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316B1 - 휴대용 치간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치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316B1
KR101460316B1 KR20130140094A KR20130140094A KR101460316B1 KR 101460316 B1 KR101460316 B1 KR 101460316B1 KR 20130140094 A KR20130140094 A KR 20130140094A KR 20130140094 A KR20130140094 A KR 20130140094A KR 101460316 B1 KR101460316 B1 KR 101460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dental
guide
handle
blad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20130140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9Brushes fitted with a interdental devices, e.g. toothpick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치간 칫솔은 휴대폰 고리, 양복 안 주머니 단추, 열쇠 고리 등에 결합되어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양측에 칼날형 단부를 형성하거나 일측에는 칼날형 단부를 그리고 타측에는 치간 칫솔을 형성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치간 부재를 이용하여 이빨 사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치간구{PORTABLE INTERDENTAL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치간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 고리, 양복안 주머니 단추, 열쇠 고리 등에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휴대폰 고리가 구비되고, 이빨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치간 부재를 탈착되게 구비하여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휴대용 치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섭취 후 이빨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 일회용 이쑤시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칫솔로 이빨을 닦을 때 치간 칫솔 또는 치실 등을 이용하여 이빨 사이의 찌꺼기를 제거하기도 한다.
치간 칫솔은 와이어(wire)에 결합된 브러시(brush)가 손잡이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치간 칫솔의 브러시는 손잡이와 동일 방향으로 형성된 일자 형태, 브러시가 손잡이와 일정 각도로 형성된 ㄱ자 형태(앵글형태), 브러시가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형태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치간 칫솔은 휴대 또는 보관시에 브러시 부분만을 밀폐하도록 캡이 구비되거나 치간 칫솔 전체를 넣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작은 케이스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쑤시개는 끝이 뾰족하여 잇몸에 상처를 내기 쉽고, 주머니에 넣어서 갖고 다닐 경우 이쑤시개가 주머니를 고나통하여 주머니에 구멍이 생기는 경우도 있고, 손이 이쑤시개에 찔리는 경우도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캡으로 브러시를 밀폐하는 치간 칫솔은 캡이 브러시에서 분리되고 브러시가 찌그러지는 단점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고, 케이스에 넣어 주머니에 휴대하는 경우 케이스의 부피가 커서 불편한 느낌이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밀대가 구비된 치간 칫솔을 손잡이 겸용 보호통에 출몰되게 한 치간 칫솔 조립체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에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01045호(공고일자:2005년 11월 28일자)로 공개되어 있다. 이 치간 칫솔은 일측에 브러쉬가 구비되도 타측에 밀대가 구비된 것으로서 손잡이 겸용 보호통의 조립공에 슬라이드 되게 하여 브러쉬가 손잡이 겸용 보호통에 출몰되게 하여 브러쉬에 이물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브러쉬를 보호통에 출몰되게 하여 브러쉬의 오염방지는 이룰 수 있으나 손잡이 겸용 보호통은 상기와 같이 주머니나 가방에 보관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브러쉬 홀더의 일측에 브러쉬를 형성하고 타측에 밀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비싸지는 단점이 있다.
