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893B1 -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893B1
KR101463893B1 KR1020140082306A KR20140082306A KR101463893B1 KR 101463893 B1 KR101463893 B1 KR 101463893B1 KR 1020140082306 A KR1020140082306 A KR 1020140082306A KR 20140082306 A KR20140082306 A KR 20140082306A KR 101463893 B1 KR101463893 B1 KR 101463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quality
tubular housing
quality measuremen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기
봉태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드로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드로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드로넷
Priority to KR1020140082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7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revention Of Electric Corrosion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은, 제 1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갖는 측정지원유닛; 상기 측정지원유닛과 연결유닛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제 2 제어부의 제어 하에 각 수질측정 환경의 온도, 수위, 전기전도도도를 측정하는, 보호관에 내장된 온도센싱부, 수위센싱부, 및 전기전도도센싱부를 관형 하우징의 일단에 갖는 수질측정유닛; 및
상기 관형 하우징 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기재상에 배치되어 각각의 환경에 대한 상기 관형 하우징의 부식방지를 위한 기준전위를 측정하는 기준전위측정부와, 상기 기준전위에 대한 방식전류밀도를 제어하여 공급하기 위한 출력제어부와, 상기 온도센싱부 보호관을 이용하는 양극부와, 상기 양극부 주위에 기준전위 측정을 위하여 설치되는 기준전극부와, 상기 관형 하우징을 이용하는 음극부로 구성되는 부식방지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APPARATUS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WATER HAVING AN AUTOMATIC ANTICORROSION FUCTION}
본 발명은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질측정시스템의 구성을 이용하여 환경조건에 안정적이면서 환경 또는 측정된 기준전위에 따라 방식전류를 공급하여 수질측정시스템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해서 제조 판매되고 있는 수질측정시스템은 관형 하우징 일단에 구비되는 커넥터와 상기 관형 하우징 타단에 구비되며, 보호관에 내장된 온도센싱부, 전기전도도센싱부, 및 수위센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수질측정시스템에 의하면, 수위나 온도 및 전기전도도와 같은 지하수의 수질 관련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 개만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복수 개를 이어서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관측정에서 여러 심도의 수질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수질측정시스템은 스테인레스 재질, 심지어 티타늄 재질로 제조되는 경우에도 설치된 환경조건에 따라 부식이 가속화될 수도 있고, 장시간 수중에 배치되다 보면, 부식으로 인한 침수가 발생하여 고장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질측정시스템 관형 하우징 표면의 부식전류가 소멸되도록 피방식체인 관형 하우징보다 더 낮은 저전위의 금속을 전기적인 접속을 하여 방식하는 희생양극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희생양극법에 의하면, 방식 대상면적을 산출하고, 소요전류를 산출하여, 양극 사양을 설정하고, 양극에서 발생할 전류를 산출하며, 수명을 설정하고, 양극의 총량 및 수량을 결정하여야 하며, 균일한 전위 분포와 시공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양극을 배치하여야 한다.
또한, 희생양극법에 의하면, 희생양극이 완전히 소모될 동안까지만 방식이 진행되고, 여러 개의 센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 센서가 놓인 환경에 따라 희생양극의 소모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희생전극을 다 달리 구성하여야 하며,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하여야 하고, 적당한 시간이 경과하면 양극을 교체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희생양극의 설치 편의를 위하여 수질측정시스템의 관형 하우징 둘레를 감싸도록 희생전극을 배치하는 경우, 수질측정시스템이 설치되는 관정의 직경이 좁을 경우 시공이 어렵거나 시공의 불편성이 있다.
