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780B1 - Recyclable Waste Collecting Vehicle - Google Patents

Recyclable Waste Collecting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780B1
KR101460780B1 KR20140093441A KR20140093441A KR101460780B1 KR 101460780 B1 KR101460780 B1 KR 101460780B1 KR 20140093441 A KR20140093441 A KR 20140093441A KR 20140093441 A KR20140093441 A KR 20140093441A KR 101460780 B1 KR101460780 B1 KR 101460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vehicle
cylinder
cylinders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34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종기
Original Assignee
현대특장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특장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특장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93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7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7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24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unloading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 B65F3/26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unloading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by tipping the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yclable material collecting vehicle, and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and quickly load and unload a recyclable material by providing dump and lift functions to the recyclable material collecting vehicl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surface frame (110) installed on a cargo box of a vehicle; an upper cover (120)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frame; a rear surface door (130) provided at a rear part of the cargo box; a hydraulic cylinder (10) to lift the cargo box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lift device installed at a rear part of the vehicle to lift the recyclable material.

Description

재활용품 수거 차량{Recyclable Waste Collecting Vehicle}{Recyclable Waste Collecting Vehicle}

본 발명은 재활용품 수거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품 수거 차량에 덤프 기능과 리프팅 기능을 구비하여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큰 재활용품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고, 재활용품의 하역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재활용품 수거 차량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ycled product collection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ycled product collection vehicle having a dump function and a lifting function to easily collect heavy and bulky recycled products and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unloading recycled produc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yclable-material collecting vehicle.

최근 쓰레기 분리수거 제도가 정착되면서, 가정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는 일반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및 재활용품 쓰레기로 분리되어 배출되고 있다.Recently, as garbage collection and collection system has been established, garbage generated at home is separated into general garbage, food garbage and recycled garbage.

가정에서 배출되는 재활용 쓰레기로는, 냉장고, 텔레비젼,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 책상, 장롱 등의 가구제품, PET 병과 같은 플라스틱류, 캔, 유리병, 종이류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There are various kinds of recycled garbage discharged from the home, such as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a refrigerator, a television, and a washing machine, a furniture such as a desk, a dresser, a plastic such as a PET bottle, a can, a glass bottle,

이 중에서 무게가 가벼운 재활용품은 일반 쓰레기차가 수거하기도 하지만, 중량이 무겁거나 부피가 큰 재활용품은 통상의 쓰레기 수거 차량으로는 수거할 수가 없다.Of these, lightweight recycled materials collect ordinary garbage, but heavy and bulky recyclables can not be collected by conventional garbage collection vehicles.

이에 따라 중량이 무겁거나 부피가 큰 재활용품은 별도의 재활용품 수거 차량으로 수거를 하여야 한다.As a result, heavier or bulky recyclables should be collected on separate recycling collection vehicles.

도 1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재활용품 수거 차량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Fig. 1 shows an example of a recycling collection vehicle currently in use.

종래의 재활용품 수거 차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차량에 적재함(100)을 구비한 것으로서, 차량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 프레임(110)과, 상기 측면 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상부 덮개(120)와, 상기 측면 프레임(110)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면 도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recycling collection vehicle includes a side frame 1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vehicle, and a side frame 1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ide frame 110, And a rear door 13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ide frame 110.

상기 측면 프레임(110)은 통상 타공 철판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상부 덮개(120)는 차량의 가로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양쪽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The side frame 110 is generally formed of a perforated steel plate, and the pair of upper covers 120 ar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center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재활용품 수거 차량의 후미에는 한 쌍의 후면도어(130)가 여닫이문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pair of rear doors 130 a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ecycled-material collection vehicle in the form of a hinged door.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재활용품 수거 차량은, 덤프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아니하여 적재함에 가득 적재된 재활용품을 지상으로 내리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recycled-materials collection vehicle does not have a dump function, so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lower the recycled materials completely loaded in the loading box to the ground.

또한 종래의 재활용품 수거 차량은 리트프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아니하여, 고중량의 재활용품을 적재함에 싣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the conventional recycled product collection vehicle is not provided with a recycling devic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load a recycled product having a high weight on a loading box.

한편, 국내 공개특허 특1999-0073109호에는 재활용 쓰레기 또는 일반 쓰레기를 각각 별도로 수거하여 적재할 수 있는 쓰레기 수거차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999-0073109 discloses a garbage collection truck capable of separately collecting and loading recycled or general garbage.

