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696B1 -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696B1
KR101459696B1 KR1020130041773A KR20130041773A KR101459696B1 KR 101459696 B1 KR101459696 B1 KR 101459696B1 KR 1020130041773 A KR1020130041773 A KR 1020130041773A KR 20130041773 A KR20130041773 A KR 20130041773A KR 101459696 B1 KR101459696 B1 KR 101459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ixing
patient
pair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4260A (ko
Inventor
이상갑
Original Assignee
(주)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에스 filed Critical (주)유에스
Priority to KR1020130041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696B1/ko
Publication of KR20140124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Kne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2Kne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컨트롤부가 마련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양측에 고정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용 바아; 상기 한 쌍의 고정용 바아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용 바아와의 상대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 조절용 바아; 환자의 다리를 지지하며, 일측이 상기 길이 조절용 바아와 연결되는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 상기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에 위치별로 결합되어 상기 환자의 다리와 발을 받치는 다수의 받침부; 및 일단부는 상기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에 각각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를 전동으로 접철시키는 한 쌍의 전동식 링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TRAINING DEVICE FOR LEGS}
본 발명은,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둔부, 무릎, 발목을 동시에 또는 각각에 지속적인 수동적 움직임을 제공하기 위한 동작의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리관절을 동작시키는 운동 범위가 종래보다 훨씬 넓어 무릎이나 발목 수술 직후의 환자를 도와 그 회복기간을 단축시키면서 환자의 재활을 도울 수 있는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공관절수술이나 관절내시경 후에는 재활 운동이 필수적이다. 이는 다리관절의 운동범위를 개선시키고 다리관절의 굳어짐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통상적인 다리관절 운동장치로서 자전거 타입의 전동식 다리관절 운동장치가 널리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전동식 다리관절 운동장치는 병원의 물리치료실 등에 이미 보급되어 있으며, 중풍, 뇌경색 등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의 재활 운동을 돕는데 요긴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전동식 다리관절 운동장치의 경우, 자전거 타입으로서 안장에 앉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무릎이나 발목 수술 직후의 환자가 사용하기에는 다소 불편할 수 있다.
이에, 무릎이나 발목 수술 직후의 환자가 앉아서 혹은 누운 상태에서 환자를 도와 그 회복기간을 단축시키고 환자의 재활을 돕기 위한 다리관절 운동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렇지만, 일부 제한된 기술의 경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둔부, 무릎, 발목을 동시에 또는 각각을 지속적으로 움직이기 위한 동작이 불편하거나 다리관절을 동작시키는 운동 범위가 상당히 좁아 실질적인 운동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감안한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에 대한 구조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2-000688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보다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환자의 둔부, 무릎, 발목을 동시에 또는 각각에 지속적인 수동적 움직임을 제공하기 위한 동작의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리관절을 동작시키는 운동 범위가 종래보다 훨씬 넓어 무릎이나 발목 수술 직후의 환자를 도와 그 회복기간을 단축시키면서 환자의 재활을 도울 수 있는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측에 컨트롤부가 마련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양측에 고정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용 바아; 상기 한 쌍의 고정용 바아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용 바아와의 상대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 조절용 바아; 환자의 다리를 지지하며, 일측이 상기 길이 조절용 바아와 연결되는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 상기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에 위치별로 결합되어 상기 환자의 다리와 발을 받치는 다수의 받침부; 및 일단부는 상기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에 