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000B1 -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 및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 및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000B1
KR101462000B1 KR1020140144739A KR20140144739A KR101462000B1 KR 101462000 B1 KR101462000 B1 KR 101462000B1 KR 1020140144739 A KR1020140144739 A KR 1020140144739A KR 20140144739 A KR20140144739 A KR 20140144739A KR 101462000 B1 KR101462000 B1 KR 101462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attern
coil
direction changing
laminating
st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화
김대현
강영규
이준엽
황병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무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무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무가
Priority to KR1020140144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000B1/ko
Priority to PCT/KR2015/004316 priority patent/WO20160640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어진 공간에서 평면 코일 패턴을 최대한 적층하여 자석이 형성하는 자기장 내에 있는 전류가 인가된 코일에 유도되는 전자기력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 및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을 개시(introduce)한다. 상기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은, 삼각형의 3개의 면 중 꼭지점에 접하는 2개의 변에 해당하는 위치에 2개의 열로 각각 형성되며 각 열의 꼭지점이 중심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홀 및 상부 일면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2개의 꼭지점 중 하나의 꼭지점의 위치에 이르는 코일 가이드 홈이 형성된 사각 형태의 베이스 및 상기 복수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홀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은, 제3항에 기재된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을 이용하며, 가이드 핀 삽입단계, 코일 패턴 적층단계 및 적층 코일 패턴 분리단계를 수행한다.

Description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 및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 {Module and method for stacking the coil pattern}
본 발명은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데 사용되는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어진 공간에서 평면 코일 패턴을 최대한 적층하여 자석(magnet)이 형성하는 자기장 내에 있는 전류가 인가된 코일에 유도되는 전자기력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 및 상기 모듈을 이용하여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카메라에서는 VCM(Voice Coil Motor) 방식 또는 인코더(Encoder) 방식의 볼(ball) 구동수단을 적용함으로써 자동초점조절(Auto-focusing) 이나 줌(Zoom) 기능을 구현한다.
VCM 방식이나 인코더 방식의 구동원리는 전류가 흐르는 코일(Coil)과 자기장이 발생하는 자석(magnet)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물리의 법칙 중 하나를 설명한다.
도 1은 자석과 전류가 흐르는 코일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석(110-1, 110-2)에 의해 자기장(B)이 형성된 곳에 전류(I)가 흐르는 코일(120)에 놓여지는 경우,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코일(120)에 일정한 힘 즉 전자기력(F)이 작용하여 코일(120)을 아래 방향으로 밀어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자기력은 수학식 1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4101847875-pat00001
여기서 F는 전자기력, B는 일정한 방향을 가지는 자속밀도, I는 일정한 방향을 가지는 전류 그리고 L은 자속의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놓여진 코일의 길이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석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 내에 있는 전류가 흐르는 코일에 작용하는 힘(전자기력)을 이용하기 위하여, 자석 또는 코일 중 하나를 카메라 본체에 고정시키고, 고정되지 않은 자석 또는 코일을 렌즈 홀더(lens holder; 미도시)에 부착하여 자석과 코일간에 생성되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렌즈 홀더를 이동시킨다. 이 구조는 간단하면서도 저 전압으로 동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카메라의 기능 중 렌즈가 이동하면서 조절할 수 있는 자동초점조절 기능이나 줌 기능은, 상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한다.
