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901B1 -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901B1
KR101461901B1 KR1020130114049A KR20130114049A KR101461901B1 KR 101461901 B1 KR101461901 B1 KR 101461901B1 KR 1020130114049 A KR1020130114049 A KR 1020130114049A KR 20130114049 A KR20130114049 A KR 20130114049A KR 101461901 B1 KR101461901 B1 KR 101461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ntrol valve
oil control
control unit
hydraulic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44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hydraulic chambers with variable volume to transmit the rotating force
    • F01L2001/34423Details relating to the hydraulic feeding circuit
    • F01L2001/34426Oil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00/00Methods of operation using a variable valve timing mechanism
    • F01L2800/11Fault detection,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20/00Details on specific features characterising valve gear arrangements
    • F01L2820/04Sensors
    • F01L2820/043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2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오일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가변 오일 펌프, 상기 오일 펌프의 유압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로 전달하는 메인 갤러리 및 상기 오일 압력 센서의 출력 신호를 전달 받으며,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와 상기 가변 오일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오일 펌프가 최대 유압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가변 오일 펌프를 제어하는 오일 펌프 강제 작동 단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 상기 오일 압력 센서를 통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 상기 메인 갤러리 유압 변화 여부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MALFUNCTION DIAGNOSYS METHOD OF OIL CONTROL VALVE FOR VARIABLE VAVEL LIFT APPRATUS}
본 발명은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를 제어하는 유로에 추가적인 오일 압력 센서를 장착하지 않더라도 오일 콘트롤 밸브의 고장 감지가 가능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은 연소실(combustion chamber)에 연료와 공기를 받아들여 이를 연소함으로써 동력을 형성한다.
공기를 흡입할 때에는 캠축(camshaft)의 구동에 의해 흡기밸브(intake valves)를 작동시키고, 흡기밸브가 열려있는 동안 공기가 연소실에 흡입되게 된다.
또한, 캠축의 구동에 의해 배기밸브(exhaust valve)를 작동시키고 배기밸브가 열려있는 동안 공기가 연소실에서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최적의 흡기밸브/배기밸브 동작은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즉,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적절한 리프트(lift) 또는 밸브 오프닝/클로징 타임이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적절한 밸브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예로, 밸브가 엔진회전수에 따라 다른 리프트(lift)로 동작하도록 구현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variable valve lift; VVL) 장치와, 밸브를 엔진회전수에 따라 적절한 타이밍에서 개폐시키는 가변 밸브 타이밍(variable valve timing; VVT) 장치가 연구되고 있다.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일 예로 공개번호 10-2011-0113094 등이 있다.
통상의 2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는 오일 콘트롤 밸브의 작동에 의하여 밸브 리프트가 가변 되는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오작동, 즉 오일 콘트롤 밸브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착(stuck)이 발생하면 가변 밸브 리프트가 정상 작동하지 않아 엔진 작동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적인 오일압 센서 등의 설치 없이 오일 콘트롤 밸브의 고장 유무를 감지하여 ECU의 엔진 제어에 활용하고 고장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은 2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오일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가변 오일 펌프, 상기 오일 펌프의 유압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로 전달하는 메인 갤러리 및 상기 오일 압력 센서의 출력 신호를 전달 받으며,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와 상기 가변 오일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오일 펌프가 최대 유압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가변 오일 펌프를 제어하는 오일 펌프 강제 작동 단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 상기 오일 압력 센서를 통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 상기 메인 갤러리 유압 변화 여부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펌프의 강제 작동 제어를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제2 모드 강제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오프(off)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강제로 오프 제어에서 온 제어로 변경시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 변화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닫힘 고착(closed stuck)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오프(off)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강제로 오프 제어에서 온 제어로 변경시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 변화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열림 고착(open stuck)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모니터링 한 후, 참조 유압을 설정하고,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 변화 여부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참조 유압과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비교하여 유압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은 2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오일 펌프, 상기 오일 펌프의 유압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로 전달하는 메인 갤러리,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측정하는 유압 센서 및 상기 오일 압력 센서의 출력 신호를 전달 받으며,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와 상기 오일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가변 오일 펌프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 상기 오일 압력 센서를 통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가변 오일 펌프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 상기 메인 갤러리 유압 변화 여부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제2 강제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오프(off)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강제로 