또한, 센서와 떨어뜨려 별도의 케이블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경우 설치 또는 A/S 시 배선이 끊어지거나 걸려 이동이 안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질측정시스템에 별도의 구성을 설치하지 않고, 수질측정시스템의 구성을 이용하여 설치된 환경조건에 대해서 안정적이며 환경조건에 따라서 희생양극을 설계할 필요 없이 측정된 기준전위에 따라 방식전류의 양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수질측정시스템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식전류의 산정이 용이하며,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배선을 할 수 있고, 양극부, 기준전극부, 기준전위측정부 및 출력제어부는 상기 관형 하우징에 의해서 수심이 깊은 환경에서도 보호되는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은, 제 1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갖는 측정지원유닛;
상기 제 1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제 2 제어부의 제어 하에 각 수질측정 환경의 온도, 수위, 전기전도도도를 측정하는 보호관에 내장된 온도센싱부, 수위센싱부, 및 전기전도도센싱부를 관형 하우징의 일단에 가지며, 상기 측정지원유닛과 상기 관형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유닛으로 연결되는 수질측정유닛; 및
상기 관형 하우징 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기재상에 배치되어 각각의 환경에 대한 상기 관형 하우징의 부식방지를 위한 기준전위를 측정하는 기준전위측정부와, 상기 기준전위에 대한 방식전류밀도를 제어하여 공급하기 위한 출력제어부와, 상기 관형 하우징 내부에서 내부배선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제어부의 양극과 접속되며, 상기 온도센싱부 보호관을 이용하는 양극부와, 상기 양극부 주위에 기준전위 측정을 위하여 설치되는 기준전극부와, 상기 관형 하우징을 이용하는 음극부로 구성되는 부식방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은, 수질측정시스템에 별도의 구성을 설치하지 않고, 수질측정시스템의 내외부 구성을 이용하여 환경 또는 기준전위에 따라 방식전류를 공급하여 수질측정유닛의 관형 하우징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은, 수질측정 환경에 따라 기준전극부와 음극부의 기준전위를 측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방식전류를 양극부에 공급함으로써 수질측정시스템의 형상 및 사이즈에 상관없이 방식을 할 수 있으며, 수질측정시스템의 형상 및 사이즈를 고려하여 희생양극을 별도로 설계할 필요도 없고, 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 희생양극을 교체해야 할 번거로움도 없으며, 설치 및 유지 관리의 어려움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식전류의 산정이 용이하며,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배선을 할 수 있고, 양극부, 기준전극부, 기준전위측정부 및 출력제어부는 상기 관형 하우징에 의해서 수심이 깊은 환경에서도 보호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측정시스템의 수질측정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수질측정유닛의 센싱부를 보이기 위한 도 2의 A 부 절취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측정시스템의 부식방지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측정시스템의 수질측정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수질측정유닛의 센싱부를 보이기 위한 도 2의 A 부 절취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10)은 측정지원유닛(100), 연결유닛(200), 수질측정유닛(300) 및 부식방지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지원유닛(100)은 수질 관리자의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nat) 또는 모바일폰에 수질측정유닛(300)에 의한 수질 측정 결과를 전송하기 위한 모뎀(120)과, 상기 모뎀(120)과, 상기 수질측정유닛(300) 및 상기 부식방지유닛(4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30)는 상기 수질측정유닛(300)에 외부 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AC전원부(131)와, 상기 AC전원부(131)에서 공급된 전원을 직류로 변환시켜 상기 수질측정유닛(300) 또는 상기 부식방지유닛(400)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정류기(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AC전원부(131)로부터 공급된 AC전원은 평상시에는 충전기(135a)를 통해 2차전지인 배터리(135b)에 충전했다가 AC전원부(131)에 문제가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135b)는 상기 AC전원부(131)에 연결하기 힘든 곳에서는 솔라패널(139)에 의해서 충전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유닛(200)은 상기 측정지원유닛(100)과 상기 수질측정유닛 (300)을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측정지원유닛(100)과 상기 수질측정유닛(300)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데이터를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케이블(210,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질측정유닛(300)은 수중에 마련되어, 자신이 위치한 심도의 지하수에 대한 수질을 측정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수질측정유닛 (300)은 관형 하우징(310)의 상단에 상기 연결유닛(200)의 케이블(210.220)과, 이 케이블(210, 220)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313)와, 상기 관형 