도 2는 종래의 코일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N(N은 자연수)회 감겨진 코일(210, 이하 권선된 코일)은 실타래와 같은 코일이 권심지그(jig, 220)를 중심으로 감겨져 생성되는데, 공정의 마지막에는 권심지그(220)를 제거하고 권선된 코일(210) 만을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권선된 코일(210)의 중심부에는 코일을 감기위해 사용한 권심지그(220)가 있던 자리만큼 빈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권심지그(220)를 이용한 회전식 코일패턴은 내부에서 외부로 권선수가 증가함에 따라 권심지그(220)가 차지하고 있던 공간의 두께 및 선경의 외경수치로 인해 외부의 네 모서리를 라운드의 형상을 최소한으로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그넷과 코일 간의 전자기력 구동방식을 사용하는 자동초점조절 기능이나 줌 기능은 전류 공급이 이루어지는 코일의 권선수 및 적층수에 따라 그 성능이 좌우되는데, 소형화되는 카메라 모듈 내의 제한된 공간내에서 최대의 전자기력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코일의 적층 공간 손실을 최소한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어진 공간에서 평면 코일 패턴을 최대한 적층하여 자석이 형성하는 자기장 내에 있는 전류가 인가된 코일에 유도되는 전자기력을 최대로 할 수 있으며, 자속의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놓여진 코일의 길이를 최대한 확보하여 추가적으로 전자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을 이용하여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은, 삼각형의 3개의 면 중 꼭지점에 접하는 2개의 변에 해당하는 위치에 2개의 열로 각각 형성되며 각 열의 꼭지점이 중심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홀 및 상부 일면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2개의 꼭지점 중 하나의 꼭지점의 위치에 이르는 코일 가이드 홈이 형성된 사각 형태의 베이스 및 상기 복수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홀 각각에 개별적으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은, 제3항에 기재된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을 이용하며, 가이드 핀 돌출단계, 코일 패턴 적층단계 및 적층 코일 패턴 분리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 핀 돌출단계에서는 상기 방향전환용 가이드 홀에 상기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을 돌출시킨다. 상기 코일 패턴 적층단계에서는 상기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을 순서대로 둘러싸면서 코일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진행하여 하나의 코일 패턴층을 형성하는 제1적층단계 및 상기 코일이 상기 베이스의 외부에서 내부방향으로 진행하여 다른 하나의 코일 패턴층을 형성하는 제2적층단계를 번갈아 가면서 수행하여 여러 개의 코일 패턴층으로 구성되는 적층 코일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적층 코일 패턴 분리단계에서는 상기 적층 코일 패턴을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과 분리한다. 상기 코일 패턴 적층단계에서 최초에 수행되는 상기 제1적층단계 또는 상기 제2적층단계는, 상기 코일을 상기 코일 가이드 홈으로 삽입한 후 수행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 및 상기 모듈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일 패턴은, 코일을 감기 위하여 사용하던 종래의 중심 지그가 필요없고, 중심 지그가 차지하던 공간에도 코일을 감을 수 있어 동일 공간에서 생성할 수 있는 전자기력을 종래의 코일에 비해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동일한 출력이면 종래의 코일에 비해 슬림한 코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며, 적층된 코일 패턴의 모서리를 최소 라운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어 전자기력을 최대한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자속의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놓여진 코일의 길이를 최대한 확보하여 추가적으로 전자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자석과 전류가 흐르는 코일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코일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을 나타낸다.
도 4는 1개층의 코일 패턴이 생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모듈에서 형성된 1개층의 코일 패턴을 모듈로부터 분리한 것이다.
도 6은 복수층의 코일 패턴이 생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모듈에서 형성된 복수층의 코일 패턴을 모듈로부터 분리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9는 코일의 모서리를 비교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을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300)의 사시도이며, 도 3(b) 및 도 3(c)는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300)를 이용하여 첫 번째 패턴층을 생성하기 위한 단계를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300)은 베이스(310), 복수의 가이드 핀(320) 및 형상 고정용 압착지그(330)를 포함한다.
베이스(310)의 상부에는, 삼각형의 3개의 면 중 꼭지점에 접하는 2개의 변에 해당하는 위치에 2개의 열로 각각 형성되며 각 열의 꼭지점이 중심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홀들(311) 및 상부 일면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2개의 꼭지점 중 하나의 꼭지점의 위치에 이르는 코일 가이드 홈(312)이 형성되어 있으며, 4개의 모서리에는 형상 고정용 압착지그(330)가 사용될 공간들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20)들은 복수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홀(311) 각각에 삽입되며, 코일 패턴의 적층 순서 및 적층 높이에 따라 돌출량이 조절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3(a)에는 가이드 핀들(320)이 베이스(310)의 상부에서 가이드 홀들(311)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실제로는 베이스(310)의 하부에서 삽입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복수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들(320) 각각은 해당 방향전환용 가이드 홀(311)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되는 코일 패턴층의 높이에 따라서 가변적으로 돌출 높낮이를 조절하여, 코일 패턴의 적층 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이 활용되는 것에 대해서는 도 3(b) 및 도 3(c)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자세하게 언급될 것이다. 복수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홀들(311) 사이의 간격은 적층될 코일의 두께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필요한 것은 모듈(300)을 이용하여 적층시킨 코일 패턴층이므로, 모든 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복수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들(311) 각각 및 형상 고정용 압착지그(330)는 베이스(310)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베이스(310)의 4개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형상 고정용 압착지그(330)는 적층될 코일(미도시)의 외부 모서리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3(b) 및 도 3(c)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300)을 이용하여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코일 패턴의 첫 번째 층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코일 가이드 홈(312)으로 삽입된 코일이 왼쪽의 꼭지점 위치에 돌출된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11)의 하부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의 꼭지점 위치에 돌출된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11)을 돌아옴으로써 시작된다. 이 때 왼쪽의 꼭지점 위치에 돌출된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11) 및 오른쪽 꼭지점 위치에 돌출된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11)의 두께는 하나의 코일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께를 가져야하는 이유는 후술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오른쪽 꼭지점 위치에 돌출된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11)을 돌아 나온 코일은 왼쪽의 꼭지점 위치에 돌출된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11) 및 인근하는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11) 2개를 돌아 다시 오른쪽 꼭지점 위치에 돌출된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11)의 주변에 돌출된 2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11)을 돌아 왼쪽으로 향한다.
