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775B1 - 호모해링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호모해링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775B1
KR101461775B1 KR1020130004681A KR20130004681A KR101461775B1 KR 101461775 B1 KR101461775 B1 KR 101461775B1 KR 1020130004681 A KR1020130004681 A KR 1020130004681A KR 20130004681 A KR20130004681 A KR 20130004681A KR 101461775 B1 KR101461775 B1 KR 101461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cid
improving
homoharring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2544A (ko
Inventor
하서은
류종성
진무현
장민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30004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775B1/ko
Publication of KR20140092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모해링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호모해링토닌은 당화반응(glycation)에 의한 중간 생성물 또는 최종 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의 생성을 억제하고,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1(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호모해링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s comprising Homoharringtonin for improving skin aging or improving skin wrinkles}
본 발명은 호모해링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름답고 젊은 피부를 갖고자 하는 마음은 나이를 불문하고 누구나 똑같다. 하지만 피부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자연히 발생하는 내인적 요인과 주위 환경, 자외선 등의 외적 요인으로 인해 노화된다.
한편, 알칼로이드(alkaloid)는 질소를 포함하고 있는 염기성 유기 화합물로서, 단백질 아미노산의 이차대사산물의 일종으로서, 박테리아, 균, 식물 및 동물을 비롯한 다양한 생물군에서 얻을 수 있다. 피리딘, 퀴놀린, 이소퀴놀린, 피롤리딘, 피페리딘, 인돌, 프로판, 푸린 등의 고리구조를 갖는 것이 많으며, 대표적인 알칼로이드로는 카페인(caffeine), 모르핀 (morphine), 니코틴(nicotine), 스트리크닌(strychnine), 아트로핀 (atropine), 코카인(cocaine), 키닌(kinin)이 있으며, 이들은 주로 신경조직이나, 심장근육, 호흡기 조직의 흥분을 야기하고, 마약이나 의약품으로 주로 사용된다. 그 외 알칼로이드의 효과로 항염, 항균 및 항암 활성이 알려졌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원발명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호모해링토닌(Homoharringtonin, HTT)은 알칼로이드의 일종으로서, 현재 세포증식 저해 활성이 있어, 항암 물질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 효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호모해링토닌(Homoharringtonin, HTT)을 이용하여 피부 노화 및 주름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모해링토닌(Homoharringtonin, HTT)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호모해링토닌은 P388 leukemia, L1210 leukemia, B16melanoma 세포에 대한 항암활성을 확인하여, 암 치료와 만성 백혈병 치료에 이용되었으며, 항암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호모해링토닌은 기존의 항암제에 비하여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으며, 천연물 유래로서 부작용이 적어, 상품화 가능성이 높아, 차세대 항암제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피부와 관련하여 어떠한 효능이 있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최종 당화(glycation)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여러 물질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호모해링토닌이 피부의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자들은 호모해링토닌이 대표적인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제인 아미노구아니딘 보다 우수한 당화반응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실시예 1),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인 비타민 C의 10% 수준의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또한, 콜라겐 분해 효소인 메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1(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의 활성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호모해링토닌은 시판품을 사용하거나, 식물로부터 분리, 반합성 또는 합성을 통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식물은 개비자나무(Cephalotaxus속) 일 수 있다. 상기 호모해링토닌의 제조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고, 본 발명은 그 범위를 포함한다.
상기의 호모해링토닌은 염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염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산은, 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락트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산, 말레산, 말론산, 푸마르산, 숙신산, 숙신산 모노아미드, 글루탐산, 타르타산, 옥살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글루쿠론산, 아스코르브산, 벤조산, 프탈산, 살리실산, 안트라닐산, 디클로로아세트산, 아미노옥시 아세트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및 메탄술폰산계 염을 포함하며 무기산은 예를 들면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질산, 탄산 및 붕산계 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또는 아세트산염 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형태일 수 있다.
