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264B1 - 설기떡 탈거장치 - Google Patents
설기떡 탈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2264B1 KR101462264B1 KR1020140071304A KR20140071304A KR101462264B1 KR 101462264 B1 KR101462264 B1 KR 101462264B1 KR 1020140071304 A KR1020140071304 A KR 1020140071304A KR 20140071304 A KR20140071304 A KR 20140071304A KR 101462264 B1 KR101462264 B1 KR 1014622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reversing
- unit
- belt conveyor
- hamme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기떡 탈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성형용 트레이 이용하여 낱개 포장을 위한 소정의 형상 및 크기로 만드는 설기떡을 성형용 트레이에서 간편하고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자동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일정 거리를 동결된 설기떡이 담긴 성형용 트레이를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이송유닛과, 트레이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이송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를 홀딩(holding)한 후 뒤집어서 이동시키는 반전유닛 및 트레이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반전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의 밑면을 해머링(hammering)하여 트레이에서 설기떡을 떨어낸 상태로 이동시키는 해머링유닛을 포함하는 설기떡 탈거장치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일정 거리를 동결된 설기떡이 담긴 성형용 트레이를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이송유닛과, 트레이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이송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를 홀딩(holding)한 후 뒤집어서 이동시키는 반전유닛 및 트레이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반전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의 밑면을 해머링(hammering)하여 트레이에서 설기떡을 떨어낸 상태로 이동시키는 해머링유닛을 포함하는 설기떡 탈거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장작업을 위해 성형용 트레이에서 설기떡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탈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용 트레이를 이용하여 전처리 공정을 통해 동결된 상태로 만들어진 소정의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설기떡을 그 성형용 트레이에서 자동으로 탈거하는 자동화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핵가족화 및 맞벌이 부부의 보편화라는 사회적 현상과 더불어 식생활이 간편화 및 서구화됨에 따라 식사대용으로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식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인의 주영양원인 탄수화물 식품 중 떡의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시장도 급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떡은 만들어진 직후 뜨거운 상태에서는 부정형이며 끈기가 있어 다른 물질과 결합하기 쉬우나 상온 등의 조건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당류인 아밀로오스(amylose)와 아밀로펙틴(amylopectin)으로 구성된 전분의 재결정화 또는 응고화, 즉 노화현상으로 인해 굳으면서 외관이 갈라지고 식감 및 맛이 저하되는 등 관능성과 상품성을 비롯하여 식미적 기호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성질이 있다.
한편, 떡은 멥쌀로 만든 메떡과 찹쌀로 만든 찰떡이 있고, 이 중에서 메떡의 전분은 아밀로펙틴 약 80%와 아밀로오스 약 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찰떡의 전분은 아밀로펙틴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찰떡은 메떡에 비해 탄력성, 부드러움 등의 씹는 질감이 우수하고 노화가 더디게 일어나며, 냉동 후 해동을 거쳐도 기존의 식감이 어느 정도 유지되는 특성이 있다.
또한, 떡은 만드는 방법에 따라 찐 떡, 친 떡, 지진 떡 및 삶은 떡 또는 빚는 떡으로 크게 구분된다. 즉, 쌀을 가루로 빻아서 시루에 찌면 백설기나 시루떡과 같은 찐 떡(설기떡)이 되고, 물에 불린 쌀을 시루에 찐 다음 안반에 놓고 매로 쳐서 만들면 인절미나 절편과 같은 친 떡이 되고, 가루를 반죽하여 기름에 지지면 전이나 빈대떡과 같은 지진 떡이 되며, 반죽한 것을 모양 있게 단자나 경단처럼 빚어서 찌거나 삶은 다음 고물을 묻히면 삶은 떡 또는 빚은 떡이 된다.
이러한 다양한 떡을 소규모의 시스템 하에서 만들 경우 시장의 수요를 맞추기 어려운 데다 생산효율의 저하로 공급가격이 높을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본사에서 각종 떡의 완제품 또는 반제품을 양산하여 가맹점이나 판매점으로 공급하는 이른바 프랜차이즈 형태의 판매방식으로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즉, 프랜차이즈 형태의 판매방식은 소비자에게 보다 신선한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본사의 제조공장에서 떡을 급속냉동한 상태로 가맹점에 납품하고, 가맹점이나 판매점은 이를 해동하여 판매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례로, 설기떡(떡의 켜를 만들지 않고 떡가루를 한 덩어리가 되게 시루에 안쳐서 찌는 떡)의 경우 멥쌀가구를 고물이 없이 시루에 안쳐 져낸 후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절단하여 먹기 좋게 한 개씩 낱개 포장한 상태로 유통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낱개 포장용 설기떡을 양산하는 종래의 방법은 여러 명의 작업자가 칼로 일일이 덩어리 형태로 절단해야 하므로 많은 노동력과 작업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는 데다 식품의 특성상 외형의 크기나 외관이 균일하지 않아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근래에는 설기떡 등의 찐 떡을 일정 크기와 모양으로 성형 및 양산하기 위해 마치 식판처럼 형성된 별도의 성형용 트레이(멥쌀가루를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칸을 일정하게 나누어 만든 쟁반)에 멥쌀가루를 일정 두께로 담아 증자한 후 급속동결하는 방식으로 만들고 있다.