KR 20-0401045 Y1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폰, 양복안 주머니 단추, 열쇠 고리 등에 결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치간 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양측에 납작한 칼날 형태의 치간구를 형성하거나 일측에는 브러시를 그리고 타측에는 이쑤시개를 형성하여 이쑤시개나 치간 칫솔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치간 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쑤시개나 치간 브러시 등을 갖춘 치간 부재를 복수 개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치간 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치간 부재를 수용하는 안내 부재의 일측에 휴대폰에 고정할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하고, 안내 부재에는 치간 부재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착되게 안내구멍을 형성하고, 안내 부재는 양측 단부에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되 안내 부재에 슬라이드되게 탈착되고 고정되도록 치간 부재의 중앙에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치간 부재의 손잡이는 고리가 구비된 부분에 끼움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치간 부재의 양측 단부를 납작한 칼날 형태로 형성하거나 일측에는 브러시를 그리고 타측에는 이쑤시개를 형성하거나 하여 이쑤시개나 치간 칫솔 등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안내 부재는 다수의 치간 부재를 탈착되게 구비하도록 안내구멍을 복수 개로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고리를 구비하여 휴대폰, 양복안 주머니 단추, 열쇠 고리 등에 간편하게 결합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시에는 안내 부재에 보관된 치간 부재를 안내 부재에서 이탈시켜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치간구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치간 부재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치간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치간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치간 부재가 안내 부재에 안내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안내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치간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치간구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치간 부재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치간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치간 부재가 안내 부재의 안내구멍에 안내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안내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치간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8에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치간 칫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분해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치간구(1)는 고리(11)가 구비된 캡(10)과, 캡(10)에 끼움 결합되는 안내 부재(20)와, 안내 부재(20)에 탈착되게 구비되는 치간 부재(30)로 구성된다.
안내 부재(20)는 치간 부재(30)를 수용하도록 중공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되, 치간 부재(30)가 안내되도록 길이 형태로 안내구멍(21)이 형성된다.
이 안내 부재(20)에 대응하여 치간 부재(30)는 대체로 얇은 치간 부재 몸체(31)로 구성되되, 양측 단부에는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도록 칼날 형태로 구성 된다. 칼날 형태의 칼날형 단부(32)는 선단부가 가장 얇고 후방으로 점점 더 두껍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빨 사이의 간격이 좁으면 칼날형 단부(32)의 얇은 전방부분에 의해 이빨 사이의 찌꺼기가 제거되고, 이빨 사이의 간격이 넓으면 칼날형 단부(32)의 후방에 위치한 두꺼운 부분에 의해 이빨 사이의 찌꺼기가 제거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칼날형 단부(32)는 이빨 사이에 들어가서 이빨 사이의 찌꺼기를 제거하도록 적절한 강성 및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칼날 형태의 칼날형 단부(32)는 치아 사이의 간극에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구성되되, 이물질의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측면에 다수의 요철부(3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도 3 및 도 4 참조). 또한 칼날형태의 하면에도 다수의 요철부(3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치간 부재(30)는 안내 부재(20)의 안내구멍(21)에 용이하게 슬라이드 안내되도록 치간 부재 몸체(31)의 중앙 상부에 손잡이(34)가 돌출 형성 되고, 치간 부재(30)가 안내 부재(20)의 안내구멍(21)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치간 부재 몸체(31)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손잡이(34)와 이격되게 이탈방지턱(35)이 형성된다.(도 3, 도 4, 도 5 및 도 6참조)
따라서 치간 부재(30)는 이탈방지턱(35)과 손잡이(34) 사이에 안내홈(36)이 형성되고, 이 안내홈(36)은 안내 부재(20)의 안내구멍(21)사이에 위치된다. 즉 손잡이(34) 하측은 안내구멍(21)의 상면에 접촉되고 이탈방지턱(35)의 상부는 안내구멍(21)의 하면에 접촉되어 치간 부재(30)가 안내구멍(21)에 현수되게 지지된다.
치간 부재(30)의 이탈방지턱(35)은 치간 부재 몸체(31)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얇게 형성된 치간 부재 몸체(31)가 부주의 하게 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살 역할을 한다. 예컨대 이탈방지턱(35)이 없는 경우 치간부재(30)는 두께가 얇아서 쉽게 휘어지므로 이빨 사이의 찌꺼기를 제거하기 힘들게 된다. 그러나 이탈방지턱(35)이 치간 부재 몸체(3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치간 부재 몸체(31)가 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치간 부재(30)의 손잡이(34)는 안내 부재(20)의 안내구멍(21)에 슬라이드 안내되어 안내 부재(20)에 보관될 때 캡(10)에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손잡이(34)의 단부가 안내홈(36) 외측으로 돌출되어 돌출고정부(37)가 형성된다. 즉 손잡이(34)의 돌출고정부(37)가 캡(10)의 표면에 끼움 결합되어 치간 부재(30)가 캡(10)에 고정된다.
