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283Y1 - 병 홀더 - Google Patents

병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283Y1
KR200442283Y1 KR2020080008783U KR20080008783U KR200442283Y1 KR 200442283 Y1 KR200442283 Y1 KR 200442283Y1 KR 2020080008783 U KR2020080008783 U KR 2020080008783U KR 20080008783 U KR20080008783 U KR 20080008783U KR 200442283 Y1 KR200442283 Y1 KR 2004422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holder
bottle
arcuate
arc
holder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원석
Original Assignee
송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원석 filed Critical 송원석
Priority to KR2020080008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2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2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2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70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9/00Articles joined together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without the use of packag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병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류, 음료, 생수, 샴푸 등의 액체제품이 담긴 패트병이나 유리병 및 샴푸용기 등이 결합부재에 슬라이딩 원터치 체결방식으로 견고하게 다수 개 체결되어 파손 없이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재사용이 가능하여 2차 포장에 의한 포장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병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각형의 몸체와, 상기 다각형 몸체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며, 각각 모서리의 외측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양단부가 원호상으로 연장형성되는 다수 쌍의 원호상 연장부와, 각각이 상기 각 쌍의 원호상 연장부의 내주부로부터 원호상 연장부의 내주면을 따라 원호상 연장부의 선단부로 연장형성되며, 병이 양선단부 사이로 결합될 때 탄성적인 변형이 이루어지는 다수 쌍의 원호상 탄성 결합부로 구성된다.
패트병, 유리병, 샴푸용기, 병 홀더

Description

병 홀더{Bottle Holder}
본 고안은 병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류, 음료, 생수, 샴푸 등의 액체제품이 담긴 패트병이나 유리병 및 샴푸용기 등이 결합부재에 슬라이딩 원터치 체결방식으로 견고하게 다수개 체결되어 파손 없이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재사용이 가능하여 2차 포장에 의한 포장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병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트병이나 유리병 및 샴푸용기 등에 담긴 주류, 음료, 생수, 샴푸 등의 액체제품을 마트에서 다량으로 구입하는 경우 비닐백에 담아 운반을 한다. 이 경우 제품의 무게에 의해 비닐백이 찢어지거나, 운반중에 제품이 상호 부딪혀서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4개, 6개 또는 8개씩 포장필름을 사용하여 1세트로 포장한 제품이 판매되고 있어 재활용이 될 수 없는 2차 포장이 이루어지고 있고, 샴푸제품 또한 사용자의 모발타입별로 지성, 건성 및 민감성으로 분류된 것을 각각 샴푸와 린스 제품을 1세트로 포장하는 2차 제품포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2차 포장에 의한 포장폐기물이 많이 발생된다.
한편, 등산이나 낚시 또는 나들이를 갈 때 패트병이나 유리병에 담긴 생수, 음료, 주류 등을 휴대하게 되는데, 한두 병은 가방에 담아 휴대하거나 운반이 가능 하나 다수개의 병은 비닐백이나 박스에 담아 운반해야 한다. 따라서, 휴대 및 운반에 어려움이 있다.