그러나 급속동결된 상태의 설기떡 등과 같은 찐 떡을 트레이에서 빼내는 공정은 숙련공의 수작업에 의존함으로 인해 작업능률과 생산성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급속동결의 특성상 떡이 트레이에 얼어붙기 때문에 쉽게 떨어지지 않아 이 공정의 자동화장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기존의 수작업에 따른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성형용 트레이를 이용하여 증자 및 급속동결 공정 등의 전처리 공정을 통해 만들어진 설기떡을 그 성형용 트레이에서 빼내는 숙련공의 작업을 대신하여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설기떡 탈거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예의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성형용 트레이에서 급속동결된 상태의 설기떡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떨어낼 수 있도록 하는 설기떡 탈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일정 거리를 동결된 설기떡이 담긴 성형용 트레이를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이송유닛과, 트레이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이송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를 홀딩(holding)한 후 뒤집어서 이동시키는 반전유닛 및 트레이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반전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의 밑면을 해머링(hammering)하여 트레이에서 설기떡을 떨어낸 상태로 이동시키는 해머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기떡 탈거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증자 및 급속동결 공정을 거쳐 소정의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만들어진 설기떡을 성형용 트레이에서 간편하게 탈거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운반하는 컨베이어와, 컨베이어의 작동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이송전동기와, 컨베이어의 상측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되는 트레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이송센서와, 컨베이어의 상측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이송센서의 신호에 따라 실린더 로드가 승강 작동하는 이송액추에이터 및 이송액추에이터의 실린더 로드에 고정되어 이송액추에이터의 승강 작동에 따라 컨베이어 상에 얹혀서 이동하는 트레이를 통과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유닛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양태는,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가 이동 중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탈선방지가드 및 상기 컨베이어에 대한 상기 탈선방지가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폭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전유닛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골격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반전프레임과, 반전프레임이 180도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반전전동기와, 반전프레임에 장착되어 제2반전전동기의 작동에 따라 이송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를 해머링유닛으로 이동시키는 제1벨트 컨베이어와, 제1벨트 컨베이어와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반전프레임에 장착되어 제3반전전동기의 작동에 따라 이송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를 해머링유닛으로 이동시키는 제2벨트 컨베이어와, 제1벨트 컨베이어와 제2벨트 컨베이어 사이의 트레이 이동방향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와,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 각각의 작동에 따라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 사이에 얹혀서 이동하는 트레이를 통과시키거나 반전프레임의 회전 시 트레이가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게이트와, 제1벨트 컨베이어와 제2벨트 컨베이어 사이에 트레이가 존재하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제1반전센서와, 제1 및 제2게이트의 개폐 작동에 따라 제1반전전동기의 구동신호 및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반전센서 및 제1 및 제2이송센서와 제1 및 제2반전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초로 제1반전전동기의 구동 및 제1 및 제2게이트의 개폐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반전유닛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양태는, 골격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반전프레임과, 반전프레임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반전전동기와, 반전프레임에 장착되어 제1반전전동기 및 제2반전전동기의 작동에 따라 이송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를 해머링유닛으로 이동시키는 제1벨트 컨베이어와, 제1벨트 컨베이어와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반전프레임에 장착되어 제1반전전동기 및 제3반전전동기의 작동에 따라 이송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를 해머링유닛으로 이동시키는 제2벨트 컨베이어와, 제1벨트 컨베이어와 제2벨트 컨베이어 사이의 트레이 이송방향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와,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 각각의 작동에 따라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 사이에 얹혀서 이동하는 트레이를 통과시키거나 반전프레임의 회전 시 트레이가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게이트와, 제1벨트 컨베이어와 제2벨트 컨베이어 사이에 트레이가 존재하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제1반전센서와, 제1 및 제2게이트의 개폐 작동에 따라 제1반전전동기의 구동신호 및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반전센서와, 반전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제1반전전동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신호를 출력하는 회전각도센서 및 제1 및 제2반전센서와 회전각도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초로 제1반전전동기의 구동 및 제1 및 제2게이트의 개폐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해머링유닛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운반하는 해머링벨트 컨베이어와, 해머링벨트 컨베이어의 작동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해머링전동기와, 해머링벨트 컨베이어의 상측에 설치되어 해머링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뒤집힌 상태로 이동되는 트레이의 밑면을 해머링(hammering)하여 트레이에서 설기떡을 떨어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머링롤러 및 해머링롤러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2해머링전동기를 포함한다.
상기 해머링유닛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양태는, 해머링벨트 컨베이어의 상면과 해머링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높낮이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증자 및 급속동결 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설기떡이 다수 개 담긴 성형용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이송하면서 뒤집고 일정 압력으로 가압 및 해머링하는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성형용 트레이 내에 얼어붙은 상태의 설기떡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성형용 트레이에서 설기떡을 탈거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과 시간을 대폭 줄이는 등 양산에 따른 공정의 단축 및 자동화로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기떡 탈거장치 중 이송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기떡 탈거장치 중 이송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기떡 탈거장치 중 반전유닛과 해머링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기떡 탈거장치 중 반전유닛과 해머링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기떡 탈거장치 중 이송유닛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기떡 탈거장치 중 이송유닛과 반전유닛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기떡 탈거장치 중 반전유닛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기떡 탈거장치 중 반전유닛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기떡 탈거장치 중 해머링유닛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기떡 탈거장치 중 이송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기떡 탈거장치 중 반전유닛과 해머링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기떡 탈거장치 중 반전유닛과 해머링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기떡 탈거장치 중 이송유닛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기떡 탈거장치 중 이송유닛과 반전유닛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기떡 탈거장치 중 반전유닛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기떡 탈거장치 중 반전유닛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기떡 탈거장치 중 해머링유닛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기떡 탈거장치는 크게 이송유닛(10), 반전유닛(20) 및 해머링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송유닛>
이송유닛(10)은 일정 거리를 직선운동하면서 동결된 설기떡이 담긴 성형용 트레이(T)를 연속적으로 하나씩 운반한다.
