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687B1 - 캔용기 스트랩 - Google Patents

캔용기 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687B1
KR101463687B1 KR20130055734A KR20130055734A KR101463687B1 KR 101463687 B1 KR101463687 B1 KR 101463687B1 KR 20130055734 A KR20130055734 A KR 20130055734A KR 20130055734 A KR20130055734 A KR 20130055734A KR 101463687 B1 KR101463687 B1 KR 101463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ntainer
width
band member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5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구
Original Assignee
김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구 filed Critical 김충구
Priority to KR20130055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2Bail handles, i.e. pivoted rigid handles of generally semi-circular shape with pivot points on two opposed sides or wall parts of the cona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다수의 캔용기를 정돈된 상태로 정리 가능하여 적재 및 운반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조립공정을 포함한 제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캔용기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인트통을 포함한 캔용기(10)에 구비되는 체결돌기(11)의 체결공(12)에 양단이 끼움결합되도록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캔용기 스트랩에 있어서; 일정폭과 두께로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띠부재(31)와; 상기 띠부재(31)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체결공(12)에 탄성적으로 끼움결합되는 체결편(36)이 돌출 형성된 결합캡(34)과; 상기 띠부재(31)의 길이방향 중간에 형성되어 손으로 그립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띠부재(31)의 폭에 비해 축소되거나 상기 띠부재(31)의 폭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폭을 형성하는 그립부(32)가 구비된 캔용기 스트랩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캔용기 스트랩{Strap of a can vessel}
본 발명은 캔용기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적재 및 운반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캔용기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인트통과 같은 캔용기는 원료가 담기는 통의 상단에 커버가 개폐되도록 결합되고, 캔용기의 상단에는 운반이 용이하도록 그립 가능한 스트랩이 구비된 것으로, 이러한 캔용기와 스트랩은 대개 스틸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트랩의 경우에는 일정 직경으로 된 스틸 재질의 와이어로 구비되거나 일정폭과 길이로 된 띠형상으로 성형된 합성수지 재질의 띠부재로 구비되는 통상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캔용기에 결합되는 스트랩의 일례를 도시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트랩(20)은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띠부재(21)로 구비되는데, 이 띠부재(21)는 길이방향으로 균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양단에 원형의 결합캡(22)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결합캡(22)은 내측에 탄성적으로 끼움결합 가능하도록 된 체결구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랩(20)은 캔용기(10)의 상부 측면에 상기 결합캡(22)이 결합되어 캔용기(10)의 상부 또는 외주 측면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스트랩(20)은 손으로 그립하여 캔용기(10)를 운반하는 데에 용이하나, 캔용기(10)를 보관 또는 적재를 위해 상기 스트랩(20)을 캔용기(10)의 외주 일측으로 젖힌 상태에서는 상기 캔용기(10)로부터 띠부재(21)의 폭에 상응하여 돌출되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스트랩(20)에 의해서는 다수의 캔용기(10)를 상호 밀착시킨 상태로 적재나 보관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깔끔하게 정돈된 상태로 캔용기(10)를 정리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스트랩(20)은 상기 결합캡(22)에 구비되는 체결구의 탄성작동에 의해 상기 캔용기(10)에 끼움결합되는 것이나, 종래의 체결구는 그 구조상 특정 방향에서 캔용기(10)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있음으로 인해 체결력이 약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실1999-014135호) 1999. 04. 26.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다수의 캔용기를 정돈된 상태로 정리 가능하여 적재 및 운반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조립공정을 포함한 제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캔용기 스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페인트통을 포함한 원통형의 캔용기(10)에 구비되는 체결돌기(11)의 체결공(12)에 양단이 끼움결합되도록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캔용기 스트랩에 있어서;
일정폭과 두께로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띠부재(31)와;
상기 띠부재(31)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체결공(12)에 탄성적으로 끼움결합되는 체결편(36)이 돌출 형성된 결합캡(34)과;
