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153B1 - 플라즈마 방전 및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방전 및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153B1
KR101462153B1 KR1020140021747A KR20140021747A KR101462153B1 KR 101462153 B1 KR101462153 B1 KR 101462153B1 KR 1020140021747 A KR1020140021747 A KR 1020140021747A KR 20140021747 A KR20140021747 A KR 20140021747A KR 101462153 B1 KR101462153 B1 KR 101462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discharge
unit
heat source
heat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일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성에이치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2904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6215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성에이치이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성에이치이산업
Priority to KR1020140021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precipitation or mist formation, outside th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B01D53/323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by electrostatic effects or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방전 및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화된 냉각수를 냉각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습증기가 외기와 접촉되며 발생되는 백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라즈마 방전을 통한 습증기 분해 및 공기열원을 통한 습증기 가열 등을 이용하여 백연발생을 감소시키고, 내부 다수의 구성 사이에 엘리미네이터를 설치하여 습증기의 정체시간을 증가시켜 분해 및 가열시간 증가로 인한 백연방지효율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플라즈마 방전시 저온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저온 외기 유입으로 인한 전극봉의 부식, 결빙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방전 및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방전 및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PREVENTING WHITE PLUME OF COOLING TOWER USING PLASMA AND AIR HEAT SOURCE}
본 발명은 고온화된 냉각수를 재사용하기 위해 냉각시 발생되는 습증기를, 플라즈마 방전을 통한 분해 및 공기열원을 통한 가열방식으로 기화시킴으로써, 배출시 찬공기와 만나 백연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냉각탑용 백연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기와 같은 열교환기나 공기조화설비(냉각탑, 습식집진시설, 산업용 건조설비 및 보일러, 발전기, 소각시설)에는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콘덴서로부터 보내진 고온의 냉각수를 냉각하여 저온의 냉각수를 만들어 지속적으로 재순환 공급하기 위하여 냉각탑이 사용된다.
이러한 냉각탑은 고온이 된 냉각수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와 방법 등이 적용되고 있는데,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방식으로는, 주로 고온의 냉각수를 열교환용 충진재에 분무하거나 물방울져 떨어지게 하면서, 자연통풍이나 송풍기 등에 의하여 강제로 공기를 송풍시켜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냉각탑은 열교환 방식에 따라 직교류형(cross flow type), 향류형(counter flow type) 그리고 하이브리드형(hybrid type)으로 대별된다.
여기서, 직교류형은 고온의 냉각수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흐름이 서로 교차하도록 하여 열교환되도록 함으로써 냉각수가 냉각되도록 하고, 향류형은 고온의 냉각수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흐름이 대향되도록 함으로써 냉각수가 냉각되도록 하며, 하이브리드형은 직교류형과 향류형을 복합시킨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냉각탑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열교환용 충진재에서 냉각수를 냉각시킨 공기에는 다량의 수증기가 포함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백연(plume) 현상 발생하여 외부에서 보았을 때 마치 유해 물질이 배출되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는 소지가 있으며, 이러한 백연은 도시나 관광지의 미관을 해치고, 비행장 근처에서 발생되는 백연은 비행기 조종사나 헬기 조종사의 시야를 가리기도 한다. 그리고 습증기가 튀어 도로등으로 날아가서 길을 빙판으로 만들므로 인명 및 대중교통에서
문제가 야기된 예도있다.