여기서 트레이(T)는 설기떡이 소정의 형상과 모양 및 크기를 갖도록 여러 개의 성형공간이 일정하게 구획되고, 외력에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설기떡은 트레이(T)의 성형공간에 떡가루를 담은 채로 증자기를 이용하여 증자하고 연속적으로 급속동결기를 이용하여 급속동결하는 전처리 공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송유닛(10)은, 트레이(T)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운반하는 컨베이어(11)와, 컨베이어(11)의 작동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이송전동기(12)와, 컨베이어(11)에 의해 운반되는 트레이(T)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이송센서(13)(14)와, 제1 및 제2이송센서(13)(14)의 신호에 따라 실린더 로드가 승강 작동하는 이송액추에이터(15) 및 이송액추에이터(15)의 승강 작동에 따라 컨베이어(11) 상에 얹혀서 이동하는 트레이(T)를 정지시키거나 통과시키는 스토퍼(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컨베이어(11)는 동결된 설기떡이 담긴 상태의 트레이(T)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연속하여 운반한다.
그리고 컨베이어(11)의 운동방향과 직교하는 양쪽 가장자리에는 트레이(T)가 이동 중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선방지가드(17)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탈선방지가드(17)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컨베이어(11)에 대한 탈선방지가드(17)의 설치 위치를 나사조임 방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폭조절부재(18)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폭조절부재(18)를 조이거나 푸는 조작으로 탈선방지가드(17)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다양한 폭과 크기의 트레이(T)에 대응하도록 맞출 수 있어 트레이(T)가 반전유닛(20)의 정확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11)는 이송전동기(12)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체인과 스프로킷 또는 벨트와 벨트 풀리 등에 의해 연결된 구동롤러와, 이 구동롤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종동롤러 및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외주면을 감아 걸어 상호 연결하면서 순환운동하는 벨트로 구성되어 이송전동기(12)로부터 트레이(T)의 운반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받아 벨트를 순환시키는 무한궤도 운동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11)를 구성하는 벨트는 설기떡을 얹어 운반하는 특성상 멜라민 등의 위생적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전동기(12)는 전원공급에 따라 컨베이어(11)의 회전 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한다.
제1이송센서(13)는 컨베이어(11)의 운동방향 중심부 상에 설치되어 컨베이어(11)에 의해 운반되는 트레이(T)의 위치를 감지하고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한다.
즉, 트레이(T)가 일정거리 범위 내에 근접하면, 이를 제1이송센서(13)가 감지하여 제어부(36)로 이송액추에이터(15)의 승강 작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2이송센서(14)는 제1이송센서(13)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컨베이어(11)의 운동방향 출구 쪽에 설치되어 컨베이어(11)에 의해 운반되는 트레이(T)의 위치를 감지하고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한다.
즉, 트레이(T)가 일정거리 범위 내에 근접하면, 이를 제2이송센서(14)가 감지하여 제어부(36)로 이송액추에이터(15)의 승강 작동과 제1반전액추에이터(29)의 전후진 작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이송센서(13)(14)로는 검출코일에 금속물체가 접근하면 전자유도작용에 의하여 검출코일에 접속된 발진회로의 발진 주파수나 발진 진폭이 변화하면서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는 고주파 발진형 혹은 도체 전극을 가진 검출부에 피검지 물체가 접근하면 센서 부분의 정전용량이 크게 변화하는 현상을 이용한 정전용량형 혹은 물체가 근접한 것을 비접촉으로 감지하여 그 위치를 검출하는 광섬유 근접센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송액추에이터(15)는 제1이송센서(13)와 제2이송센서(14) 사이의 컨베이어(11) 상측에 설치되어 제1이송센서(13)의 신호에 따라 그 실린더 로드가 승강 작동한다.
스토퍼(16)는 이송액추에이터(15)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이송액추에이터(15)의 하강 작동 시 컨베이어(11) 상에 얹혀서 이동하는 트레이(T)의 전방 측면과 접촉 간섭을 일으켜 그 이동을 정지시킨다.
즉, 스토퍼(16)는 이송액추에이터(15)의 실린더 로드에 고정되어 이송액추에이터(15)의 작동에 따라 승강하면서 컨베이어(11) 상에 얹혀서 이동하는 트레이(T)를 정지시켜 반전유닛(20)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그대도 통과시켜 반전유닛(20)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스토퍼(16)는 컨베이어(11)에 의해 연속적으로 운반되는 후속 트레이(T)가 반전유닛(20)에 이중으로 투입되는 등의 오작동을 방지한다.