상기한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는, 차체의 하부 프레임 위에 설치되어 쓰레기를 적재하는 적재함과 이 적재함의 후방을 개폐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쓰레기 수거차에 있어서, 재활용 쓰레기 및 일반 쓰레기를 각각 별도로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함의 내부를 양분 구획하는 구획판을 더 구비하고 있다.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garbage collector includes a loading box installed on a lower frame of a vehicle body for loading garbage and a lid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ar of the loading box, wherein the recycling garbage and general garbage are separately loaded And a partition plate that nipples the inside of the loading box to allow the loading / unloading of the loading / unloading unit.

이에 따라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재활용 쓰레기와 일반 쓰레기를 각각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eparately collect recyclable and general waste from homes and businesses.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는, 부피가 작은 재활용품만 수거할 수 있을 뿐, 고중량이거나 부피가 큰 재활용품은 수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garbage collector can only collect recycled products having a small volume, and can not collect recycled products having a high weight or a large volume.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0883088호에는, 투입장치의 회전을 위한 개방용 실린더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쓰레기 수거 운반차가 개시되어 있다.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10-0883088 discloses a garbage collecting carriage in which an opening cylinder for rotating the charging device is not projected to the outside.

상기한 종래의 쓰레기 운반차는, 쓰레기 투입장치의 외면에 마감판재를 설치할 수 있어 이러한 마감판재로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garbage truck has an advantage that various designs can be realized by using such a finishing plate since a finishing plate can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rash charging device.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쓰레기 수거 운반차는, 일반 쓰레기나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피가 큰 재활용품은 수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garbage collection truck is for collecting general garbage and food garbag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bulky recycled product can not be collected.

특허문헌 1 : 국내 공개특허 특1999-0073109호(1999. 10. 05. 공개)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9-0073109 (published on October 10, 1999) 특허문헌 2 : 국내 등록특허 제10-0883088호(2009. 02. 11. 공고)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No. 10-0883088 (issued on February 11, 2009)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활용품 수거 차량에 덤프(Dump)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 재활용품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mp function for a recycled product collection vehicle, so that a recycled product can be unloaded easily and quick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활용품 수거 차량의 후방에 리프트(Lift)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 고중량의 재활용품도 용이하게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 function at the rear of a recycled product collection vehicle so that a high-weight recycled product can be easily unload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후미에 설치된 리프트 장치를 차체의 하부에 용이하게 격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store the lift devic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덮개와, 상기 측면 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면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재함을 구비한 재활용품 수거 차량에 있어서,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을 일정각도로 들어올리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적재함의 후미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including a side frame mounted on both sides of a vehicle, an upper lid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frame, and a rear door provided on a rear side of the side frame. The recycling product collection vehicle further includes a hydraulic cylinder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for lifting the loading box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lift device installed at a rear portion of the loading box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또한 상기 리프트 장치는, 수직형 리프트 장치로서, 차량의 후미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발판과, 상기 작업발판과 연결되어 작업발판을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제1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rtical lift device may include a work footrest installed vertically up and down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a first cylinder connected to the work footrest to lift and lower the work footrest upward and downward do.

또한 상기 작업발판은 힌지부를 구비하여 수직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ootrest is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so as to be vertically foldable.

또한 상기 리프트 장치는, 아암(Arm)형 리프트 장치로서, 차량의 후미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발판과, 일단이 차체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일단이 상기 수직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작업발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업발판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제2 실린더와, 상기 한 쌍의 제2 실린더 외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3 실린더와, 상기 수직부재와 작업발판을 연결하여 일정 각도로 회동하는 한 쌍의 제2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air of vertical members,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nd extends vertically downwardly, and a pair of vertical members, A pair of second cylinder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memb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pedestal to raise and lower the operation pedestal, and a pair of third cylinders provided outside the pair of second cylinders And a pair of second arms connecting the vertical member and the footrest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한 쌍의 제3 실린더에 의해 수직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operating footrest is vertically folded by the pair of third cylinders.