둘째, 열교환용 충진재에서 냉각수를 냉각시킨 공기가 다량의 수증기를 포함함에 따라, 공기가 이동하면서 많이 접하게 되는 송풍팬이나 송풍팬 등 각종 부품등이 동절기에 동결되어 장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셋째, 직교류형의 경우, 냉각탑의 중앙부에서는 백연방지가 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되어 습증기가 팬에 의해 그대로 상부로 배출된다는 효율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열교환 후에 배출되는 습증기(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뿐만 아니라, 더욱 효율적이며 경제적으로 수증기를 제거할 수 있는 백열방지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화된 냉각수를 재냉각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겨울철 등 외기온도가 낮은 시기에 외기에 의해 습증기가 백연형태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습증기의 이동통로에 플라즈마 방전 및 공기열원을 통해 습증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다수의 구성사이마다 습증기의 이동을 정체시키는 충진부 및 엘리미네이터를 더 설치하여 그 효율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플라즈마 방전부의 전극봉이 외기와 만난 습증기로 인해 결빙되는 등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여 효율저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방전 및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냉각용으로 사용되어 고온화된 냉각수를, 하우징(10)의 내부하단으로 분사하는 분무부(20); 상기 분무부(20)의 하단에 설치되어, 분사된 냉각수가 하우징(10) 내로 유입되는 외기와 열교환되며 습증기 형태로 변화되도록 하는 충진부(30); 상기 충진부(30) 상단에서 습증기를 가열시키는 공기열원을 제공하는 가열부(50); 상기 가열부(50)의 상단에서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켜, 습증기를 분해시키는 플라즈마 방전부(70); 상기 분무부(20)와 가열부(50) 사이, 가열부(50)와 플라즈마 방전부(7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승되는 습증기를 정체시켜 가열부(50) 또는 플라즈마 방전부(70)를 통한 습증기의 기화 및 분해시간이 증가되도록 하는 제 1, 2엘리미네이터(Eliminator)(40, 60); 상기 플라즈마 방전부(70) 상단에 설치되어, 하우징(10) 상단 배출구(14)를 통해 외기가 플라즈마 방전부(7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플라즈마 방전부(70)가 결빙 및 부식되지 않도록 하는 제 3엘리미네이터(8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온화된 냉각수의 냉각시 발생되는 백연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탑 상단으로부터의 외기를 차단하여, 플라즈마 방전부의 전극봉에서의 방전현상, 결빙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구성사이에 엘리미네이터를 설치하여, 상승되며 배출되는 습증기의 냉각탑 내 정체시간을 증가시켜, 백연방지를 위한 습증기 제거효율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연방지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방전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백연방지장치를 나타낸 또 다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냉각용으로 사용되어 고온화된 냉각수를, 하우징(10)의 내부하단으로 분사하는 분무부(20); 상기 분무부(20)의 하단에 설치되어, 분사된 냉각수가 하우징(10) 내로 유입되는 외기와 열교환되며 습증기 형태로 변화되도록 하는 충진부(30); 상기 충진부(30) 상단에서 습증기를 가열시키는 공기열원을 제공하는 가열부(50); 상기 가열부(50)의 상단에서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켜, 습증기를 분해시키는 플라즈마 방전부(70); 상기 분무부(20)와 가열부(50) 사이, 가열부(50)와 플라즈마 방전부(7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승되는 습증기를 정체시켜 가열부(50) 또는 플라즈마 방전부(70)를 통한 습증기의 기화 및 분해시간이 증가되도록 하는 제 1, 2엘리미네이터(Eliminator)(40, 60); 상기 플라즈마 방전부(70) 상단에 설치되어, 하우징(10) 상단 배출구(14)를 통해 외기가 플라즈마 방전부(7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플라즈마 방전부(70)가 결빙 및 부식되지 않도록 하는 제 3엘리미네이터(8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3엘리미네이터(80) 상단에 설치되어 습증기를 가열시키는 공기열원을 제공하는 부가 가열부(90); 상기 부가 가열부(90) 상단에 설치되어, 하우징(10) 상단 배출구(14)를 통한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제 4엘리미네이터(91);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50) 또는 부가 가열부(90)는 양단이 절곡되며 개구된 열원제공 관체(51); 상기 열원제공 관체(51) 내에서 공기를 가열하여 배출하는 가열수단(52) 및 순환팬(53);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열부(50)는 복수개가 상호간 대향되며 수평설치되어 공기열원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방전부(70)는 횡과 종방향으로 다수의 격자형태를 이루는 격판(71); 상기 격판(71) 상단에 횡 또는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대(73); 일단이 고정대(73)에 고정된 상태로, 격판(71)의 격자공간(72)마다 개별내입되어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는 전극봉(7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방전 및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방전 및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100)는 분무부(20), 충진부(30), 가열부(50), 플라즈마 방전부(70), 제 1, 2엘리미네이터(Eliminator)(40, 60), 제 3엘리미네이터(80), 부가 가열부(90), 제 4엘리미네이터(91)를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들은 본 발명에서 하우징(1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하우징(10)은 내부가 비어있으며, 상단은 개구되어 있되 별도의 전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환풍수단(ex: 송풍팬, 13)이 설치되어, 내부의 습공기가 상단의 배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하단 저면에는 본 발명의 냉각탑이 설치되어 있는 각종 설비의 냉각용으로 사용되면서 고온화된 냉각수에서, 하우징(10) 내에 설치된 다양한 구성들(ex; 가열부(50), 플라즈마 방전부(70) 등)에 의해 냉각되어 낙하되는 냉각수가 모여지도록 하는 집수조(11)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이 집수조(11)에 낙하된 냉각수는 각종 설비(ex: 공기조화설비, 열교환장치 등)의 냉각용으로 재사용된 후, 다시 본 발명의 냉각탑 백연방지장치(100)로 재순환되어 냉각되는 순환을 반복하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하우징(10)의 하단 외주연에는 하우징(10) 내에서 후술될 분무부(20)에 위해 분사되는 고온화된 냉각수와 열교환되도록,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12)가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분무부(20)는 전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평설치되는 분무관(21)과, 상기 분무관(21)의 길이방향으로 상호간 이격설치되되, 하우징(10)의 하단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분무노즐(22)로 구성된다.
