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127B1 -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인식 방법 및 이를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인식 방법 및 이를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127B1
KR101460127B1 KR1020080028608A KR20080028608A KR101460127B1 KR 101460127 B1 KR101460127 B1 KR 101460127B1 KR 1020080028608 A KR1020080028608 A KR 1020080028608A KR 20080028608 A KR20080028608 A KR 20080028608A KR 101460127 B1 KR101460127 B1 KR 101460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erminal
output voltage
touch scree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3183A (ko
Inventor
이유섭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8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127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에서 멀티 터치를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멀티 터치와 싱글 터치를 구분하기 위해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Y축 또는 X축의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멀티 터치 후 드래그 동작에 따른 출력 전압의 변화를 확인하고, 그에 상응하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치스크린, 저항막 방식, 멀티 터치,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인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Method for recognising multi-touch of resistive type touch-screen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 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인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발맞추어 소형화, 슬림화 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종래 버튼식 입력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입력 장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종래 입력방식을 완전히 탈피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방식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은 각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입력 장치 중 하나로 사용자가 손이나 펜 등의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화면을 직접 접촉함으로서, 상기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해준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손가락, 펜 등의 입력도구를 접촉하는 것만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ATM(Automated Teller Machi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폰 등 다양한 기기 및 은행, 관공서, 관광 및 교통안내 등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표면탄성파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현재, 휴대 단말기에는 값이 싸고, 손가락, 펜 등의 다양한 입력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 저항막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멀티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멀티 터치 인식이 가능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제조단가가 높고, 화면의 크기에 제약이 있으며, 손가락(도전성 물질) 터치만 인식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값싸고, 다양한 입력도구를 이용할 수 있지만, 멀티 터치를 인식하지 못했던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에서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에서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인식 방법은 터치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터치 감지 시, 멀티 터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를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인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는 멀티 터치를 이용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멀티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값비싼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지 않아 휴대 단말기의 단가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단말기, EDGE(Enhanced Data GSM Evironment)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단말기, ATM(Automated Teller Machine)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에서, "멀티 터치"는 터치스크린 상의 두 지점 이상에 터치가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이하에서, "드레그 동작"은 멀티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멀티 터치 상태에서 터치된 두 지점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손이나 펜 등의 입력도구를 이동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은 크게 X축 양(+)단자(10)와 음(-)단자(11)를 포함하는 상판 저항막(100), Y축 양(+)단자(20)와 음(-)단자(21)를 포함하는 하판 저항막(200), 상기 상판 저항막(100)과 상기 하판 저항막(200)을 분리하는 도트 스페이서(Dot Spacer, 30), 상기 상판 저항막(100)을 보호하는 커버(40), 상기 상판 저항막(100)과 상기 하판 저항막(200)을 접착하는 접착제(50), 및 상기 하판 저항막(200)을 받쳐주는 기판(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를 변화하는 ADC 및 컨트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상기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 동작 원리를 간단히 살펴보면, 상기 상판 저항막(100) 또는 상기 하판 저항막(200)의 양단에 일정한 전류를 흘려주면 상기 전류가 흐르는 저항막이 저항 성분을 갖는 저항체와 같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전류가 흐르는 저항막 양단에 전압이 걸리게 된다. 이 후, 손 또는 펜 등의 입력도구(70)로 접촉을 하게 되면 상기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판 저항막(100)이 휘어지면서 상기 하판 저항막(200)과 접촉하게 된다. 이 때, 두 저항막(상판 저항막과 하판 저항막)의 저항 성분은 병렬접속 형태가 되어, 저항 값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며, 상기 저항막 양단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전압의 변화도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전압의 변화 정도로서 접촉된 지점의 좌표를 알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의 상세한 동작원리는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싱글 터치 시 회로 및 등가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a 내지 상기 도 2c를 참조하면, 터치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 상기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판 저항막(100)과 상기 하판 저항막(200)이 각각의 저항 성분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된 지점(C)이 접촉되어 제13저항(이하 R13) 내지 제16저항(이하 R16) 을 갖는 회로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R13은 X축 양(+)단자와 터치된 지점(C) 사이의 저항성분이고, R14는 터치된 지점(C)과 X축 음(-)단자 사이의 저항성분 이다. 그리고 R15은 Y축 양(+)단자와 터치된 지점(C) 사이의 저항성분이고, R16는 터치된 지점(C)과 Y축 음(-)단자 사이의 저항성분 이다. 각 저항 값은 터치된 점(C)에 따라 가변적이다.