여기서 스토퍼(16)의 승강 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이송액추에이터(15)는 유압실린더와 실린더 로드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이송센서(13)(14)가 컴프레셔 등의 구동원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그 실린더 로드를 가동시키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구조의 통상적인 액추에이터 기구나 장치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송유닛(10)의 컨베이어(11), 이송전동기(12), 제1이송센서(13), 제2이송센서(14), 이송액추에이터(15), 탈선방지가드(17) 및 폭조절부재(18)는 일정 형태로 연결 및 골격을 이루어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프레임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반전유닛>
반전유닛(20)은 이송유닛(10)과 트레이(T)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이송유닛(10)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T)를 홀딩(holding)한 후 뒤집어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반전유닛(20)은, 골격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21)과, 베이스프레임(21)의 상부에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반전프레임(23)과, 반전프레임(23)이 180도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반전전동기(24)와, 반전프레임(23)에 장착되어 제2반전전동기(25)의 작동에 따라 이송유닛(10)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T)를 해머링유닛(40)으로 이동시키는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반전프레임(23)에 장착되어 제3반전전동기(27)의 작동에 따라 이송유닛(10)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T)를 해머링유닛(40)으로 이동시키는 제2벨트 컨베이어(28)와,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제2벨트 컨베이어(28) 사이의 트레이(T) 이동방향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29)(30)와,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29)(30) 각각의 작동에 따라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26)(28) 사이에 얹혀서 이동하는 트레이(T)를 통과시키거나 반전프레임(23)의 회전 시 트레이(T)가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게이트(31)(32)와,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제2벨트 컨베이어(28) 사이에 트레이(T)가 존재하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제1반전센서(33)와, 제1 및 제2게이트(31)(32)의 개폐 작동에 따라 제1반전전동기(24)의 구동신호 및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반전센서(34), 제1 및 제2이송센서(13)(14)와 제1 및 제2반전센서(33)(34)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초로 제1반전전동기(24)의 구동 및 제1 및 제2게이트(31)(32)의 개폐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프레임(21)은 다수 개의 형강, 봉재 등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골격을 이루며 지면에 고정 설치되어 반전프레임(23)과 제1반전전동기(24), 제1벨트 컨베이어(26), 제2벨트 컨베이어(28) 등을 견고하게 지지한다.
반전프레임(23)은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제2벨트 컨베이어(28)의 양측, 즉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제2벨트 컨베이어(28)의 운동방향과 직교하는 양측에 고정한 채로 그 회전축(22)이 베이스프레임(2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축받이(베어링)에 결합 지지되어 제1반전전동기(24)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축(22)을 중심으로 180도 각도로 회전하면서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제2벨트 컨베이어(28)를 동시에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반전프레임(23)은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제2벨트 컨베이어(28) 사이로 이동된 트레이(T)의 상하가 뒤바뀌도록 뒤집는다.
제1반전전동기(24)는 전원공급에 따라 반전프레임(23)을 그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하여 180도 각도로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한다.
여기서 제1반전전동기(24)로는 펄스에 따라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는 스텝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외에 반전프레임(23)을 180도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조로, 기어(gear) 및 캠(cam) 등으로 구성된 동력 전달구조를 지닌 인덱스 테이블(index table)과 이 인덱스 테이블의 회전축을 구동하기 위한 인덕션 모터(induction motor) 및 드라이버, 그리고 인덱스 테이블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등을 포함하여 반전프레임(23)을 특정 분할 각도 및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인 인덱스 드라이브 시스템(index drive system)을 채용할 수도 있다.
제1벨트 컨베이어(26)는 반전프레임(23)에 장착되어 제2반전전동기(25)의 구동력에 의해 그 벨트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작동하면서 이송유닛(10)으로부터 트레이(T)를 전달받고, 제1반전전동기(24)의 작동에 따라 반전프레임(23) 및 제2벨트 컨베이어(28)와 함께 180도 각도로 뒤집히며, 아울러 제2벨트 컨베이어(28)로 전달된 트레이(T)가 제1반전전동기(24)의 작동에 따라 180도 각도로 뒤집히면서 자중에 의해 낙하할 때, 이를 자연스럽게 받아서 해머링유닛(40)으로 이동시킨다.
제2벨트 컨베이어(28)는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반전프레임(23)에 장착되어 제3반전전동기(27)의 구동력에 의해 그 벨트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작동하면서 이송유닛(10)으로부터 트레이(T)를 전달받고, 제1반전전동기(24)의 작동에 따라 반전프레임(23) 및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함께 180도 각도로 뒤집히며, 아울러 제1벨트 컨베이어(26)로 전달된 트레이(T)가 제1반전전동기(24)의 작동에 따라 180도 각도로 뒤집히면서 자중에 의해 낙하할 때, 이를 자연스럽게 받아서 해머링유닛(40)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26)(28)는 상술한 컨베이어(11)와 마찬가지로 제2반전전동기(25) 및 제3반전전동기(27)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체인과 스프로킷 또는 벨트와 벨트 풀리 등에 의해 연결된 구동롤러와, 이 구동롤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종동롤러 및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외주면을 감아 걸어 상호 연결하면서 순환운동하는 벨트로 구성되어 제2반전전동기(25) 및 제3반전전동기(27)로부터 트레이(T)의 운반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받아 벨트를 순환시키는 무한궤도 운동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26)(28)를 구성하는 각각의 벨트는 설기떡을 얹어 운반하는 특성상 멜라민 등의 위생적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29)(30)는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제2벨트 컨베이어(28) 사이의 트레이(T) 이동방향 양측에 각각 마주하는 한 쌍으로 설치되어 제어부(36)의 제어 신호에 따라 그 실린더 로드가 승강 작동한다.
제1 및 제2게이트(31)(32)는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26)(28) 중 어느 하나에 힌지 이음으로 부착되어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29)(30) 각각의 작동에 따라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26)(28) 사이의 트레이(T) 이동방향 양측, 즉 트레이(T)의 입구 및 출구를 개폐한다.
즉, 제1 및 제2게이트(31)(32)는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26)(28) 사이에 얹혀서 이동하는 트레이(T)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도록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29)(30)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반전프레임(23)의 회전 시 트레이(T)가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26)(28)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후속 트레이(T)를 전달받거나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26)(28) 사이의 트레이(T)를 해머링유닛(40)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29)(30)에 의해 트레이(T)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로 일정 각도 회전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게이트(31)(32)의 전후진 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29)(30)는 이송액추에이터(15)와 마찬가지로 유압실린더와 실린더 로드로 구성되어 제어부(36)가 컴프레셔 등의 구동원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그 실린더 로드를 가동시키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구조의 통상적인 액추에이터 기구나 장치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반전센서(33)는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제2벨트 컨베이어(28) 사이에 트레이(T)가 존재하는지 유무를 감지하고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한다.