즉, 각종 설비에 냉각용으로 사용되면서 열을 흡수함으로써 고온화된 냉각수가 분무관(21)으로 유입된 후, 다수의 분무노즐(22)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는 하우징(10)의 하단으로 냉각수가 분무되는 것이다.
상기 충진부(30)는 냉각수와 외기의 전열면적과 체공시간을 길게 하여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형상(사각충진재, 원형충진재, 볼충진재 등)의 충진재로 이루어져,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분무부(20)의 하단에 이격되어 수평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충진부(30)의 상단에서는 분무부(20)에 의해 고온화된 냉각수가 분무되어 하단으로 흐르게 되는 것이고, 충진부(30)의 하단에서는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기가 유입되어져, 이러한 충진부(30) 내에서 고온화된 냉각수와 외기가 상호가 열교환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충진부(30)는 분무되는 냉각수의 낙하속도를 저하시켜 외기와의 접촉시간이 증가되도록 하여 외기로의 열전달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충진부(30)에서 고온화된 냉각수와 외기와 외기가 열교환되면서, 상기 충진부(30) 및 분무부(20) 상단으로 상승하는 습공기가 발생하게 되며, 외기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낮아지거나 냉각된 일부 냉각수는 하우징(10) 저면의 집수조(11)에 모여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열부(50)는 공기열원을 제공하여, 전술된 충진부(30)에서 발생되어 하우징(10)의 상부로 상승하는 습공기를 기화시킴으로서, 습공기가 하우징(10)의 외부에서 가을 또는 겨울철 등 온도가 낮을 때 외기와 만나면서 발생되는 백연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가열부(50)는 전술된 분무부(20)의 상단에 이격되어 하우징(10) 내에 수평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가열부(50)는 열원제공 관체(51)와 가열수단(52) 및 순환팬(53)으로 구성된다.
상기 열원제공 관체(51)는 내부가 비어있고 양단이 개구된 관체형상이되, 양단이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 또는 '∩'와 같은 형상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열원제공 관체(51) 내부에는 가열수단(ex: 가열코일, 히터 등, 52)과 순환팬(53)이 이격설치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원제공 관체(51) 내에서 고온의 공기열원을 만들어 가열부(50)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에 제공함으로써, 충진부(30)에서 생성되어 분무부(20)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습증기가 이러한 공기열원에 의해 기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공기열원을 통해 습공기를 가열하여 기화하는 효과를 증대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부(50)는 하우징(10) 내에서 별도의 가열공간(54)으로 구획되어, 상기 가열공간(54) 내에 공기열원이 회전순환되도록 하여, 습공기가 이러한 가열공간(54)을 하단에서 상단으로 관통하며 지나치며 기화되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음이다.
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열원공기를 제공하여, 열원공기를 통해 하단에서부터 상승되어져 올라오는 습공기를 가열하는 방식분만 아니라, 상기 열원제공 관체(51)의 개구된 일단으로 습공기가 흡입되어진 후, 열원제공 관체(51) 내 가열수단(52)에 의해 가열되어 기화된 후, 열원제공 관체(51) 타단으로 습공기가 배출되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음이다.
