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082B1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082B1
KR101464082B1 KR20130068662A KR20130068662A KR101464082B1 KR 101464082 B1 KR101464082 B1 KR 101464082B1 KR 20130068662 A KR20130068662 A KR 20130068662A KR 20130068662 A KR20130068662 A KR 20130068662A KR 101464082 B1 KR101464082 B1 KR 101464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air
case
disposed
fil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8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진
Original Assignee
유제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제빈 filed Critical 유제빈
Priority to KR20130068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45Means for power supply or devices using electrical power in filters or filter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공기 청정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흡기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집진부;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살충부; 집진 하우징의 공기 토출 측에 배치되는 필터부재; 필터부재의 공기 토출측에 배치되는 팬 장치; 및 케이스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공기를 여과하여 쾌적하게 하는 공기 조화기이다.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재와,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팬 장치가 구비된다. 팬 장치가 구동됨에 따라 공기가 필터부재를 통과한다.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이 필터부재에 의해 여과된다. 공기 청정기에는 음이온 발생기가 설치된다. 음이온 발생기는 음이온을 방출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19320호(2011. 11. 02 공개, 발명의 명칭: LED 조명 기능이 구비된 천장 부착형 공기 청정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공기 청정기가 건물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옮겨 사용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흡기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집진 하우징과, 팬 장치의 흡입 압력에 의해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개방하도록 설치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집진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살충부; 상기 집진 하우징의 공기 토출 측에 배치되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공기 토출측에 배치되는 팬 장치;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집진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충부는 상기 집진 하우징에 배치되고, 전압이 인가되는 살충망일 수 있다.
상기 살충망은 상기 집진 하우징의 내부 또는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진부의 공기 흡입 측에 배치되는 음이온 발생기; 및 상기 집진부와 상기 필터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살균 램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연결부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에스비 포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가 설치되므로, 공기 청정기를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 청정기를 구성하는 집진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공기 청정기가 개목걸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공기 청정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케이스(110), 집진부(120), 살충부(140), 필터부재(150), 팬 장치(160), 전원 연결부(17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에는 흡기구(111)와 배기구(113)가 형성된다. 흡기구(111)와 배기구(113)는 다수 형성될 수 있다. 흡기구(111)와 배기구(113) 사이에는 집진부(120), 살충부(140), 필터부재(150), 팬 장치(160) 등이 설치된다.
케이스(110)는 높이가 5-10cm 정도로 형성되고, 폭이 2-5cm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케이스(110)가 작게 형성되므로, 공기 청정기를 원하는 곳으로 용이하게 이동킬 수 있다. 케이스(110)는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에는 분산물질이 수용되는 분산물질 수용부(115)가 설치될 수 있다. 분산물질 수용부(115)는 케이스(110)의 흡입구(111)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흡입구(111)에서 공기가 흡입될 때에 공기 중으로 분산 물질이 분산될 수 있다. 분산 물질은 공기 중으로 분산되는 방향 물질 또는 살충 물질일 수 있다.
케이스(110)에는 청소 시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램프(117)가 설치될 수 있다. 램프(117)는 전력 소모가 작은 LED 램프(117)일 수 있다. 램프(117)가 켜지면 집진부(120)를 케이스(110)에서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다.
집진부(12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집진부(120)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한 곤충, 벌레, 세균, 부유 물질 등(이하, "집진 물질"이라 함)을 집진한다. 집진부(120)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살충부(14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살충부(140)는 집진 하우징(121)의 내부 또는 일측면(도 1에서 집진 하우징(121)의 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살충부(140)가 집진 하우징(121)의 내부 또는 일측면에 배치되므로, 살충부(140)에 의해 살충된 벌레나 곤충 등이 집진 하우징(121)의 내부에 집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청정기의 내부가 살충된 벌레나 곤충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살충부(140)는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미세한 곤충, 벌레, 세균 등을 태워 살충할 수 있다. 살충부(140)는 미세한 곤충, 벌레 및 세균 등이 여과될 수 있을 정도의 메시(mesh)를 갖는 그물망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살충부(140)의 메시는 대략 0.05-0.2mm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살충부(140)의 메시는 여과될 대상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살충부(140)는 공기는 통과시키고, 대부분의 집진 물질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필터부재(150)는 집진 하우징(121)의 공기 토출측에 배치된다. 필터부재(150)로는 미세한 먼지를 여과할 수 있는 부직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필터부재(150)는 다수의 부직포가 겹쳐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재(150)는 집진부(120)에서 여과되지 못한 이물질을 여과한다.