각각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를 전동으로 접철시키는 한 쌍의 전동식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는, 상기 길이 조절용 바아와 연결되며, 비직선형 형상을 갖는 비직선형 접철식 바아; 직선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비직선형 접철식 바아와 연결되는 직선형 접철식 바아; 상기 비직선형 접철식 바아와 상기 직선형 접철식 바아의 연결부위에 마련되는 제1 힌지부재; 및 상기 직선형 접철식 바아에 마련되어 상기 전동식 링크와 연결되는 제2 힌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직선형 접철식 바아는, 회동 연결체에 의해 상기 길이 조절용 바아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와 상기 직선형 접철식 바아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컨트롤부에서 상기 길이 조절용 바아를 향해 하향 경사진 한 쌍의 경사형 슬릿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전동식 링크의 타단부는 상기 한 쌍의 경사형 슬릿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경사형 슬릿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받침부는, 상기 환자의 허벅지를 받치면서 고정시키는 허벅지 고정용 받침부; 상기 환자의 종아리를 받치면서 고정시키는 종아리 고정용 받침부; 및 상기 환자의 발을 받치면서 고정시키는 발 고정용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벅지 고정용 받침부, 상기 종아리 고정용 받침부 및 상기 발 고정용 받침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해당 위치에서 위치 조절시키는 다수의 위치 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바아와 상기 길이 조절용 바아는 파이프(pipe) 형상을 가지고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용 바아와 상기 길이 조절용 바아에는 나사식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용 바아에는 랙 기어가 마련되고,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랙 기어에 기어 맞물림되는 피니언 기어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보다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환자의 둔부, 무릎, 발목을 동시에 또는 각각에 지속적인 수동적 움직임을 제공하기 위한 동작의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리관절을 동작시키는 운동 범위가 종래보다 훨씬 넓어 무릎이나 발목 수술 직후의 환자를 도와 그 회복기간을 단축시키면서 환자의 재활을 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스로 운동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수술 직후부터 수동적으로 운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통증을 완화시키는 한편 관절의 경직이나 유착 등 움직이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수술 후의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길이 조절용 바아를 줄인 상태의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도 1의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4는 도 1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서 길이 조절용 바아를 줄인 상태의 도면,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도 1의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는 환자의 둔부, 무릎, 발목을 동시에 또는 각각에 지속적인 수동적 움직임을 제공하기 위한 동작의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리관절을 동작시키는 운동 범위가 종래보다 훨씬 넓어 무릎이나 발목 수술 직후의 환자를 도와 그 회복기간을 단축시키면서 환자의 재활을 도울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장치본체(110), 한 쌍의 고정용 바아(120), 길이 조절용 바아(130),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140), 다수의 받침부(151,152,153), 한 쌍의 전동식 링크(160)를 포함한다.
장치본체(110)는 본 실시예의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구동수단들이 내장된 케이스이다.
다리관절의 운동 중 장치본체(110)가 미끄러지면 안 되기 때문에 장치본체(110)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푸트부재(111)가 마련된다.
고무재질의 푸트부재(111)들로 인해 장치본체(110)는 설치면, 즉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장치본체(110)의 측면에는 후술할 컨트롤부(115)에서 길이 조절용 바아(130)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형 슬릿(112)이 형성된다. 경사형 슬릿(112)은 장치본체(110)의 양측면에서 상호간 대칭되게 형성된다.
장치본체(110)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일측으로 기울어진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140), 다수의 받침부(151,152,153), 그리고 한 쌍의 전동식 링크(160) 등의 동작 시 간섭 현상을 최대로 줄일 수 있다.
장치본체(110)의 일측 상단부에는 컨트롤부(115)가 마련된다. 컨트롤부(115)에는 다수의 버튼이 마련된다.
다수의 버튼은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140)의 접철 각도를 조작하거나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140)의 스피드(speed)를 설정하거나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140)의 구동 시간(time)을 조정하거나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140)의 동작을 온/오프(on/off)시키는 등의 역할을 한다.