더불어, 이러한 가열부(50)는 복수개(또는 다수개)가 상호간 마주보며 대향되는 형태(복수개를 사용한다 가정할 시, 단일개의 가열부(50)가 '∩'로 설치되어 있다면, 나머지 가열부(50)는 '∪' 형태로 설치되되, 상호간 길이방향 길이 절반정도가 상호간 대향되어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되는 구조 등)로 수평설치되어, 상기 가열부(50)가 설치되는 구역(가열공간(54))에서 공기열원이, 가열부(50)가 설치된 구역 전체에 걸쳐 골고루 수평방향으로 순환되는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열부(50)는 습공기가 플라즈마 방전부(70)를 거치기 전에, 습공기 내의 수분(수증기)가 어느정도 제거되어져, 플라즈마 방전부(70)에 쇼트(방전) 또는 각종문제(결빙 등, 이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토록 한다.)가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습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열원의 온도가 사전설정(가열수단(52)의 온도, 구동시간, 구동시간 간격 등을 제어)되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라즈마 방전부(70)는 전술된 가열부(50)의 상단 위치에서, 하우징(10) 내에 수평설치되는 것으로서, 플라즈마 방전으로 하우징(10) 내부 최상단으로 상승하는 습공기를 분해하여, 하우징(10) 외부의 외기와 습공기가 만나면서 백연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플라즈마 방전부(70)는 격판(71), 고정대(73), 전극봉(74)을 포함한다.
상기 격판(71)은 다수의 판재가 격자형태로 체결되어, 상, 하로 개구된 다수의 격자공간(72)이 횡과 종방향으로 다수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고정대(73)는 다수열으로 이루진 격자공간(72) 상단에 횡 또는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설치봉이다.
상기 전극봉(74)은 다수개로 이루어집며, 전술된 고정대(73)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다수의 격자공간(72)마다 하나씩 개별내입되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다.(물론, 이러한 전극봉(74)에서의 플라즈마 방전을 위한 전원공급장치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로써, 전술된 가열부(50)를 거치며 대부분의 수증기가 기화되어져 사라진 습공기가 플라즈마 방전부(70)의 다수의 격자공간(72) 내로 유입되면, 상기 각 격자공간(72) 내에 다수의 전극봉(74)이 개별적으로 구동되어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면서, 유입된 습공기를 분해(습공기 내 수분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여, 습공기 내 잔여 수증기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2엘리미네이터(40, 60)는 하우징(10) 내에 수평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분무부(20)와 가열부(50) 사이에는 제 1엘리미네이터(40)가 설치되고, 가열부(50)와 플라즈마 방전부(70) 사이에는 제 2엘리미네이터(60)가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 1, 2엘리미네이터(40, 60)는 습공기 중의 수분(물방울)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그재그형의 방해판 또는 격판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분무부(20)에서 상승되어지는 습공기는 제 1엘리미네이터(40)를 통해 정체되어 하우징(10) 내 체류시간이 증가됨으로써, 상기 가열부(50)를 통한 습증기의 제거 시간이 늘어날 수 있도록 하고, 가열부(50)를 거치며 상승되는 습공기 또한 상기 제 2엘리미네이터(60)에 의해 하우징(10) 내 체류시간이 길어져, 플라즈마 방전을 통한 습공기 내 수분제거(분해)시간이 길어져, 결국 백연방지효율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3엘리미네이터(80)는 전술된 제 1, 2엘리미네이터(40, 60)와 동일한 재질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플라즈마 방전부(70)의 상단에 이격되어 하우징(10)에 수평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즉, 이러한 제 3엘리미네이터(80)는 하우징(10) 내에서 플라즈마 방전부(70)와 환풍수단(13)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 3엘리미네이터(80)는 제 1, 2엘리미네이터(40, 60)와 마찬가지로 상승되는 습공기의 이송시간이 길어지도록 정체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 3엘리미네이터(80)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하우징(10)의 최상단에 위치된 배출구(14) 및 환풍수단(13)을 통해 겨울철 저온의 외기가 플라즈마 방전부(70)로 유입되어, 플라즈마 방전부(70) 주변 습공기를 얼려, 전극봉(74)이 결빙 또는 방전되거나, 물기가 전극봉(74) 외주연에 계속 결빙되어 있어 전극봉(74)이 부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외기가 하우징(10)의 상부에서 플라즈마 방전부(70)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냉각탑용 백연방지장치(100)를 제시하되, 사용자의 실시예 또는 겨울철 온도에 따라, 하기와 같은 부가 가열부(90) 및 제 4엘리미네이터(9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가 가열부(90)는 전술된 가열부(5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하우징(10) 내에서 제 3엘리미네이터(80) 상단에 이격되어 수평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제 4엘리미네이터(91)는 전술된 제 3엘리미네이터(80)(또는 제 1, 