상기 도 2b는 X축 단자에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즉, X축 양(+)단자에 구동전압(Vcc)을 인가하고, X축 음(-)단자를 그라운드(GND)에 연결하면 상기 도 2c와 같은 등가회로로 표현될 수 있다. 이 때, Y축 단자의 출력 전압은 아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8022365246-pat00001
여기서, Vcc는 터치스크린 구동전압으로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전압이 사용될 수 있다. R13은 X축 양(+)단자와 터치된 지점(C)사이의 저항값 이고, R14는 터치된 지점(C)와 X축 음(-)단자 사이의 저항값 이다.
상기 <수학식 1>을 참조하면, Y축 단자의 출력 전압은 제13저항(R13)과 제14저항(R14)의 비에 비례하고, Y축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은 동일하다. 그리고 제13저항(R13)의 크기는 X축 양(+)단자와 터치된 지점(C)와의 거리(d)에 비 례한다. 따라서 Y축의 양(+)단자 또는 음(-)단자의 전압 값을 확인하면 터치된 지점(C)의 X 좌표를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Y축 단자에 전류를 공급하고 X축 단자의 전압 값을 확인하면 터치된 지점(C)의 Y 좌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는 각 단자의 출력전압에 따른 좌표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시 회로 및 등가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에 멀티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회로로 표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저항(이하 R1) 내지 제8저항(이하 R8) 즉, 8개의 저항성분과 터치된 두 지점(A, B) 사이에 기생적으로 발생하는 두 개의 저항성분인 Rc x와 Rc y 가 결합된 형태의 회로가 된다. 여기서, R1은 X축 양(+)단자와 터치 점(A) 사이의 저항성분, R2는 터치 점(A)과 X축 음(-)단자 사이의 저항성분, R3은 X축 양(+)단자와 터치 점(B) 사이의 저항성분이고, R4는 터치 점(B)과 X축 음(-)단자 사이의 저항성분 이다. R5는 Y축 양(+)단자와 터치 점(A) 사이의 저항성분, R6은 터치 점(A)과 Y축 음(-)단자 사이의 저항성분, R7은 Y축 양(+)단자와 터치 점(B) 사이의 저항성분이고, R8는 터치 점(B)과 Y축 음(-)단자 사이의 저항성분 이 다. Rc x와 Rc y 는 터치점(A)와 터치점(B) 사이에 존재하는 저항성분이다. 이러한 저항성분들의 저항 값은 터치위치에 따라 가변적이다.
상기 도 3a는 X축에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도 3b와 같은 다중 휘트스톤브리지 회로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도 3b의 회로를 해석하여 제1저항(이하 R1), 제3저항(이하 R3), 제5저항(이하 R5) 및 제7저항(이하 R7) 또는 제2저항(이하 R2), 제4저항(이하 R4), 제6저항(이하 R6) 및 제8저항(이하 R8) 즉, 4개의 저항성분을 계산할 수 있으면 두 지점의 좌표를 알 수 있다. 하지만 싱글 터치에서의 좌표 계산 방식과 같이 X축 단자(10, 11), Y축 단자(20, 21)를 각각 구동하여 얻을 수 있는 출력은 두 개이므로 네 개의 변수를 모두 알 수 없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은 멀티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확인하지 못한다. 하지만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작은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두 지점의 위치를 반드시 정확히 알 필요는 없다. 즉, 멀티 터치가 발생했다는 것과 그에 따른 출력 전압의 변화를 알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에 충분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멀티 터치를 인식하는 방법과 그에 따른 출력전압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3c는 Y축 저항부(80) 즉, 상기 도 3b에서 점선으로 표시 된 부분의 등가회로 이다.