또한 상기 리프트 장치는, 격납형 리프트 장치로서, 차체의 후방 하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격납형 리프트 장치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 내에서 활주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이송롤러와, 수평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부의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와 각각 연결되어 레일을 따라 활주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활주부재와, 차량의 후미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발판과, 일단이 상기 활주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작업발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작업발판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제4 실린더와, 상기 한 쌍의 제4 실린더의 내측에 구비되며 활주부재와 작업발판을 연결하여 일정각도로 회동하는 한 쌍의 제3 아암과, 상기 제4 실린더의 외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4 아암과, 상기 격납형 리프트 장치를 접은 상태에서 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활주시키기 위한 제5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above-mentioned lift device is a retractable lift device, comprising: a pair of rails fixedly installed at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for moving the retractable lift devi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pair of conveying rollers, a pair of slide members each having a horizontal portion and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being connected to the pair of conveying rollers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rails, A pair of fourth cylinder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lide memb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pedestal to raise and lower the operation pedestal, and a pair of fourth cylinder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pair of fourth cylinders, A pair of third arms connected to the work footrest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pair of fourth arm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ourth cylinder, Characterized in that along the rail system in the folded state a fifth cylinder for sli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3 아암 및 제4 아암의 상단부에, 작업발판을 수평으로 접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upport member for allowing the operation footrest to be horizontally folded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third arm and the fourth arm.

본 발명에 의하면, 재활용품 수거 차량에 덤프 기능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재활용품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하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ycled product collection vehicle is provided with a dump function, whereby the recycled product can be unloaded easily and quickly.

또한, 재활용품 수거 차량에 리프트 기능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고중량의 재활용품도 용이하게 하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cycled product collection vehicle is provided with a lift fun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heavy-weight recycled product can be easily unloaded.

또한,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리프트 장치를 격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적재된 재활용품의 덤프 작업시 리프트 장치의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constructing the lift device provided in the rear of the vehicle in a retractable mann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lift devic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turbed during a dump operation of the loaded recycled produc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재활용품 수거 차량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도 2a는 수직형 리프트 장치에 의해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재활용품을 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도 3a는 아암형 리프트 장치에 의해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재활용품을 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아암형 리프트 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도 3a는 격납형 리프트 장치에 의해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재활용품을 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격납형 리프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6a는 리프트 장치가 펼쳐진 상태, 도 6b는 리프트 장치가 접혀져 격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recycled product collection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FIG. 2 is a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2A illustrates a process of collecting recycled products by a vertical type lifting device, and FIG. 2B illustrates a process of discharging recycled products.
FIG. 3 is a diagr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3A shows a process of collecting recycled products by the arm type lifting device, and FIG. 3B shows a process of discharging recycled products.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m typ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below.
FIG. 5 is a diagra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3A illustrates a process of collecting recycled products by a retractable lift device, and FIG. 3B illustrates a process of discharging recycled products.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ractable lif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6A shows a state in which the lift device is unfolded, and Fig. 6B shows a state in which the lift device is folded and stor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FIG.

<제1 실시예>&Lt; Embodiment 1 >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2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수거 차량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 프레임(110)과, 상기 측면 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덮개(120)와, 상기 측면 프레임(110)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면 도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재함(100)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recycling collection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frame 1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And a loading door 100 including an upper cover 120 and a rear door 13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ide frame 110.

상기 측면 프레임(110)은 통상 타공 철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side frame 110 is generally formed of a porous steel p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면에는 상기 상부 덮개(120)가 차량의 가로 방향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상부 덮개(120)는 다양한 구조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lso, although the upper lid 120 is shown as being opened and clos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upper lid 120 may be formed of various structures and materials.

또한 차체에는 상기 적재함(100)을 일정 각도로 들어올리는 유압실린더(10)가 구비되어 있고, 적재함(100)의 후미 하부에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Further, the vehicle body is provided with a hydraulic cylinder (10) for lifting the loading box (100)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lift device is provided at a rear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box (100)

즉 본 발명은, 재활용품 수거 차량에 덤프(Dump) 기능과 리프트(Lift) 기능을 모두 구비하였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the dump function and the lift function are provided in the recycled product collection vehicle.

이에 따라 고중량이거나 부피가 큰 재활용품을 용이하게 하역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reely freely load heavy or bulky recycled products.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리프트 장치는, 수직형 리프트 장치(20)로서, 상기 후면 도어(130)의 하부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발판(24)과, 상기 작업발판(24)과 연결되어 작업발판을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제1 실린더(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lift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lift device 20 having a work footrest 24 installed vertically up and down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door 130, And a first cylinder (22)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work footrest vertically.

상기 작업발판(24)은 힌지부를 구비하여 수직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footrest 24 is provided with a hinge so as to be vertically foldable.

상기 작업발판(24)을 수동으로 접은 후에는, 차체의 양 측면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상기 작업발판(24)을 고정시키면 된다.After the operation pedestal 24 is manually folded, the operation pedestal 24 may be fixed by a fixing member (not shown) provided at both lateral ends of the body.