오프 제어에서 온 제어로 변경시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 변화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닫힘 고착(closed stuck)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오프(off)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강제로 오프 제어에서 온 제어로 변경시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 변화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열림 고착(open stuck)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모니터링 한 후, 참조 유압을 설정하고,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 변화 여부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참조 유압과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비교하여 유압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은 2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오일 펌프, 상기 오일 펌프의 유압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로 전달하는 메인 갤러리,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유압센서 및 상기 오일 압력 센서의 출력 신호를 전달 받으며,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와 상기 오일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 상기 오일 압력 센서를 통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 상기 메인 갤러리 유압 변화 여부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제1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오일 압력 센서를 통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 상기 메인 갤러리 유압 변화 여부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제2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1 고장 또는 제2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제1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1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제2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강제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펌프가 가변 오일 펌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오일 펌프가 가변 오일 펌프일 경우, 상기 가변 오일 펌프가 최대 유압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펌프를 제어하는 오일 펌프 강제 작동 단계; 및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강제 작동을 종료한 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가변 오일 펌프 강제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모니터링 한 후, 참조 유압을 설정하고,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 변화 여부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참조 유압과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비교하여 유압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오프(off)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1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닫힘 고착(closed stuck)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2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열림 고착(open stuck)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오프(off)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1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열림 고착(open stuck)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2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닫힘 고착(closed stuck)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에 의하면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를 제어하는 유로에 추가적인 오일 압력 센서를 장착하지 않더라도 오일 콘트롤 밸브의 고장 감지가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이 적용되는 가변 밸브 리스트 시스템의 하이 리프트 모드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이 적용되는 가변 밸브 리스트 시스템의 로우 리프트 모드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이 적용되는 가변 오일 펌프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스트 시스템의 메인 갤러리 압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오일 펌프가 적용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이 적용되는 고정형 오일 펌프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스트 시스템의 메인 갤러리 압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형 오일 펌프가 적용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이 적용되는 가변 밸브 리스트 시스템의 하이 리프트 모드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이 적용되는 가변 밸브 리스트 시스템의 로우 리프트 모드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이 적용되는 가변 밸브 리스트 시스템은 2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미도시)의 작동을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30), 오일 펌프(10), 상기 오일 펌프(10)의 유압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와 각각의 갤러리로 전달하는 메인 갤러리(14),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와 상기 가변 오일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오일 펌프(10)는 오일 펌프 솔레노이드 밸브(12)와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오일 압력 센서(16)를 포함하는 가변 오일 펌프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오일 펌프(10)는 고정(fixed) 오일 펌프로 구성되고, 오일 압력 센서(16)가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캘러리(14)는 엔진(18)과 연통하고, 상기 엔진(18)은 제어 라인(41)과 연통하며, 상기 제어 라인(41)은 각 실린더(C1 ~ C4)에 구비된 2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미도시)를 구동하기 위한 헤드 인 갤러리(head in??gallery; 43)를 통해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와 연통한다.
또한, 상기 제어 라인(41)으로부터 캠 샤프트 유로(42)와 헤드 익스 갤러리(head ex??gallery; 40)가 분기되며, 상기 캠 샤프트 유로(42)와 헤드 익스 갤러리(40)로 공급된 오일은 버큠 펌프(44)로 해소된다.
상기 헤드 인 갤러리(43)와 상기 제어 라인(41)의 연결부분에는 오리피스(48)가 구비되며, 상기 캠 샤프트 유로(42)와 헤드 익스 갤러리(40)와 상기 제어 라인(41)의 연결부분에는 오리피스(50)가 구비되어 공급되는 유압을 감압한다.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어 라인(41)과 직접 연통하거나, 릴리프 밸브(46)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해소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하이 리프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는 열리고(ON), 따라서, 상기 제어 라인(41)을 통해 상기 메인 갤러리(14)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으며, 따라서, 상기 헤드 인 갤러리(43) 내의 유압이 상승하여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가 하이 리프트로 작동 하게 된다.