위와는 별도로 추가적으로 염이 가능한 형태는 가바염, 가바펜틴염, 프레가발린염, 니코틴산염, 아디페이트염, 헤미말론산염, 시스테인염, 아세틸시스테인염, 메티오닌염, 아르기닌염, 라이신염, 오르니틴염, 아스파르트산염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노화방지 또는 피부 주름개선”이란, 나이가 들어가면서 자연히 발생하는 내인적 요인과 주위 환경, 자외선 등의 외적 요인으로 인한 피부의 탄력 저하 및 주름 생성, 어두워지는 피부 톤을 개선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생체 내에 존재하는 활성 산소는 피부 노화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로서,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을 산화시켜 피부 세포 및 조직이 손상되어 피부 노화를 일으킨다. 이러한 활성 산소는 생체 내에서 단백질의 당화도 촉진시킨다. 생체 내 당화(glycation)는 피부 및 조직 내 단백질의 아미노기와 환원당의 비효소 반응으로 초기 당화산물인 시프 염기(Schiff-base)를 형성하고 재배열되어 보다 안정한 아마도리 산물(Amadori product)을 이룬다. 그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마도리 산물이 활성 산소에 노출되면 절단, 교차결합, 응집, 카보닐기(carbonyl group) 형성과 같은 여러 단계를 거쳐서 최종 당화산물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을 형성한다. 형성된 최종 당화산물-단백질 결합은 매우 안전하며 비가역적 반응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투명하지 않고 탄력을 잃은 피부를 만들게 된다. 또한, 피부의 주 구조성분인 콜라겐의 결핍 역시, 피부 노화의 주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의 결핍은 그 생성자체가 감소하거나, 그 분해효소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1(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의 증가에 의한 콜라겐의 분해 촉진으로 일어난다. 따라서, 피부 노화 및 주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활성산소의 제거, 당화의 억제 및 세포 내에서 활성화가 유도되는 MMP-1의 활성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모해링토닌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당화반응(glycation)에 의한 중간 생성물 또는 최종 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의 생성 억제 및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1(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생성 억제에 효과적이므로,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공지된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이나,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 효과를 증강하는 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당업계에 공지된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 성분으로서, 레티노산, TGF,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튤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된 성분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함량 범위는 콜라겐 합성 촉진 활성, 피부 안전성,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예로, 본 발명은 호모해링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워시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또는 향료 등의 보조제 및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시-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상기 호모해링토닌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시-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의 호모해링토닌을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호모해링토닌을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00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호모해링토닌을 0.0000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체적인 예로, 본 발명은 호모해링토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와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호모해링토닌을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00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기 호모해링토닌을 0.0000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대상자의 상태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모해링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당화반응(glycation)에 의한 중간 생성물 또는 최종 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의 생성을 억제 및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1(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생성 억제에 효과적이므로,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험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단백질 당화반응 억제 효과 실험
Vinson과 Howard의 실험방법을 변형한 것으로서, 10 mg/ml의 우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Sigma, St. Louis, MO, USA)을 50 mM 인산염 완충액(phosphate buffer, pH 7.4) 700 ㎕에 녹이고, 0.2 M의 프럭토즈(fructose)와 글루코스(glucose)를 100 ㎕을 넣었다. 또한 0.02 % 소디움 아자이드(sodium azide)를 넣어 반응 기간 동안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호모해링토닌(Sigma-Aldrich)과 in vitro 표준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제인 아미노구아니딘을 각각 200 ㎕씩 넣어 최종적으로 1 ㎖이 되도록 한 후 37 ℃에서 14일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분광형광탐지기(spectrofluorometric detector; Bio-TEK, Synergy HT, USA)를 이용하여 들뜸파장(Ex; Excitation wavelength) 350 nm, 방출파장(Em; Emission wavelength) 450 nm로 조정하여 형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최종 당화산물 생성 50 % 억제농도(IC50; Inhibition Concentration50)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표1에 나타내었다.
최종당화산물 억제효과
시험물질 IC50 (ug/ml)
Aminoguanidine 71.5
Homoharringtonin 15.4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호모해링토닌의 최종당화산물 생성 50% 억제 농도(IC50) 값이 15.4 ㎍/㎖로 대조군으로 사용된 대표적인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제인 아미노구아니딘보다 4배 이상 우수한 당화반응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DPPH 항산화 효과 실험
96-웰 플레이트(96 well plate)에 연속희석법(serial dilution)으로 희석한 호모해링토닌(Sigma-Aldrich)과 비타민 C를 각각 100 ㎕씩 넣은 후, 0.15 mM DPPH 100 ㎕를 첨가하여 37 ℃에서 30분간 반응을 시킨다.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파장 540 nm에서 측정하여 IC50 값을 산출하여 비교하고, 그 결과는 표2에 나타내었다.