도 3(b)의 경우 2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11)만 돌출되어 있고, 도 3(c)의 경우 왼쪽이 하나 그리고 오른쪽에 2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11)이 추가로 돌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코일의 회전에 필요한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11) 이외에는 모두 베이스(3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돌출되지 않는다. 이는 코일을 회전할 때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해서인데, 코일 패턴이 적층될 때에도 필요한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11)을 제외하고는 생성되는 코일 패턴 층의 위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4는 1개층의 코일 패턴이 생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모듈에서 형성된 1개층의 코일 패턴을 모듈로부터 분리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코일 패턴의 1개층은 모듈(310)에 형성된 코일 가이드 홈(312)으로부터 시작하여 복수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들(311)을 휘감으면서 모듈(310)의 중심부(내부)로부터 외부로 감겨진 코일 패턴을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최초에 생성되는 코일 패턴 층이 모듈(300)의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감기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반대로 모듈(300)의 외곽부에서 내부방향으로 감기는 형태도 가능하다.
그러나, 복수개의 층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모듈(300)의 내부에서 외부로 감기는 형태와 모듈(300)의 외부에서 내부로 감기는 형태가 서로 번갈아가면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도 6은 복수층의 코일 패턴이 생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모듈에서 형성된 복수층의 코일 패턴을 모듈로부터 분리한 것이다.
도 7(a)는 코일 패턴의 마지막 층이 내부에서 외부로 감기는 형태로 진행되어 완성되었기 때문에 코일 패턴을 완료한 코일이 마지막 층의 외곽부에 위치하는 경우이고, 도 7(b)는 코일 패턴의 마지막 층이 외부에서 내부로 감기는 형태로 진행되어 완성되었기 때문에 코일 패턴을 완료한 코일이 마지막 츨의 중심부(원)에 위치하게 된 경우이다.
도 3을 설명할 때 왼쪽의 꼭지점 위치에 있는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11) 및 오른쪽 꼭지점 위치에 돌출된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11)의 두께가 적어도 하나의 코일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기재하였었다. 코일 패턴의 마지막 층에 위치하는 코일의 일 단자를 코일 패턴의 중심부의 틈, 즉 왼쪽의 꼭지점 위치에 돌출된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11) 및 오른쪽 꼭지점 위치에 돌출된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11)의 두께에 의해 형성된 코일들 사이의 틈을 이용하여 코일 패턴의 첫 번째 층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7(b)는 이러한 구성을 나타낸다.
코일의 양 단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각각 2개의 전원단자에 연결되어야 하는데, 전원단자의 위치에 따라 도 7(a) 및 도 7(b)의 실시 예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300)을 이용하여 생성시킨 코일 패턴층은 중앙부의 비어있는 공간이 거의 없으며,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코일 패턴층과 비교하면 공간의 활용이 최적화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300)을 이용하여 코일 패턴층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800)은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 돌출단계(810), 코일 패턴 적층단계(820) 및 적층 코일 패턴 분리단계(830)를 각각 수행한다.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을 돌출하는 가이드 핀 돌출단계(830)에서는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들(320)을 방향전환용 가이드 홀(311)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킨다.
코일 패턴 적층단계(820)에서는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20)을 순서대로 둘러싸면서 코일이 베이스(310)의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진행하여 하나의 코일 패턴층을 형성하는 제1적층단계(821) 및 코일이 베이스(310)의 외부에서 내부방향으로 진행하여 다른 하나의 코일 패턴층을 형성하는 제2적층단계(822)를 번갈아 가면서 수행하여 여러 개의 코일 패턴층으로 구성되는 적층 코일 패턴을 형성한다. 여기서 코일 패턴 적층단계(820)에서 최초에 수행되는 제1적층단계(821) 또는 제2적층단계(822)는, 코일을 코일 가이드 홈(312)으로 삽입한 후 수행한다.