한편 안내 부재(20)는 안내구멍(21)의 일측에 요철부(22)를 갖게 구성될 수 있다(도 7참조). 이 요철부(22)에 대응하여 손잡이(34) 하측의 안내홈(36)에 볼록한 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손잡이(34)를 슬라이드 시킬 때 돌기가 요철부(22)에 안내되어 천천히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안내 부재(20)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타원형, 4각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치간구는 캡과 안내 부재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공 사각형태의 안내 부재(40)는 복수 개의 안내구멍(41)이 형성되고, 이 안내구멍(41)에는 칼날형태의 칼날형 단부(32)가 구비되거나 브러시(38)가 구비된 상이한 종류의 치간 부재(30)가 슬라이드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치간 부재(30)가 구비되는 경우 손잡이(34)가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잡이(34)가 치간 부재(30)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휴대용 치간구는 캡(10)의 일측에 고리(11)를 결합시키고, 이 캡(10)에 안내 부재(20)를 결합시킨다. 이후 치간 부재(30)의 선단부를 안내 부재(20)에 삽입하고 이탈방지턱(35)과 손잡이(34)를 안내구멍(21)에 정렬하여 안내 부재(20)의 안내홈(36)이 안내구멍(21)에 안내되게 한 상태에서 손잡이(34)를 캡(10) 측으로 밀어 넣는다. 손잡이(34)의 전,후로 돌출형성된 돌출고정부(37)가 캡(10)의 표면과 접촉되게 하면 치간 부재(30)가 안내 부재(2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치간구(1)는 고리(11)를 휴대폰에 결합하여 휴대하고 다니다가 사용하고자 할 때는 캡(10)에 고정된 손잡이(34)를 캡(10)에서 멀리 밀어내면 캡(10)과 손잡이(34)의 고정이 해제되면서 안내 부재(20)의 안내구멍(21)으로 치간 부재(20)가 슬라이드 이동된다. 치간 부재(20)를 안내 부재(20)에서 완전히 이탈시킨 후 치간 부재 몸체(31)를 잡아서 이빨사이의 찌꺼기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사용후에는 치간 부재(20)를 깨끗하게 하여 건조시킨 다음 안내 부재(20)의 안내구멍(21)에 손잡이 부분을 정렬하여 슬라이드 이동시켜 보관한다.
치간 부재(20)가 안내구멍(21)에 결합되어 캡(10) 측으로 슬라이드 완전히 이동되면 손잡이(34)에 구비된 돌출고정부(37)가 캡(10)에 걸림 고정되어 치간 부재(34)가 안내구멍(2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1: 휴대용 치간구
10: 캡
11: 고리
20: 안내 부재
21: 안내구멍
30: 치간 부재
31: 치간 부재 몸체
32: 칼날형 단부
33: 요철부
34: 손잡이
35: 이탈방지턱
36: 안내홈
37: 돌출고정부
38: 브러시
40: 안내 부재
41: (복수개의)안내구멍

Claims (7)

  1. 일측에 휴대폰 고리(11)가 구비되고, 타측에 안내 부재(20)가 결합되는 캡(10)과,
    캡(10)의 끼움 결합되되 치간 부재(30)를 보관 및 안내하도록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안내구멍(21)이 형성된 중공 안내 부재(20)와,
    중공 안내 부재(20)의 안내구멍(21)에 끼움결합되어 슬라이드 안내되도록 중앙 일측에 손잡이(34)가 돌출 형성되고, 이 손잡이(34) 하측에 이탈방지턱(35)이 형성된 치간 부재(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치간 부재(30)는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양측에 칼날형 단부(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간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치간 부재(30)는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일측 단부에 칼날형 단부(32)가 그리고 타측 단부에 치간 칫솔(3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간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치간 부재(30)는 안내 부재(20)의 안내구멍(21)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안내되도록 상부에 손잡이(34)가 그리고 하부에 이탈방지턱((35)이 형성되고, 손잡이(34)와 이탈방지턱(35) 사이에 안내홈(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간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치간 부재(30)의 손잡이(34)는 치간 부재(30)가 안내 부재(20)의 안내구멍(21)에 결합되어 보관될 때 캡(10)에 걸림 고정되도록 양측에 돌출고정부(3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간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안내 부재(20)의 안내구멍(21)은 일측에 요철부(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간구.