평상시에는 상기 작업발판(24)을 수직으로 접은 상태에서 운행을 하고, 재활용품을 차량에 적재할 경우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발판(24)을 수평으로 펼친 후 이를 승강시키면서 작업을 한다.When the recycled product is loaded on the vehicle, the operation pedestal 24 is horizontally extended as shown in FIG. 2A, and the recycled product is lifted and lowered .

또한 적재된 재활용품을 지상으로 내리기 위해 유압 실린더(10)를 팽창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발판(24)을 수평으로 펼친 후 작업을 한다. When the hydraulic cylinder 10 is to be inflated to lower the loaded recycled product to the ground, the operation pedestal 24 is horizontally expanded as shown in FIG. 2B.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는 리프트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lift device is simple and the installation cost is low.

<제2 실시예>&Lt; Embodiment 2 >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3 and 4 show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는,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장치가 아암(Arm) 리프트 장치(30)로 구성된다.In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A, 3B, and 4, the lift apparatus is constituted by an arm lift apparatus 30. Fig.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미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발판(24)과, 일단이 차체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38)와, 일단이 상기 수직부재(38)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작업발판(24)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업발판(24)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제2 실린더(32)와, 상기 한 쌍의 제2 실린더(32) 외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3 실린더(34)와, 상기 수직부재(38)와 작업발판(24)을 연결하여 일정 각도로 회동하는 한 쌍의 제2 아암(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rest 24 that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and a footstool 24 having one e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n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A pair of vertical members 38 and a pair of second cylinders 38 connected to the vertical member 38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pedestal 24 to raise and lower the operation pedestal 24 A pair of third cylinders 34 provided outside the pair of second cylinders 32 and a pair of third cylinders 34 connected to the vertical members 38 and the operation pedestal 24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second arm 36 of a pair.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38)는, 차체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승강하는 작업발판(2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pair of vertical members 38 serve to support the operation pedestal 24 vertically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to ascend and descend.

상기 제2 실린더(32)는 작업발판(24)을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수직부재(38)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타단이 상기 작업발판(24)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The second cylinder 32 is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operation pedestal 24 and has one end rotatably assemb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38 and the other end rotatably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pedestal 24 Assembled.

이에 따라 상기 제2 실린더(32)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면, 작업발판(24)은 일정한 궤적을 그리며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second cylinder 32 is extended or retracted, the operation pedestal 24 is raised or lowered with a constant trajectory.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실린더(32)의 바깥쪽에는, 상기 작업발판(24)을 수직으로 접기 위한 한 쌍의 제3 실린더(34)가 설치되어 있다.A pair of third cylinders 34 for vertically folding the work footrest 24 are provided outside the pair of second cylinders 32.

상기 제3 실린더(34)의 상단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작업발판(24)에는 작업발판(24)이 수직으로 접혀지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a hinge part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third cylinder 34. A groove for vertically folding the operation pedestal 24 is formed on the operation pedestal 24.

이에 따라 작업이 완료된 후 제3 실린더(34)를 팽창시킴으로써 작업발판(24)을 자동으로 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발판(24)은 수동으로 접어 고정시킬 수도 있다. Accordingly, the work pedestal 24 can be automatically folded by expanding the third cylinder 34 after the work is completed. Further, the operation pedestal 24 may be manually folded and fixed.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아암형 리프트 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rm typ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단순히 차량을 주행할 경우에는, 상기 제3 실린더(34)를 팽창시켜 상기 작업발판(24)을 수직으로 접은 상태에서 주행을 한다.In the case of simply running the vehicle, the third cylinder 34 is inflated to travel while the operation pedestal 24 is vertically folded.

또한 재활용품을 적재함에 적재할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도어(130)를 열고, 상기 제3 실린더(34)를 수축시켜 작업발판(24)을 수평으로 펼친 다음, 제2 실린더(34)를 수축 또는 팽창시켜 작업발판(24)을 승강시키면서 작업을 한다.3A, when the rear door 130 is opened, the third cylinder 34 is contracted to horizontally open the operation pedestal 24, and then the second cylinder (34) is contracted or expanded to move the work foot (24) up and down.

재활용품의 적재 작업이 완료되면, 후면도어(130)를 닫고, 제2실린더(34)를 팽창시켜 작업발판(24)을 최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이어서 제3 실린더(34)를 팽창시켜 작업발판(24)을 수직으로 접는다. When the loading operation of the recycled product is completed, the rear door 130 is closed and the second cylinder 34 is inflated to move the operation pedestal 24 to the uppermost position. Thereafter, the third cylinder 34 is inflated, 24) is vertically folded.

