제철슬러지 또는 소각슬러지 20~70wt%를 혼합하여 성형된 타일을 소지로 하여, 상기 소지의 표면에 유약을 시유한 후, 소성과정을 거침으로써 타일이 반짝이는 광택효과를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은 광택효과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타일로 시공된 보도는 야간에 차도와 쉽게 구분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운행 및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타일은 1,050℃ 이상에서 소성된 소성제품, 황토, 규산소다, 유리분말, 슬러지를 혼합하여 성형한 소지 표면에 유약으로서 투명유를 1.0~1.3mm의 두께로 시유한 후, 소성 함으로써 광택 발산 효과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소성은 가마에서 상온에서 560℃까지 3℃/min의 속도로 승온하고,
560~900℃까지 2℃/min으로 승온하고,
900℃에서는 탄산가스의 배출을 위하여 20분간 소성하고,
900~1,250℃까지 2℃/min으로 승온 후, 1시간 동안 유지 소성 후 자연냉각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약은 일반색상용, 광택효과, 형광효과 등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하여 사용가능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도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는 있으나, 광택 발산효과를 갖는 유약을 사용하여 야간 차도와 보도의 구별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유약은 외관에 따라, 투명유, 결정성유, 결정유, 유백유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투명유는 규산염의 과냉각 상태로 상온에 있어 규산염의 원자간의 연결이 불규칙한 채로 굳어져 유리화 범위에 있는 것으로서, 광택이 나며 소지가 비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결정성유는 냉각 중에 결정이 석출되어 유약 안에 결정이 분산되는 유약으로서, 상기 결정성유는 다시 유면에 광택이 나며, 소지가 비치지 않는 유백유와, 광택이 없는 매트유로 구분된다.
상기 결정유는 유약 표면에 커다란 결정이 성장하는 것으로 비교적 점도가 낮은 조성으로 결정핵의 발생을 적게 하여 결정이 크게 발전하도록 적당한 서냉과정을 이용해 얻어지는 유약이다.
그리고 상기 유백유는 결정에 의한 빛의 산란, 반사에 기인하는 것이 아닌, 유리상과 유리상의 두 유리상 분리가 유리의 내부에서 일어나 생기는 유약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에코 타일은 슬러지를 주재로 하여 재활용함과 동시에 황토를 함께 사용하여 친환경적인 타일을 제공하며, 또한 투수, 함수, 단열, 방음, 흡음의 기능성 외에 오염물질의 필터처리 기능에 의한 기능성이 뛰어나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5)

  1. 슬러지에 1,050℃ 이상에서 소성된 소성제품, 황토, 규산소다, 유리분말을 첨가하여 조성된 혼합물로 성형한 후 소성과정을 거쳐 제조된 타일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에코 타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타일은 제철슬러지 또는 소각슬러지 20~70wt%와,
    1,050℃ 이상에서 소성된 소성제품 0.1~50wt%와,
    황토 10~50wt%와,
    규산소다 5~20wt%와,
    유리분말 10~50wt%를 혼합하여 조성된 혼합물로 성형한 후 소성과정을 거쳐 제조된 다기능 에코 타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타일은 슬러지, 1,050℃ 이상에서 소성된 소성제품, 황토, 규산소다, 유리분말을 혼합하여 성형한 소지 표면에 유약으로서 투명유를 1.0~1.3mm의 두께로 시유한 후, 소성 함으로써 광택 발산 효과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소성은 가마에서 상온에서 560℃까지 3℃/min의 속도로 승온하고,
    560~900℃까지 2℃/min으로 승온하고,
    900℃에서는 탄산가스의 배출을 위하여 20분간 소성하고,
    900~1,250℃까지 2℃/min으로 승온 후, 1시간 동안 유지 소성 후 자연냉각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에코 타일.
  4. 삭제
  5. 삭제
KR1020140067740A 2014-06-03 2014-06-03 다기능 에코 타일 KR101464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740A KR101464214B1 (ko) 2014-06-03 2014-06-03 다기능 에코 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740A KR101464214B1 (ko) 2014-06-03 2014-06-03 다기능 에코 타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214B1 true KR101464214B1 (ko) 2014-11-21

Family

ID=5229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740A KR101464214B1 (ko) 2014-06-03 2014-06-03 다기능 에코 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2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855A (ko) * 2012-02-23 2013-09-02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생활폐기물 소각 바닥재와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세라믹 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된 세라믹 제품
KR101336173B1 (ko) * 2013-07-02 2013-12-03 (주)선일로에스 투수 친환경 특수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36154A (ko) * 2012-06-04 2013-12-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현무암 부산물 또는 현무암 경량골재를 이용한 인조석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855A (ko) * 2012-02-23 2013-09-02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생활폐기물 소각 바닥재와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세라믹 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된 세라믹 제품
KR20130136154A (ko) * 2012-06-04 2013-12-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현무암 부산물 또는 현무암 경량골재를 이용한 인조석 및 그 제조방법
KR101336173B1 (ko) * 2013-07-02 2013-12-03 (주)선일로에스 투수 친환경 특수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370B1 (ko) 다기능성 친환경 타일
KR101198327B1 (ko) 슬러지 폐기물을 이용한 경량 건축자재의 제조 방법
KR101214596B1 (ko)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 결합재와 바텀애시 골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
Chindaprasirt et al. Synergistic effect of fly ash and glass cullet additive on properties of fire clay bricks
KR102308067B1 (ko) 친환경 소재 결합형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Bohn et al. A novel method to produce a ceramic paver recycling waste glass
KR101879195B1 (ko) 인터록킹 블록
Amin et al. The use of tannery waste in the preparation of clay roof tiles
JP2005060159A (ja) 無機系廃棄物を活用した保水、透水性セラミックス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14396A (ko) 석재가공 중 발생하는 폐기물을 재활용한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464214B1 (ko) 다기능 에코 타일
KR101336173B1 (ko) 투수 친환경 특수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3227768A (ja) インターロッキングブロック
PL112501B1 (en) Method of manufacture of porous siliceous material
KR100468198B1 (ko) 폐주물사를 이용한 건축자재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건축자재의 제조방법
KR102363677B1 (ko) 점토와 실리카를 이용한 경량골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342055A (ja) 透水性セラミック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676595B (zh) 一种降低生活垃圾焚烧厂飞灰量及飞灰毒性的方法
KR20030083497A (ko) 건축용 저온소결 벽돌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JP2000302534A (ja) セラミック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Supakata et 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of facing bricks produced from dredged sediments and waste glasses
JPH1095658A (ja) ごみ焼却灰溶融スラグを有効利用したセラミックス原 料及びセラミックスタイルの製造法
KR101501256B1 (ko)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 매립지에 사용되는 차열 흙포장층
JP2001342054A (ja) 不透水性ブロック
JP2000203959A (ja) 透水性セラミック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