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162B1 - 자동충전 피펫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충전 피펫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162B1
KR101462162B1 KR1020130096689A KR20130096689A KR101462162B1 KR 101462162 B1 KR101462162 B1 KR 101462162B1 KR 1020130096689 A KR1020130096689 A KR 1020130096689A KR 20130096689 A KR20130096689 A KR 20130096689A KR 101462162 B1 KR101462162 B1 KR 101462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holder
guide
pipette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주
황재광
Original Assignee
이영주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주,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이영주
Priority to KR1020130096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162B1/ko
Priority to PCT/KR2014/005988 priority patent/WO2015023060A1/ko
Priority to US14/899,105 priority patent/US2016036863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41Drop counters; Drop 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drip catchers or drip-pre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09Holders integrated in container to position an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75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 B01L2400/0478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pis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충전 피펫장치는 용기와의 결합과정에서 피펫 내부로 내용물이 충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내용물을 충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작이 없어서 사용이 간편하고, 상기 내용물의 충전 시 인디케이터가 버튼을 관통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내용물의 충전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충전 피펫장치{PIPETTE APPARATUS FOR AUTOMATIC FILLING UP}
본 발명은 자동충전 피펫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용기와의 나사결합을 통해 내용물의 자동충전이 이루어지는 자동충전 피펫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 크림 등 한 번에 소량을 사용하되 정확하게 정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화장품 등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기존에는 각 사용 회차 마다 사용할 양만큼 캡슐 등의 형태로 개별 포장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별 포장 방식은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한 후에도 비교적 많은 양이 캡슐 내부에 남아있게 되므로, 극히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개별 포장 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내용물을 용기에 수용한 후 일반적인 피펫이나 주사기 구조의 인출 수단을 사용하거나 푸시 펌프(push pump)의 구성을 가지는 인출수단을 사용하여 사용할 때 마다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하는 구성이 고안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피펫 구조의 인출 수단의 경우 고무로 된 압착부를 사용자가 누르는 정도에 따라 흡입되어 인출되는 양이 변동되므로, 사용할 때마다 정확하게 일정량을 인출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대단히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주사기 구조의 인출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 내외의 극소량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인 점을 고려할 때, 주사기의 지름을 극히 작게 하거나 주사기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극히 작게 하는 등의 구성상의 문제가 있는 것은 물론,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주사기의 피스톤을 잡아당겨 내용물을 흡입한 후 다시 주사기의 피스톤을 밀어 내용물을 인출하여야 하기에 사용이 대단히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푸시 펌프(push pump)의 구성을 가지는 인출수단의 경우 단순히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그때마다 일정량의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펌프의 내부와 외부를 형성하는 구조체는 물론 버튼, 흡입구, 토출구, 스프링 및 밸브 구조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기에 비교적 그 구성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로 용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푸시 펌프(push pump)의 특성상 내용물의 흡입을 위하여 흡입 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경우에는 흡입 튜브의 위치에 따라 용기 안에 내용물이 남아있는 상태에서도 내용물의 인출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083262 한국 등록특허 10-1239027
본 발명은 용기와의 나사결합을 통해 내용물의 자동충전이 이루어지는 자동충전 피펫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에 나사 결합되는 피펫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흡입되어 충진되는 피펫(10); 상기 피펫(1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한 압력변화를 상기 피펫(10)에 전달하고, 상기 용기와 나사 결합되며, 외주면에 캠접촉부(50)가 형성된 이너하우징(20); 상기 이너하우징(20)에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상기 피펫(10) 측으로 압력변화를 제공하는 피스톤(30);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캠접촉부(50)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피스톤(3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피스톤홀더(40); 상기 피스톤홀더(40)와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홀더(4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피스톤홀더(40)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피스톤홀더(40)가 상기 캠접촉부(50)와 상호 간섭되게 구성된 가이드하우징(60)을 포함하는 피펫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캠접촉부(50)는 상기 