하우징(310)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기재(330)상에 수용되며 상기 케이블(210, 220)을 통해서 상기 측정지원유닛(100)의 제 1 제어부(137)와 연동하여 상기 수질측정유닛(300) 또는 상기 부식방지유닛(400)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제어부(330)와, 상기 제 2 제어부(330)의 제어 하에서 상기 관형 하우징(310)의 하단에 형성된 장공(311)을 통해 지하수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자신이 위치한 심도의 지하수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봉형상의 보호관(350a)에 내장된 온도센싱부(350)와 상기 보호관(350a)에 내장된 온도센싱부(350)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되어 자신이 위치한 심도의 지하수에 대한 전기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한 전기전도도센싱부(370), 및 상기 전기전도도센싱부(370) 하부에 배치되어 수압을 통해서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싱부(3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어부(330)는 상기 전기전도도센싱부(370)에서 전기전도도 값을 측정하고 상기 수위센싱부(390)에서 수위를 측정하고 상기 보호관(350a)에 내장된 온도센싱부(350)에서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온도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전도도센싱부(370)에서 측정된 전기전도도 값을 보정하여, 상기 제 1 제어부(137)를 통해서 상기 모뎀(120)을 작동시켜 서버 또는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부식방지유닛(400)은 설치 깊이에 따라 다른 환경에 놓이게 되는 수질측정유닛(300)에 동일한 방식처리를 하는 경우 부식이 발생하거나 또는 과방식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전기 방식장치로서, 상기 관형 하우징(31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 기재(302)상의 상기 제 2 제어부(330)를 매개로 연결되어 양극부(410)와 피방식체인 음극부(430) 사이에 공급되는 방식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출력제어부(435)와, 상기 방식전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음극부(430)의 기준전위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전극부(450)와 기준전위측정부(433)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양극부(410)로서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하수가 해수의 영향을 받는 곳도 있기 때문에 소모량이 적은 티타늄에 백금도금으로 이루어진 상기 온도센싱부(350)의 보호관(350a)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상기 양극부(410)로서 상기 온도센싱부(350)의 보호관(350a)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기 관형 하우징(310)내부에서 내부배선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제어부(435)의 양극(435a)과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구성이 필요 없으며, 시공의 어려움이나 시공의 불편성을 줄일 수 있고, 설치 또는 A/S 시 배선이 끊어지거나 걸릴 염려가 없으며, 상기 관형 하우징(310) 내부에 위치하여 환경에 매우 안정적이게 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음극부(430)는 상기 수질측정유닛(300)의 관형 하우징(310)을 이용하며, 상기 양극부(410), 즉 상기 온도센싱부(350)의 보호관(350a)이 상기 출력제어부(435)의 양극단자(435a)에 접속되고, 상기 관형 하우징(310)이 음극단자(435b)에 접속될 때, 상기 관형 하우징(310)이 균일하게 음극으로 분극되어 부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싱부(350)의 보호관(350a) 주위에 상기 기준전극부(450)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전극부(450)가 상기 기준전위측정부(433)에 접속되고, 상기 관형 하우징(310)을 사용하는 음극부(430)가 상기 기준전위측정부(433)에 접속되어, 피방식체인 상기 관형 하우징(310)을 이용하는 상기 음극부(430)의 기준전위를 상기 제 2 제어부(330)의 제어 하에서 측정하여 상기 출력제어부(435)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수질측정센서가 한 줄로 연결되어 설치되고 설치된 환경이 다를 경우, 예를 들어, 어떤 센서는 해수층에 어떤 센서는 담수층에 설치 깊이에 따라 다른 환경에 놓이게 되는 경우, 전체를 같은 정도로 방식을 할 경우 방식기준에 모자라거나 과방식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제어부(330)의 제어 하에 상기 기준전위측정부(433)에서 해당 환경의 기준전위를 측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제어부(435)에서 양극부(410)와 피방식체인 음극부(430) 사이의 방식전류를 달리 제어함으로써 방식이 덜되거나 과방식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표 1]
Figure 112014062330250-pat0000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극부(410)로 이용되는 상기 온도센싱부(350)의 보호관(350a)은 상기 수질측정유닛(300) 하단에 형성된 장공(311)을 통해서 지하수 중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며, 상기 수질측정유닛 (300)의 음극부(430)로 이용되는 관형 하우징(310)도 지하수 중에 노출되어 상기 양극부(410)와 상기 음극부(430)는 모두 지하수 중에 노출되어 지하수 중의 전해질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질측정유닛(300)의 관형 하우징(310)은 상기 출력제어부(435)의 음극단자(435b)에 스프링(230)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음극부(430)를 형성한다.
