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477B1 - 실린더유닛 및 강판압연장치 - Google Patents

실린더유닛 및 강판압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477B1
KR101461477B1 KR20130068474A KR20130068474A KR101461477B1 KR 101461477 B1 KR101461477 B1 KR 101461477B1 KR 20130068474 A KR20130068474 A KR 20130068474A KR 20130068474 A KR20130068474 A KR 20130068474A KR 101461477 B1 KR101461477 B1 KR 101461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rod
internal
cylinder
external
cylind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8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경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068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21B31/32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by liquid pressure, e.g. hydromechanical adju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58Roll-force control; Roll-gap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5/00Forming parameters
    • B21B2265/12Rolling load or rolling pressure; rol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12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roll ca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린더유닛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튜브;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가능한 실린더로드;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내부감지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린더유닛 및 강판압연장치{CYLINDER UNT AND ROLLING APPARATUS FOR STEEL PLATE}
본 발명은 실린더유닛 및 강판압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로드의 이동거리 및 동작범위를 용이하게 검출 가능한 실린더유닛 및 강판압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 압연 공정에서는 일정온도로 가열된 슬라브(Slab)를 소재로 회전하는 2개의 롤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롤의 간격을 점차 좁히면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수요자가 요구하는 소정의 칫수(두께 및 폭), 재질 및 표면품질을 확보하면서 압연하게 된다. 열간압연 공정에서는 조압연, 사상압연으로 강판의 목표 폭 및 두께를 생산한다. 조압연은 주로 강판의 폭을 중심으로 하는 압연이고, 사상압연은 강판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압연으로서, 조압연 및 사상압연은 강판을 목표두께로 압연하는 공정이다.
예를 들어, 가열로(Reheating Furnace)에서 매우 고온(예를 들어 1200℃)으로 가열된 두께가 두꺼운 슬라브(Slab, 예로 약 250mm)를 조압연기에서 몇 회의 압연 공정을 수 분(min)에 걸쳐서 행하여 그 두께를 수십mm로 감소시키며, 조압연된 강판은 그 온도가 크게 낮아지며(예를 들어 1000℃), 이렇게 두께가 감소되고 온도가 낮아진 상태로 사상 압연기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압연기는 구동수단에 의해서 구동되는 한 쌍의 워크롤과, 그 워크롤에 압하량(약 4,000ton)을 부여하여 압연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백업롤로 구성된다. 백업롤은 워크롤의 작업 반력을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것으로서, 작업특성상 중·대형의 롤이 사용되며, 특히, 백업롤은 워크롤과 접촉되어 그 워크롤이 회전함에 따라서 회전되게 되어 있다.
특히, 강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워크롤 및 하부백업롤의 직경의 변화에 따라 스트립이 통과하는 패스 라인(Pass-line)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유압실린더를 사용한다. 하지만, 유압실린더의 레벨에 편차가 발생할 경우, 스트립이 사행되어 설비의 파손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로드의 거리 및 동작범위를 정확하게 검출하여 캠버(Camber)에 의한 설비의 파손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린더유닛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957926호. 2010.05.13.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린더로드의 거리 및 동작범위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린더로드의 레벨에 따른 캠버현상에 의한 설비의 파손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린더유닛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튜브;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가능한 실린더로드;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내부감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유닛은, 상기 실린더튜브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외부감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로드는 하부면으로부터 함몰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내부감지수단은, 상기 개구부 내의 천장면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와 함께 이동가능한 내부슬라이더; 및 상기 내부공간 내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며, 내면에 형성된 내부삽입홀을 