이너하우징(20)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와 접촉되어 상호 간섭되는 상승접촉부(52); 상기 이너바디(22)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와 접촉되어 상호 간섭되며, 상기 상승접촉부(52) 보다 하측에 배치된 하강접촉부(54); 상기 상승접촉부(52) 및 하강접촉부(54)를 연결시키는 경사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승접촉부(52) 또는 하측접촉부(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홀더(40)의 수평 회전 걸림을 발생시키는 언더컷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홀더(40)는 상기 버튼(70)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고, 상기 피스톤(30)이 고정되는 홀더바디(42); 상기 홀더바디(42)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캠접촉부(50)와 상호 간섭되는 접촉바(45); 상기 홀더바디(42)에서 상기 버튼(70)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인디케이터(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홀더(40)는 상기 가이드하우징(60)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44)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44)는 사용자의 조작이 상기 피스톤홀더(40)에 상하방향으로 제공될 때, 상기 가이드하우징(6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홀더(4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하우징(60)과 상호 걸림을 발생시켜 상기 가이드하우징(60)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이너하우징(20)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1)을 통해 상기 용기와 나사 결합되는 이너바디(22); 상기 이너바디(22)에 형성되고, 상기 피펫(10)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피스톤(30) 측과 연통되게 형성된 피펫고정부(23); 상기 이너바디(22)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30)이 삽입되어 밀착되며 상기 피스톤(30)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상기 피펫(10) 측에 압력변화를 제공하는 피스톤이동부(24); 상기 이너바디(22)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가 밀착되어 상하 방향의 상대 이동을 안내하는 홀더가이드부(26);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피스톤홀더(40)와 상호 간섭되는 상기 캠접촉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하우징(60)은 상기 케이스(80)와 결합되는 가이드바디(62); 상기 가이드바디(62)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피스톤홀더(40)의 수평방향 회전에 대하여 걸림을 발생시켜 상기 피스톤홀더(40)와 일체로 회전되게 하는 피스톤레일(6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에 나사 결합되는 피펫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흡입되어 충진되는 피펫(10); 상기 피펫(1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한 압력변화를 상기 피펫(10)에 전달하고, 상기 용기와 나사 결합되며, 외주면에 캠접촉부(50)가 형성된 이너하우징(20); 상기 이너하우징(20)에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상기 피펫(10) 측으로 압력변화를 제공하는 피스톤(30);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캠접촉부(50)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피스톤(3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피스톤홀더(40); 상기 피스톤홀더(40)와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홀더(4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피스톤홀더(40)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피스톤홀더(40)가 상기 캠접촉부(50)와 상호 간섭되게 구성된 가이드하우징(60)을 포함하고, 상기 캠접촉부(50)는 상기 이너하우징(20)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와 접촉되어 상호 간섭되는 상승접촉부(52); 상기 이너바디(22)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와 접촉되어 상호 간섭되며, 상기 상승접촉부(52) 보다 하측에 배치된 하강접촉부(54); 상기 상승접촉부(52) 및 하강접촉부(54)를 연결시키는 경사부(56)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홀더(40)는 상기 버튼(70)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고, 상기 피스톤(30)이 고정되는 홀더바디(42); 상기 홀더바디(42)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캠접촉부(50)와 상호 간섭되는 접촉바(45); 상기 홀더바디(42)에서 상기 버튼(70)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인디케이터(46); 상기 가이드하우징(60)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44)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44)는 사용자의 조작이 상기 피스톤홀더(40)에 상하방향으로 제공될 때, 상기 가이드하우징(6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홀더(4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하우징(60)과 상호 걸림을 발생시켜 상기 가이드하우징(60)과 일체로 회전되는 피펫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이너하우징(20)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1)을 통해 상기 용기와 나사 결합되는 이너바디(22); 상기 이너바디(22)에 형성되고, 상기 피펫(10)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피스톤(30) 측과 연통되게 형성된 피펫고정부(23); 상기 이너바디(22)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30)이 삽입되어 밀착되며 상기 피스톤(30)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상기 피펫(10) 측에 압력변화를 제공하는 피스톤이동부(24); 상기 이너바디(22)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가 밀착되어 상하 방향의 상대 이동을 안내하는 홀더가이드부(26);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피스톤홀더(40)와 상호 간섭되는 상기 캠접촉부(5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하우징(60)은 상기 케이스(80)와 결합되는 가이드바디(62); 상기 가이드바디(62)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피스톤홀더(40)의 수평방향 회전에 대하여 걸림을 발생시켜 상기 피스톤홀더(40)와 일체로 회전되게 하는 피스톤레일(6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충전 피펫장치는 용기와의 결합과정에서 피펫 내부로 내용물이 충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내용물을 충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무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충전 피펫장치는 내용물의 충전 시 인디케이터가 버튼을 관통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내용물의 충전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충전 피펫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7은 도 6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이너하우징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다른 측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C-C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우측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D-D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하우징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정면도