환자가 자신의 다리를 해당 위치에 고정시킨 후에, 환자 또는 제3자는 컨트롤부(115)의 각종 버튼을 동작시켜 상기 기능들을 선택하면 된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컨트롤부(115)에는 리모컨(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리모컨은 컨트롤부(115)에 유선에 의해 혹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리모컨이 연결되면 환자는 누운 상태일지라도, 즉 컨트롤부(115)에 손을 대지 않더라도 리모컨만으로 본 실시예의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한 쌍의 고정용 바아(120)는 장치본체(110)의 양측에 고정 배치되어 길이 조절용 바아(130)를 지지한다. 한 쌍의 고정용 바아(120)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길이 조절용 바아(130)는 한 쌍의 고정용 바아(120)에 결합되어 한 쌍의 고정용 바아(120)와의 상대 길이가 조절되는 부분이다. 길이 조절용 바아(130)는 고정용 바아(120)보다는 직경이 작은 파이프(pipe) 구조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고정용 바아(120)와 길이 조절용 바아(130)가 파이프(pipe) 형상을 가지고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고정용 바아(120)와 길이 조절용 바아(130)에 나사식 체결부재(125)가 결합됨으로써, 나사식 체결부재(125)를 풀어 도 4처럼 혹은 도 5처럼 길이 조절용 바아(130)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다리가 길거나 짧은 모든 사람들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140)는 다수의 받침부(151,152,153)와 함께 환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140)의 일측은 길이 조절용 바아(130)와 연결된다.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140)는, 비직선형 접철식 바아(141)와, 직선형 형상을 가지며, 비직선형 접철식 바아(141)와 연결되는 직선형 접철식 바아(142)와, 비직선형 접철식 바아(141)와 직선형 접철식 바아(142)의 연결부위에 마련되는 제1 힌지부재(143)와, 직선형 접철식 바아(142)에 마련되어 전동식 링크(160)와 연결되는 제2 힌지부재(144)를 포함한다.
비직선형 접철식 바아(141)는 길이 조절용 바아(13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일부분이 절곡된 비직선형 형상을 갖는다. 비직선형 접철식 바아(141) 역시 파이프(pipe) 구조물로 제작된다.
이러한 비직선형 접철식 바아(141)는 회동 연결체(126)에 의해 길이 조절용 바아(130)와 연결되는 연결부(141a)와, 연결부(141a)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41b)와, 절곡부(141a)와 직선형 접철식 바아(142)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141c)를 포함한다.
회동 연결체(126)는 일종의 힌지와 같은 부재로서 파이프 구조물인 연결부(141a)와 역시, 파이프 구조물인 길이 조절용 바아(130)를 함께 연결시킨다. 회동 연결체(126)에 의해 연결부(141a) 영역은 회동될 수 있다.
연결부(141a), 절곡부(141a) 및 경사부(141c)는 단일 재질, 예컨대 강성이 있는 금속 파이프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는데, 비직선형 접철식 바아(141)가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환자 다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비직선형 접철식 바아(141)가 연결부(141a), 절곡부(141a) 및 경사부(141c)로 이루어지면서 회동 연결체(126)에 의해 길이 조절용 바아(130)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다리관절을 동작시키는 운동 범위가 종래보다 훨씬 넓어 무릎이나 발목 수술 직후의 환자를 도와 그 회복기간을 단축시키면서 환자의 재활을 도울 수 있다.
다수의 받침부(151,152,153)는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140)에 위치별로 결합되어 환자의 다리와 발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받침부(151,152,153)는 환자의 허벅지를 받치면서 고정시키는 허벅지 고정용 받침부(151)와, 환자의 종아리를 받치면서 고정시키는 종아리 고정용 받침부(152)와, 환자의 발을 받치면서 고정시키는 발 고정용 받침부(153)를 포함한다.
샌들 형태를 갖는 발 고정용 받침부(153)와 달리 허벅지 고정용 받침부(151)와 종아리 고정용 받침부(152)는 허벅지와 종아리를 올려둔 후에 밴드로 묶어 고정시키는 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편의를 위해 밴드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허벅지 고정용 받침부(151)는 비직선형 접철식 바아(141) 영역에 마련되고 종아리 고정용 받침부(152) 및 발 고정용 받침부(153)는 직선형 접철식 바아(142) 영역에 마련된다.