즉, 트레이(T)가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제2벨트 컨베이어(28) 사이의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로 일정거리 범위 내에 근접하면, 이를 제1반전센서(33)가 감지하여 제어부(36)로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29)(30)의 전후진 작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2반전센서(34)는 제1 및 제2게이트(31)(32)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도록 장착되어 제1 및 제2게이트(31)(32)의 개폐 작동에 따라 제1반전전동기(24)의 구동신호 및 정지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1 및 제2게이트(31)(32)가 개폐에 따라 일정거리 범위 내에 근접하면, 이를 제2반전센서(34)가 감지하여 제어부(36)로 제1반전전동기(24)의 작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반전센서(33)(34)로는 제1 및 제2이송센서(13)(14)와 마찬가지로 검출코일에 금속물체가 접근하면 전자유도작용에 의하여 검출코일에 접속된 발진회로의 발진 주파수나 발진 진폭이 변화하면서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는 고주파 발진형 혹은 도체 전극을 가진 검출부에 피검지 물체가 접근하면 센서 부분의 정전용량이 크게 변화하는 현상을 이용한 정전용량형 혹은 물체가 근접한 것을 비접촉으로 감지하여 그 위치를 검출하는 광섬유 근접센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제어부(36)는 제1 및 제2이송센서(13)(14)와 제1 및 제2반전센서(33)(34)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초로 제1반전전동기(24)의 구동과 이송액추에이터(15)의 승강 작동과 그리고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29)(30) 전후진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즉, 제어부(36)는 트레이(T)의 이송거리와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 및 방향전환과 회전에 따른 속도 및 회전비 등을 종합하여 각 구성요소 간의 작동 간섭이나 충돌없이 유기적으로 번갈아서 원활하게 작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반전유닛(20)은, 골격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21)과, 베이스프레임(21)의 상부에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반전프레임(23)과, 반전프레임(23)의 회전 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반전전동기(24)와, 반전프레임(23)에 장착되어 제2반전전동기(25)의 작동에 따라 이송유닛(10)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T)를 해머링유닛(40)으로 이동시키는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반전프레임(23)에 장착되어 제3반전전동기(27)의 작동에 따라 이송유닛(10)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T)를 해머링유닛(40)으로 이동시키는 제2벨트 컨베이어(28)와,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제2벨트 컨베이어(28) 사이의 트레이(T) 이송방향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29)(30)와,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29)(30) 각각의 작동에 따라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26)(28) 사이에 얹혀서 이동하는 트레이(T)를 통과시키거나 반전프레임(23)의 회전 시 트레이(T)가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26)(28)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게이트(31)(32)와,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제2벨트 컨베이어(28) 사이에 트레이(T)가 존재하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제1반전센서(33)와, 제1 및 제2게이트(31)(32)의 개폐 작동에 따라 제1반전전동기(24)의 구동신호 및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반전센서(34)와, 반전프레임(23)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제1반전전동기(24)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신호를 출력하는 회전각도센서(35)와, 제1 및 제2반전센서(33)(34)와 회전각도센서(35)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초로 제1반전전동기(24)의 구동 및 제1 및 제2게이트(31)(32)의 개폐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반전유닛(20)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제1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그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각도센서(35)는 반전프레임(23)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제1반전전동기(24)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신호를 출력한다.
즉, 회전각도센서(35)는 반전프레임(23) 회전축(22)의 중심과 직교하는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그 회전축(22)에 고정된 센서도그(22a)가 180도 각도로 회전하여 근접하면, 이를 감지하여 제1반전전동기(24)가 일정시간 동안 구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36)는 제1 및 제2반전센서(33)(34)와 회전각도센서(3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1반전전동기(24)의 구동과 이송액추에이터(15)의 승강 작동 및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29)(30) 전후진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제1 및 제2이송센서(13)(14)와 제1 및 제2반전센서(33)(34) 그리고 회전각도센서(3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이송전동기(12), 제1 내지 제3반전동기(24)(25)(27), 제1 및 제2해머링전동기(42)(44), 이송액추에이터(15),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29)(30), 컨베이어(11)와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26)(28) 그리고 헤머링벨트 컨베이어(41) 등의 가동과 이의 원활한 조작을 위한 부가적인 장치의 작동 및 운전을 유기적으로 제어하고 화면으로 표시하며, 작업자의 설정 및 조작에 따라 생산량과 작업시간,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해머링유닛>
해머링유닛(40)은 반전유닛(20)과 트레이(T)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반전유닛(20)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T)의 밑면을 해머링(hammering)하여 트레이(T)에서 설기떡을 떨어낸 상태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머링유닛(40)은, 트레이(T)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운반하는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와,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의 작동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해머링전동기(42)와,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에 의해 뒤집힌 상태로 이동되는 트레이(T)의 밑면을 해머링(hammering)하여 트레이(T)에서 설기떡을 떨어내는 해머링롤러(43) 및 해머링롤러(43)의 회전 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2해머링전동기(4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는 해머링롤러(43)와 자중에 의해 트레이(T)와 설기떡으로 자연스럽게 분리된 상태의 트레이(T)와 설기떡을 포장작업 등의 후속 공정을 위한 라인으로 운반한다.