재활용품을 지상으로 하역할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도어(130)를 열고, 제3 실린더(34)를 작동시켜 작업발판(24)을 수평으로 위치시킨 다음, 유압 실린더(10)를 작동시켜 적재함(100)을 상부로 들어올린다.3B, the rear door 130 is opened, the third cylinder 34 is operated to horizontally position the operation pedestal 24, and then the hydraulic cylinder 10 To lift the loading box 100 upward.

그러면 적재함(100) 내부에 적재된 재활용품은 작업발판(24)에 방해를 받지 않고 지상으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Then, the recycled product loaded in the loading box 100 is easily discharged to the ground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operation pedestal 24.

적재함(100) 내부에 적재된 재활용품의 하역작업이 완료되면, 유압 실린더(10)를 수축시켜 적재함(100)을 원위치시키고, 제3 실린더(34)를 팽창시켜 작업발판(24)을 수직상태로 원위치시키면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When the unloading operation of the recycled product loaded in the loading box 100 is completed, the hydraulic cylinder 10 is retracted to bring the loading box 100 in place, and the third cylinder 34 is inflated to vertically move the operation pedestal 24 If you put it back in place, everything is done.

<제3 실시예>&Lt; Third Embodiment >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5 and 6 show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는, 도 5a, 도 5b 및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장치가 차체의 하부 내측으로 격납되는 격납형 리프트 장치(40)로 구성된다.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retractable lift device 40 in which a lift device is housed inside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body, as shown in Figs. 5A, 5B and 6A and 6B.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40)는, 차체의 후미 하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격납형 리프트 장치(4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레일(45)과, 상기 한 쌍의 레일(45) 내에서 활주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이송롤러(46)와, 수평부(48)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부(48)의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46)와 각각 연결되어 레일(46)을 따라 활주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활주부재(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lift apparatus 4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rails 45 fixedly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vehicle body to move the stored-type lift apparatus 4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pair of conveying rollers 46 slidably provided in a pair of rails 45 and a horizontal portion 48 and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48 are connected to the pair of conveying rollers 46, And a pair of slide members 47 which are connected to the rail 46 and are slidable along the rail 46, respectively.

상기 한 쌍의 레일(45)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하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46)는 상기 한 쌍의 레일(45) 내부를 활주하도록 구성된다.6A, the pair of rails 45 are fixedly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pair of conveying rollers 46 are disposed inside the pair of rails 45 And is configured to slide.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46)는 한 쌍의 활주부재(47)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활주부재(47)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48)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46)와 연결된다.The pair of conveying rollers 46 are connected to a pair of slide members 47. The pair of slide members 47 are supported by a horizontal portion 48 as shown in FIG. And is connected to a pair of feed rollers 46.

또한 상기 활주부재(47)의 수평부(48)에는, 상기 활주부재(47)를 레일(45) 상에서 활주시키기 위한 제5 실린더(44)가 조립되어 있다.A fifth cylinder 44 for sliding the slide member 47 on the rail 45 is assembled to the horizontal portion 48 of the slide member 47.

상기한 구조에 의해, 제5 실린더(44)를 작동시키면, 활주부재(47)가 레일(45)을 따라 수평으로 활주하게 된다.With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fifth cylinder 44 is operated, the slide member 47 horizontally slides along the rail 45. [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미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발판(24)과, 일단이 상기 활주부재(47)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작업발판(24)의 하부에 연결되어 작업발판(24)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제4 실린더(41)와, 상기 한 쌍의 제4 실린더(41)의 내측에 구비되며, 활주부재(47)와 작업발판(24)을 연결하여 일정각도로 회동하는 한 쌍의 제3 아암(42)과, 상기 제4 실린더(41)의 외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4 아암(43)과, 상기 격납형 리프트 장치(40)를 접은 상태에서 레일(45)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활주시키기 위한 제5 실린더(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6A,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s shown in FIG. 6A, a work footrest 24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rear of a vehicle, A pair of fourth cylinders 41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fourth cylinders 41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work footrest 24, A pair of fourth arms (43) provided outside the fourth cylinder (41), a pair of third arms (42) connected to the footrest (24) And a fifth cylinder (44) for horizontally sliding the device (40) along the rail (45) in a folded state.

