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538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538B1
KR101460538B1 KR1020080067885A KR20080067885A KR101460538B1 KR 101460538 B1 KR101460538 B1 KR 101460538B1 KR 1020080067885 A KR1020080067885 A KR 1020080067885A KR 20080067885 A KR20080067885 A KR 20080067885A KR 101460538 B1 KR101460538 B1 KR 101460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ember
blade
air conditioner
coupling hol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303A (ko
Inventor
최현철
공이구
정오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7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53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7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8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bearings, pivots 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블레이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품의 안전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서 응축수를 집수하도록 마련된 배수 트레이와, 토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블레이드와, 블레이드와 배수트레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1 힌지부재와, 제1 힌지부재와 힌지 결합되도록 블레이드와 배수 트레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2 힌지부재를 포함하고, 제1 힌지부재에는 탄성을 가지는 걸림부재가 형성되어 제2 힌지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토출구에 설치되는 블레이드의 구조를 개선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그리고 냉매 팽창밸브와 증발기 등이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폐 회로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에서 그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기화 또는 액화됨으로써 이루어지는 흡열 작용과 발열 작용을 이용하여 주위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크게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는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실외와 실내에 각각 실외기, 실내기가 설치되고 이들은 냉매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또, 실내기는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냉·난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탠드형과, 상대적으로 좁은 실내 공간을 냉·난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벽걸이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와, 케이스 전면에 형성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고, 케이스의 하부에는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배출을 위한 토출구가 형성된다.
토출구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과 동시에 토출구를 개방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블레이드는 토출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토출구에 설치하는데, 이때 블레이드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재가 토출구의 유로를 막하 풍량이 저하되거나 소음이 증대되지 않도록 얇게 형성하게 되고, 그에 따라 지지부재의 결합력이 약하게 되어 블레이드가 외부의 힘에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블레이드 구조를 개선하여 제품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응축수를 집수하도록 마련된 배수 트레이와, 상기 토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배수트레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1 힌지부재와, 상기 제1 힌지부재와 힌지 결합되도록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배수 트레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2 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부재에는 탄성을 가지는 걸림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제2 힌지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힌지부재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된 힌지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힌지축부 단부에 형성된 후크부와,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힌지축부의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힌지부재 단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에 상기 후크부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공은 상기 후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 결합공과, 상기 제1 결합공의 하부에 상기 제1 결합공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제2 결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힌지부재는 상기 블레이드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힌지부재는 상기 배수 트레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간단한 구조의 걸림부재를 마련함으로써, 블레이드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상면 전면에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1)가 형성되고, 케이스(10)의 하부 쪽에는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 를 실내로 다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2)가 형성된다.
토출구(12)에는 케이스(10) 내측에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20)가 설치된다.
블레이드(20)의 측면 일측에는 블레이드(2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가 장착되는데, 블레이드(20)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상하로 회동하며 기류의 방향을 조절한다.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14)과,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실내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열교환기(13)가 설치된다.
송풍팬(14)의 후방에는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리어가이드(10a)가 설치되고,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13)와 열교환하는 과정에서 응축수가 생기게 되므로 열교환기(13)의 하부에는 이러한 응축수를 수집할 수 있도록 배수 트레이(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송풍팬(14)이 회전하면 흡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13)를 통과하여 냉각 또는 가열된 후 리어가이드(10a)에 의해 토출구 쪽으로 안내되어 토출구(12)를 통해 다시 실내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되는 공기는 토출구(12)에 설치된 블레이드(20)에 의해 토출 방향을 조절한다.
블레이드(20)는 케이스(10) 하측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토출구(12)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길이가 긴 형상이므로 회전 동작 시 하측 방향으로 처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블레이드(20)에는 제1 힌지부재(21)가 마련되고, 제1 힌지부재(21)가 결합되는 제2 힌지부재(31)가 배수 트레이(30)의 저면(30a)에 마련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1 힌지부재(21)와 제2 힌지부재(31)는 힌지 결합되어 블레이드(20)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한다.
또, 제1 힌지부재(21)에는 탄성을 가지는 걸림부재(40)가 마련되어 제2 힌지부재(31)와 결합된다.
제1 힌지부재(21)는 블레이드(20)의 배면(20a)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22)와, 지지부(22)의 측방에서 연장 형성된 힌지축부(23)를 포함하고, 힌지축부(23)는 블레이드(20)의 회전 시 블레이드(20)의 회전 중심이 된다.
걸림부재(40)는 힌지축부(23)의 단부에 형성되는 후크부(41)와, 힌지축부(23)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42)를 포함한다.
절개부(42)는 힌지축부(23)의 반경 반향으로 탄성을 가져 후크부(41)의 삽입을 원활하게 한다.
제2 힌지부재(31)는 배수 트레이(30)의 저면(30a)에서 블레이드(20) 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단부에는 결합공(32)이 형성된다.
제2 힌지부재(31)의 결합공(32)에는 제1 힌지부재(21)의 후크부(41)가 삽입된다.
이때, 후크부(41)는 절개부(42)에 의해 탄성을 가지며, 결합공(32)에 삽입 시에는 절개부(42) 내측으로 모였다가 관통하면 결합공(32)은 힌지축부(23)에 결합되고 후크부(41)는 결합공(32)의 외측에서 원래대로 복귀하여 결합공(32)에 걸리도록 한다.
따라서, 제1 힌지부재(21)는 후크부(41)에 의해 결합공(32)에 걸리게 되어 한 번 결합된 후에는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힌지부재(21)와 제2 힌지부재(31)는 블레이드(20)와 배수 트레이(30)의 힌지 결합을 용이하도록 한다.
제1 힌지부재(21)는 블레이드(20)의 배면(20a)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22)와, 지지부(22)의 측방에서 연장 형성된 힌지축부(23)를 포함하고, 힌지축부(23)는 블레이드(20)의 회전 시 블레이드(20)의 회전 중심이 된다.
걸림부재(40)는 힌지축부(23)의 단부에 형성되는 후크부(41)와, 힌지축부(23)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4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2 힌지부재(31)는 배수 트레이(30)의 저면(30a)에서 블레이드(20)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단부에는 제1 힌지부재(21)의 걸림부재(40)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 결합공(33)과 제2 결합공(35)을 포함한다.
제1 결합공(33)과 제2 결합공(35)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제1 결합공(33)이 제2 결합공(35)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 결합공(33)과 제2 결합공(35)은 그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며, 제2 결합공(35)의 크기가 제1 결합공(33)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블레이드(20)의 조립 시 제1 힌지부재(21)의 걸림부재(40)인 후크부(41)를 제2 힌지부재(31)의 제2 결합공(35)에 관통시키고, 힌지축부(23)를 제2 결합공(35)의 하측에 형성된 제1 결합공(33)에 끼운다.
이때, 제1 결합공(33)에 결합된 힌지축부(23)는 블레이드(20)의 회전 중심이 된다.
블레이드(20)의 분리 시 제1 결합공(33)에 끼워진 회전축부(23)를 상측으로 올려 제2 결합공(35)을 통해 걸림부재(40)인 후크부(41)를 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걸림부재(40)가 블레이드(20)에 마련되고, 걸림부재(4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32)은 배수 트레이(30)에 마련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걸림부재(40)가 배수 트레이(30)에 마련되고, 걸림부재(4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32)이 블레이드(20)에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조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조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1 : 흡입구
12 : 토출구 20 : 블레이드
21 : 제1 힌지부재 22 : 지지부
23 : 힌지축부 30 : 배수 트레이
31 : 제2 힌지부재 40 : 걸림부재
41 : 후크부 42 : 절개부