다리 길이가 환자마다 다르기 때문에 좀 더 편리하게 허벅지, 종아리 및 발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허벅지 고정용 받침부(151) 및 종아리 고정용 받침부(152)는 다수의 위치 조절부재(151a,152a)에 의해 해당 위치에서 위치 조절된다.
위치 조절부재(151a,152a)들은 나사식 방식을 가지므로 위치 조절부재(151a,152a)를 풀어 허벅지 고정용 받침부(151) 및 종아리 고정용 받침부(152)의 위치를 조절시킨 후에 다시 위치 조절부재(151a,152a)들을 조임으로써 편안하게 다리를 받쳐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동식 링크(160)는 일단부가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14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장치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140)를 전동으로 접철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전동식 링크(160)는 한 쌍으로 마련되는데, 한 쌍의 전동식 링크(160)의 타단부는 한 쌍의 경사형 슬릿(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의 경사형 슬릿(112)에 연결된다.
전동식 링크(160)의 타단부에는 경사형 슬릿(112)에 연결되는 슬릿 연결부(161)가 결합된다. 전동식 링크(160)는 컨트롤부(115)의 동작에 의해 그 동작이 온/오프(on/off) 컨트롤된다.
이하,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컨트롤부(115)에 마련되는 다수의 버튼을 통해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140)의 접철 각도를 조작하거나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140)의 스피드(speed)를 설정하거나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140)의 구동 시간(time)을 조정한다.
다음, 도 6처럼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140)에 마련되는 다수의 받침부(151,152,153)를 이용하여 환자의 다리를 지지시킨다. 물론, 환자의 다리를 지지시키기 전에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가 제대로 동작되는지 먼저 확인해본 후에 최종적으로 환자의 다리를 올려 운동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컨트롤부(115) 또는 리모컨(미도시)에 마련되는 다수의 버튼 중에서 동작 버튼을 구동시킨다.
그러면, 도 6에서 도 7처럼 전동식 링크(160)가 경사형 슬릿(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140)가 위치별로 접철되면서 환자의 다리관절을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도 7처럼 발목 부분을 미리 세워두거나 도 8처럼 발목부분을 미리 눕힌 상태로 운동을 진행하여도 무방하다.
도 6 내지 도 8처럼 반복적으로 운동을 하게 되면 환자의 둔부, 무릎, 발목을 동시에 또는 각각에 지속적인 수동적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재활을 돕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구조와 동작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보다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환자의 둔부, 무릎, 발목을 동시에 또는 각각에 지속적인 수동적 움직임을 제공하기 위한 동작의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리관절을 동작시키는 운동 범위가 종래보다 훨씬 넓어 무릎이나 발목 수술 직후의 환자를 도와 그 회복기간을 단축시키면서 환자의 재활을 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스로 운동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수술 직후부터 수동적으로 운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통증을 완화시키는 한편 관절의 경직이나 유착 등 움직이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수술 후의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랙 기어(228)와 피니언 기어(229)의 동작에 의해 고정용 바아(220)에 대한 길이 조절용 바아(230)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랙 기어(228)는 길이 조절용 바아(230)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장치본체(210) 내에 랙 기어(228)와 기어 맞물림되는 피니언 기어(229)가 갖춰질 수 있다.
도 9의 경우, 단순히 피니언 기어(229)만을 도시하였으나 피니언 기어(229)에는 모터 등의 동력수단이 연결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경우, 피니언 기어(229)를 동작시키면 피니언 기어(229)의 회전운동이 랙 기어(228)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면서 고정용 바아(220)에 대한 길이 조절용 바아(230)의 슬라이딩 이동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될 경우, 전술한 실시예의 수동 조작과 달리 전동 조작으로 길이 조절용 바아(230)의 슬라이딩 이동 동작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리 길이가 길거나 짧은 환자에 적용할 때에 보다 수월한 이점이 있다.