종래에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실용신안등록 제367683호에는 볼트형체결목을 가진 병을 다수개 체결하기 위한 병홀더에 있어서, 병의 볼트형 체결목에 대응하는 너트형 원통체결부가 홀더 몸체의 하부에 규칙적으로 일개 이상 배치하며, 상기 홀더 몸체에 손잡이용 개방부를 구비하는 병 홀더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등록된 병 홀더는 패트병과 같이 볼트형 체결목을 가지는 병의 뚜껑을 제거한 후, 너트형 원통체결부와 병의 볼트형 체결목이 결합되는 나사결합 방식의 결합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그 결합과정이 매우 번거로워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고, 다양한 형태의 병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실용신안등록 제402825호에는 홀더 몸체 양측에 끼움홈을 갖는 끼움부를 갖는 패트병 홀더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사각형 형상이나,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십각형, 십이각형 등의 구멍 형태로 이를 조성하며, 상기 각진 구멍 형태의 끼움홈 일측에 절결홈을 갖는 패트병 홀더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된 패트병 홀더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각진 다각형태의 끼움홈에 패트병의 목부위를 눌러 끼울 때 그 일측에 함께 형성된 절결홈이 동시에 벌어져서 패트병 목부위를 억지 끼움 방식으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 자가 상당한 힘을 가해야만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편리한 사용이 어렵고, 잦은 결합과 분리에 의해 끼움홈이 늘어나거나 절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수개의 병을 체결할 경우 무게에 의하여 운반시 체결된 병들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출렁거림에 의해 상호 부딪혀서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한 종래의 병 홀더는 원형 또는 다각형 수용홈을 구비하므로 샴푸나 린스 제품과 같이 캡이 비대칭 형상으로 길게 돌출될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패트병이나 유리병, 샴프용기 등의 목 부위가 일측이 개방된 결합부재에 슬라이딩 원터치 방식으로 탄력적으로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고, 다수개의 병을 체결하여 한번에 운반할 수 있으며, 체결된 병의 상태가 견고하여 운반과정에서 병들이 상호 접촉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병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반영구적이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음료, 주류 등의 패트병, 유리병 및 샴푸용액을 담은 샴푸용기를 다수개씩 세트로 판매하기 위한 2차 포장용 포장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병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 비용이 절감되며, 휴대가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극대화한 병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병 홀더는 다각형의 몸체와, 상기 다각형 몸체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며, 각각 모서리의 외측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양단부가 원호상으로 연장형성되는 다수 쌍의 원호상 연장부와, 각각이 상기 각쌍의 원호상 연장부의 내주부로부터 원호상 연장부의 내주면을 따라 원호상 연장부의 선단부로 연장형성되며 병이 양선단부 사이로 결합될때 탄성적인 변형이 이루어지는 다수쌍의 원호상 탄성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원호상 연장부는 내측에 상기 원호상 탄성결합부의 선단부가 벌어지는 경우 상기 원호상 탄성결합부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는 중앙부에 관통구멍을 구비한다.
상기 다각형의 각변과 상기 원호상 연장부 사이에는 내향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향곡면의 내측부에는 각각 다수의 요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호상 연장부와 상기 각각의 연장부는 하측면은 미리 설정된 폭으로 단차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의 상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호형의 손잡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가상선상에 위치하며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되어 손잡이 벨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한쌍의 관통구멍을 더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병 홀더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쌍의 원호상 탄성결합부의 중심과 중심 사이의 거리는 결합되는 병의 몸통직경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각형은 각변의 길이가 서로 동일한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변에 다수 쌍의 원호상 연장부와 다수 쌍의 원호상 탄성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다각형 몸체와, 상기 다각형 몸체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어 다수의 병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결합부재 각각은 상기 각 모서리의 외측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양단부가 원호상으로 연장형성되고, 각각 상측면에 한쌍의 수용홈을 구비한 다수 쌍의 원호상 연장부와, 각각이 상기 각 쌍의 원호상 연장부의 내주부로부터 원호상 연장부의 내주면을 따라 원호상 연장부의 선단부로 연장형성되며 탄성변형되어 상기 한쌍의 수용홈으로 변위되는 다수 쌍의 원호상 탄성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홀더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몸체는 직사각형상이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변에 다수의 결합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결합부재는 개구부의 방향이 서로 반대방 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병 홀더가 패트병이나 유리병, 샴프용기 등의 목 부위에 슬라이딩 원터치 