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389B1 -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 - Google Patents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389B1
KR101459389B1 KR1020120107217A KR20120107217A KR101459389B1 KR 101459389 B1 KR101459389 B1 KR 101459389B1 KR 1020120107217 A KR1020120107217 A KR 1020120107217A KR 20120107217 A KR20120107217 A KR 20120107217A KR 101459389 B1 KR101459389 B1 KR 101459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ontrol
fluid
guide
guid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487A (ko
Inventor
신우승
이홍석
박준혁
권대영
Original Assignee
이수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인 (주) filed Critical 이수인 (주)
Priority to KR1020120107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389B1/ko
Publication of KR20140040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16K17/22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 F16K17/24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 F16K17/28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operat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K17/30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operating in one direction only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1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7/0106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er, e.g. bellows, diaphragm, caps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다단 정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정량의 유체를 배수하는 정유량 밸브는 서로 연통을 이루는 수용홈과 하부에 배수공이 형성된 유도관, 및 상기 유도관과 연결리브를 통해 연결되고 내부에 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관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유도관과의 사이로 제1 배수경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안착홈을 갖는 작동편, 상기 안착홈을 관통하는 제2 배수경로, 및 상기 작동편의 하부 단부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공을 통과하는 가이드핀을 구비하는 제1 개폐조절부;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관과 상기 제1 개폐조절부의 작동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개폐조절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배수경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변화에 따라 형상 가변이 이루어져 상기 제2 배수경로의 개방면적을 조절하는 제2 개폐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계통에 본 발명을 적용, 설치한 후에도 다양한 배수경로를 통해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 및 제품의 불량과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범위의 수압에의해 동작하는 개폐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수압 편차를 갖는 유체에 대한 정유량 조절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QUANTITATIVE FLOW VALVE HAVING MULTI STEP FLOW CONTROL FUCTION}
본 발명은 정유량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구조개선을 통해 유체가 통과시 그 수압에 따라 다양한 배수경로를 확보하여 시스템 및 제품의 불량과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며, 서로 다른 범위의 수압에 의해 동작하는 개폐조절부를 다단으로 구비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수압 편차를 갖는 유체에 대한 유량 조절을 가능하도록 한 다단 정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배관계통은 각 구간에 정확한 양의 유체를 공급할 수 있는지 여부가 그 기능수행 능력을 평가함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되며, 이를 위해 각 구간의 배관 직경과 마찰손실 등을 반복 계산하는 과정을 통해 설계 및 시공하게 된다.
이렇게 시공된 배관계통은 사용도중 유량의 조절을 필요로 하거나, 사용 중인 배관 계통의 노후화에 따른 이물질의 침적으로 유량변화가 발생할 경우 별도의 밸런싱 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밸런싱 작업은 일시적인 것으로, 시스템의 미약한 변화에도 배관계통은 다시 불균형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배관계통에는 시스템의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항상 일정한 유량이 흐르도록 하는 정유량 밸브가설치된다.
이러한 종래 정유량 밸브는 관로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유량 증감에 따라 유로 단면적을 가변조절하여 유입단에서 유출단으로 통과하는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양변기의 필밸브, 건축물의 난방시스템, 솔레노이드 밸브, 스프링쿨러 시스템 등에 활용된다.
이에, 상기 정유량 밸브의 대표적인 일예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1-0016993호로 선출원된 "유량 제어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특허출원 제 10-1991-0016993호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외측으로 윤곽이 형성된 조정코어(3)와, 조정코어 둘레에 고리 모양으로 배치되고 환형턱에 의해 유동방향으로 지지되는 탄성 제어부재(4)가 구비된 유량제어기(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4)에는 상기 조정코어(3)와 대응하면서 대략축과 평행하게 형성된 환형면(6)과, 유동 반대방향에서 이 환형면(6)에 인접하여 형성된 원추형 흡입구(7)가 구비되고, 변형되지 않은 제어부재(4)의 내부직경(d)이 환형턱(5)에 의해 형성된 통로의 직경(D)보다 작게 구성된 유량제어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허출원 제 10-1991-0016993호는 유입되는 쪽과 유출되는 쪽에 대한 압력 조건에 따라 상기 제어부재(4)가 압력차에 의해 수축된다.
즉, 압력차가 크면 클수록 제어부재(4)가 더욱 더 수축되고, 통로의 단면도 줄어들어 유출되는 쪽의 유량을 제어한다.