즉 상기 작업발판(24)은, 한 쌍의 제3 아암(42) 및 제4 아암(43)에 의해 상기 활주부재(47)의 양측과 연결된다.That is, the work footrest 24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lide member 47 by a pair of third arm 42 and fourth arm 43.

또한 상기 작업발판(24)과 상기 활주부재(47)는 제4 실린더(41)에 의해 연결된다. Further, the operation pedestal 24 and the slide member 47 are connected by the fourth cylinder 41.

상기한 구조에 의해, 상기 제4 실린더(41)를 수축 또는 팽창시키면, 상기 작업발판(24)은 일정 궤적을 그리면서 승강하게 된다.With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fourth cylinder 41 is contracted or expanded, the operation pedestal 24 moves up and down with a constant trajectory.

또한 상기 제4 아암(43)의 상단부에는 작업발판(24)을 수평으로 지지하면서 작업발판(24)이 수평으로 접히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지지부재(49)가 구비되어 있다.A support member 49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ourth arm 43 to allow the footrest 24 to be horizontally folded while supporting the footrest 24 horizontally.

상기 작업발판(24)을 수평으로 접는 것은, 격납형 리프트 장치(40)를 접어서 차체의 하부에 격납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operation footrest 24 is horizontally folded to fold the retractable lift device 40 and to store i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장치가 적재함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B, the lift apparatus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oading box.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격납형 리프트 장치를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operating the containment typ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평상시에는 격납형 리트트 장치(40)를 수평으로 접어 차체의 하부에 격납시킨 상태에서 주행한다.Normally, the storage type reflector 40 is horizontally folded and traveled in a state where it is sto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재활용품을 적재하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도어(130)를 열고, 제5 실린더(44)를 팽창시켜 접혀진 격납형 리프트 장치(40)를 차량의 후미로 인출한다.6A, the rear door 130 is opened and the fifth cylinder 44 is inflated to withdraw the folded retractable lift device 40 to the rear of the vehicle (step &lt; RTI ID = 0.0 &gt; .

이어서 제4 실린더(41)를 작동시켜 작업발판(24)을 승강시키면서 적재 작업을 한다. Then, the fourth cylinder 41 is operated to lift the operation pedestal 24 and perform the loading operation.

상기 제4 실린더(41)를 수축 또는 팽창시키면, 작업발판(24)을 잡고 있는 제4 아암(43)이 일정 궤적을 그리면서 상기 작업발판(24)을 승강시킨다.When the fourth cylinder (41) is contracted or expanded, the fourth arm (43) holding the operation pedestal (24) moves the operation pedestal (24) with a constant trajectory.

재활용품을 적재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후면 도어(130)를 닫고, 제4 실린더(41)를 수축시켜 작업발판(24)이 수평으로 접혀질 수 있는 위치까지 내려오게 한다.When the work for loading the recycled product is completed, the rear door 130 is closed and the fourth cylinder 41 is contracted so that the operation pedestal 24 can be folded horizontally.

즉, 상기 작업발판(24)을 수평으로 접혀질 수 있는 높이로 위치시킨 후, 작업발판(24)을 수평방향(도 6b에서 왼쪽 방향)으로 접는다.That is, after positioning the operation pedestal 24 at a height at which the operation pedestal 24 can be folded horizontally, the operation pedestal 24 is fol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eft direction in FIG. 6B).

상기 한 쌍의 제4 아암(43)의 단부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발판(24)의 회전을 허용하는 힌지부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작업발판(24)은 수동으로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6B, at the end of the pair of fourth arms 43, there is provided a hinge portion for allowing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pedestal 24, and the operation pedestal 24 is manually folded Can be.

격납형 리프트 장치(40)가 완전히 접혀지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린더(44)를 수축시킨다.When the containment type lifting device 40 is completely collapsed, the fifth cylinder 44 is contracted as shown in Fig. 6B.

그러면 제5 실린더(44)와 연결된 활주부재(47)가 레일(45)을 타고 차체의 하부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접혀진 격납형 리프트 부재(40)가 차체의 하부에 격납된다. The slide member 47 connected to the fifth cylinder 44 is then moved on the rail 45 to the in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nd consequently the retractable retractable member 40 is sto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재활용품을 지상으로 하역할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도어(130)를 열고, 유압 실린더(10)를 팽창시켜 적재함(100)을 상부로 들어올린다.When the recycled product is unloaded to the ground, as shown in FIG. 5B, the rear door 130 is opened and the hydraulic cylinder 10 is inflated to lift the loading box 100 upward.