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병들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체결되므로 다수개의 병을 체결하여 한번에 운반할 수 있으며, 운반과정에서 병들이 상호 접촉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질의 합성수지로 간단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져 반영구적이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2차 포장에 의한 포장폐기물을 줄일 수 있고, 휴대가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병 홀더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평면도, 도 2b는 도 1의 저면도, 도 3은 도 2a의 요부를 확대한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a의 B-B선의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병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 내지 도 10은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병 홀더(1)는 다각형의 몸체(10)와, 상기 다각형 몸체(1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며, 각각 모서리의 외측방향으로 개구 부(21)가 형성되도록 양단부가 원호상으로 연장형성되는 다수 쌍의 원호상 연장부(20a, 20b)와, 각각이 상기 각쌍의 원호상 연장부(20a, 20b)의 내주부로부터 원호상 연장부(20a, 20b)의 내주면을 따라 원호상 연장부(20a, 20b)의 선단부로 연장형성되며, 병이 양선단부 사이로 결합될 때 탄성적인 변형이 이루어지는 다수쌍의 원호상 탄성 결합부(30a, 30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체(10)는 도 1 및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판체로 일정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에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다. 상기 다각형은 각변의 길이가 서로 동일한 정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쌍 원호상 연장부(20a, 20b)는 내측 상부면에 상기 원호상 탄성 결합부(30a, 30b)의 선단부가 벌어지는 경우 원호상 탄성 결합부(30a, 30b)의 선단부(31a,31b)를 수용하는 수용홈(22a, 22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쌍 원호상 연장부(20a, 20b)는 그의 내주부(200a, 200b)가 도 5a 및 도 5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선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주부(200a, 200b) 사이의 거리(L1)는 체결되는 병(2)의 목(2a)의 직경(D1)에 따라 설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각쌍의 원호상 연장부(20a, 20b)와 원호상 탄성결합부(30a, 30b)는 좌/우 선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원호상 탄성결합부(30a, 30b)의 선단부는 병(2)이 체결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수용홈(22a, 22b)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수용홈(22a, 22b)은 탄성결합부(30a, 30b)의 선단부(31a, 31b)가 모두 수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용홈(22a, 22b)은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로 향하여 폭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탄성결합부(30a, 30b)가 선단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것과 대응한다. 또한, 탄성결합부(30a, 30b)의 후단부 폭이 좁게 설계됨에 다라 탄성력을 갖게 된다. 더욱이, 탄성결합부(30a, 30b)가 병(2)의 결합에 따라 수용홈(22a, 22b)으로 이동될지라도 탄성결합부(30a, 30b)의 하측면이 수용홈(22a, 22b)에 의해 지지되므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병(2)의 돌기부(2b)를 받치게 된다.
한편, 상기 각쌍의 원호상 연장부(20a, 20b)와 각쌍의 원호상 탄성결하부(30a, 30b)는 병(20) 한개에 대한 결합부재(3a, 3b, 3c, 3d)를 형성하며, 상기 하나의 결합부재(3a)의 탄성결합부(30a, 30b)의 중심(C1)과 인접한 결합부재(3b)의 탄성결합부(30a, 30b)의 중심(C2) 사이의 거리(L2)는 결합부재(3a, 3b)에 결합되는 병(2)의 몸통직경(D2) 보다 약간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3a-3f)는 다각형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고, 제1 내지 제6 실시예의 경우 개구부(21)의 방향이 방사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원호상 탄성결합부(30a,30b)의 선단부(31a, 31b) 외측하단면과 이에 대응하는 수용홈(22a, 22b)의 측면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이루어져 병(2)의 체결시 상기 원호상 탄성결합부(30a, 30b)의 선단부(31a, 31b)가 원호상 연장부(20a, 20b)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슬라이딩 되면서 수용홈(22a, 22b)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다각형의 각변(13)과 상기 원호상 연장부(20a, 20b) 사이에는 내향곡면(1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향곡면(14)의 내측부에는 각각 다수의 요홈(15)이 형성된다. 상기 내향곡면(14)은 부피를 줄이면서도 미감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으며, 요홈(15)은 병 홀더(1)의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재료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
상기 원호상 연장부(20a, 20b)와 상기 원호상 탄성결합부(30a, 30b)의 하측면(23)에는 도 2b와 같이, 미리 설정된 폭으로 상기 원호상 탄성결합부(30a, 30b)의 내주부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갖는 대략 원호상으로 만곡진 단차부(24)가 형성된다. 이러한 단차부(24)는 병(2)의 상단에 형성된 만곡부(2c)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원호상 탄성결합부(30a, 30b)는 병(2)의 목(2a) 부위에 형성된 돌기부(2b)의 하단에 밀착되어 체결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병(2)을 체결하게 된다.