상기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Y축 저항부(80)는 평형 휘트스톤브리 지(Balanced Wheatstone Bridge)로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 터치된 두 지점(A와 B) 사이에 VAB라는 구동전압을 걸고 Y축 단자의 출력 전압을 측정하는 경우 Y축 단자의 출력 전압은 아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8022365246-pat00002
여기서, VAB는 터치 점 A와 B 사이에 걸리는 전압을 나타낸다. R5는 Y축 양(+)단자와 터치 점 A 사이의 저항값, R6는 터치 점 A와 Y축 음(-)단자 사이의 저항값, R7는 Y축 양(+)단자와 터치 점 B 사이의 저항값, R8은 터치 점 B와 Y축 음(-)단자 사이의 저항값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2>를 참조하면, 상기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을 멀티 터치하는 경우 싱글 터치와 달리 Y축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은 이러한 사실을 이용하여 싱글 터치와 멀티 터치를 구분할 수 있다. 즉, Y축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이 동일한 경우 싱글 터치로 판단하고, Y축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이 다른 경우 멀티 터치로 판단할 수 있다.
한 편, 상기 도 3c의 합성저항을 RT라고 가정하고, X축 단자에 전류를 공급 하여 터치된 두 지점 A와 B의 전압차 VAB를 계산하면 아래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08022365246-pat00003
여기서, V1은 A점의 전압으로서 구동전압 Vcc가 두 개의 직렬저항(R1과 R2)에 의해 분배된 전압이고, V2는 B점의 전압으로서 구동전압 Vcc가 두 개의 직렬저항(R3과 R4)에 의해 분배된 전압이다. RT는 상기 도 3c에 나타낸 Y축의 합성저항이다. R12는 R1과 R2의 합성저항이고, R34는 R3과 R4의 합성저항이다. 이 때, 상기 V1, V2, RT, R12 및 R34에 대한 정의는 아래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112008022365246-pat00004
여기서, Rc는 터치된 두 점 A와 B사이에 존재하는 기생 저항값을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3>을 상기 <수학식 2>에 대입하면 아래 <수학식 5>와 같다.
Figure 112008022365246-pat00005
상기 <수학식 5>의 V1과 V2에 상기 <수학식 4>에서 정의된 V1 및 V2 값을 대입하면 아래 <수학식 6>을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8022365246-pat00006
여기서, 터치 점 A의 X축 총 저항 R1+R2와 터치 점 B의 X축 총 저항 R3+R4의 값이 같으므로 이를 하나의 Rx값으로 치환할 수 있다. 즉, Rx = R1+R2 = R3+R4 이므로 상기 <수학식 6>은 아래 <수학식 7>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8022365246-pat00007
한편, 상술한 바와 동일한 과정으로 X축 단자의 출력 전압을 구하면 아래 <수학식 8>과 같다.
Figure 112008022365246-pat00008
여기서, Rs는 X축의 합성저항이고, Ry는 터치 점 A 또는 터치 점 B의 Y축의 총 저항이다.
상기 <수학식 8>에 사용된 각 변수들은 아래 <수학식 9>에 정의된 것과 같다.
Figure 112008022365246-pat00009
상기 <수학식 7> 및 상기 <수학식 8>을 참조하면, Y축 양(+)단자 및 음(-)단자의 출력 전압은 터치된 두 지점의 X좌표의 차에 비례하고, X축 양(+)단자 및 음(-)단자의 출력 전압은 터치된 두 지점의 Y좌표의 차에 비례한다. 즉, 상기 X축 및 Y축 출력 전압은 터치된 두 지점의 간격에 비례한다. 따라서 각 단자의 출력 전압의 크기를 측정하면 터치된 두 지점이 서로 얼마나 분리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이용하면, 종래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에서도 멀티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X 축 또는 Y축 중 적어도 하나의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출력 전압이 서로 다른 경우 멀티 터치로 인식하고, Y축 양(+)단자 또는 Y축 음(-)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전압의 변화를 확인하여 출력 전압이 커지면 터치된 지점의 간격이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된 이미지 또는 영상 등을 확대(Zoom-in)하고, 출력 전압이 작아지면 터치된 지점의 간격이 가까워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된 이미지 또는 영상 등을 축소(Zoom-out)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또는 영상의 확대, 축소 비율을 멀티 터치 후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출력 전압의 변화정도가 큰 경우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을 크게하고, 출력 전압의 변화정도가 작은 경우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을 작게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터치 후 움직임(이하 드레그 동작)에 대한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고, 도 4b는 상기 드레그 동작에 따른 Y(+)축 단자의 출력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Y축 양(+)단자의 출력 전압의 절대 값이 터치된 두 지점의 거리가 증가 할수록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이용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 터치를 이용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을 확대(Zoom-in) 하거나 축소(Zoom-out)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즉, Y축 양(+)단자의 출력 전압의 절대값이 증가하면 화면을 확대하고, Y축 양(+)단자의 출력 전압의 절대값이 감소하면 화면을 축소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비록, 상기 도 4a 및 도 4b에서는 멀티 터치 후 몇 가지 드레그 동작에 대한 Y축 양(+)단자의 출력 전압의 변화 만을 나타내었지만, Y축 음(-)단자, X축 양(+)단자, 또는 X축 음(-)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전압의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5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510), 제어부(500), 저장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510)은 휴대 단말기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상기 터치스크린(510)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에 터치 패드가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510)은 표면에 발생하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와 터치가 발생한 영역의 좌표 즉, 위치값을 검출하는 위치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510)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변화 방식, 초음파 반사 방식, 광센서 및 전자유도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스크린(510)은 저항막 방식을 이용하며,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510)의 멀티 터치 인식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제어부(500)의 설명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부(5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52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장부(520)는 상기 터치스크린(510)의 멀티 터치를 인식하고, 상기 드래그 동작에 따른 출력 전압의 변화를 확인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휴대 단말기기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 촬영 이미지 또는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콘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멀티 터치 후 드래그 동작에 따른 출력 전압의 변화에 대한 참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X축 또는 Y축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전압의 변화에 대한 참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조 데이터는 제어명령과 연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스크린(510)에 터치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터치스크 린(510)에 멀티 터치가 발생하면 이를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멀티 터치 후 드레그 동작 발생에 따른 상기 X축 또는 Y축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전압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전압 변화를 확인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드레그 동작과 연동된 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X축 또는 Y축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을 확인하여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 크기가 같으면 싱글 터치로 판단하고,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 크기가 다르면 멀티 터치로 판단한다. 