그러면 적재함(100) 내부의 재활용품은 격납된 리트프 장치(40)에 방해를 받지 않고 지상으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 Then, the recycled product in the loading box 100 is easily discharged to the ground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stored recycling device 40. .

적재함(100) 내부에 있는 재활용품의 배출작업이 완료되면 유압 실린더(10)를 수축시켜 적재함(100)을 원위치시키면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 When the discharging operation of the recycled product in the loading box 100 is completed, the hydraulic cylinder 10 is retracted and the loading box 10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other matter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therefore duplicated descriptions are omit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vid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 유압실린더 20: 수직형 리프트(Lift) 장치
22: 제1 실린더(Cylinder) 24: 작업발판
30: 아암(Arm)형 리프트 장치 32: 제2 실린더
34: 제3 실린더 36: 제2 아암
38: 수직부재 40: 격납형 리프트 장치
41: 제4 실린더 42: 제3 아암
43: 제4 아암 44: 제5 실린더
45: 레일(Rail) 46: 이송롤러
47: 활주부재 48: 수평부
49: 지지부재 100: 적재함
110: 측면 프레임(Frame) 120: 상부 덮개
130: 후면 도어(Door)
10: Hydraulic cylinder 20: Vertical lift device
22: first cylinder 24: work footrest
30: Arm type lifting device 32: Second cylinder
34: third cylinder 36: second arm
38: vertical member 40: retractable lift device
41: fourth cylinder 42: third arm
43: fourth arm 44: fifth cylinder
45: Rail 46: Feed roller
47: slide member 48: horizontal part
49: Support member 100:
110: side frame 120: upper cover
130: Rear door

Claims (7)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량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 프레임(110)과, 상기 측면 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덮개(120)와, 상기 측면 프레임(110)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면 도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재함(100)과,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100)을 일정각도로 들어올리는 유압실린더(10)와, 상기 적재함(100)의 후미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재활용품 수거 차량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장치는, 격납형 리프트 장치(40)로서,
차체의 후방 하부에 직접 고정되어 격납형 리프트 장치(4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레일(45)과,
상기 한 쌍의 레일(45) 내에서 활주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이송롤러(46)와,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46)와 각각 연결되어 레일(46)을 따라 활주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활주부재(47)와,
상기 한 쌍의 활주부재(47)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부(48)와,
차량의 후미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발판(24)과,
일단이 상기 활주부재(47)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작업발판(24)의 하부에 연결되어 작업발판(24)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제4 실린더(41)와,
상기 한 쌍의 제4 실린더(41)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며, 활주부재(47)와 작업발판(24)을 연결하여 일정각도로 회동하는 한 쌍의 제3 아암(42)과,
상기 한 쌍의 제4 실린더(41)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4 아암(43)과,
일단이 상기 차체의 하부에 직접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부(48)와 연결되어, 격납형 리프트 장치(40)를 접은 상태에서 레일(45)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활주시키기 위한 제5 실린더(44)와,
상기 한 쌍의 제3 아암(42) 및 제4 아암(43)의 상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작업발판(24)을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수평으로 접는 것을 허용하는 지지부재(49)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유압실린더(10)에 의해 적재함(100)을 일정 각도로 들어올리는 덤프 장치와, 격납식 리프트 장치를 모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차량.
An upper lid 12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frame 110 and a rear door 130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ide frame 110 A hydraulic cylinder 10 installed on a vehicle body and lifting the loading box 100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lift device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t a rear end of the loading box 100, In the recycling collection vehicle,
The lift device includes a retractable lift device 40,
A pair of rails 45 fixed directly to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to move the storage type lifting device 4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pair of feed rollers 46 slidably provided in the pair of rails 45,
A pair of slide members 47 connected to the pair of feed rollers 46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rails 46,
A horizontal portion 48 connecting the pair of slide members 47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work footrest 24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vehicl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 pair of fourth cylinders 41,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lide member 47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pedestal 24 to elevate and lower the operation pedestal 24,
A pair of third arms 42 provided inside the pair of fourth cylinders 41 and connected to the slide member 47 and the foot plate 24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A pair of fourth arms 43 provided on the outer sides of the pair of fourth cylinders 41,
A fifth cylinder (44) for directly sliding on the rail (45) along the rail (45) while one end is directly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ortion )Wow,
And a support member (49) provided at the upper ends of the third arm (42) and the fourth arm (43) for allowing the work footrest (24) to be horizontally fold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Characterized in that both the dump device for lifting the loading box (100) at a certain angle by the hydraulic cylinder (10) and the retractable lifting device are provided.
삭제delete
KR20140093441A 2014-07-23 2014-07-23 Recyclable Waste Collecting Vehicle KR1014607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3441A KR101460780B1 (en) 2014-07-23 2014-07-23 Recyclable Waste Collecting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3441A KR101460780B1 (en) 2014-07-23 2014-07-23 Recyclable Waste Collecting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780B1 true KR101460780B1 (en) 2014-11-24