Claims (5)

  1.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응축수를 집수하도록 마련된 배수 트레이와,
    상기 토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배수트레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1 힌지부재와,
    상기 제1 힌지부재와 힌지 결합되도록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배수 트레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2 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부재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된 힌지축부와, 탄성을 가지는 걸림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제2 힌지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힌지축부 단부에 형성된 후크부와,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힌지축부의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재 단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에 상기 후크부 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상기 후크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 결합공과, 상기 제1 결합공의 하부에 상기 제1 결합공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제2 결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재는 상기 블레이드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힌지부재는 상기 배수 트레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80067885A 2008-07-14 2008-07-14 공기조화기 KR101460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885A KR101460538B1 (ko) 2008-07-14 2008-07-14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885A KR101460538B1 (ko) 2008-07-14 2008-07-14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303A KR20100007303A (ko) 2010-01-22
KR101460538B1 true KR101460538B1 (ko) 2014-11-13

Family

ID=4181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885A KR101460538B1 (ko) 2008-07-14 2008-07-1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5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926B1 (ko) * 2014-12-12 2016-05-16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에어벤트의 소음방지 장치
KR20180001636U (ko) * 2016-11-24 2018-06-01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텐트용 연결구 및 그것을 구비하는 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800B1 (ko) * 2013-04-11 2019-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레이드 체결구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391356B1 (ko) 2017-04-28 2022-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322B1 (ko) * 2005-07-11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322B1 (ko) * 2005-07-11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926B1 (ko) * 2014-12-12 2016-05-16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에어벤트의 소음방지 장치
KR20180001636U (ko) * 2016-11-24 2018-06-01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텐트용 연결구 및 그것을 구비하는 텐트
KR200487940Y1 (ko) * 2016-11-24 2018-11-26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텐트용 연결구 및 그것을 구비하는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303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06932B (zh) 空调
EP299731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90042201A (ko) 공기조화기
CN111615607B (zh) 空调
KR20100007259A (ko) 공기조화기
KR20180121161A (ko) 공기조화기
KR101460538B1 (ko) 공기조화기
KR20190026325A (ko) 공기조화기
KR20100119140A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JP6942082B2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20110107653A (ko) 냉장고
KR100861954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00898A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20060027916A (ko) 시로코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1419941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611322B1 (ko) 공기조화기
KR20060005196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584268B1 (ko) 냉장고의 냉기 순환 구조
US20230010148A1 (en) Air conditioner
KR100437055B1 (ko) 공기조화기의 에어 가이드
CN215001920U (zh) 空调器室内机
KR101224645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팽창밸브 설치장치
KR200467785Y1 (ko) 공기조화기
KR200340246Y1 (ko) 에어컨용블레이드고정장치
KR100548934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루버그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