상기 띠부재(31)의 길이방향 중간에 형성되어 손으로 그립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상기 띠부재(31)의 폭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폭을 형성하도록 폭에 비해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바아형태의 그립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 스트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결편(36)은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 단면을 이루도록 다수로 분할 형성되되, 상기 체결공(12)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균일하게 연장되어 외주 일측에 상기 체결공(12)에 예비로 걸리도록 된 가조립돌기(38)가 돌출 형성된 보조결합부(37)와, 상기 보조결합부(37)로부터 점차 확경되는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져 단부가 상기 체결공(12) 내부에 걸리도록 된 확경결합부(3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 스트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띠부재(3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격자망 형상의 보강리브(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 스트랩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캔용기(10)에 결합되는 띠부재(31)의 중간부분에 손으로 그립하는 그립부(32)가 형성되는데, 이 그립부(32)는 띠부재(31)의 폭에 비해 축소되거나 폭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띠부재(31)을 캔용기(10)의 외주 측면으로 젖힐 때에 상기 캔용기(10)의 외주 측면으로부터 상기 띠부재(31)가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인접되는 다른 캔용기(10)를 밀착된 상태로 배열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캔용기(10)의 정리 정돈시에 상기 띠부재(31)에 의한 간섭을 줄임으로 인해 적재 및 운반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띠부재(31)의 양단부에 구비된 체결편(36)이 캔용기(10)의 체결공(12)에 가결합되도록 가조립돌기(38)가 형성된 보조결합부(37)와 이 보조결합부(37)로부터 확경되어 상기 체결공(12)의 내부에 걸리도록 된 확경결합부(39)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보조결합부(37)에 의해 상기 띠부재(31)를 캔용기(10)에 가결합한 상태에서 자동화된 장치 등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 공급하여 상기 띠부재(31)를 캔용기(10)에 끼움결합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띠부재(31)를 캔용기(10)에 결합하는 조립공정 등을 포함한 제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띠부재(31)의 확경결합부(39)는 전체적인 형상의 원형 단면 형태로 이루어져 그 단부가 상기 체결공(12) 내부에 걸림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확경결합부(39)의 단부가 체결공(12)의 내측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걸려 상기 체결편(36)이 체결공(12)으로부터 빠질 우려가 적고, 이에 의해 캔용기(10) 상에 결합되는 띠부재(31)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스트랩 및 그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따른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트랩(30)은 일정폭과 두께로 형성되어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띠부재(31)로 구비되는데, 상기 띠부재(31)에는 양단에 캔용기(10)에 결합되는 결합캡(22)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중간에 손으로 그립할 수 있도록 된 그립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32)는 띠부재(31)의 폭에 비해 축소되거나 상기 띠부재(31)의 폭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폭을 형성하도록 연장되고, 손으로 그립이 용이하도록 일측에 요철면(3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띠부재(31)는 상기 결합캡(34)이 캔용기(10)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도 3을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캔용기(10)는 통상의 페인트통과 같이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상부 양측에 상기 결합캡(34)에 대응된 체결돌기(11)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11)는 대략 원형단면으로 이루어져 일정 크기의 체결공(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띠부재(31)의 결합캡(34)은 상기 체결돌기(11)의 단면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체결돌기(11)의 외부에 끼워지도록 된 캡부(35)와 이 캡부(35)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12)에 끼움결합되는 체결편(36)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체결편(36)은 탄성적으로 상기 체결공(12)에 결합되도록 다수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트랩(30)에 의하면, 상기 띠부재(31)의 중간부분에 형성되는 그립부(32)에 의해 띠부재(31) 자체의 중간부분이 그 폭을 축소하여 연장되거나 폭방향으로 달리하여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캔용기(10)의 외주 일측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상기 캔용기(10)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띠부재(31) 자체에 의한 돌출폭(L1)이 종래의 스트랩(20)에 의한 돌출폭(L2)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스트랩(30)은 종래에 비해 다수의 캔용기(10)를 밀접하게 배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컴팩트한 정돈이 가능하여 적재 및 운반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합캡(22)은 상기 체결편(36)의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 단면을 이루도록 다수로 분할되어 탄성적으로 캔용기(10)의 체결공(12)에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공(12)의 직경에 대응되어 일정 직경으로 연장되는 보조결합부(37)와 이 보조결합부(37)로부터 점차 확경되는 원추 형상으로 된 확경결합부(39)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조결합부(37)에는 외주 일측에 상기 체결공(12)에 끼움결합되는 가조립돌기(38)가 형성되는데, 이 가조립돌기(38)는 본 발명의 스트랩(30)이 캔용기(10)에 가결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캔용기(10)와 스트랩(30)을 상호 조립할 때에 이송라인 상에서 다수의 캔용기(10)를 연속적으로 이송하여 프레스수단 등에 의해 자동 조립하도록 공급하는 데에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확경결합부(39)는 전술된 바와 같은 