따라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는 상기 내부슬라이더를 감지하는 내부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부감지센서는 상기 내부공간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로드는 상단부에 상기 실린더튜브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윙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외부감지수단은, 상기 윙플레이트에 각각 수직연결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와 함께 이동하는 외부슬라이더; 상기 실린더튜브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내면에 형성된 외부삽입홀을 따라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는 상기 외부슬라이더를 감지하는 외부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윙플레이트와 상기 외부슬라이더 및 상기 외부감지센서와 상기 실린더튜브는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윙플레이트와 상기 외부슬라이더 및 상기 외부감지센서와 상기 실린더튜브는 각각 구면베어링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튜브는 원통형상이며, 내주면의 상단이 외주면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강판압연장치는, 강판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강판을 향해 승강하여 진입하는 상기 강판을 압연하는 상부 및 하부워크롤; 상기 상부워크롤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워크롤과 맞닿아 함께 회전하는 상부백업롤; 상기 하부워크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워크롤과 맞닿아 함께 회전하는 하부백업롤; 및 상기 하부백업롤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백업롤을 승강하여 상기 하부워크롤의 압하력을 조절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유닛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튜브; 상기 하부백업롤의 롤축에 연결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가능한 실린더로드;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내부감지수단; 상기 실린더튜브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외부감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로드는 하부면으로부터 함몰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내부감지수단은, 상기 개구부 내의 천장면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와 함께 이동가능한 내부슬라이더; 및 상기 내부공간 내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며, 내면에 형성된 내부삽입홀을 따라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는 상기 내부슬라이더를 감지하는 내부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로드는 상단부에 상기 실린더튜브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윙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외부감지수단은, 상기 윙플레이트에 각각 수직연결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와 함께 이동하는 외부슬라이더; 상기 실린더튜브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내면에 형성된 외부삽입홀을 따라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는 상기 외부슬라이더를 감지하는 외부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윙플레이트와 상기 외부슬라이더 및 상기 외부감지센서와 상기 실린더튜브는 각각 구면베어링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감지수단과 외부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실린더로드의 이동거리 및 동작범위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로드의 양측으로 레벨편차에 의한 캠버현상에 의한 설비의 파손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압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실린더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실린더로드의 상승에 따른 내부감지센서 및 외부감지센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해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열간 압연 공정은 가열로 공정에서 적정 온도로 가열된 슬라브를 조압연 공정에서 일정 두께의 바 상태로 압연한 후에 최종 사상압연기로 보내고, 이를 마무리 압연 공정에서 고객이 주문한 두께로 최종 압연하는 공정을 말한다. 조압연 공정에서 일정량의 압연 후에 워크롤(Work roll)및 백업롤(Back up roll)을 교체하게 되는데, 교체 후에는 워크롤 및 백업롤의 위치와 갭(Gap)을 조정하여 사용해야한다. 또한, 교체된 워크롤과 백업롤을 이용하여 조압연 공정을 수행하는 중에도 그 위치와 갭이 가변하게 뒤므로 워크롤과 백업롤이 교체된 직후가 아니라 하더라도 이를 조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조압연 장치는 이러한 갭 조정을 위하여 조압연 공정을 중단하고, 롤의 직경에 따라 정해지는 두께를 갖는 하드 라이너(Hard liner)를 하부 백업롤과 하부 백업롤의 아래에 있는 스레드(Sled)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압연 소재의 패스라인을 확보하여 수동으로 갭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작업하였다. 이러한, 수동 갭 조정에 의해 오차가 많이 발생하며, 또한, 압연 소재에 의한 영향으로 압연 중에 갭이 변하더라도 그 변화량에 대한 보상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압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압연장치(100)는 구동수단(도시안함)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워크롤(110, 130)과 그 워크롤에 압하량을 부여하여 슬라브(S)을 압연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백업롤(120, 140)로 구성된다. 