상기 관형 하우징(3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극부로 분극되며, 상기 관형 하우징(310)은 스테인레스 또는 티타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준전극부(450)는 아연을 이용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측정시스템의 부식방지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측정시스템의 부식방지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상기 제 2 제어부(330)는 상기 보호관(350a)에 내장된 온도센싱부(350), 상기 전기전도도센싱부(370), 및 상기 수위센싱부(390)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수질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측정된 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2제어부(330)는 상기 측정지원유닛(100)의 제 1 제어부(137)와 연동하여 상기 모뎀(120)을 이용하여 수질 측정 결과를 수질 관리자의 서버, PDA 또는 모바일폰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제어부(330)는, 상기 수질측정유닛(300)의 상기 전기전도도 센싱부(370), 상기 보호관(350a)에 내장된 온도센싱부(350), 상기 수위센싱부(390)가 전기전도도, 온도, 수위를 측정하고(S110), 측정된 전기전도도, 온도, 및 수위를 이용하여 해당 수심에서 온도 보정된 전기전도도 값을 산출하고(S120), 상기 산출된 전기전도도 값이 기준범위내인지를 판단하고(S130), 상기 전기전도도가 기준범위 밖이고 이전 전기전도도 값으로부터 소정시간 동안 변동이 발생하면, 상기 기준전위측정부(433)로 하여금 상기 기준전극(450)과 상기 음극부(430) 사이의 기준전위를 측정하도록 하고(S140), 상기 기준전위측정부(433)에서 측정한 기준전위 값에 따라 상기 출력제어부(435)로 하여금 상기 양극부(410)에서 지하수를 매개로 상기 관형 하우징(310)인 음극부(430)로의 방식전류를 조정한다(S150).
상기 계산된 전기전도도 값이 일정시간 동안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제어부(435)가 소정의 방식전류를 유지한다(S160).
이러한 방식제어에 의하여, 수질측정시스템이 부식이 되는 문제 뿐만 아니라 과방식에 의한 수소발생으로 인하여 스텐레스강이나 티타늄 등으로 이루어진 수질측정시스템이 균열 또는 열화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은 양극부가 소모가 되지 않는 불용성이어서 상기 수질측정유닛 (300)의 상기 관형 하우징(310)에 방식 전류를 흘려주기 위한 반영구적인 부품으로서 교체할 필요가 없다.
또한, 지하수의 오염, 수심 등으로 주변환경의 비저항, pH가 변화됨에 따라서 상기 출력제어부(435)를 통해 출력되는 방식전류의 양을 제어하기 때문에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식 전류의 산정이 용이하며, 안정적이고 용이한 배선을 제공할 수 있고, 수심이 깊은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양극부와 기준전극부 및 음극부가 상기 관형 하우징 및 상기 관형 하우징 내부의 기재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측정지원유닛    200 : 연결유닛
300 : 수질측정유닛  400 : 부식방지유닛
450 : 기준전극      430 : 음극부
410 : 양극부

Claims (5)

  1. 제 1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갖는 측정지원유닛;
    상기 제 1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제 2 제어부의 제어 하에 각 수질측정 환경의 온도, 수위, 전기전도도도를 측정하는 보호관에 내장된 온도센싱부, 수위센싱부, 및 전기전도도센싱부를 관형 하우징의 일단에 가지며, 상기 측정지원유닛과 상기 관형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유닛으로 연결되는 수질측정유닛; 및
    상기 관형 하우징 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기재상에 배치되어 각각의 환경에 대한 상기 관형 하우징의 부식방지를 위한 기준전위를 측정하는 기준전위측정부와, 상기 기준전위에 대한 방식전류밀도를 제어하여 공급하기 위한 출력제어부와, 상기 관형 하우징 내부에서 내부배선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제어부의 양극과 접속되며, 상기 온도센싱부 보호관을 이용하는 양극부와, 상기 양극부 주위에 기준전위 측정을 위하여 설치되는 기준전극부와, 상기 관형 하우징을 이용하는 음극부로 구성되는 부식방지유닛을 포함하는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 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AC전원부와, 상기 AC전원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직류로 변환시켜 상기 수질측정유닛 또는 상기 부식방지유닛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정류기와, 상기 AC전원부로부터 공급된 AC전원 또는 솔라패널에 의해서 충전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수질측정유닛의 상기 전기전도도 센싱부, 상기 보호관에 내장된 온도센싱부, 상기 수위센싱부가 전기전도도, 온도,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기전도도와 온도를 이용하여 해당 수심에서 온도 보정된 전기전도도 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전기전도도 값이 기준범위내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전기전도도가 기준범위 밖이고 이전 전기전도도 값으로부터 소정시간 동안 변동이 발생하면, 상기 기준전위측정부로 하여금 상기 기준전극과 상기 음극부 사이의 기준전위를 