도 9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종래보다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환자의 둔부, 무릎, 발목을 동시에 또는 각각에 지속적인 수동적 움직임을 제공하기 위한 동작의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리관절을 동작시키는 운동 범위가 종래보다 훨씬 넓어 무릎이나 발목 수술 직후의 환자를 도와 그 회복기간을 단축시키면서 환자의 재활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스로 운동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수술 직후부터 수동적으로 운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통증을 완화시키는 한편 관절의 경직이나 유착 등 움직이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수술 후의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장치본체 111 : 푸트부재
112 : 경사형 슬릿 115 : 컨트롤부
120 : 고정용 바아 125 : 나사식 체결부재
126 : 회동 연결체 130 : 길이 조절용 바아
140 :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 151,152,153 : 다수의 받침부
160 : 전동식 링크 161 : 슬릿 연결부

Claims (8)

  1. 일측에 컨트롤부가 마련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양측에 고정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용 바아;
    상기 한 쌍의 고정용 바아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용 바아와의 상대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 조절용 바아;
    환자의 다리를 지지하며, 일측이 상기 길이 조절용 바아와 연결되는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
    상기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에 위치별로 결합되어 상기 환자의 다리와 발을 받치는 다수의 받침부; 및
    일단부는 상기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에 각각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를 전동으로 접철시키는 한 쌍의 전동식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컨트롤부에서 상기 길이 조절용 바아를 향해 하향 경사진 한 쌍의 경사형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전동식 링크의 타단부는 상기 한 쌍의 경사형 슬릿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경사형 슬릿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지지용 접철식 바아는,
    상기 길이 조절용 바아와 연결되며, 비직선형 형상을 갖는 비직선형 접철식 바아;
    직선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비직선형 접철식 바아와 연결되는 직선형 접철식 바아;
    상기 비직선형 접철식 바아와 상기 직선형 접철식 바아의 연결부위에 마련되는 제1 힌지부재; 및
    상기 직선형 접철식 바아에 마련되어 상기 전동식 링크와 연결되는 제2 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직선형 접철식 바아는,
    회동 연결체에 의해 상기 길이 조절용 바아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와 상기 직선형 접철식 바아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받침부는,
    상기 환자의 허벅지를 받치면서 고정시키는 허벅지 고정용 받침부;
    상기 환자의 종아리를 받치면서 고정시키는 종아리 고정용 받침부; 및
    상기 환자의 발을 받치면서 고정시키는 발 고정용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 고정용 받침부, 상기 종아리 고정용 받침부 및 상기 발 고정용 받침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해당 위치에서 위치 조절시키는 다수의 위치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바아와 상기 길이 조절용 바아는 파이프(pipe) 형상을 가지고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고정용 바아와 상기 길이 조절용 바아에는 나사식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용 바아에는 랙 기어가 마련되고,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랙 기어에 기어 맞물림되는 피니언 기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
KR1020130041773A 2013-04-16 2013-04-16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 KR101459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773A KR101459696B1 (ko) 2013-04-16 2013-04-16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773A KR101459696B1 (ko) 2013-04-16 2013-04-16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260A KR20140124260A (ko) 2014-10-24
KR101459696B1 true KR101459696B1 (ko) 2014-11-12

Family

ID=5199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773A KR101459696B1 (ko) 2013-04-16 2013-04-16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6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5141B2 (en) 2014-01-31 2017-06-20 Samsung Display Co., Ltd. MDLL/PLL hybrid design with uniformly distributed output phases