상부 및 하부백업롤(120, 140)은 상부 및 하부워크롤(110, 130)의 작업 반력을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것으로서, 작업특성상 중·대형의 롤이 사용되며, 상부 및 하부워크롤(110, 130)과 각각 접촉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워크롤(110) 및 상부 백업롤(120)은 슬라브(S)의 상부에 기설정된 높이로 고정되며, 하부 워크롤(130) 및 하부 백업롤(140)은 하부백업롤축(145)의 양측에는 실린더유닛(10)이 연결된다. 따라서, 실린더유닛(10)의 승강에 의해 슬라브(S)에 기설정된 압하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실린더유닛(10)은 하부워크롤(130) 및 하부백업롤(140)의 직경의 변화에 따라 슬라브(S)이 통과하는 패스 라인(Pass-line)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실린더유닛을 사용한다. 하지만, 하부백업롤(140)의 양측에 연결된 실린더유닛(10)의 레벨에 편차가 발생할 경우, 슬라브(S)가 사행되어 후설비의 파손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실린더로드의 거리 및 동작범위를 정확하게 검출하여 캠버(Camber)에 의한 설비의 파손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린더유닛(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실린더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튜브(20)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일 수 있다. 실린더로드(30)는 실린더튜브(20)의 내부공간에 삽입설치되며,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실린더로드(30)는 실린더튜브(20)의 내부로 공급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왕복 직선 운동할 수 있으며, 플런저형 또는 피스톤형일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실린더로드(30)는 하부면으로부터 함몰된 개구부를 가지며, 내부슬라이더(35)는 개구부 내의 천장면에 연결되어 실린더로드(30)와 함께 승강한다. 내부감지센서(50)는 내부공간 내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며, 내면에는 내부삽입홀(55)이 형성된다. 내부슬라이더(35)는 내부감지센서(50)의 내부삽입홀(55)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며, 내부감지센서(50)는 내부슬라이더(35)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내부감지센서(50)는 내부공간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내부슬라이더(35)의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실린더로드(30)의 이동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윙플레이트(40, 40')는 실린더로드(3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실린더로드(30)와 함께 승강 가능하며, 실린더튜브(2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1 및 제2 외부슬라이더(63, 63')는 제1 및 제2 윙플레이트(40, 40')와 각각 제1 및 제2 상부구면베어링(65, 6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및 제2 외부감지센서(60. 60')는 각각 내면에 외부삽입홀(67, 67')이 형성되며, 실린더튜브(2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제1 및 제2 하부구면베어링(68, 6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및 제2 상부구면베어링(65, 65')과 제1 및 제2 하부구면베어링(68, 68')은 고정플레이트(도시안함)의 내부에 회전가능한 회전구(도시안함)가 삽입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상부구면베어링(65, 65')은 제1 및 제2 윙플레이트(40, 40')와 나란하게 체결되어 제1 및 제2 외부슬라이더(63, 63')를 상하로 회전가능하며, 제1 및 제2 외부슬라이더(63, 63')의 하부는 제1 및 제2 하부구면베어링(68, 68') 체결되어 좌우로 회전가능하다. 실린더유닛(10)은 제1 및 제2 윙플레이트(40, 40') 및 이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외부슬라이더(63, 63'), 그리고 제1 및 제2 외부감지센서(60, 60') 외에 등간격으로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부슬라이더(63, 63')는 제1 및 제2 외부감지센서(60, 60')의 외부삽입홀(67, 67')에 각각 삽입되어 제1 및 제2 윙플레이트(40, 40')의 승강하며, 제1 및 제2 외부감지센서(60, 60')는 제1 및 제2 외부슬라이더(63, 63')의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제1 및 제2 윙플레이트(40, 40')의 레벨차이(즉, 캠버(Camber)발생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튜브(20)의 내주면 상단이 외주면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ㅿh)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이는 제1 및 제2 윙플레이트(40, 40')와 실린더튜브(20)의 상단면이 실린더로드(30)의 승강에 따른 캠버현상에 의해 서로 충돌하여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인 실린더유닛(10)은 내부감지센서(50) 및 제1 및 제2 외부감지센서(60, 60')을 구비함으로써 실린더로드(30)의 이동거리를 듀얼방식(Dual-type)으로 측정가능하다. 실린더로드(30)의 이동거리를 내부감지센서(50) 및 제1 및 제2 외부감지센서(60, 60')로 측정하여 실린더로드(30)의 캠버현상의 발생을 정확히 측정하여 차후 실린더로드(30) 구동을 재조정하여 캠버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실린더로드의 상승에 따른 내부감지센서 및 외부감지센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로드(30)는 실린더튜브(20) 내부로 유입되는 유압에 의해 승강할 수 있다. 이때, 내부감지센서(50) 또는 제1 및 제2 외부감지센서(60, 60')를 이용하여 실린더로드(30)의 이동거리(d0)를 측정할 수 있다.