도2를 참조하면, 로우 리프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는 닫히고(OFF), 따라서, 상기 제어 라인(41)을 통해 상기 메인 갤러리(14)로부터 유압이 직접 공급되지 않고, 상기 릴리프 밸브(46)를 통해 유압이 해소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 인 갤러리(43) 내의 유압이 하강하여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가 로우 리프트로 작동 하게 된다.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는 상대적인 고압이 공급되면 하이 리프트 모드로 작동하고, 상대적인 저압이 공급되면 로우 리프트 모드로 작동하는 통상의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를 의미하고, 하이 리프트 모드와 로우 리프트 모드를 구현하는 상기 제어부(20)의 작동 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고착(stuck)되어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않으면, 하이 리프트 모드와 로우 리프트 모드로 모드 변환이 되지 않아 엔진의 작동 성능이 떨어지고 연비가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고장을 진단하기 위해 오일 압력 센서를 추가로 장착하여 오일압 변동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오일 압력 센서의 추가 장착으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은 추가적인 오일 압력 센서의 장착 없이 오일 콘트롤 밸브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이 적용되는 가변 오일 펌프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스트 시스템의 메인 갤러리 압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도3을 참조하여 닫힘 고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그래프의 ①은 고장 진단 모드에 진입단계를 나타내며, 상기 고장 진단 모드는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의 실행 조건이 만족시 상기 제어부(20)가 이를 진행하며, 예를 들어, 설정된 주행 거리, 차량 운행 시간, 차량 시동시, 시동 횟수 등 고장 진단을 실행하는 조건을 미리 설정하여 고장 진입 단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래프의 ②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가변 오일 펌프(10)를 강제 제어하여 최대 유압을 생성하도록 하며,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오일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그래프의 ③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제어하여 강제로 닫히도록(OFF) 한다. 이때, 상기 릴리프 밸브(46)는 열리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로 상기 제어 라인(41)의 유압이 직접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헤드 인 갤러리(43) 내의 유압이 상대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그래프의 ④에서는 상기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압력 센서(16)를 통해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모니터링 하며, 또한, 모니터링된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통해 참조 유압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참조 유압은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 변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유압, 즉 현재의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의 유압을 의미한다.
그래프의 ⑤ 에서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제어하여 강제로 열리도록(ON) 한다.
그래프의 ⑥ 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압력 센서(16)를 통해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측정된 유압과 상기 참조 유압을 비교한다.
그래프의 ⑦ 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오작동 유무를 판단한다. 즉,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열려 상기 헤드 인 갤러리(43) 유압이 높아지며, 또한, 이들과 연통하는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만약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닫힘 고착(closed stuck)일 경우에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열리지 않아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이 상승하지 않는다. 즉,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이 상기 참조 유압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20)는 그래프의 ⑧ 및 ⑨에서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 및 상기 가변 오일 펌프(10)의 강제 작동을 종료하고, ⑩에서 고장 진단 모드를 종료한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열림 고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그래프의 ①은 고장 진단 모드에 진입단계를 나타내며, 이는 도3의 설명에서 나타낸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래프의 ②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가변 오일 펌프(10)를 강제 제어하여 최대 유압을 생성하도록 하며,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오일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그래프의 ③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제어하여 강제로 열리도록(ON) 하여 상기 헤드 인 갤러리(43) 내의 유압이 상대적으로 상승하도록 한다.
그래프의 ④에서는 상기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압력 센서(16)를 통해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모니터링 하며, 또한, 모니터링된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통해 참조 유압을 설정한다. 상기 참조 유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 변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유압, 즉 현재의 메인 갤러리(14)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의 유압을 의미한다.
그래프의 ⑤ 에서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제어하여 강제로 닫히도록(OFF) 한다.
그래프의 ⑥ 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압력 센서(16)를 통해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측정된 유압과 상기 참조 유압을 비교한다.
그래프의 ⑦ 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오작동 유무를 판단한다. 즉,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닫히고, 상기 릴리프 밸브(46)를 통해 유압이 해소되어 상기 헤드 인 갤러리(43) 유압이 낮아지며, 또한, 이들과 연통하는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이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만약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열림 고착(opened stuck)일 경우에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닫히지 않아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이 낮아지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는 그래프의 ⑧ 및 ⑨에서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 및 상기 가변 오일 펌프(10)의 강제 작동을 종료하고, ⑩에서 고장 진단 모드를 종료한다.