팬 장치(160)는 필터부재(150)의 공기 토출측에 배치된다. 팬 장치(160)가 필터부재(150)의 공기 토출측에 배치되므로, 팬 장치(160)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만약, 팬 장치(160)가 집진부(120)나 흡기구(111) 근처에 설치되면, 팬 장치(160)가 집진부(120) 측으로 공기를 송풍함에 의해 공기의 유동저항이 증가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팬 장치(160)가 공기 토출측에 배치되므로, 케이스(110)의 내부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공기를 유동시킨다. 따라서, 공기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팬 장치(160)는 팬 하우징(161), 터보팬(163) 및 모터(165)를 포함한다. 팬 하우징(161)에는 필터부재(150)에 대향되도록 흡입부가 형성되고, 배기구(113)에 연결되도록 토출부가 형성된다. 팬 하우징(161)의 내부에는 팬(163)이 설치되고, 팬(163)은 모터(165)의 회전축에 결합된다. 이러한 공기를 축 방향으로 흡입한 후 반경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전원 연결부(170)는 케이스(110)에 설치된다. 전원 연결부(170)는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공기 청정기(100)에 전원 연결부(170)가 설치되므로, 공기 청정기(100)를 이동시킨 후 전원 연결부(170)를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청정기(100)를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킨 후 사용할 수 있다.
전원 연결부(170)는 케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에스비 포트(USB port)일 수 있다. 전원 연결부(170)가 케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전원 연결부(170)를 회전시켜 외부 전원 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연결부(17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케이스(110)에 안착시키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전원 연결부(170)는 자동차의 전원 커넥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커넥터, 개목걸이의 전원 커넥터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연결부(170)가 전원 커넥터에 연결됨에 따라 외부 전원에 의해 공기 청정기(100)가 구동될 수 있다.
집진부(120)의 공기 흡입 측에는 음이온 발생기(180)가 배치될 수 있다. 음이온 발생기(180)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시킨다. 팬 장치(160)가 구동되면, 음이온 발생기(180)에서 발생된 음이온이 배기구(113)를 외부로 발산된다. 음이온은 세균, 진드기 등을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 청정기가 개목걸이에 결합되는 경우, 음이온이 애완견에 직접 방사될 수 있으므로 애완견에 기생하는 세균이나 진드기 등이 살충될 수 있다.
집진부(120)와 필터부재(150) 사이에는 살균 램프(190)이 배치될 수 있다. 살균 램프(190)은 애완견 등에 기생하는 세균이나 진드기 등을 살충한다. 살균 램프(190)로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적외선 램프(117)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공기 청정기를 구성하는 집진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집진부(120)는 집진 하우징(121) 및 체크 밸브(125)를 포함한다.
집진 하우징(121)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집진 하우징(121)은 내부에 집진 공간이 형성된다. 집진 하우징(121)의 형태는 케이스(11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집진 하우징(121)은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집진 하우징(121)에 집진 물질이 채워지면, 집진 하우징(121)을 케이스(110)에서 인출한 후 집진 물질을 버릴 수 있다.
집진 하우징(121)에는 공기 유입구(122)가 형성된다. 공기 유입구(122)는 가늘고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입구(122)는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크 밸브(125)는 팬 장치(160)의 흡입 압력에 의해 공기 유입구(122)를 개방하도록 설치된다. 체크 밸브(125)는 공기 유입구(122)를 덮을 수 있도록 가늘고 긴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크 밸브(125)의 형태는 공기 유입구(122)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체크 밸브(125)는 힌지부(126)에 의해 공기 유입구(122) 근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체크 밸브(125)는 팬 장치(160)가 구동되지 않을 때에는 공기 유입구(122)를 폐쇄하고, 팬 장치(160)가 구동될 때에는 흡입 압력에 의해 공기 유입구(122)를 개방한다.