그리고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는 중심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플레이트(41a) 상에 설치되어 해머링롤러(43)와 마주하는 벨트 부분은 그 해머링롤러(43)과 플레이트(41a)의 중공부에 의해 가압되어 하방으로 약간 처진 상태로 순환운동하며, 이로 인해 트레이(T)가 한층 더 긴밀하고 확실하게 해머링되면서 성형공간에 얼어붙은 설기떡을 수월하게 떨어낸다.
여기서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는 제1해머링전동기(42)의 회전축과 직접 연결되거나 체인과 스프로킷 또는 벨트와 벨트 풀리 등에 의해 연결된 구동롤러와, 이 구동롤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종동롤러 및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외주면을 감아 걸어 상호 연결하면서 순환운동하는 벨트로 구성되어 제1해머링전동기(42)로부터 이송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받아 벨트를 순환시키기 위한 무한궤도 운동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고, 그 벨트는 장력(tension)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를 구성하는 벨트는 찰떡을 얹어 이송하는 특성상 멜라민 등의 위생적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해머링전동기(42)는 전원공급에 따라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의 이송 작동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발생한다.
해머링롤러(43)는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의 상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에 의해 뒤집힌 상태로 이동되는 트레이(T)의 밑면을 해머링(hammering)하여 트레이(T)에서 설기떡을 떨어낸다.
여기서 해머링롤러(43)의 바깥쪽 면 둘레에는 해머링돌기(43)를 다수 배열 형성함으로써 트레이(T)에 얼어붙은 설기떡을 훨씬 더 원활하고 용이하게 떨어낼 수 있다.
제2해머링전동기(44)는 전원공급에 따라 해머링롤러(43)의 작동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발생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머링유닛(40)은,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의 상면과 해머링롤러(43)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높낮이조절부(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높낮이조절부(45)는 핸들을 이용한 회전 조작에 따라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에 대한 해머링롤러(43)의 회전축을 승강시켜 그 높낮이를 조절하는 볼스크류 타입 등을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트레이(T)의 종류 및 두께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호환성은 물론 작업의 원활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 제1해머링전동기(42), 해머링롤러(43), 제2해머링전동기(44) 및 높낮이조절부(45)는 일정 형태로 연결 및 골격을 이루어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프레임에 의해 각각 지지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기떡 탈거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자 및 급속동결 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설기떡이 다수 개 담긴 성형용 트레이(T)를 컨베이어(11)의 입구에 올려놓으면 이송전동기(1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11)가 트레이(T)를 반전유닛(20)의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제2벨트 컨베이어(28) 사이를 향해 순차적으로 하나씩 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제1이송센서(13) 및 제2이송센서(14)가 트레이(T)의 이동 여부를 각각 감지하는데, 제1이송센서(13)와 제2이송센서(14)가 트레이(T) 감지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면, 제어부(36)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반전액추에이터(29)의 실린더 로드는 전진 작동되어 그 실린더 로드와 링크 및 힌지 이음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제1게이트(31)를 열고, 제2반전액추에이터(30)의 실린더 로드는 후진 작동되어 그 실린더 로드와 링크 및 힌지 이음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제2게이트(32)를 닫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이송액추에이터(15)의 실린더 로드에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16)는 상승 상태를 유지하여 트레이(T)가 접촉 간섭 없이 자연스럽게 반전유닛(20)의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제2벨트 컨베이어(28) 사이로 이동하게 되고, 아울러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제2벨트 컨베이어(28)는 각각의 제2반전전동기(25) 및 제3반전전동기(27)의 구동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트레이(T)는 밑면이 제1벨트 컨베이어(26) 상에 얹히고 트레이(T)에 담긴 설기떡은 상면이 노출된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트레이(T)가 제2이송센서(14)를 지나감으로써 제2이송센서(14)로부터 트레이(T) 감지 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6)가 제1반전액추에이터(29)의 실린더 로드를 후진 작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이송액추에이터(15)의 실린더 로드와 링크 및 힌지 이음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제1게이트(31)를 닫은 상태로 회전시킨다.
이후, 제2반전센서(34)가 제1 및 제2게이트(31)(32)의 닫힌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36)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고, 이렇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6)가 제1반전전동기(24)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반전프레임(23)이 그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180도 각도로 회전되어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제2벨트 컨베이어(28)의 상하 위치가 뒤바뀌고, 이와 동시에 트레이(T)도 상하로 뒤집혀 설기떡의 노출면이 제2벨트 컨베이어(28) 상에 놓이게 된다.
이때,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제2벨트 컨베이어(28) 사이에 위치하는 트레이(T)는 제1 및 제2게이트(31)(32)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반전프레임(23)이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180도 각도로 뒤집힌 상태를 회전각도센서(35) 등이 감지하면, 제어부(36)가 제1반전액추에이터(29)의 실린더 로드를 전진 작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1반전액추에이터(29)의 실린더 로드와 링크 및 힌지 이음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제1게이트(31)를 열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제3반전전동기(27)의 구동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하는 제2벨트 컨베이어(28)에 의해 트레이(T)는 해머링유닛(40)의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된다.
이후, 제1반전센서(33)가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제2벨트 컨베이어(28) 사이에 트레이(T)가 없다는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36)가 제2반전액추에이터(30)의 실린더 로드를 전진 작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2반전액추에이터(30)의 실린더 로드와 링크 및 힌지 이음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제2게이트(32)를 열어서 후속으로 이동되는 다른 트레이(T)를 전달받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링유닛(40)의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로 전달된 트레이(T)는 뒤집힌 상태로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의 회전 작동에 의해 이동하면서 헤머링롤러(43)에 의해 헤머링되어 그 성형공간에 얼어붙은 설기떡을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 위로 떨어내고, 이 상태로 포장을 위한 후속 공정 라인으로 전달된다.