도5는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오일 펌프가 적용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오일 펌프가 적용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은 상기 제어부(20)가 고장 진단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10), 상기 가변 오일 펌프(30)가 최대 유압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가변 오일 펌프(10)를 제어하는 오일 펌프 강제 작동 단계(S112),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S114), 상기 오일 압력 센서(16)를 통해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S116),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S120), 상기 메인 갤러리(14) 유압 변화 여부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2) 및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20)가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장 진단 조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설정된 주행 거리, 차량 운행 시간, 차량 시동시, 시동 횟수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은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펌프(10)의 강제 작동 제어를 종료하는 단계(S128) 및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10)의 제2 모드 강제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S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모니터링 한 후, 참조 유압을 설정하고(S118),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 변화 여부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참조 유압과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비교하여 유압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2)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S112)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오프(off)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S120)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온(on)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강제로 오프 제어에서 온 제어로 변경시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 변화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닫힘 고착(closed stuck)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된 범위는 상기 설정된 참조 유압으로, 상기 모니터링된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의 유압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S112)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S120)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오프(off)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강제로 오프 제어에서 온 제어로 변경시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 변화가 설정된 범위, 즉 참조 유압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열림 고착(open stuck)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이 적용되는 고정형 오일 펌프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스트 시스템의 메인 갤러리 압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오일 펌프(10)가 고정(fixed) 오일 펌프로 구성되고, 오일 압력 센서(16)가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도6을 참조하여 닫힘 고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그래프의 ①은 고장 진단 모드에 진입단계를 나타낸다. 상기 고장 진단 모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래프의 ②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제어하여 강제로 닫히도록(OFF) 한다.
그래프의 ③에서는 상기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압력 센서(16)를 통해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모니터링 하며, 또한, 모니터링된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통해 참조 유압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참조 유압은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 변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유압, 즉 현재의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의 유압을 의미한다.
그래프의 ④ 에서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제어하여 강제로 열리도록(ON) 한다.
그래프의 ⑤ 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압력 센서(16)를 통해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측정된 유압과 상기 참조 유압을 비교한다.
그래프의 ⑥ 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오작동 유무를 판단한다. 즉,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열려 상기 헤드 인 갤러리(43) 유압이 높아지며, 또한, 이들과 연통하는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만약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닫힘 고착(closed stuck)일 경우에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열리지 않아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이 상승하지 않는다. 즉,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이 상기 참조 유압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20)는 그래프의 ⑦ 에서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 및 상기 가변 오일 펌프(10)의 강제 작동을 종료하고, ⑧에서 고장 진단 모드를 종료한다.
이하, 도7을 참조하여 열림 고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그래프의 ①은 고장 진단 모드에 진입단계를 나타낸다. 상기 고장 진단 모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래프의 ②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제어하여 강제로 열리도록(ON) 한다.
그래프의 ③에서는 상기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압력 센서(16)를 통해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모니터링 하며, 또한, 모니터링된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통해 참조 유압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참조 유압은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 변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유압, 즉 현재의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의 유압을 의미한다.
그래프의 ④ 에서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제어하여 강제로 닫히도록(OFF) 한다.
그래프의 ⑤ 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압력 센서(16)를 통해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측정된 유압과 상기 참조 유압을 비교한다.
그래프의 ⑥ 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오작동 유무를 판단한다. 즉,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닫혀 상기 헤드 인 갤러리(43) 유압이 낮아지며, 또한, 이들과 연통하는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도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만약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열림 고착(opened stuck)일 경우에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닫히지 않아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이 하강하지 않는다. 즉,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이 상기 참조 유압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20)는 그래프의 ⑦ 에서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 및 상기 가변 오일 펌프(10)의 강제 작동을 종료하고, ⑧에서 고장 진단 모드를 종료한다.