체크 밸브(125)가 팬 장치(160)의 흡입 압력에 의해 공기 유입구(122)를 개방하도록 설치되므로, 체크 밸브(125)를 회전시키기 위해 별도의 구동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공기 청정기(100)를 소형화시키고, 공기 청정기(10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팬 장치(160)가 구동되지 않을 때에는 체크 밸브(125)가 공기 유입구(122)를 폐쇄시키므로, 집진 하우징(121)의 집진 물질이 집진 하우징(121)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100)의 내부가 집진 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집진 하우징(12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개폐 장치(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장치(130)는 집진 하우징(12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집진 하우징(121)의 공기 유입구(122)를 개폐시키는 커버 패널(131)과, 상기 커버 패널(131)을 연결하는 이동 패널(133)을 포함한다.
이동 패널(133)은 커버 패널(131)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집진 하우징(121)에는 이동 패널(133)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레일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135)는 커버 패널(13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동 패널(133)이 레일부(135)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집진 하우징(121)의 공기 유입구(122)가 커버 패널(131)에 의해 개폐된다.
개폐 장치(130)는 집진 하우징(121)의 공기 유입구(122)를 개폐시키는 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공기 청정기가 개목걸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공기 청정기(100)의 전원 연결부(170)를 자동차의 전원 커넥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커넥터, 개목걸이의 전원 커넥터 등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공기 청정기(100)의 전원 연결부(170)가 개목걸이의 전원 커넥터에 연결된 구성을 도시하였다. 도 4에서 도번 20은 음이온 발생기(180)이다. 음이온 발생기(180)의 내부에는 배터리(미도시)가 설치되고, 음이온 발생기(180)에는 전원 커넥터(미도시)가 설치된다. 전원 커넥터(미도시)에는 공기 청정기(100)의 전원 연결부(170)가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전원 연결부(170)가 전원 커넥터에 연결됨에 따라 외부 전원에 의해 공기 청정기(100)가 구동될 수 있다. 이때, 팬 장치(160), 살충부(140), 음이온 발생기(180), 살균 램프(190) 등에는 외부 전원이 공급된다.
팬 장치(160)가 구동되면,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압력이 낮아진다. 이때, 외부 공기가 흡기구(111)를 통해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외부 공기에는 음이온이 분산된다. 음이온은 1차적으로 공기에 포함된 미세한 곤충, 벌레, 진드기 등을 살충한다.
집진부(120)의 체크 밸브(125)는 팬 장치(160)의 흡입 압력에 의해 공기 유입구(122)를 개방시킨다. 공기는 공기 유입구(122)를 통해 집진 하우징(121)에 유입된다. 집진 하우징(121)의 공기는 살충부(140)를 통과한다.
이때, 살충부(140)에는 고전압이 공급되므로, 공기에 포함된 미세한 곤충, 벌레, 진드기 등은 살충부(140)에 공급되는 고전압에 의해 살충된다. 살충된 곤충, 벌레, 지드기 등은 집진 하우징(121)의 내부에 집진된다.
살충부(140)를 통과한 공기는 살균 램프(190)에 살균된다. 살균 램프(190)은 살충부(140)를 통과한 공기를 추가적으로 살균한다. 살균된 공기는 필터부재(150) 측으로 유입된다. 필터부재(150)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한 먼지 등을 여과한다.
살충 및 여과된 공기는 케이스(110)의 배기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공기에는 음이온, 분산 물질이 함유된다. 따라서, 외부 공기나 애완견 등에 기생하는 진드기, 세균 등이 음이온이나 분산 물질에 의해 살균 및 살충될 수 있다.
한편, 집진 물질이 집진 하우징(121)에 많이 채워지면, 팬 장치(160)의 부하가 증가한다. 팬 장치(160)의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팬 장치(160)의 전류값이 증가한다. 제어부에서는 팬 장치(160)의 전류값을 산출하여 램프(117)의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에서는 램프(117)에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집진부(120)의 청소 시기 및 팬 장치(160)의 교환 시기를 알려줄 수 있다.
램프(117)가 켜지면, 개폐 장치(130)를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 패널(133)이 레일부(135)를 따라 이동되고 커버 패널(131)이 집진 하우징(121)의 공기 유입구(122)를 폐쇄한다.