프레스수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 축경된 상태로 상기 체결공(12)을 통과한 후에, 상기 체결공(1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적으로 확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확경결합부(39)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단면을 이룸에 따라 그 단부가 체결공(12)의 내부 둘레에 전체적으로 걸리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체결공(12)으로부터 빠질 염려가 없어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띠부재(31)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격자망 형상의 보강리브(35)가 더 형성되는데, 이 보강리브(35)는 상기 띠부재(31) 상에 격자망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띠부재(31) 자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강성을 보강하여 상기 캔용기(10)의 무게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페인트통을 포함한 캔용기(10)에 구비되는 체결돌기(11)의 체결공(12)에 양단이 끼움결합되도록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캔용기 스트랩에 있어서;
    일정폭과 두께로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띠부재(31)와;
    상기 띠부재(31)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체결공(12)에 탄성적으로 끼움결합되는 체결편(36)이 돌출 형성된 결합캡(34)과;
    상기 띠부재(31)의 길이방향 중간에 형성되어 손으로 그립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상기 띠부재(31)의 폭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폭을 형성하도록 폭에 비해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바아형태의 그립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편(36)은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 단면을 이루도록 다수로 분할 형성되되, 상기 체결공(12)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균일하게 연장되어 외주 일측에 상기 체결공(12)에 예비로 걸리도록 된 가조립돌기(38)가 돌출 형성된 보조결합부(37)와, 상기 보조결합부(37)로부터 점차 확경되는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져 단부가 상기 체결공(12) 내부에 걸리도록 된 확경결합부(3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 스트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부재(3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격자망 형상의 보강리브(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 스트랩.
KR20130055734A 2013-05-16 2013-05-16 캔용기 스트랩 KR101463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5734A KR101463687B1 (ko) 2013-05-16 2013-05-16 캔용기 스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5734A KR101463687B1 (ko) 2013-05-16 2013-05-16 캔용기 스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3687B1 true KR101463687B1 (ko) 2014-11-19

Family

ID=5229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5734A KR101463687B1 (ko) 2013-05-16 2013-05-16 캔용기 스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874Y1 (ko) 2018-10-25 2019-03-29 (주)실리만 착탈식 스트랩이 연결되는 물주머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1446A1 (en) * 1999-04-08 2000-10-19 Ropak Corporation Container handle and related methods
KR200226946Y1 (ko) * 2001-01-05 2001-06-15 주식회사대륙제관 용기의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1446A1 (en) * 1999-04-08 2000-10-19 Ropak Corporation Container handle and related methods
KR200226946Y1 (ko) * 2001-01-05 2001-06-15 주식회사대륙제관 용기의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874Y1 (ko) 2018-10-25 2019-03-29 (주)실리만 착탈식 스트랩이 연결되는 물주머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23410S1 (en) Beverage container
CA3006368C (en) Variable cone container carrier
US20060278751A1 (en) Membrane reel fixing device for a membrane strapping dispenser
TWM595627U (zh) 扣合式組合容器
KR101463687B1 (ko) 캔용기 스트랩
US20150314910A1 (en) Flexible plastic packaging box
US20130087525A1 (en) Support ring of bottle capable of carrying the bottle and connecting bottles
US7464833B2 (en) Holding device for sport stacking cups
JP5359619B2 (ja) 缶用キャップおよび景品付き缶
KR101675937B1 (ko) 용기의 손잡이 결합구조
US4174779A (en) Carrying case for bottles
US20120037630A1 (en) Moldable threaded closure with a raised tab for use with a peg-board type store display configured to receive a common household item to facilitate un-tightening of the closure
KR101486242B1 (ko) 포장용 캔 용기
US20210015245A1 (en) Holding device
KR200442283Y1 (ko) 병 홀더
US20180319543A1 (en) Container
KR101251199B1 (ko)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
KR200474336Y1 (ko) 음료 용기 캐리어
CN217457059U (zh) 新型包装罐
CN211253617U (zh) 一种用于自动化设备的杯盖
JP5370198B2 (ja) 缶用キャップおよび景品付き缶
KR101688901B1 (ko) 식품 저장용기
KR200487618Y1 (ko) 낚시용품 보관통
KR101928906B1 (ko) 커버가 구비된 딸기보관용기
KR101867155B1 (ko) 착탈식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