KR20190008678A (ko) * 2017-07-17 2019-01-25 주식회사 엠비젼 촬영장치를 구비한 재활 치료 기기,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021304B1 (ko) * 2018-12-13 2019-09-20 주식회사 엠디알 다각도 슬관절 견인 치료장치
KR102492580B1 (ko) 2022-07-21 2023-01-30 석주필 재활 운동 장치를 이용한 재활 운동 시스템
EP3984508A4 (en) * 2019-11-15 2023-08-16 H Robotics Inc. UPPER AND LOWER LIMBS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6507B (zh) * 2016-08-31 2019-06-28 张平 一种三维立体关节治疗仪
KR102330315B1 (ko) * 2018-12-05 2021-11-24 (주)비빔플래닛 관절 가동 기기
CN109700634A (zh) * 2019-02-20 2019-05-03 杭州江浩医疗器械有限公司 下肢关节活动器
CN109730900B (zh) * 2019-03-22 2020-01-03 垒途智能教科技术研究院江苏有限公司 一种下肢关节康复装置
CN110279557B (zh) * 2019-07-02 2021-08-27 安徽工业大学 一种下肢康复机器人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3952145B (zh) * 2021-11-17 2023-01-17 武汉大学 一种用于关节护理的活动支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299B1 (ko) * 2004-11-10 2006-09-20 이에스엠티 주식회사 골절 환자 회복용 운동장치
KR100814744B1 (ko) * 2007-02-26 2008-03-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관절용 재활운동기구의 각도조절장치
KR100936620B1 (ko) * 2008-03-20 2010-01-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지 운동 재활 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299B1 (ko) * 2004-11-10 2006-09-20 이에스엠티 주식회사 골절 환자 회복용 운동장치
KR100814744B1 (ko) * 2007-02-26 2008-03-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관절용 재활운동기구의 각도조절장치
KR100936620B1 (ko) * 2008-03-20 2010-01-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지 운동 재활 기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5141B2 (en) 2014-01-31 2017-06-20 Samsung Display Co., Ltd. MDLL/PLL hybrid design with uniformly distributed output phases
KR20190008678A (ko) * 2017-07-17 2019-01-25 주식회사 엠비젼 촬영장치를 구비한 재활 치료 기기,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990198B1 (ko) 2017-07-17 2019-09-30 주식회사 엠비젼 촬영장치를 구비한 재활 치료 기기,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021304B1 (ko) * 2018-12-13 2019-09-20 주식회사 엠디알 다각도 슬관절 견인 치료장치
EP3984508A4 (en) * 2019-11-15 2023-08-16 H Robotics Inc. UPPER AND LOWER LIMBS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KR102492580B1 (ko) 2022-07-21 2023-01-30 석주필 재활 운동 장치를 이용한 재활 운동 시스템
KR102502744B1 (ko) 2022-07-21 2023-02-24 석주필 최적의 무릎 운동 각도를 이용한 재활 운동 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260A (ko) 2014-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696B1 (ko)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
US9573019B2 (en) Mobility aid and rehabilitation device and related components
CN106176143B (zh) 一种多姿态下肢康健训练椅
KR100942968B1 (ko) 재활치료용 운동기구
KR100864733B1 (ko) 운동수단을 갖는 의료용침대
JP6113293B2 (ja) 脳卒中患者の歩行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ロボット
KR102264707B1 (ko) 재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 운동방법
KR100814744B1 (ko) 무릎관절용 재활운동기구의 각도조절장치
JP2018075262A (ja) 下肢関節運動装置
JP6091647B2 (ja) シャドウ脚付きの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
US10470961B2 (en) Multifunctional apparatus for passive physical rehabilitation
KR101869978B1 (ko) 재활운동기구
KR101644100B1 (ko) 보행궤적을 구현한 상하지 보행운동기기
KR101230458B1 (ko)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
KR101797967B1 (ko) 하지 보조 보행기
KR101694848B1 (ko) 환자의 재활 치료를 돕는 보행 재활 로봇
JP3420546B2 (ja) 下肢運動装置
KR101203367B1 (ko)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
JP2007111422A (ja) 椅子
JP4802336B2 (ja) 重力負荷運動装置
KR102003720B1 (ko) 하지 복합 운동기기
KR200471397Y1 (ko) 허리 운동 기구
KR20150004469U (ko) 진동 기립 테이블 장치
JP2008237785A5 (ko)
JP6089253B2 (ja) 下腿関節運動支援用ティルト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