한편, 트레이(T)가 제1이송센서(14)에서만 감지되고, 제2반전센서(34)가 제1 및 제2게이트(31)(32)의 닫힌 상태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면, 제어부(36)가 이송액추에이터(15)의 실린더 로드를 하강 작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그 실린더 로드에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16)를 컨베이어(11)의 상면으로 하강시킴으로써 후속으로 이동되는 다른 트레이(T)가 반전유닛(20)으로 투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유기적인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트레이(T)에서 설기떡을 자동으로 간편하게 떨어낼 수 있다.
따라서 성형용 트레이(T)에서 설기떡을 분리하는 대량 작업에 따른 노동력과 시간을 절감하여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이송유닛 11: 컨베이어
12: 이송전동기 13: 제1이송센서
14: 제2이송센서 15: 이송액추에이터
16: 스토퍼 17: 탈선방지가드
18: 폭조절부재 20: 반전유닛
21: 베이스프레임 22: 회전축
23: 반전프레임 24: 제1반전전동기
25: 제2반전전동기 26: 제1벨트 컨베이어
27: 제3반전전동기 28: 제2벨트 컨베이어
29: 제1반전액추에이터 30: 제2반전액추에이터
31: 제1게이트 32: 제2게이트
33: 제1반전센서 34: 제2반전센서
35: 회전각도센서 36: 제어부
40: 해머링유닛 41: 해머링벨트 컨베이어
42: 제1해머링전동기 43: 헤머링롤러
44: 제2해머링전동기 45: 높낮이조절부
T: 트레이
12: 이송전동기 13: 제1이송센서
14: 제2이송센서 15: 이송액추에이터
16: 스토퍼 17: 탈선방지가드
18: 폭조절부재 20: 반전유닛
21: 베이스프레임 22: 회전축
23: 반전프레임 24: 제1반전전동기
25: 제2반전전동기 26: 제1벨트 컨베이어
27: 제3반전전동기 28: 제2벨트 컨베이어
29: 제1반전액추에이터 30: 제2반전액추에이터
31: 제1게이트 32: 제2게이트
33: 제1반전센서 34: 제2반전센서
35: 회전각도센서 36: 제어부
40: 해머링유닛 41: 해머링벨트 컨베이어
42: 제1해머링전동기 43: 헤머링롤러
44: 제2해머링전동기 45: 높낮이조절부
T: 트레이
Claims (7)
- 일정 거리를 동결된 설기떡이 담긴 성형용 트레이(T)를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이송유닛(10);
상기 이송유닛(10)과 트레이(T)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이송유닛(10)으로부터 트레이(T)를 전달받아 뒤집어서 이동시키는 반전유닛(20); 및
상기 반전유닛(20)과 트레이(T)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반전유닛(20)으로부터 뒤집힌 상태의 트레이(T)를 전달받아 트레이(T)의 밑면을 해머링(hammering)하여 트레이(T)에서 설기떡을 떨어낸 상태로 이동시키는 해머링유닛(40);
을 포함하는 설기떡 탈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10)은,
상기 트레이(T)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운반하는 컨베이어(11);
상기 컨베이어(11)의 작동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이송전동기(12);
상기 컨베이어(11)의 상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11)에 의해 운반되는 트레이(T)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이송센서(13)(14);
상기 컨베이어(11)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이송센서(13)(14)의 신호에 따라 실린더 로드가 승강 작동하는 이송액추에이터(15); 및
상기 이송액추에이터(15)의 실린더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액추에이터(15)의 승강 작동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11) 상에 얹혀서 이동하는 트레이(T)를 정지시키거나 통과시키는 스토퍼(16);
를 포함하는 설기떡 탈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10)은,
상기 컨베이어(11)의 양측에 설치되어 트레이(T)가 이동 중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탈선방지가드(17); 및
상기 컨베이어(11)에 대한 상기 탈선방지가드(17)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폭조절부재(18);
를 더 포함하는 설기떡 탈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유닛(20),
골격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21);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상부에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반전프레임(23);
상기 반전프레임(23)이 180도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반전전동기(24);
상기 반전프레임(23)에 장착되어 제2반전전동기(25)의 작동에 따라 상기 이송유닛(10)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T)를 상기 해머링유닛(40)으로 이동시키는 제1벨트 컨베이어(26);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반전프레임(23)에 장착되어 제3반전전동기(27)의 작동에 따라 상기 이송유닛(10)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T)를 상기 해머링유닛(40)으로 이동시키는 제2벨트 컨베이어(28);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28) 사이의 트레이(T)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29)(30);
상기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29)(30) 각각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26)(28) 사이에 얹혀서 이동하는 트레이(T)를 통과시키거나 상기 반전프레임(23)의 회전 시 트레이(T)가 상기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26)(28)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게이트(31)(32);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28) 사이에 트레이(T)가 존재하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제1반전센서(33);
상기 제1 및 제2게이트(31)(32)의 개폐 작동에 따라 상기 제1반전전동기(24)의 구동신호 및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반전센서(34); 및
상기 제1 및 제2이송센서(13)(14)와 상기 제1 및 제2반전센서(33)(3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반전전동기(24)의 구동 및 상기 제1 및 제2게이트(31)(32)의 개폐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6);
를 포함하는 설기떡 탈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유닛(20),
골격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21);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상부에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반전프레임(23);
상기 반전프레임(23)의 회전 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반전전동기(24);
상기 반전프레임(23)에 장착되어 제2반전전동기(25)의 작동에 따라 상기 이송유닛(10)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T)를 상기 해머링유닛(40)으로 이동시키는 제1벨트 컨베이어(26);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반전프레임(23)에 장착되어 제3반전전동기(27)의 작동에 따라 상기 이송유닛(10)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T)를 상기 해머링유닛(40)으로 이동시키는 제2벨트 컨베이어(28);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28) 사이의 트레이(T)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29)(30);