도 17은 도 16의 E-E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18은 도 14의 우측면도
도 19는 도 18의 F-F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20은 도 5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예시1도
도 21은 도 5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예시2도
도 22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충전 피펫장치의 단면도
도 23은 도 22의 작동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충전 피펫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이너하우징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다른 측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C-C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우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D-D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정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E-E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4의 우측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F-F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5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21은 도 5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예시2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충전 피펫장치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 용기(미도시)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용물이 흡입되어 충진되는 피펫(10)과, 상기 피펫(1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한 압력변화를 상기 피펫(10)에 전달하고, 상기 용기와 나사 결합되며, 외주면에 캠접촉부(50)가 형성된 이너하우징(20)과, 상기 이너하우징(20)에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상기 피펫(10) 측으로 압력변화를 제공하는 피스톤(30)과,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캠접촉부(50)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피스톤(3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피스톤홀더(40)와, 상기 피스톤홀더(40)와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홀더(4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피스톤홀더(40)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피스톤홀더(40)가 상기 캠접촉부(50)와 상호 간섭되게 구성된 가이드하우징(60)과, 상기 이너하우징(2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와 상대 이동되며,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하강 시 상기 피스톤홀더(40)를 가압하는 버튼(70)과, 상기 가이드하우징(60)이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을 상기 가이드하우징(60)에 전달하는 케이스(80)를 포함한다.
상기 피펫(10)은 관 형태로 형성되고, 조립 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내용물을 내부로 흡입하여 저장한다.
상기 이너하우징(20)은 내주면에 나사산(21)이 형성된 이너바디(22)와, 상기 이너바디(22)에 형성되어 상기 피펫(10)이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30) 측과 연통되게 형성된 피펫고정부(23)와, 상기 이너바디(22)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30)이 삽입되어 밀착되며 상기 피스톤(30)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상기 피펫(10) 측에 압력변화를 제공하는 피스톤이동부(24)와, 상기 이너바디(22)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가 밀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는 홀더가이드부(26)와, 상기 피스톤홀더(40)와 상호 간섭되는 캠접촉부(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하우징(20)은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너바디(22)의 내주면에는 용기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21)이 형성된다.
상기 피펫고정부(32)는 상기 피펫(10)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피펫(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끼움 고정된다.
상기 피스톤이동부(24) 내측으로 상기 피스톤(30)이 삽입되어 밀착되고, 상기 피스톤(30)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상기 피펫(10) 내부에 압력변화가 발생된다.
상기 피스톤(30)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홀더(40)에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30) 및 피스톤이동부(24) 사이에는 압력공간(3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30)은 상기 피스톤이동부(24)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피펫(10) 측으로 압력을 제공하고, 제공된 압력에 따라 상기 피펫(10)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토출된다.
상기 캠접촉부(50)는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피스톤홀더(40)와 접촉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와의 상대회전 시 상기 피스톤홀더(40)의 높낮이를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캠접촉부(50)는 상기 이너바디(22) 외주면에 형성된 상승접촉부(52)와, 상기 이너바디(22) 외주면에 형성된 하강접촉부(54)와, 상기 상승접촉부(52) 및 하강접촉부(54)를 연결시키는 경사부(56)를 포함한다.