도8은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형 오일 펌프가 적용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1, 도2 및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형 오일 펌프가 적용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은 상기 제어부(20)가 고장 진단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10),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가변 오일 펌프(30)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S212), 상기 오일 압력 센서(16)를 통해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S214),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가변 오일 펌프(30)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S218), 상기 메인 갤러리(14) 유압 변화 여부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0) 및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20)가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222)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은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제2 강제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S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모니터링 한 후, 참조 유압을 설정하고(S216),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 변화 여부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참조 유압과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비교하여 유압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0)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오프(off)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온(on)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강제로 오프 제어에서 온 제어로 변경시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 변화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닫힘 고착(closed stuck)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된 범위는 상기 설정된 참조 유압으로, 상기 모니터링된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의 유압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S212)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S218)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오프(off)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강제로 오프 제어에서 온 제어로 변경시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 변화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열림 고착(open stuck)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4, 도6, 도7, 도9 및 도10을 참조하여, 상기 오일 펌프(10)가 가변 또는 고정 오일 펌프일 경우의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은 상기 제어부(20)가 고장 진단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10),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S316), 상기 오일 압력 센서(16)를 통해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S318),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S322), 상기 메인 갤러리(14) 유압 변화 여부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제1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24), 상기 오일 압력 센서(16)를 통해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S330),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S334), 상기 메인 갤러리(14) 유압 변화 여부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제2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6) 및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제1 고장 또는 제2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20)가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326, S3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은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제1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24) 이후에,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S3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은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제1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제2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6) 이후에,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강제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S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은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펌프(10)가 가변 오일 펌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12,S342), 상기 오일 펌프(10)가 가변 오일 펌프일 경우, 상기 가변 오일 펌프가 최대 유압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펌프(10)를 제어하는 오일 펌프 강제 작동 단계(S314) 및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강제 작동을 종료(S340)한 후에,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가변 오일 펌프 강제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S3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모니터링 한 후, 참조 유압을 설정하고(S318, S320, S330, S332),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 변화 여부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참조 유압과 상기 메인 갤러리(14)의 유압을 비교하여 유압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4, S336).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S316, S334)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오프(off)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S328)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온(on) 제어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제1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닫힘 고착(closed stuck)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S326)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제2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열림 고착(open stuck)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S338)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S316, S334)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S328)에서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를 오프(off)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1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열림 고착(open stuck)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S326)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가 제2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30)의 닫힘 고착(closed stuck)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호(S338)를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에 의하면, 추가적인 오일압 센서 등의 설치 없이 오일 콘트롤 밸브의 고장 유무를 감지하여 ECU의 엔진 제어에 활용하고 고장 여부를 사용자에게 경고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오일 펌프 12: 오일 펌프 솔레노이드 밸브
14: 메인 갤러리 16: 오일 압력 센서
18: 엔진 20: 제어부
30: 오일 콘트롤 밸브 40: 헤드 익스 갤러리
42: 캠 샤프트 유로 44: 버큠 펌프
46: 릴리프 밸브 48, 50: 오리피스

Claims (17)

  1. 2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오일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가변 오일 펌프, 상기 오일 펌프의 유압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로 전달하는 메인 갤러리 및 상기 오일 압력 센서의 출력 신호를 전달 받으며,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와 상기 가변 오일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오일 펌프가 최대 유압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가변 오일 펌프를 제어하는 오일 펌프 강제 작동 단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
    상기 오일 압력 센서를 통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
    상기 메인 갤러리 유압 변화 여부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펌프의 강제 작동 제어를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제2 모드 강제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오프(off)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강제로 오프 제어에서 온 제어로 변경시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 변화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닫힘 고착(closed stuck)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오프(off)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강제로 오프 제어에서 온 제어로 변경시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 변화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열림 고착(open stuck)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모니터링 한 후, 참조 유압을 설정하고,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 변화 여부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참조 유압과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비교하여 유압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6. 2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오일 펌프, 상기 오일 펌프의 유압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로 전달하는 메인 갤러리,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측정하는 유압 센서 및 상기 오일 압력 센서의 출력 신호를 전달 받으며,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와 상기 오일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가변 오일 펌프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