2엘리미네이터(40, 60))와 동일한 구성/형태/작동을 하는 것으로, 부가 가열부(90) 상단에 수평으로 이격설치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이러한 부가 가열부(90)와 제 4엘리미네이터(91)는 가열된 공기열원을 한번 더 제공하여, 하우징(10) 내에서 더욱 확실한 습공기가 제거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고, 이와 함께 당연히 제 4엘리미네이터(91)를 함께 설치하여, 하우징(10)의 상단 배출구(14)로부터 외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부가 가열부(90) 및 제 4엘리미네이터(91)의 구성은,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 및 외부의 온도에 따라, 또는 백연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우징(10) 내에서 확실한 습증기 내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용도라면, 하우징(10) 내에 단일번, 또는 다수개가 다단으로 연속설치되어져 추가되는 구성이 될 수도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하우징 11: 집수조
12: 외기 유입구 13: 환풍수단
14: 배출구 20: 분무부
21: 분무관 22: 분무노즐
30: 충진부 40: 제 1엘리미네이터
50: 가열부 51: 열원제공 관체
52: 가열수단 53: 순환팬
54: 가열공간 60: 제 2엘리미네이터
70: 플라즈마 방전부 71: 격판
72: 격자공간 73: 고정대
74: 전극봉 80: 제 3엘리미네이터
90: 부가 가열부 91: 제 4엘리미네이터

Claims (4)

  1. 냉각용으로 사용되어 고온화된 냉각수를, 하우징(10)의 내부하단으로 분사하는 분무부(20);
    상기 분무부(20)의 하단에 설치되어, 분사된 냉각수가 하우징(10) 내로 유입되는 외기와 열교환되며 습증기 형태로 변화되도록 하는 충진부(30);
    상기 충진부(30) 상단에서 습증기를 가열시키는 공기열원을 제공하는 가열부(50);
    상기 가열부(50)의 상단에서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켜, 습증기를 분해시키는 플라즈마 방전부(70);
    상기 분무부(20)와 가열부(50) 사이, 가열부(50)와 플라즈마 방전부(7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승되는 습증기를 정체시켜 가열부(50) 또는 플라즈마 방전부(70)를 통한 습증기의 기화 및 분해시간이 증가되도록 하는 제 1, 2엘리미네이터(Eliminator)(40, 60);
    상기 플라즈마 방전부(70) 상단에 설치되어, 하우징(10) 상단 배출구(14)를 통해 외기가 플라즈마 방전부(7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플라즈마 방전부(70)가 결빙 및 부식되지 않도록 하는 제 3엘리미네이터(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열부(50)는 양단이 절곡되며 개구된 열원제공 관체(51)와, 상기 열원제공 관체(51) 내에서 공기를 가열하여 배출하는 가열수단(52) 및 순환팬(5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열부(50)는 복수개가 상호간 대향되며 수평설치되어 공기열원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방전 및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엘리미네이터(80) 상단에 설치되어 습증기를 가열시키는 공기열원을 제공하는 부가 가열부(90);
    상기 부가 가열부(90) 상단에 설치되어, 하우징(10) 상단 배출구(14)를 통한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제 4엘리미네이터(91);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방전 및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가열부(90)는
    양단이 절곡되며 개구된 열원제공 관체(51);
    상기 열원제공 관체(51) 내에서 공기를 가열하여 배출하는 가열수단(52) 및 순환팬(53);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방전 및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방전부(70)는
    횡과 종방향으로 다수의 격자형태를 이루는 격판(71);
    상기 격판(71) 상단에 횡 또는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대(73);
    일단이 고정대(73)에 고정된 상태로, 격판(71)의 격자공간(72)마다 개별내입되어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는 전극봉(7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방전 및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
KR1020140021747A 2014-02-25 2014-02-25 플라즈마 방전 및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 KR101462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747A KR101462153B1 (ko) 2014-02-25 2014-02-25 플라즈마 방전 및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747A KR101462153B1 (ko) 2014-02-25 2014-02-25 플라즈마 방전 및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153B1 true KR101462153B1 (ko) 2014-11-14

Family

ID=5229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747A KR101462153B1 (ko) 2014-02-25 2014-02-25 플라즈마 방전 및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1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64742A (zh) * 2015-06-04 2015-08-26 广州览讯科技开发有限公司 节水消雾霾热交换器