멀티 터치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드레그 동작에 따른 출력 전압 즉, X축 또는 Y축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전압의 변화를 확인하고, 그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출력 전압의 크기가 커지면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확대하고, 상기 출력 전압의 크기가 감소하면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축소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부, 카메라 모듈, 방송수신모듈,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신호 출력장치, 마이크로폰과 같은 음성 신호 입력 장치, 외부 디지털 기기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연결단자, 충전용 단자,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이 멀티 터치를 인식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Y축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싱글 터치와 멀티 터치를 구분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X축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싱글 터치와 멀티 터치를 구분할 수도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S601 단계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여부를 감지한다. 터치 감지 시, 상기 제어부(500)는 멀티 터치 여부를 확인한다. 즉, Y축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Y축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이 동일하다면 상기 제어부(500)는 S603 단계로 분기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싱글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한다. 이 후, 상기 제어부(500)는 S604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확인하고,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를 활성화하도록 설정된 부분에 터치가 발생하였다면 메뉴 항목을 상기 터치스크린(510)에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싱글 터치를 인식하고,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S602 단계에서 Y축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이 같지 않은 경우, S605 단계로 진행하여 멀티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다. 이 후, 상기 제어부(500)는 S607 단계로 진행하여 Y축 단자의 출력 전압의 변화를 확인하고, 상기 저장부(520)에 연동되어 기 저장된 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멀티 터치 후 터치된 두 점이 멀어지는 드레그 동작인 경우, 영상 또는 이미지를 확대(Zoom-in)하고, 터치된 두 점이 가까워지는 드레그 동작인 경우, 영상 또는 이미지를 축소(Zoom-out)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Y축 양(+)단자의 출력 전압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을 대표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Y축 음(-)단자, X축 양(+)단자, X축 음(-)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전압의 변화를 확인하여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인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싱글 터치 시 회로 및 등가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시 회로 및 등가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드레그 동작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드레그 동작에 따른 출력 전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를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Claims (15)

  1. 터치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터치 감지 시, 상기 감지된 터치의 멀티 터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멀티 터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X축 단자의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X축 단자의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의 크기가 다른 경우 상기 멀티 터치로 인식하는 과정; 및
    Y축 단자의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Y축 단자의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의 크기가 다른 경우 상기 멀티 터치로 인식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인식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터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X축 단자 및 상기 Y축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 싱글 터치로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인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터치 후 드레그 동작에 따른 출력 전압의 변화를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출력 전압의 변화에 따른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인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의 변화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X축 단자의 양단자와 음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전압 변화를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Y축 단자의 양단자와 음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전압 변화를 검출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인식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드레그 동작 후, 상기 출력 전압의 크기가 상기 드레그 동작 전보다 증가한 경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확대하고, 상기 출력 전압의 크기가 상기 드레그 동작 전보다 감소한 경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인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드레그 동작 전과 후의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 정도에 따라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의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을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인식 방법.