    상기 오일 압력 센서를 통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가변 오일 펌프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
    상기 메인 갤러리 유압 변화 여부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제2 강제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오프(off)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강제로 오프 제어에서 온 제어로 변경시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 변화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닫힘 고착(closed stuck)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오프(off)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강제로 오프 제어에서 온 제어로 변경시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 변화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열림 고착(open stuck)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10.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모니터링 한 후, 참조 유압을 설정하고,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 변화 여부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참조 유압과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비교하여 유압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11. 2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오일 펌프, 상기 오일 펌프의 유압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로 전달하는 메인 갤러리,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유압센서 및 상기 오일 압력 센서의 출력 신호를 전달 받으며,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와 상기 오일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
    상기 오일 압력 센서를 통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
    상기 메인 갤러리 유압 변화 여부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제1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오일 압력 센서를 통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
    상기 메인 갤러리 유압 변화 여부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제2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1 고장 또는 제2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제1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제어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13. 제11항에서,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1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제2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강제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14. 제13항에서,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펌프가 가변 오일 펌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오일 펌프가 가변 오일 펌프일 경우, 상기 가변 오일 펌프가 최대 유압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펌프를 제어하는 오일 펌프 강제 작동 단계; 및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강제 작동을 종료한 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가변 오일 펌프 강제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모니터링 한 후, 참조 유압을 설정하고,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 변화 여부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참조 유압과 상기 메인 갤러리의 유압을 비교하여 유압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오프(off)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1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닫힘 고착(closed stuck)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2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열림 고착(open stuck)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17.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1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 제2 강제 작동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를 오프(off) 제어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1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열림 고착(open stuck)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가 제2 고장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콘트롤 밸브의 닫힘 고착(closed stuck)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KR1020130114049A 2013-09-25 2013-09-25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KR101461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049A KR101461901B1 (ko) 2013-09-25 2013-09-25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049A KR101461901B1 (ko) 2013-09-25 2013-09-25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901B1 true KR101461901B1 (ko) 2014-11-17

Family

ID=52290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049A KR101461901B1 (ko) 2013-09-25 2013-09-25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9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0503A (ko) * 2016-08-18 2018-0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밸브 타이밍시스템의 진단방법
EP3783219A1 (en) * 2019-08-22 2021-02-24 Suzuki Motor Corporation Abnormality diagnostic device for oil jet control valv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1542855B1 (en) 2021-08-06 2023-01-03 Hyundai Motor Company PCJ solenoid valve diagnostic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7117A (ja) * 1993-04-28 1994-11-15 Unisia Jecs Corp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の自己診断装置
JP2004116405A (ja) * 2002-09-26 2004-04-15 Fuji Heavy Ind Ltd 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JP2009293592A (ja) * 2008-06-09 2009-12-17 Toyota Motor Corp 故障判定装置
KR20110135452A (ko) * 2010-06-11 2011-1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콘트롤밸브의 고착 방지를 위한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7117A (ja) * 1993-04-28 1994-11-15 Unisia Jecs Corp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の自己診断装置
JP2004116405A (ja) * 2002-09-26 2004-04-15 Fuji Heavy Ind Ltd 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JP2009293592A (ja) * 2008-06-09 2009-12-17 Toyota Motor Corp 故障判定装置
KR20110135452A (ko) * 2010-06-11 2011-1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콘트롤밸브의 고착 방지를 위한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0503A (ko) * 2016-08-18 2018-0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밸브 타이밍시스템의 진단방법
KR101886503B1 (ko) 2016-08-18 2018-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밸브 타이밍시스템의 진단방법
US10626820B2 (en) 2016-08-18 2020-04-21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diagnosing variable valve timing system
EP3783219A1 (en) * 2019-08-22 2021-02-24 Suzuki Motor Corporation Abnormality diagnostic device for oil jet control valv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1542855B1 (en) 2021-08-06 2023-01-03 Hyundai Motor Company PCJ solenoid valve diagnostic method
KR20230021912A (ko) 2021-08-06 2023-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cj 솔레노이드밸브 진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8039B2 (ja) 排気ガス還流装置の故障診断装置
CN102884301B (zh) 空气流量计的故障诊断装置
KR101461901B1 (ko)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용 오일 콘트롤 밸브 고장 진단 방법
CN101749132A (zh) 用于停缸控制的螺线管诊断系统
CN101881184B (zh) 两级油控制阀诊断系统
CN102235249A (zh) 气门正时控制装置
JP2007191098A (ja) 自動車用電子制御装置
US20130340721A1 (en) Abnormality detection apparatus for a fuel supply system
KR20180066659A (ko) 엔진 시스템의 진단 방법 및 장치
US67189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n oil control val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4893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operating errors in a variable valve timing engine
US8380423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ydraulically-actuated cam phasers
US8234055B2 (en) Engine movement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JP5973146B2 (ja) 油圧式可変バルブ装置の異常診断装置
KR20150115043A (ko) 배기가스재순환 밸브의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
KR102394549B1 (ko) 엔진 시스템의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1826705B1 (ko)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 다단 가변 밸브 리프트 동작 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63435A (ko) Cvvt의 체결 볼트 이상 감지 방법 및 그 시스템
JP5450543B2 (ja) エンジンの故障診断装置
JP2014098314A (ja) 吸気異常診断装置
KR100775048B1 (ko) 가변 밸브리프트 시스템
EP2742217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apparatu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method
US20200340418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Device
US9574681B2 (en) Variable valve timing control apparatus
JP2009002258A (ja) 内燃機関の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