상기 병 홀더(1)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다수의 병들이 체결되어도 하중에 의해 출렁거리거나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체결되어 지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병 홀더(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상측면(11)에 원호형의 손잡이부(40)를 일체로 형성함에 의해 병(2)을 체결한 후 이를 손잡이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중심부(C)를 통과하는 가상선상에 위치하며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되어 손잡이 벨트(50)를 결합시키기 위한 한쌍의 관통구멍(16a, 16b)을 형성하여 손잡이 벨트(50)를 필요에 따라 서 탈/부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7실시예에 따른 병 홀더는 몸체(10)가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직사각 형상의 관통구멍(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 측변(13)에 다수 쌍의 원호상 연장부(20a, 20b)와 다수 쌍의 원호상 탄성 결합부(30a, 30b)로 이루어진 결합부재(3a-3h)를 형성하여 한번에 많은 수의 병들을 운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병 홀더는 도 1에 도시된 제 1실시예와 유사하게 4개의 결합부재(3a-3d)를 구비하도록 몸체(10)가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1실시예와 다르게 그 내부에 직사각 형상의 관통구멍(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0)의 각 모서리에 4개의 결합부재(3a-3d)가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2개의 결합부재(3a,3b)는 개구부(21)의 방향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2개의 결합부재(3c,3d)는 개구부(21)의 방향이 결합부재(3a,3b)의 개구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병 홀더는 도 12에 도시된 제 8실시예와 같이, 상기 몸체(10)가 좌/우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적어도 1개씩의 연장결합부재(5a-5d)가 각각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장결합부재(5a-5d)의 개구부(21)의 방향은 각각 결합부재(3a,3b) 및 결합부재(3c,3d)와 동일하게 상측 및 하측방향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 병 홀더를 이루는 소재를 예를 들어, ABS와 같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사출성형하는 경우 생수병 등을 지지하는데 충분한 지지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병 홀더(1)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a, 5b를 참고하면 먼저, 상기 다각형 몸체(10)의 각 모서리에 연장형성된 원호상 연장부(20a, 20b)의 개구부(21)를 통해 체결하고자 하는 병(2)의 목(2a)부분을 밀어 넣으면, 상기 탄성 결합부(30a, 30b)의 선단부(31a, 31b)가 원호상 연장부(20a, 20b)의 수용홈(22a, 22b)의 경사면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되어 벌어지면서 병의 목(2a)부분에 돌출형성된 돌기부(2b)의 하단에 체결되고, 상기 원호상 연장부(20a, 20b)와 상기 각각의 연장부(20a, 20b)의 하측면(23)에 형성된 단차부(24)는 병(2)의 상단에 형성된 만곡부(2c)에 안착 되면서 상기 탄성 결합부(30a, 30b)를 병(2)의 돌기부(2b) 하단으로 받쳐주어 견고하게 체결된다.
나머지 결합부재(3a-3h)에도 순차적으로 병(2)들을 상기와 같이 밀어 넣으면 체결이 완료된다. 또한, 병 홀더(1)에서 병(2)들을 분리할 때는 병 홀더(1) 몸체(10)를 붙잡고 병을 잡아당기면 탄성 결합부(30a, 30b)의 선단부(31a, 31b)가 좌우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분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고안에 따른 병 홀더(1)의 결합부재(3a-3h)에 병(2)들을 슬라이딩 원터치 방식으로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체결 및 분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병 홀더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두께가 얇고 콤팩트하게 이루어져 가방에 수납하여 휴대가 가능하고, 슬라이딩 원터치 방식의 체결수단을 채택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다수개의 병을 동시에 체결하여 한번에 운반할 수 있어 사용 상의 편의를 제공하며, 체결된 병들이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체결되므로 운반과정에서 병들이 상호 접촉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의 병 홀더는 주류, 음료, 생수, 샴푸 등의 액체제품이 담긴 패트병이나 유리병 및 샴푸용기 등이 결합부재에 슬라이딩 원터치 체결방식으로 견고하게 다수개 체결되어 파손 없이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재사용이 가능하여 2차 포장에 의한 포장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병 홀더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병 홀더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평면도.
도 2b는 도 1의 저면도.
도 3은 도 2a의 요부를 확대한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a의 B-B선의 단면도.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병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 4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 5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 6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 7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제 8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병 홀더 2: 병
3a-3d,5a-5d: 결합부재 10: 몸체
11: 상측면 12: 관통구멍
13: 각변 14: 내향곡면
15: 요홈 20a,20b: 원호상 연장부
21: 개구부 22a,22b: 수용홈
23: 하측면 24: 단차부
30a,30b: 원호상 탄성결합부 31a,31b: 선단부
40: 손잡이부 50: 손잡이 벨트

Claims (15)

  1. 다각형의 몸체와,
    상기 다각형 몸체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며, 각각 모서리의 외측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양단부가 원호상으로 연장형성되는 다수 쌍의 원호상 연장부와,
    각각이 상기 각 쌍의 원호상 연장부의 내주부로부터 원호상 연장부의 내주면을 따라 원호상 연장부의 선단부로 연장형성되며 병이 양선단부 사이로 결합될 때 탄성적인 변형이 이루어지는 다수 쌍의 원호상 탄성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상 연장부는 내측에 상기 원호상 탄성결합부의 선단부가 벌어지는 경우 상기 원호상 탄성결합부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중앙부에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홀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의 각변과 상기 원호상 연장부 사이에는 내향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향곡면의 내측부에는 각각 다수의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홀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쌍의 원호상 연장부는 하측면에 결합되는 병의 만곡부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폭으로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홀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호형의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홀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가상선상에 위치하며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되어 손잡이 벨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관통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홀더.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병 홀더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홀더.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은 각변의 길이가 서로 동일한 정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홀더.