항산화 효과
시험물질 IC50 (%)
비타민C 0.0007
Homoharringtonin 0.006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호모해링토닌은 항산화 실험에서 대조군으로 사용된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인 비타민 C의 10 % 수준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3]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1(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 활성 억제효과 실험
인간 정상 피부 세포인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 ATCC, USA)를 24-웰 마이크로 플레이트(24 well microplate; Nunc, 덴마크)에 각 웰당 2.5×104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10 % 혈청 DMEM 배지(Gibco, USA) 및 37 ℃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10 % 혈청 DMEM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용액으로 1회 세척하였다. 상기 호모해링토닌(Sigma-Aldrich)을 연속희석법(serial dilution)으로 희석하여 0.01 ppm, 0.001 ppm, 0.0001 ppm, 0.00001 ppm농도로 만든 후, 이를 상기 무혈청 DMEM 배지에 첨가하고, 30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상기의 희석한 호모해링토닌이 포함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군과 대조군에 MMP-1 생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 tumor necrosis factor) 50 ng/㎖을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MMP-1 분석 키트(Amersham, USA)를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MMP-1의 양(ng/㎖)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에 따라 MMP-1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표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112013004242651-pat00001

MMP-1 생성 억제 효과
시험물질 MMP-1 생성 억제능(%)
0.0001ppm Homoharringtonin 14.3
0.001ppm Homoharringtonin 25.0
상기의 결과로부터 호모해링토닌의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1(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활성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호모해링토닌(Homoharrington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모해링토닌은 항당화 활성 및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인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모해링토닌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00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취,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자외선차단제, 입욕제, 비누, 액체 세정료 및 분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인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호모해링토닌(Homoharrington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피부 외용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호모해링토닌은 항당화 활성 및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인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피부 외용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호모해링토닌은 전체 피부 외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00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피부 외용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인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피부 외용제.
KR1020130004681A 2013-01-16 2013-01-16 호모해링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461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681A KR101461775B1 (ko) 2013-01-16 2013-01-16 호모해링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681A KR101461775B1 (ko) 2013-01-16 2013-01-16 호모해링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544A KR20140092544A (ko) 2014-07-24
KR101461775B1 true KR101461775B1 (ko) 2014-11-13

Family

ID=5173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681A KR101461775B1 (ko) 2013-01-16 2013-01-16 호모해링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391A1 (ko) * 2018-12-13 2020-06-1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호모해링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901B1 (ko) * 2018-06-01 2023-04-28 애경산업(주) 지면패랭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172871B1 (ko) * 2018-12-14 2020-11-0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팔로탁신 유래 에스터 알카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억제용 약학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3928A1 (en) 2007-05-15 2008-11-27 Puretech Venture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skin condi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3928A1 (en) 2007-05-15 2008-11-27 Puretech Venture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skin conditio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391A1 (ko) * 2018-12-13 2020-06-1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호모해링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72924A (ko) * 2018-12-13 2020-06-2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호모해링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4166B1 (ko) * 2018-12-13 2020-11-0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호모해링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544A (ko)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775B1 (ko) 호모해링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60020253A (ko) 아트락틸레놀라이드 i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349988B1 (ko) 디하이드로코리달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70078259A (ko) 아이소스테비올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019807A (ko) 도세탁셀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348878B1 (ko) 네페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20223A (ko) 샨즈히시드 메틸에스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20242A (ko) 파르테노리드를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93927B1 (ko) 팡키놀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65411B1 (ko) 아세틸아코니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93926B1 (ko) 페이미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65412B1 (ko) 그라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337297B1 (ko) 소포리코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20227A (ko) 누시페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19769A (ko) 코디세핀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19770A (ko) 빈돌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19806A (ko) 시티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70080020A (ko) 리쏘스퍼믹 엑시드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83041B1 (ko) 린코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87980B1 (ko) 피크로시드 ii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20241A (ko) Prim-O-글루코실시미푸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19815A (ko) 에스쿨렌토시드 a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19768A (ko) 피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77527B1 (ko) 7-에틸캄프토테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19765A (ko) 다이하이드로아르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