실린더로드(30)는 실린더튜브(20)로 유입되는 유체를 통해 실린더로드(30)의 하단을 가압하여 실린더로드(30)는 승강한다. 실린더로드(30)는 승하강시 편위(θ)가 발생하면, 기존의 유압실린더 실린더로드(30)의 이동거리(내부슬라이더(35)의 이동거리(d0)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는 반면, 본 발명은 내부감지센서(50)와 제1 및 제2 외부감지센서(60, 60')를 통해 실린더로드(d0)의 이동거리뿐만 아니라 좌우 편위(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제1 및 제2 외부슬라이더(63, 63')의 이동거리 변화값(d1, d2)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범위 내인지 확인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내부감지센서(50)가 작동불량에 의해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제1 및 제2 외부감지센서(60, 60')가 실린더로드(30)의 이동거리를 측정가능하므로 조업 진행에 차질을 주지 않는다. 또한, 내부감지센서(50)와 제1 및 제2 외부감지센서(60, 60')를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캠버현상의 발생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내부감지센서(50)와 제1 및 제2 외부감지센서(60, 60') 간의 측정 데이터에 대한 보정이 가능하므로 실린더로드(30)의 이동거리(d0) 측정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감지센서(50)와 제1 및 제2 외부감지센서(60, 60')를 통해 각각의 이동거리(d0, d1, d2) 값이 기설정된 범위가 아닐 경우, 유압을 조정하여 실린더로드(30)의 이동거리(d0, d1, d2) 값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캠버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린더로드(30)의 이동거리(d0)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내부감지센서(50)와 제1 및 제2 외부감지센서(60, 60')를 이용하여 실린더로드(30)의 이동거리를 듀얼방식으로 측정 가능함으로써 이동거리(d0) 측정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어느 하나의 센서가 작동 불량일 경우에도 용이하게 조업을 진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인 실린더유닛(10)은 내부감지센서(50) 및 제1 및 제2 외부감지센서(60, 60')를 구비하여 듀얼방식으로 실린더로드(30)의 움직임을 측정가능하며, 내부감지센서(50) 또는 제1 및 제2 외부감지센서(60, 60') 중 어느 하나의 작동불량에도 실린더로드(30)의 정확한 구동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 외부슬라이더(63, 63')와 제1 및 제2 윙플레이트(40, 40'), 그리고 제1 및 제2 외부감지센서(60, 60')와 실린더튜브(20) 사이에 각각 구면베어링을 연결하여 내마모성을 높이는 구조를 통해 제1 및 제2 외부감지센서(60, 60')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사용 수명을 연장하며, 제1 및 제2 외부슬라이더(63, 63')의 이동거리를 정확히 측정가능하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 실린더유닛 20 : 실린더튜브
30 : 실린더로드 35 : 내부슬라이더
40 : 제1 윙플레이트 40' : 제2 윙플레이트
50 : 내부감지센서 60 : 제1 외부감지센서
60' : 제2 외부감지센서 63 : 제1 외부슬라이더
63' : 제2 외부슬라이더 65 : 제1 상부구면베어링
65' : 제2 상부구면베어링 68 : 제1 하부구면베어링
68' : 제2 하부구면베어링 100 : 강판압연장치
110 : 상부워크롤 120 : 상부백업롤
130 : 하부워크롤 140 : 하부백업롤
145 : 하부백업롤축

Claims (12)

  1.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튜브;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설치되며, 상단부에 상기 실린더튜브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윙플레이트를 가지고, 상기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가능한 실린더로드;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내부감지수단; 및
    상기 실린더튜브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외부감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감지수단은,
    상기 윙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와 함께 이동하는 외부슬라이더;
    상기 실린더튜브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내면에 형성된 외부삽입홀을 따라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는 상기 외부슬라이더를 감지하는 외부감지센서;
    상기 윙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윙플레이트와 상기 외부슬라이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부구면베어링; 및
    상기 실린더튜브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튜브와 상기 외부감지센서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부구면베어링;을 구비하는, 실린더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로드는 하부면으로부터 함몰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내부감지수단은,
    상기 개구부 내의 천장면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와 함께 이동가능한 내부슬라이더; 및
    상기 내부공간 내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며, 내면에 형성된 내부삽입홀을 따라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는 상기 내부슬라이더를 감지하는 내부감지센서를 구비하는, 실린더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감지센서는 상기 내부공간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실린더유닛.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면베어링 및 상기 하부구면베어링은,
    고정플레이트의 내부에 회전가능한 회전구가 삽입된 구조인, 실린더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튜브는 원통형상이며, 내주면의 상단이 외주면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경사진, 실린더유닛.