  10.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직사각형상이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변에 다수 쌍의 원호상 연장부와 다수 쌍의 원호상 탄성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홀더.
  11.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쌍의 원호상 탄성결합부의 중심과 중심 사이의 거리는 결합되는 병의 몸통직경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홀더.
  12. 다각형 몸체와,
    상기 다각형 몸체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어 다수의 병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결합부재 각각은 상기 각 모서리의 외측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양단부가 원호상으로 연장형성되고, 각각 상측면에 한쌍의 수용홈을 구비한 다수 쌍의 원호상 연장부와,
    각각이 상기 각 쌍의 원호상 연장부의 내주부로부터 원호상 연장부의 내주면을 따라 원호상 연장부의 선단부로 연장형성되며 탄성변형되어 상기 한쌍의 수용홈으로 변위되는 다수 쌍의 원호상 탄성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홀더.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은 각변의 길이가 서로 동일한 정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홀더.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직사각형상이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변에 다수의 결합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홀더.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결합부재는 개구부의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홀더.
KR2020080008783U 2008-07-01 2008-07-01 병 홀더 KR2004422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783U KR200442283Y1 (ko) 2008-07-01 2008-07-01 병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783U KR200442283Y1 (ko) 2008-07-01 2008-07-01 병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283Y1 true KR200442283Y1 (ko) 2008-10-24

Family

ID=41649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783U KR200442283Y1 (ko) 2008-07-01 2008-07-01 병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2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38Y1 (ko) * 2011-04-18 2013-06-10 이원혁 슬릿 홈부가 형성된 스틱 휴대 홀더
KR20180114638A (ko) 2017-04-11 2018-10-1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페트병의 분리수거용 운반 홀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38Y1 (ko) * 2011-04-18 2013-06-10 이원혁 슬릿 홈부가 형성된 스틱 휴대 홀더
KR20180114638A (ko) 2017-04-11 2018-10-1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페트병의 분리수거용 운반 홀더
KR102041667B1 (ko) 2017-04-11 2019-11-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페트병의 분리수거용 운반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7310B2 (en) Apparatus to facilitate the holding of large bottles without integral handles
KR20200106806A (ko) 행사용 페트 음료병 홀더
US20090223999A1 (en) Dual sided container
US20140069930A1 (en) Cutlery utensil dispensing package
US2675264A (en) Bottle carrier
US4090729A (en) Bottle carrier
US9126720B2 (en) Snap-fold containers
KR200442283Y1 (ko) 병 홀더
US20150041427A1 (en) Combination Bottle Handle, Opener and Hanger
KR20100124662A (ko) 콘테이너, 특히 음식물 보관용 콘테이너 및 특히 음료수 백을 위한 삼킴 방지 폐쇄 마개
WO1996003906B1 (en) Food or drink container
US10377559B1 (en) Holder for a squeeze pouch
US3702203A (en) Container carrier
CA2155612A1 (en) Wrapper, carrier and handle assembly and package comprising same and co ntainers
US7387200B2 (en) Tandem harness for tub-like containers
MXPA06010300A (es) Portador de articulos y un paquete formado a partir del mismo.
US20140235417A1 (en) Dispensing system
US4852730A (en) Locking container carrier
US11465821B1 (en) Holder for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KR200411883Y1 (ko) 용기뚜껑
KR200310459Y1 (ko) 포장상자
JP2003128154A (ja) 生花等の梱包用容器
JP2001315877A (ja) ボトルのキャリーホルダー
KR102069975B1 (ko) 용기제품 수납용 포장용기
JPH042379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