  8. 터치를 감지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 및
    상기 감지된 터치의 멀티 터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가 멀티 터치인 경우 상기 멀티 터치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X축 및 Y축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의 크기가 다르면 상기 멀티 터치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터치가 유지되면서 발생하는 드레그 동작에 따른 출력 전압의 변화에 대한 참조 데이터와 상기 참조 데이터와 연동된 제어명령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단자와 음단자의 출력 전압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 싱글 터치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터치 인식 후, 상기 터치스크린의 출력 전압 크기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X축 단자 또는 Y축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전압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드레그 동작 후,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드레그 동작 전보다 증가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확대하고,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드레그 동작 전보다 감소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레그 동작 전과 후의 출력 전압의 크기 변화 정도에 따라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의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을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28608A 2008-03-27 2008-03-27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인식 방법 및 이를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60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608A KR101460127B1 (ko) 2008-03-27 2008-03-27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인식 방법 및 이를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608A KR101460127B1 (ko) 2008-03-27 2008-03-27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인식 방법 및 이를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183A KR20090103183A (ko) 2009-10-01
KR101460127B1 true KR101460127B1 (ko) 2014-11-10

Family

ID=4153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608A KR101460127B1 (ko) 2008-03-27 2008-03-27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인식 방법 및 이를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1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241A1 (ko) * 2009-12-28 2011-07-07 Lee Chang Ho 터치 스크린의 다중 접촉점 사이의 계산 방법 및 다중 접촉점의 좌표 계산 방법
KR101656753B1 (ko) * 2013-12-04 2016-09-13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에 기초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6062913B2 (ja) 2013-12-04 2017-01-18 株式会社 ハイディープHiDeep Inc. タッチに基づいた対象動作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15185173A (ja) 2014-03-24 2015-10-22 株式会社 ハイヂィープ タッチ圧力及びタッチ面積による動作対象の臨時操作方法及び端末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0621A (ja) * 1990-10-25 1992-06-03 Sharp Corp 手書き入力表示装置
JPH0667788A (ja) * 1992-08-17 1994-03-11 Seiko Epson Corp タブレット装置
EP1717681A2 (en) * 1998-01-26 2006-11-02 Wayne Westerma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manual input
JP2008508600A (ja) 2004-07-30 2008-03-21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ッチ・センシティブ入力デバイスのためのモード・ベースの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0621A (ja) * 1990-10-25 1992-06-03 Sharp Corp 手書き入力表示装置
JPH0667788A (ja) * 1992-08-17 1994-03-11 Seiko Epson Corp タブレット装置
EP1717681A2 (en) * 1998-01-26 2006-11-02 Wayne Westerma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manual input
JP2008508600A (ja) 2004-07-30 2008-03-21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ッチ・センシティブ入力デバイスのためのモード・ベースの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183A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91086A1 (e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US20210089201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pying and pasting content in a computing device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US10353567B2 (en) Electronic device
EP24078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on program
US201400432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interpreting on and off-screen gestures
US20080316182A1 (en) Touch Sensor and Method for Operating a Touch Sensor
US913483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proximity-sensing user interface
WO2020134744A1 (zh) 图标移动方法及移动终端
KR102155836B1 (ko) 터치 스크린 상에서 객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US20140267126A1 (en) Image scale alternation arrangement and method
KR101929316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키패드 표시 방법 및 장치
TW201329796A (zh) 用於觸控螢幕裝置之觸控筆介面
KR20080056559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기기 그리고 이의명령 입력방법
EP2065794A1 (en) Touch sensor for a display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KR20140136855A (ko)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460127B1 (ko)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의 멀티 터치 인식 방법 및 이를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WO2019091124A1 (zh) 一种终端的用户界面显示方法和终端
WO2021244339A1 (zh) 一种电子设备、手机和输入操作检测方法
JP718403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08963A (ko) 스크린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20140137629A (ko) 이어폰 연결을 감지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20100136289A (ko)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WO2020010917A1 (zh) 分屏显示的开启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1483301B1 (ko)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