  7. 일측에 휴대폰 고리(11)가 구비되고, 타측에 치간 부재(30)를 보관 및 안내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안내구멍(41)이 복수 개 형성된 중공 안내 부재(40)와,
    양측에 칼날형 단부(32) 또는 일측에 칼날형 단부(32) 및 타측에 브러시(38)가 구비되고, 중공 안내 부재(20)의 안내구멍(41)에 끼움 결합되어 슬라이드 안내되도록 중앙 일측에 손잡이(34)가 돌출 형성되고, 이 손잡이(34) 하측에 이탈방지턱(35)이 형성된 치간 부재(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간구.
KR20130140094A 2013-11-18 2013-11-18 휴대용 치간구 KR101460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0094A KR101460316B1 (ko) 2013-11-18 2013-11-18 휴대용 치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0094A KR101460316B1 (ko) 2013-11-18 2013-11-18 휴대용 치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316B1 true KR101460316B1 (ko) 2014-11-13

Family

ID=52290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0094A KR101460316B1 (ko) 2013-11-18 2013-11-18 휴대용 치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3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744B1 (ko) * 2019-09-27 2020-01-10 김영열 지갑 휴대용 치간칫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7244U (ja) * 2003-04-17 2004-01-22 池本刷子工業株式会社 歯間清掃具
KR200357415Y1 (ko) 2004-04-13 2004-07-27 주식회사 치아랑 치간칫솔
KR200401045Y1 (ko) 2005-08-23 2005-11-28 (주)상아물산 치간 칫솔 조립체
KR20100029487A (ko) * 2008-09-08 2010-03-17 이황수 치간 칫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7244U (ja) * 2003-04-17 2004-01-22 池本刷子工業株式会社 歯間清掃具
KR200357415Y1 (ko) 2004-04-13 2004-07-27 주식회사 치아랑 치간칫솔
KR200401045Y1 (ko) 2005-08-23 2005-11-28 (주)상아물산 치간 칫솔 조립체
KR20100029487A (ko) * 2008-09-08 2010-03-17 이황수 치간 칫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744B1 (ko) * 2019-09-27 2020-01-10 김영열 지갑 휴대용 치간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40833S1 (en) Dental floss holder having an interdental brush
WO2005120188A3 (en) Disposable combination toothbrush and dental floss holder
EP3037060A1 (en) Portable interdental brush
CN101489495B (zh) 去除外部寄生虫的装置
KR20170082725A (ko) 칫솔모 패드 교체형 칫솔
KR101460316B1 (ko) 휴대용 치간구
US9032975B2 (en) Dental device
KR101589575B1 (ko) 다용도 칫솔
US5975901A (en) Dental pen pic
RU188261U1 (ru) Зубной очища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 козырьком на ручке
US20140338695A1 (en) Dental floss holder
USD497222S1 (en) Handle for a disposable dental floss holder
KR200398426Y1 (ko) 치간 청소구
JP5774955B2 (ja) 歯間ブラシ体収納ケース
WO2015176261A1 (zh) 牙线棒组合装置
KR200401045Y1 (ko) 치간 칫솔 조립체
USD598607S1 (en) Tooth pick with dental floss holder
KR101553698B1 (ko) 조립식 치실 케이스
KR101356341B1 (ko) 휴대용 치간칫솔
US20160235191A1 (en) One in one dental floss toothbrush
JP3154066U (ja) 歯間ブラシつき歯ブラシ
JP3180364U (ja) ホルダー型デンタルフロス
KR101552788B1 (ko) 치약 내장형 일회용 칫솔
CN202027071U (zh) 便捷牙刷
KR100270765B1 (ko) 치아청결용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