Family

ID=5229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3441A KR101460780B1 (en) 2014-07-23 2014-07-23 Recyclable Waste Collecting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780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261B1 (en) 2018-10-18 2019-05-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Recyclable garbage collecting truck
KR20190097805A (en) 2018-02-13 2019-08-21 김정례 Industrial waste removal vehicle
KR102036004B1 (en) * 2019-05-29 2019-10-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Garbage collecting vehicle having satety footboard
KR102240431B1 (en) 2020-02-07 2021-04-15 차동민 Recyclable garbage collecting truck with open and closing
KR102283336B1 (en) 2021-03-09 2021-07-29 현대특장공업주식회사 Low height type container of freight truck
KR20240057923A (en) 2022-10-25 2024-05-03 주식회사 에이엠 특장 Recyclable garbage collecting vehicle capable of compression for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2105A (en) * 2001-06-26 2003-01-15 Morita Corp Garbage collector
JP3986797B2 (en) * 2001-10-31 2007-10-0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Garbage truck
JP2013220662A (en) * 2012-04-12 2013-10-28 Nippon Lift Kk Underfloor storage type lifting device
JP2014124962A (en) * 2012-12-25 2014-07-07 Shin Meiwa Ind Co Ltd Load receiving platform lift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2105A (en) * 2001-06-26 2003-01-15 Morita Corp Garbage collector
JP3986797B2 (en) * 2001-10-31 2007-10-0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Garbage truck
JP2013220662A (en) * 2012-04-12 2013-10-28 Nippon Lift Kk Underfloor storage type lifting device
JP2014124962A (en) * 2012-12-25 2014-07-07 Shin Meiwa Ind Co Ltd Load receiving platform lifting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805A (en) 2018-02-13 2019-08-21 김정례 Industrial waste removal vehicle
KR101981261B1 (en) 2018-10-18 2019-05-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Recyclable garbage collecting truck
KR102036004B1 (en) * 2019-05-29 2019-10-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Garbage collecting vehicle having satety footboard
KR102240431B1 (en) 2020-02-07 2021-04-15 차동민 Recyclable garbage collecting truck with open and closing
KR102283336B1 (en) 2021-03-09 2021-07-29 현대특장공업주식회사 Low height type container of freight truck
KR20240057923A (en) 2022-10-25 2024-05-03 주식회사 에이엠 특장 Recyclable garbage collecting vehicle capable of compression for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780B1 (en) Recyclable Waste Collecting Vehicle
CN110371562B (en) Self-carrying cabinet
US5902000A (en) Vehicle bed extender
CN111409933B (en) Box type device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in convenient operation
EP2043899B1 (en) Portable container
KR101981261B1 (en) Recyclable garbage collecting truck
CN102535370B (en) Vertical lifting tilting device of motor sweeper dustbin
US4978271A (en) Recycleable material handling apparatus
CN205526068U (en) Road sweeper moves backward and emptys formula dustbin
US20140305977A1 (en) Cargo Box and Table Extension for a Truck Bed
KR101569874B1 (en) Folding type forklift and truck with forklift loading shelf
CN110329685B (en) New energy electric hanging barrel device for classified cleaning of garbage
US9221602B2 (en) Linearly extendable collection mechanism for refuse hauling vehicles
KR101206768B1 (en) The freight car side gate open apparatus
KR101743373B1 (en) Food truck
CA2621827C (en) A bin tunnel with collapsible sides
US20170129548A1 (en) Easily accessible and foldable storage unit for a pickup bed
KR101199565B1 (en) Food Garbage Truck with Container Unloading Apparatus
KR100998289B1 (en) Collection vehicle for eco-friendly large waste
US20140137756A1 (en) Galley trash compactor
CN109109758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formula vehicle-mounted tool box and its application method
JP3247312B2 (en) Garbage input device for sorting garbage truck
CN215974082U (en) Material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for logistics
KR101155086B1 (en) Folding structure for rear gate of a car carrier
US20090045644A1 (en) Mobile collection system having a bin tunnel with collapsible s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