상기 상승접촉부(52), 하강접촉부(54) 및 경사부(56)는 상기 피스톤홀더(40)의 하단인 접촉바(45)를 지지하고, 상대 회전 시 상기 캠접촉부(50)를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캠접촉부(50)는 상대 회전 시 상기 하강접촉부(54), 경사부(56) 및 상승접촉부(52)로 이동되면서 상기 피스톤홀더(40)를 상승시키도록 동작된다.
한편, 상기 상승접촉부(52)는 상기 접촉바(45)와 상호 걸림이 형성되도록 하측으로 오목한 언더컷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승접촉부(52)에 위치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때 소정의 걸림을 형성시킨다.
상기 피스톤홀더(40)는 상기 피스톤(30)이 고정되는 홀더바디(42)와, 상기 홀더바디(42)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캠접촉부(50)와 상호 간섭되는 접촉바(45)와, 상기 홀더바디(42)에서 상기 버튼(70) 측으로 돌출되는 인디케이터(46)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바(45)는 상기 홀더바디(42)에서 'ㄱ'자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너바디(22)의 외주 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바(45)의 하단은 상기 캠접촉부(50)와 상호 간섭되고, 상기 접촉바(45)에는 상기 가이드하우징(60)과 상호 간섭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돌기(44)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70)은 상기 피스톤홀더(40)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버튼(70)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46)가 노출되도록 표시홀(7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70)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하우징(6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버튼(70)이 최하측에 위치될 때에만 상기 인디케이터(46)의 상측이 상기 표시홀(72)을 통해 노출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인디케이터(46)를 통해 상기 버튼(70)의 최하단을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피펫(10)에 흡입된 내용물을 더 이상 토출시키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하우징(60)은 상기 케이스(80)와 결합되는 가이드바디(62)와 상기 가이드바디(62)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70)을 안내하는 버튼안내홀(64)과, 상기 가이드바디(62)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홀더(4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돌기(44)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피스톤레일(66)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바디(62)에는 상기 케이스(80)와 결합되기 위한 치형(6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디(62) 및 케이스(80)의 결합을 통해 상기 케이스(80)가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바디(62)도 상기 케이스(80)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버튼안내홀(64)에 상기 버튼(70)의 삽입단(75)이 삽입되고, 상기 삽입단(75)은 상기 버튼안내홀(64)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피스톤레일(66)에는 상기 가이드돌기(44)가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는 상기 피스톤레일(66)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44) 및 피스톤레일(66)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가이드하우징(60) 및 피스톤홀더(40)는 수평방향 회전에 대해서는 일체화되어 함께 회전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는 상하 방향으로만 상기 가이드하우징(60)을 따라 이동된다.
이하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충전 피펫장치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피펫(10)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된 경우, 도 5와 같은 상태이다. 사용자는 상기 버튼(70)을 눌러 상기 피스톤홀더(4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피스톤홀더(40)가 이동된 만큼 상기 피펫(10) 내부에 압력이 전달되어 상기 피펫(10)에 저장된 내용물이 토출된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홀더(40)의 접촉바(45)는 ③에서 ①위치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상기 피펫(10) 내부에 내용물을 충전시키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상기 피펫장치를 용기에 위치시킨 후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피펫장치를 상기 용기에 고정시키고, 상기 이너바디(22)의 나사산(21)과 용기의 나사산이 결합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피펫장치 전체가 회전되며, 상기 나사결합이 완료되면 사용자에게서 가해진 조작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홀더(40)는 상기 캠접촉부(50)를 따라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80) 및 가이드하우징(60)이 서로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가이드하우징(60) 및 피스톤홀더(40)가 수평 회전에 대해서 결합된 상태인 바,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80)가 회전되면 상기 피스톤홀더(40)도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80) 및 가이드하우징(60)은 치형(61)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수평 방향 회전에 대하여 일체로 동작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의 가이드돌기(44)는 상기 피스톤레일(66)에 배치되기 때문에 수평 방향 회전이 발생될 때 상기 피스톤레일(66)에 걸림되어 상기 가이드하우징(60)과 함께 회전된다.