KR101657971B1 (ko) * 2015-04-13 2016-09-20 최상희 백연저감 엘리미네이터 장치
CN109443039A (zh) * 2018-12-14 2019-03-08 杭州蕴泽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机力冷却塔消白烟装置
KR102099063B1 (ko) 2019-12-11 2020-04-08 이형식 가열원 방향전환 유닛을 이용한 냉각탑의 백연제거장치
CN114234673A (zh) * 2021-12-03 2022-03-25 安徽泛泽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冷却塔等离子电场放电电极及其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5544A (ko) * 2010-06-11 2011-12-19 주식회사 포스코 고온 습공기 처리장치
KR20120046669A (ko) * 2010-10-29 2012-05-10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백연 발생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각탑
KR101349114B1 (ko) * 2013-03-18 2014-01-16 주식회사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백연 저감 냉각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5544A (ko) * 2010-06-11 2011-12-19 주식회사 포스코 고온 습공기 처리장치
KR20120046669A (ko) * 2010-10-29 2012-05-10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백연 발생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각탑
KR101349114B1 (ko) * 2013-03-18 2014-01-16 주식회사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백연 저감 냉각탑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971B1 (ko) * 2015-04-13 2016-09-20 최상희 백연저감 엘리미네이터 장치
CN104864742A (zh) * 2015-06-04 2015-08-26 广州览讯科技开发有限公司 节水消雾霾热交换器
CN109443039A (zh) * 2018-12-14 2019-03-08 杭州蕴泽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机力冷却塔消白烟装置
KR102099063B1 (ko) 2019-12-11 2020-04-08 이형식 가열원 방향전환 유닛을 이용한 냉각탑의 백연제거장치
CN114234673A (zh) * 2021-12-03 2022-03-25 安徽泛泽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冷却塔等离子电场放电电极及其应用
CN114234673B (zh) * 2021-12-03 2022-08-23 安徽泛泽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冷却塔等离子电场放电电极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34074T3 (es) Aparato híbrido intercambiador de calor y procedimientos de funcionamiento del mismo
KR101462153B1 (ko) 플라즈마 방전 및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
US9599403B2 (en) Cooling tower having plume abating means
US8622372B2 (en) Fan cooling tower design and method
CN109564019B (zh) 降低空气进料和温室的温度的方法
KR101456446B1 (ko) 백연과 동력을 저감하는 고효율 대향류형 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46669A (ko) 백연 발생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각탑
KR20100118207A (ko) 냉각탑
JP5891254B2 (ja) 空調及び清浄化装置
KR101627775B1 (ko) 분할냉각부를 갖는 백연저감 대향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CN105202942A (zh) 节水消雾冷却塔
KR101093812B1 (ko) 냉각탑
KR20150121829A (ko) 백연 발생 방지 냉각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백연 발생 방지 방법
RU261462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воздуха в аппаратах воздуш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KR101626024B1 (ko)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
KR100526758B1 (ko) 하이브리드 냉각탑
KR20180116679A (ko) 공기조화기
JP5256338B2 (ja) 除湿冷気生成方法及び空気冷却装置
KR20210026492A (ko) 초미세먼지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RU2294499C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башенной и вентиляторной градирни испарительного тип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443725B1 (ko) 히트파이프를 구비한 밀폐식 증발형 냉각탑
KR101583520B1 (ko) 백연과 동력을 저감하는 직교류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KR101402106B1 (ko) 냉각칠러를 이용한 냉기 및 냉풍장치
KR200315236Y1 (ko) 하이브리드 냉각탑
RU2552028C2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башенной и вентиляторной градирни испарительного тип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114

Effective date: 2016050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