여기서 제1적층단계(821)는, 2개의 꼭지점 부근에 각각 돌출된 두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을 둘러싼 후, 이어서 2개의 꼭지점에서 멀어지는 순서대로 2개 씩의 돌출된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을 둘러싸고, 마지막으로 꼭지점 부근에서 가장 먼 곳에 돌출된 2개 씩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을 둘러싸면서 코일 패턴의 하나의 층을 형성하며, 제2적층단계(822)는 2개의 꼭지점으로부터 가장 먼곳에 돌출된 각각 2개씩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들을 둘러싼 후, 내부 방향으로 순서대로 돌출된 2개 씩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을 둘러싸고, 마지막으로 2개의 꼭지점 부근에 각각 돌출된 두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핀을 둘러싸면서 코일 패턴의 다른 하나의 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적층 코일 패턴 분리단계(830)에서는 적층 코일 패턴을 베이스(310) 및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20)과 분리한다.
여기서,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320)이 방향전환용 가이드 홀(311)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코일 패턴 적층단계(820) 중 첫 번째 수행되는 제1적층단계(821) 또는 제2적층단계(822)일 때가 가장 깊고, 번갈아 가면서 수행되는 제2적층단계(822) 및 제1적층단계(821)가 진행됨에 따라 일정 비율로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코일의 모서리를 비교한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회전식 코일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 9(a) 및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패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 9(b)를 참조하면, 종래의 회전식 코일의 네 모서리의 라운드 값(B)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패턴의 네 모서리의 라운드 값(B-B)에 비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종래의 회전식 코일(A)의 모서리의 라운드 값(B)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패턴(b)의 라운드 값(B-B)에 비해 큰 것은, 본 발명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권심지그의 모서리의 외부로 적층되는 코일의 선경 두께만큼 누적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네 모서리의 라운드 값의 차이는, 코일에 전류가 인가된 후 자기력선에 의해 힘을 받게 되는 코일의 길이(A, A-A)에서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되며, 본 발명의 코일 패턴의 길이(A-A)가 종래의 회전식 코일의 길이(A)에 비해서 길게 되므로, 종래의 코일에 비해 본 발명의 코일에 가해지는 전자기력이 상대적으로 큰 것을 알 수 있다.
자기장 내에 위치하는 코일의 전체적인 부피가 동일할 때 자기장으로부터 받는 힘 즉 전자기력의 크기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코일 패턴이 종래의 방식으로 제조된 코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은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기타의 조건들이 모두 동일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패턴의 부피가 종래의 코일에 비해 줄어들게 될 것은 당연하며, 결국 렌즈를 구동하는 모듈(미도시)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종래의 코일을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렌즈 모듈에 종래의 코일 대신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패턴을 적용한다면, 적어도 부피가 줄어든 만큼 렌즈의 이동 경로가 더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310: 베이스
311: 방향전환용 가이드 홀
312: 코일 가이드 홈
320: 복수의 가이드 핀
330: 형상 고정용 압착지그

Claims (10)

  1. 삼각형의 3개의 면 중 꼭지점에 접하는 2개의 변에 해당하는 위치에 2개의 열로 각각 형성되며 각 열의 꼭지점이 중심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홀 및 상부 일면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2개의 꼭지점 중 하나의 꼭지점의 위치에 이르는 코일 가이드 홈이 형성된 사각 형태의 베이스; 및
    상기 복수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홀 각각으로부터 개별적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4개의 모서리에는,
    형상 고정용 압착지그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 각각은,
    해당 방향전환용 가이드 홀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홀들 사이의 간격은 적층될 코일의 두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왼쪽의 꼭지점 위치에 돌출된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 및 오른쪽 꼭지점 위치에 돌출된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의 두께는 하나의 코일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들 각각 및 상기 형상 고정용 압착지그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
  7. 제3항에 기재된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을 이용하여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용 가이드 홀로부터 상기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을 돌출시키는 가이드 핀 돌출단계;
    상기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을 순서대로 둘러싸면서 코일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진행하여 하나의 코일 패턴층을 형성하는 제1적층단계 및 상기 코일이 상기 베이스의 외부에서 내부방향으로 진행하여 다른 하나의 코일 패턴층을 형성하는 제2적층단계를 번갈아 가면서 수행하여 여러 개의 코일 패턴층으로 구성되는 적층 코일 패턴을 형성하는 코일 패턴 적층단계; 및
    상기 적층 코일 패턴을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과 분리하는 적층 코일 패턴 분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 패턴 적층단계에서 최초에 수행되는 상기 제1적층단계 또는 상기 제2적층단계는,
    상기 코일을 상기 코일 가이드 홈으로 삽입한 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층단계는,
    2개의 꼭지점 부근에 각각 돌출된 두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을 둘러싼 후, 이어서 2개의 꼭지점에서 멀어지는 순서대로 2개 씩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을 둘러싸고, 마지막으로 꼭지점 부근에서 가장 먼 곳에서 돌출된 2개 씩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을 둘러싸면서 코일 패턴의 하나의 층을 형성하며,