커버 패널(131)이 집진 하우징(121)의 공기 유입구(122)를 폐쇄시킨 후 집진 하우징(121)을 잡아당긴다. 공기 유입구(122)가 커버 패널(131)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집진 하우징(121)의 집진 물질이 집진 하우징(121)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집진 하우징(121)에서 집진 물질을 배출시킨 후 집진 하우징(121)을 케이스(110)에 집어넣는다. 그리고, 개폐 장치(130)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커버 패널(131)이 공기 유입구(122)를 개방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공기 청정기 110: 케이스
111: 흡기구 113: 배기구
115: 분산물질 수용부 117: 램프
120: 집진부 121: 집진 하우징
122: 공기 유입구 125: 체크 밸브
126: 힌지부 130: 커버 패널
131: 이동 패널 135: 레일부
140: 살충부 150: 필터부재
160: 팬 장치 161: 팬 하우징
163: 터보팬 165: 모터
170: 전원 연결부 180: 음이온 발생기
190: 살균 램프

Claims (7)

  1. 흡기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집진 하우징과, 팬 장치의 흡입 압력에 의해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개방하도록 설치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집진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살충부;
    상기 집진 하우징의 공기 토출 측에 배치되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공기 토출측에 배치되는 팬 장치;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부는 상기 집진 하우징에 배치되고, 전압이 인가되는 살충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망은 상기 집진 하우징의 내부 또는 일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의 공기 흡입 측에 배치되는 음이온 발생기; 및
    상기 집진부와 상기 필터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살균 램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7.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연결부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에스비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20130068662A 2013-06-14 2013-06-14 공기 청정기 KR101464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662A KR101464082B1 (ko) 2013-06-14 2013-06-14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662A KR101464082B1 (ko) 2013-06-14 2013-06-14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082B1 true KR101464082B1 (ko) 2014-11-21

Family

ID=5229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8662A KR101464082B1 (ko) 2013-06-14 2013-06-14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0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913B1 (ko) * 1991-09-09 1995-05-16 대우전자주식회사 다목적용 공기청정기
KR200323449Y1 (ko) * 2003-05-30 2003-08-19 주식회사 정소프트 Usb 포트가 결합된 휴대용 디지털 기기
KR20070087819A (ko) * 2005-12-22 2007-08-29 (주)선재하이테크 공기청정기
KR20100007493A (ko) * 2008-07-14 2010-01-22 주식회사 세스코 해충 포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913B1 (ko) * 1991-09-09 1995-05-16 대우전자주식회사 다목적용 공기청정기
KR200323449Y1 (ko) * 2003-05-30 2003-08-19 주식회사 정소프트 Usb 포트가 결합된 휴대용 디지털 기기
KR20070087819A (ko) * 2005-12-22 2007-08-29 (주)선재하이테크 공기청정기
KR20100007493A (ko) * 2008-07-14 2010-01-22 주식회사 세스코 해충 포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8811B2 (en) Air purifying unit and air cleaning/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same
TWI643551B (zh) 修毛用箱
JP6208130B2 (ja) 空気濾過および空気浄化装置
US20080216657A1 (en) Air Purifier for Removing Particles or Contaminants from Air
JP2016099090A (ja) 空気調和機
KR101939616B1 (ko) 미세 분사식 운무 유니트가 연동하여 팬 모터의 낮은 소비전력 운전이 가능한 고효율 차단막 구조를 이루는 건물 출입구용 에어운무기
KR20210023353A (ko) 필터 다단 적층형 공기청정기
JP5980637B2 (ja) 空気調和機
US20220088519A1 (en) Air purifier
JP6225225B2 (ja) 空気調和機
KR101464082B1 (ko) 공기 청정기
JP2017217981A (ja) 空気清浄機
CN203893326U (zh) 一种空气净化器
CN200942203Y (zh) 一种空气清新器
CN116105271A (zh) 和气象信息联动的节能型空气净化换气系统
JPH0538814Y2 (ko)
KR20110132176A (ko) 에어커튼장치
KR20180043948A (ko) 흡입팬을 갖는 공기 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청정 방법
JP4204933B2 (ja) 空気調節装置
JP6137799B2 (ja) 送風装置
KR100669026B1 (ko) 공기정화장치
KR102474064B1 (ko) 실내공기 제균형 환기시스템
KR20200022925A (ko) 외부공기 실내 공급장치
CN217031539U (zh) 入户风幕机
KR100890427B1 (ko)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