상기 제1 및 제2반전액추에이터(29)(30) 각각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26)(28) 사이에 얹혀서 이동하는 트레이(T)를 통과시키거나 상기 반전프레임(23)의 회전 시 트레이(T)가 상기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26)(28)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게이트(31)(32);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26)와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28) 사이에 트레이(T)가 존재하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제1반전센서(33);
상기 제1 및 제2게이트(31)(32)의 개폐 작동에 따라 상기 제1반전전동기(24)의 구동신호 및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반전센서(34);
상기 반전프레임(23)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1반전전동기(24)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신호를 출력하는 회전각도센서(35); 및
상기 제1 및 제2반전센서(33)(34)와 상기 회전각도센서(3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반전전동기(24)의 구동 및 상기 제1 및 제2게이트(31)(32)의 개폐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6);
를 포함하는 설기떡 탈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링유닛(40)은,
상기 트레이(T)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운반하는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
상기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의 작동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해머링전동기(42);
상기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에 의해 뒤집힌 상태로 이동되는 트레이(T)의 밑면을 해머링(hammering)하여 트레이(T)에서 설기떡을 떨어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머링롤러(43); 및
상기 해머링롤러(43)의 회전 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2해머링전동기(44);
를 포함하는 설기떡 탈거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링유닛(40)은,
상기 해머링벨트 컨베이어(41)의 상면과 상기 해머링롤러(43)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높낮이조절부(45);
를 더 포함하는 설기떡 탈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1304A KR101462264B1 (ko) | 2014-06-12 | 2014-06-12 | 설기떡 탈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1304A KR101462264B1 (ko) | 2014-06-12 | 2014-06-12 | 설기떡 탈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2264B1 true KR101462264B1 (ko) | 2014-11-17 |
Family
ID=52290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1304A KR101462264B1 (ko) | 2014-06-12 | 2014-06-12 | 설기떡 탈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226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61813A (zh) * | 2020-03-27 | 2020-07-03 | 青岛鼎喜冷食有限公司 | 一种糯米糍与托盘冷冻后的自动分离装置及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32553A (ja) * | 2003-10-29 | 2005-05-26 | Toyo Jidoki Co Ltd | トレイの反転装置 |
KR20090008013A (ko) * | 2007-07-16 | 2009-01-21 | 장인락 | 떡 성형기의 성형기구 |
KR20100035460A (ko) * | 2008-09-26 | 2010-04-05 | 우성오토콘(주) | 반전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 |
KR20120067791A (ko) * | 2010-12-16 | 2012-06-26 |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 파이 분리 이송장치 |
-
2014
- 2014-06-12 KR KR1020140071304A patent/KR1014622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32553A (ja) * | 2003-10-29 | 2005-05-26 | Toyo Jidoki Co Ltd | トレイの反転装置 |
KR20090008013A (ko) * | 2007-07-16 | 2009-01-21 | 장인락 | 떡 성형기의 성형기구 |
KR20100035460A (ko) * | 2008-09-26 | 2010-04-05 | 우성오토콘(주) | 반전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 |
KR20120067791A (ko) * | 2010-12-16 | 2012-06-26 |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 파이 분리 이송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61813A (zh) * | 2020-03-27 | 2020-07-03 | 青岛鼎喜冷食有限公司 | 一种糯米糍与托盘冷冻后的自动分离装置及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90976A (ko) | 케이스를 회전시키는 횡형 롤러 벨트 컨베이어 및 방법 | |
KR100922610B1 (ko) | 회전식 컨베이어 장치 | |
KR101462264B1 (ko) | 설기떡 탈거장치 | |
NL9200828A (nl) | Werkwijze voor het positioneren van deegstukken en inrichtingen voor de uitvoering ervan. | |
CN110645786A (zh) | 一种可使物料均匀受热的烘干装置 | |
CN205633128U (zh) | 食品包装机的内盒包装机构 | |
KR101762814B1 (ko) | 조미김 가공장치 | |
KR100974617B1 (ko) | 성형팬에서 케이크 시트를 분리하는 장치 | |
US4342726A (en) | Machine for sterilizing foodstuffs in cylindrical containers at normal atmospheric pressure | |
CN203780828U (zh) | 全自动输送线 | |
EP0602352A1 (de) | Vorrichtung zum Gefrieren von Lebensmitteln | |
KR102384454B1 (ko) | 쿠키용 반죽 와이어 컷팅 및 정렬 장치 | |
US3101143A (en) | Dough processing apparatus | |
CN210952231U (zh) | 一种可使物料均匀受热的烘干装置 | |
CN210480064U (zh) | 食品双向切割用输送换向装置 | |
KR101462263B1 (ko) | 찰떡 탈거장치 | |
CN114600946B (zh) | 预制菜杀菌装置 | |
KR102011029B1 (ko) | 식빵 운반장치 | |
JP5406695B2 (ja) | 食品移載装置 | |
KR101161840B1 (ko) | 타공장치 | |
CN111003424A (zh) | 一种方便操作和维护的食品加工用传输装置 | |
US6672098B2 (en) | Chiller/cooler | |
KR101266841B1 (ko) | 소보로빵용 생지 제조장치 | |
CN204137918U (zh) | 食品摆放输送机构 | |
KR100954273B1 (ko) | 유탕 처리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