측정하도록 하고, 상기 기준전위측정부에서 측정한 기준전위 값에 따라 상기 출력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양극부와 상기 음극부 사이에 적정한 방식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은 티타늄에 백금도금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준전극은 아연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제어부의 음극단자와 상기 관형 하우징인 음극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동 재질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제어부와 상기 기준전위측정부는 상기 양극부 또는 상기 기준전극부와 상기 관형 하우징 내부에서 케이블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출력제어부의 음극단자와 상기 관형 하우징은 상기 스프링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
KR1020140082306A 2014-07-02 2014-07-02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 KR101463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306A KR101463893B1 (ko) 2014-07-02 2014-07-02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306A KR101463893B1 (ko) 2014-07-02 2014-07-02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3893B1 true KR101463893B1 (ko) 2014-11-20

Family

ID=5229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306A KR101463893B1 (ko) 2014-07-02 2014-07-02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9007A (zh) * 2019-06-27 2019-09-10 中国石油工程建设有限公司北京设计分公司 电位检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203A (ko) * 2008-05-19 2009-11-24 한국농어촌공사 관정 내장형 지하수 수질 관측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2570A (ko) * 2010-11-16 2012-05-24 송하영 전기 방식용 정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203A (ko) * 2008-05-19 2009-11-24 한국농어촌공사 관정 내장형 지하수 수질 관측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2570A (ko) * 2010-11-16 2012-05-24 송하영 전기 방식용 정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9007A (zh) * 2019-06-27 2019-09-10 中国石油工程建设有限公司北京设计分公司 电位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798B1 (ko) 극한지 파이프라인의 부식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외부전원방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60070871A1 (en) Cathodic protection system for underground storage tank
NO342343B1 (en) Real-time cathodic protection integrity monitoring sensor, system and method
US20150198518A1 (en) Cathodic protection reference cell article and method
KR101604344B1 (ko) 저전력 기반의 고속 이동식 지하 매설배관 방식전위 측정 시스템
KR101463893B1 (ko) 자동부식방지기능을 갖는 수질측정시스템
JP2020012189A (ja) 犠牲陽極構造体並びに犠牲陽極の消耗状態判別装置及び判別方法
US20160326657A1 (en) Corrosion protection system and pump device with the same
CN114075671B (zh) 高电阻率环境牺牲阳极保护效果试验方法及装置
US20220128454A1 (en) Potential measuring device and method
CN205473998U (zh) 海水中区域设备用电流防腐蚀系统
JP4854653B2 (ja) カソード防食状況の計測評価方法及び計測評価システム
EP2610369A2 (en) Method and device for anti-corrosion cathodic protection
US5739424A (en) Galvanic corrosion inhibiting coupling interposed between two dissimilar pipes
GB2124382A (en) Determining the level of protection provided by a submarine cathodic protection system
KR102263679B1 (ko) 임피던스 추정을 이용한 전기방식 장치 및 방법
US20210276890A1 (en) Systems and devices for corrosion prevention and methods thereto
JP5994002B1 (ja) ケーブル被覆損傷位置検出方法、およびケーブル被覆損傷位置検出装置
KR100595391B1 (ko) 전기방식장치
CN207793436U (zh) 一种埋地管道阴极保护系统
JP5718850B2 (ja) 金属構造物のカソード防食システム及びカソード防食方法
CN110863205A (zh) 线路管道阴极保护干扰处理方法
US7192513B2 (en) Cathodic protection junction box current equalizer
KR101753860B1 (ko) 수용가에서 염소 농도 측정이 가능한 압력센서 내장형 멀티센서
CN103255424A (zh) 一种用于淡水环境下钢制闸门的阴极保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