그래서 상기 조작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홀더(40)가 회전되면, 상기 피스톤홀더(40)의 접촉바(45)는 ①의 위치의 하강접촉부(54)에서 경사부(56)를 따라 ② 위치인 상승접촉부(52)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홀더(40)가 상기 경사부(56)를 따라 상승되면서 상기 피펫(10) 내부를 음압으로 형성시켜 상기 용기의 내용물을 충진시킨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피펫장치를 잠그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의 내용물은 상기 피펫(10) 내부로 흡입되어 충진된다.
이후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피펫장치를 용기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나사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케이스(80)가 해제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피스톤홀더(40)의 접촉바(45)를 ②위치에서 ③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③ 위치로 이동된 피스톤홀더(40)는 상기 피스톤레일(66)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충진된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피스톤홀더(40) 및 버튼(70)은 상하 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인디케이터(46)가 상기 표시홀(72)에 노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내용물이 충진되지 않았음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충전 피펫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충전 피펫장치는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되, 상기 홀더바디(42) 및 버튼(70) 사이에 탄성부재(71)가 더 배치된다.
그래서 사용자의 조작력이 상기 버튼(70)에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탄성부재(71)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70)이 상기 홀더바디(42)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펫(10)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된 상태에서는 상기 홀더바디(42)가 상승되어 인디케이터(46)가 버튼(70)을 통해 노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버튼(70)을 눌러 피펫(10) 내부의 내용물을 토출시키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71)에 의해 버튼(70)이 상승되어 상기 인디케이터(46)가 노출되지 않는다.
그래서 상기 피펫(10)에서 내용물이 토출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인디케이터(46)를 통해 상기 내용물의 충진여부를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되었으나 판스프링 또는 고무 등과 같이, 탄성력을 갖는 다양한 형태 및 재질의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피펫 20 : 이너하우징
21 : 나사산 30 : 피스톤
35 : 압축공간 40 : 피스톤홀더
42 : 홀더바디 44 : 가이드돌기
45 : 접촉바 46 : 인디케이터
50 : 캠접촉부 52 : 상승접촉부
54 : 하강접촉부 56 : 경사부
60 : 가이드하우징 62 : 가이드바디
64 : 버튼안내홀 66 : 피스톤레일
70 : 버튼 72 : 표시홀
80 : 케이스

Claims (9)

  1.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에 나사 결합되는 피펫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흡입되어 충진되는 피펫(10);
    상기 피펫(1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한 압력변화를 상기 피펫(10)에 전달하고, 상기 용기와 나사 결합되며, 외주면에 캠접촉부(50)가 형성된 이너하우징(20);
    상기 이너하우징(20)에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상기 피펫(10) 측으로 압력변화를 제공하는 피스톤(30);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캠접촉부(50)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피스톤(3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피스톤홀더(40);
    상기 피스톤홀더(40)와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홀더(4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피스톤홀더(40)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피스톤홀더(40)가 상기 캠접촉부(50)와 상호 간섭되게 구성된 가이드하우징(60)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홀더(40)는
    버튼(70)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고, 상기 피스톤(30)이 고정되는 홀더바디(42); 상기 홀더바디(42)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캠접촉부(50)와 상호 간섭되는 접촉바(45); 상기 홀더바디(42)에서 상기 버튼(70)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인디케이터(46)를 포함하는 피펫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접촉부(50)는
    상기 이너하우징(20)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와 접촉되어 상호 간섭되는 상승접촉부(52);
    상기 이너하우징(20)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와 접촉되어 상호 간섭되며, 상기 상승접촉부(52) 보다 하측에 배치된 하강접촉부(54);