  9. 강판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강판을 향해 승강하여 진입하는 상기 강판을 압연하는 상부 및 하부워크롤;
    상기 상부워크롤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워크롤과 맞닿아 함께 회전하는 상부백업롤;
    상기 하부워크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워크롤과 맞닿아 함께 회전하는 하부백업롤; 및
    상기 하부백업롤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백업롤을 승강하여 상기 하부워크롤의 압하력을 조절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유닛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튜브;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설치되며, 상단부에 상기 실린더튜브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윙플레이트를 가지고, 상기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가능한 실린더로드;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내부감지수단; 및
    상기 실린더튜브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외부감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감지수단은,
    상기 윙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와 함께 이동하는 외부슬라이더;
    상기 실린더튜브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내면에 형성된 외부삽입홀을 따라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는 상기 외부슬라이더를 감지하는 외부감지센서;
    상기 윙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윙플레이트와 상기 외부슬라이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부구면베어링; 및
    상기 실린더튜브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튜브와 상기 외부감지센서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부구면베어링;을 구비하는, 강판압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로드는 하부면으로부터 함몰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내부감지수단은,
    상기 개구부 내의 천장면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와 함께 이동가능한 내부슬라이더; 및
    상기 내부공간 내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며, 내면에 형성된 내부삽입홀을 따라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는 상기 내부슬라이더를 감지하는 내부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강판압연장치.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면베어링 및 상기 하부구면베어링은,
    고정플레이트의 내부에 회전가능한 회전구가 삽입된 구조인, 강판압연장치.
KR20130068474A 2013-06-14 2013-06-14 실린더유닛 및 강판압연장치 KR101461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474A KR101461477B1 (ko) 2013-06-14 2013-06-14 실린더유닛 및 강판압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474A KR101461477B1 (ko) 2013-06-14 2013-06-14 실린더유닛 및 강판압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477B1 true KR101461477B1 (ko) 2014-11-13

Family

ID=52290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8474A KR101461477B1 (ko) 2013-06-14 2013-06-14 실린더유닛 및 강판압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4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239A (ko) * 2002-10-14 2002-11-29 (주)유영정공 제철소용 압연설비의 압연롤러 승하강 제어장치
KR100943047B1 (ko) * 2009-10-26 2010-02-19 강정화 제철소용 압연기의 압연롤러 승강장치
KR101121502B1 (ko) 2003-11-19 2012-03-15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롤 스탠드, 특히 수직 엣저 스탠드에서의 조정 실린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239A (ko) * 2002-10-14 2002-11-29 (주)유영정공 제철소용 압연설비의 압연롤러 승하강 제어장치
KR101121502B1 (ko) 2003-11-19 2012-03-15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롤 스탠드, 특히 수직 엣저 스탠드에서의 조정 실린더
KR100943047B1 (ko) * 2009-10-26 2010-02-19 강정화 제철소용 압연기의 압연롤러 승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2445B2 (en) Roll stand and method for rolling a rolled strip
KR101205735B1 (ko) 금속 스트립 또는 슬라브의 폭 및/또는 위치 측정 장치
CN101052480B (zh) 用于对准辊轧机架中进料装置和轧道的设备和方法
US7426844B2 (en) Device for loading the guide surfaces of bearing chocks supported in the housing windows of rolling stands
KR970000373B1 (ko) 만능 로울 스탠드의 자동조정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체화한 만능 로울 스탠드
US20150375283A1 (en) Method for adjusting the rolls of a roll stand and roll stand
CN106994467B (zh) 一种pc轧机交叉辊系统交叉精度在线监测方法
US10654085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guide metal products
KR101461477B1 (ko) 실린더유닛 및 강판압연장치
KR101530514B1 (ko) 롤 스트리퍼 장치 및 방법
US9459085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shape of a material
KR101797306B1 (ko) 롤 초크의 라이너 변형 진단 장치 및 방법
JPH0415510A (ja) ロール回転検出・間隔測定装置および方法
ITUD970226A1 (it) Procedimento di controllo del tiro del laminato
CN107262568B (zh) 一种卷板机工作辊挠度变形补偿装置
KR20140000334U (ko) 마모도 측정장치
US9459086B2 (en) Shape sensor devices, shape error detection systems, and related shape sensing methods
KR100957926B1 (ko) 조압연 장치
WO2007010033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zeroizing a universal edger stand
JP4461051B2 (ja) 圧延機の下水平ロールの零点調整方法
KR101038858B1 (ko) 선재 압연롤의 소재 패스라인 조정장치
KR20010062790A (ko) 만능 롤 스탠드용 보정 방법
JP2023065874A (ja) 圧延設備、スピンドル支持装置、スピンドルの監視方法および圧延ロールとスピンドルの着脱方法
JP2023542524A (ja) 金属ストリップの圧延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240002516A (ko) 압연 소재 형상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