    상기 제2적층단계는,
    상기 2개의 꼭지점으로부터 가장 먼곳에서 돌출된 각각 2개씩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들을 둘러싼후, 내부 방향으로 순서대로 2개 씩의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을 둘러싸고, 마지막으로 2개의 꼭지점 부근에 각각 돌출된 두 개의 방향전환용 가이드핀을 둘러싸면서 코일 패턴의 다른 하나의 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용 가이드핀의 돌출 순서는,
    상기 코일 패턴 적층단계가 진행될 때 사용되는 방향전환용만 일정한 높이로 돌출하고, 나머지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들은 이전의 돌출 높이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용 가이드 핀이 상기 방향전환용 가이드 홀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코일 패턴 적층단계 중 첫 번째 수행되는 제1적층단계 또는 제2적층단계일 때가 가장 낮고, 번갈아 가면서 수행되는 제2적층단계 및 제1적층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일정 비율로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
KR1020140144739A 2014-10-24 2014-10-24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 및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 KR101462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739A KR101462000B1 (ko) 2014-10-24 2014-10-24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 및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
PCT/KR2015/004316 WO2016064056A1 (ko) 2014-10-24 2015-04-29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 및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739A KR101462000B1 (ko) 2014-10-24 2014-10-24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 및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000B1 true KR101462000B1 (ko) 2014-11-19

Family

ID=5229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739A KR101462000B1 (ko) 2014-10-24 2014-10-24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 및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2000B1 (ko)
WO (1) WO201606405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628A (ko) * 2007-03-13 2008-09-19 요네자와 덴센 가부시키가이샤 권선용 치구(治具), 각형(角形) 코일 및 각형 코일의 제조방법
KR20110027551A (ko) * 2010-07-26 2011-03-16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코어 어셈블리
KR20110089944A (ko) * 2010-02-02 2011-08-10 정원식 인덕션 히팅 코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동일한 간격을 갖는 인덕션 히팅 코일
JP2014063840A (ja) * 2012-09-20 2014-04-10 Toyota Industries Corp 平面コイルおよび平面コイル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360B1 (ko) * 2009-09-08 2010-12-17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코일권선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이중코어 제조 방법 및 이들에 의해 제조된 이중코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628A (ko) * 2007-03-13 2008-09-19 요네자와 덴센 가부시키가이샤 권선용 치구(治具), 각형(角形) 코일 및 각형 코일의 제조방법
KR20110089944A (ko) * 2010-02-02 2011-08-10 정원식 인덕션 히팅 코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동일한 간격을 갖는 인덕션 히팅 코일
KR20110027551A (ko) * 2010-07-26 2011-03-16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코어 어셈블리
JP2014063840A (ja) * 2012-09-20 2014-04-10 Toyota Industries Corp 平面コイルおよび平面コイ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4056A1 (ko)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99664A2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US20080117536A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WI722253B (zh) 線圈變形裝置及定子製造裝置以及定子之製造方法
KR20230057323A (ko) 렌즈 구동 장치
US9438078B2 (en) Arrangement of coil wires in a rotor of an electric motor
US11258343B2 (en) Double helix actuator with magnetic sections having alternating polarities
US20200026149A1 (en) Aperture stop module
CN209373236U (zh) 多镜头摄像系统及其驱动机构
KR20120059843A (ko) 보이스 코일 모터용 코일 블럭,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006611B1 (ko)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가변렌즈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촬상장치
US8072099B2 (en) Voice coil motor for driving lens group
CN104011976A (zh) 马达
JP2017102375A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1923332B1 (ko) 보빈리스 다중직렬 코일
EP141405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il device
KR101462000B1 (ko) 코일 패턴 적층용 모듈 및 코일 패턴을 적층하는 방법
CN102401971A (zh) 透镜促动器
US6819015B2 (en) Stator fastening structure of reciprocating motor
US9242830B2 (en) Coil winding method and transformer
KR101744352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JP6678071B2 (ja) レンズ駆動装置
US10734857B2 (en) Electromechanical limited rotation rotary actuator and method employing segmented coils
US7680407B2 (en) Auto-focusing camera
KR101981163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및 포커싱 렌즈
KR20170017330A (ko) 무선 충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