    상기 상승접촉부(52) 및 하강접촉부(54)를 연결시키는 경사부(56)를 포함하는 피펫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승접촉부(52) 또는 하강접촉부(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홀더(40)의 수평 회전 걸림을 발생시키는 언더컷이 더 형성된 피펫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홀더(40)는 상기 가이드하우징(60)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44)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44)는 사용자의 조작이 상기 피스톤홀더(40)에 상하방향으로 제공될 때, 상기 가이드하우징(6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홀더(4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하우징(60)과 상호 걸림을 발생시켜 상기 가이드하우징(60)과 일체로 회전되는 피펫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20)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1)을 통해 상기 용기와 나사 결합되는 이너바디(22);
    상기 이너바디(22)에 형성되고, 상기 피펫(10)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피스톤(30) 측과 연통되게 형성된 피펫고정부(23);
    상기 이너바디(22)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30)이 삽입되어 밀착되며 상기 피스톤(30)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상기 피펫(10) 측에 압력변화를 제공하는 피스톤이동부(24);
    상기 이너바디(22)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가 밀착되어 상하 방향의 상대 이동을 안내하는 홀더가이드부(26);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피스톤홀더(40)와 상호 간섭되는 상기 캠접촉부(50)를 포함하는 피펫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하우징(60)은
    케이스(80)와 결합되는 가이드바디(62);
    상기 가이드바디(62)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피스톤홀더(40)의 수평방향 회전에 대하여 걸림을 발생시켜 상기 피스톤홀더(40)와 일체로 회전되게 하는 피스톤레일(66)을 포함하는 피펫장치.
  8.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에 나사 결합되는 피펫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흡입되어 충진되는 피펫(10); 상기 피펫(1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한 압력변화를 상기 피펫(10)에 전달하고, 상기 용기와 나사 결합되며, 외주면에 캠접촉부(50)가 형성된 이너하우징(20); 상기 이너하우징(20)에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상기 피펫(10) 측으로 압력변화를 제공하는 피스톤(30);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캠접촉부(50)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피스톤(3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피스톤홀더(40); 상기 피스톤홀더(40)와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홀더(4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피스톤홀더(40)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피스톤홀더(40)가 상기 캠접촉부(50)와 상호 간섭되게 구성된 가이드하우징(60)을 포함하고,
    상기 캠접촉부(50)는
    상기 이너하우징(20)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와 접촉되어 상호 간섭되는 상승접촉부(52); 상기 이너하우징(20)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와 접촉되어 상호 간섭되며, 상기 상승접촉부(52) 보다 하측에 배치된 하강접촉부(54); 상기 상승접촉부(52) 및 하강접촉부(54)를 연결시키는 경사부(56)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홀더(40)는
    버튼(70)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고, 상기 피스톤(30)이 고정되는 홀더바디(42); 상기 홀더바디(42)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캠접촉부(50)와 상호 간섭되는 접촉바(45); 상기 홀더바디(42)에서 상기 버튼(70)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인디케이터(46); 상기 가이드하우징(60)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44)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44)는 사용자의 조작이 상기 피스톤홀더(40)에 상하방향으로 제공될 때, 상기 가이드하우징(6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홀더(4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하우징(60)과 상호 걸림을 발생시켜 상기 가이드하우징(60)과 일체로 회전되는 피펫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20)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1)을 통해 상기 용기와 나사 결합되는 이너바디(22); 상기 이너바디(22)에 형성되고, 상기 피펫(10)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피스톤(30) 측과 연통되게 형성된 피펫고정부(23); 상기 이너바디(22)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30)이 삽입되어 밀착되며 상기 피스톤(30)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상기 피펫(10) 측에 압력변화를 제공하는 피스톤이동부(24); 상기 이너바디(22)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가 밀착되어 상하 방향의 상대 이동을 안내하는 홀더가이드부(26);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피스톤홀더(40)와 상호 간섭되는 상기 캠접촉부(5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하우징(60)은
    케이스(80)와 결합되는 가이드바디(62); 상기 가이드바디(62)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홀더(4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피스톤홀더(40)의 수평방향 회전에 대하여 걸림을 발생시켜 상기 피스톤홀더(40)와 일체로 회전되게 하는 피스톤레일(66)을 포함하는 피펫장치.
KR1020130096689A 2013-08-14 2013-08-14 자동충전 피펫장치 KR101462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689A KR101462162B1 (ko) 2013-08-14 2013-08-14 자동충전 피펫장치
PCT/KR2014/005988 WO2015023060A1 (ko) 2013-08-14 2014-07-04 자동충전 피펫장치
US14/899,105 US20160368634A1 (en) 2013-08-14 2014-07-04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illing pipet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689A KR101462162B1 (ko) 2013-08-14 2013-08-14 자동충전 피펫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162B1 true KR101462162B1 (ko) 2014-11-14

Family

ID=52290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689A KR101462162B1 (ko) 2013-08-14 2013-08-14 자동충전 피펫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368634A1 (ko)
KR (1) KR101462162B1 (ko)
WO (1) WO20150230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137A1 (ko) * 2020-11-19 2022-05-27 펌텍코리아(주)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030B1 (ko) * 2015-04-24 2017-02-13 주식회사 대웅제약 자동 스포이드형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스포이드형 용기
US11534766B2 (en) * 2019-09-06 2022-12-27 Rushabh Instruments, Llc Immuno histo chemistry tissue processing system
US11897643B2 (en) * 2020-07-06 2024-02-13 Preservation System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KR102354317B1 (ko) * 2020-11-05 2022-01-21 펌텍코리아(주)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126Y1 (ko) * 2010-07-23 2011-04-13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120002205U (ko) * 2010-09-16 2012-03-26 펌텍코리아 (주)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154067B1 (ko) * 2011-10-07 2012-06-11 황재광 자동 충전 스포이드
KR101239027B1 (ko) * 2011-09-19 2013-03-04 황재광 자동 충전 스포이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76379B1 (en) * 2010-06-07 2014-06-25 L'Oréal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using a pipette
FR2973782B1 (fr) * 2011-04-07 2013-06-21 Valois Sas Distributeur compte-gouttes.
US9237793B2 (en) * 2011-09-23 2016-01-19 Jong-Suh Choi Cap for cosmetic bottle
US9234781B2 (en) * 2013-06-07 2016-01-12 Young Ju Lee Automatic filling up spu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126Y1 (ko) * 2010-07-23 2011-04-13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120002205U (ko) * 2010-09-16 2012-03-26 펌텍코리아 (주)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239027B1 (ko) * 2011-09-19 2013-03-04 황재광 자동 충전 스포이드
KR101154067B1 (ko) * 2011-10-07 2012-06-11 황재광 자동 충전 스포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137A1 (ko) * 2020-11-19 2022-05-27 펌텍코리아(주)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3060A1 (ko) 2015-02-19
US20160368634A1 (en)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162B1 (ko) 자동충전 피펫장치
KR101192176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311209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2128583B1 (ko) 내용물 토출 용기
US8863988B2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release prevention device
US9234781B2 (en) Automatic filling up spuit
KR101152159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EP2995570B1 (en) Dropper distributor of telescopic liquid suction tube
KR20150133456A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20090064525A (ko) 정량토출장치
CN106742646B (zh) 分配器及包括该分配器的容器
US20080215030A1 (en) Assembly for Filling a Container of a Delivery Device with a Pharmaceutical
KR20130062124A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US11338968B2 (en) Fixed quantity discharge device for liquid container
CN203601743U (zh) 一种定量取药瓶
KR101500601B1 (ko) 자동충전 피펫장치
KR101154067B1 (ko) 자동 충전 스포이드
KR101464447B1 (ko) 정량 인출 및 토출이 가능한 스포이드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101239027B1 (ko) 자동 충전 스포이드
CN208682167U (zh) 注射器组装机
JP2015196503A (ja) スポイト容器
JP6261428B2 (ja) スポイト容器
KR20170049112A (ko) 피펫에 홀이 마련된 화장품 드로퍼
KR102528252B1 (ko) 화장품 오토 드로퍼
JP2013248163A (ja) 可変計量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