그러나, 특허출원 제 10-1991-0016993호에 의한 유량 제어기는 초기 개방 유로의 면적이 작아 유체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함으로써, 상기 유량 제어기가 적용된 시스템 또는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수압이 낮은 배관에서는 유체의 이동을 방해하여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 제 10-1991-001699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정유량 밸브의 구조 개선을 통해 수압에 따라서 다양한 배수경로를 확보하여 원활한 유체이동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정유량 밸브의 불량과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범위의 수압에 의해 동작하는 개폐조절부를 다단으로 구비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수압 편차를 갖는 유체에 대한 정유량 조절을 가능하도록 한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를 제공하며, 특히 수압이 낮은 배관에서도 정량의 급수를 제공할 수 있는 정유량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정량의 유체를 배수하는 정유량 밸브는 서로 연통을 이루는 수용홈과 하부에 배수공이 형성된 유도관, 및 상기 유도관과 연결리브를 통해 연결되고 내부에 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관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유도관과의 사이로 제1 배수경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안착홈을 갖는 작동편, 상기 안착홈을 관통하는 제2 배수경로, 및 상기 작동편의 하부 단부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공을 통과하는 가이드핀을 구비하는 제1 개폐조절부;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관과 상기 제1 개폐조절부의 작동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개폐조절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개폐조절부의 안착홈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배수경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변화에 따라 형상 가변이 이루어져 상기 제2 배수경로의 개방면적을 조절하는 제2 개폐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조절부의 작동편 중앙부위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된 돌출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개폐조절부가 상기 돌출리브에 끼움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상기 돌출리브에서 상기 제2 개폐조절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조절부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을 통과하는 가이드핀의 단부에는 이탈방지구를 구비하며, 상기 이탈방지구는 상기 가이드핀의 단부에서 서로 대칭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관의 단부와 걸림을 이루는 한 쌍의 쐐기편, 및 상기 한 쌍의 쐐기편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쐐기편과 쐐기편 사이에 형성된 절개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계통에 본 발명을 적용, 설치한 후에도 다양한 배수경로를 통해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 및 제품의 불량과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범위의 수압에의해 동작하는 개폐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수압 편차를 갖는 유체에 대한 정유량 조절을 할 수 있다.
특히, 수압이 낮은 배관계통에서도, 유량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는 바이패스되는 경로를 포함하여 낮은 수압에서 정량의 유량 급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1-0016993호인 "유량 제어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 중 제1 개폐조절부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 중 제2 개폐조절부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수압 상승구간과 하강구간의 압력에 따른 연속적인 배출 유량 비교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100)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내에 설치된 제1 개폐조절부(120)와, 상기 하우징(110)과 제1 개폐조절부(120)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130) 및 상기 제1 개폐조절부(120)에 설치된 고무링으로 이루어진 제2 개폐조절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배관계통에 끼움연결되어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한 외부 케이스와 배관 내벽과의 밀결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하우징(110)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도관(115)과 상기 유도관(115)과 소정 간격 이격된 가이드관(117)이 다수의 연결리브(118)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리브(118)들 사이에는 배수로(119)가 마련된다. 상기 유도관(115)은 그 내측에 수용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1)의 인접한 일측에는 상기 수용홈(111)과 연통을 이루는 배수공(1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공(113)은 상기 배수로(119)와 연통을 이루게 된다. 상기 가이드관(117)은 그 내측에 가이드관(117)을 관통하는 가이드공(1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개폐조절부(120)는 하우징(1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관(115)과의 사이로 제1 배수경로(11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 개폐조절부(120)는 유도관(115)을 통해 유입된 유체의 수압 따라 상기 제1 배수경로(112)의 개방면적을 조절하여 배수되는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제1 개폐조절부(120)는 상기 수용홈(111) 내에 판상체 형상의 작동편(121)이 삽입연결되고, 상기 작동편(121)의 내측에 안착홈(122)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편(121)의 외경은 상기 유도관(115)의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하여, 그 사이에 제1 배수경로(112)가 형성된다. 또한, 작동편(121)에는 상기 안착홈(122)을 관통하는 제2 배수경로(1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개폐조절부의 작동편(121) 중앙부위에서는 상부로 돌출하는 돌출리브(124)가 배치되며, 상기 작동편(121)의 하부 단부로는 연장되는 가이드핀(12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돌출리브(124)의 상단에는 삽입홈(126)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핀(125)에는 이탈방지구(127)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리브(124)는 상기 제2 배수경로(123)의 내측과 수용홈(111)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구(127)는 상기 가이드핀(125)의 타단에 서로 대칭되게 돌출형성된 쐐기편(128)과, 상기 한 쌍의 쐐기편(128) 사이에 형성된 절개홈(12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쐐기편(128)은 상기 가이드공(116)에 삽입된 가이드핀(125)이 상기 가이드관(117)의 단부와 걸림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절개홈(129)은 상기 한 쌍의 쐐기편(128)이 굽힘 가변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쐐기편(128)이 상기 가이드공(116)에 맞닿으면, 상기 쐐기편(128)은 상기 절개홈(129) 측으로 굽힘 가변되어 상기 가이드공(116)에 삽입, 관통되며, 상기 가이드공(116)을 관통한 쐐기편(128)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가이드관(117)의 단부와 걸림을 이루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상기 제1 개폐조절부(12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으로서, 상기 가이드관(117)과 작동편(121)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개폐조절부(140)는 유도관(115)을 통해 유입된 유체의 수압 따라 상기 제2 배수경로(123)의 개방면적을 조절하여 배수되는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제2 개폐조절부(140)는 상기 제1 개폐조절부의 안착홈(122)과 돌출리브(124)의 외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배수경로(123)을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변화에 따라 형상 가변이 이루어져 상기 제2 배수경로(123)의 개방면적을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개폐조절부(140)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핀(125)의 일단에는 상기 제2 개폐조절부(140)가 안착홈(122)과 돌출리브(12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1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덮개(150)는 그 일단에 상기 돌출리브(124)의 삽입홈(126)에 삽입연결되는 고정핀(151)이 돌출형성되고, 그 수평방향으로는 다수의 이탈방지핀(153)이 돌출형성된다. 이탈방지핀(153)은 제2 배수경로(123)을 통해 배수되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돌출리브(124)와 정렬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는 유입되는 유체의 수압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유량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결합관계 및 동작관계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가이드핀(125)에 탄성부재(130)를 연결한다. 이후, 상기 제1 개폐조절부(120)의 작동편(121)을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홈(111) 내에 삽입연결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구(127)의 쐐기편(128)은 굽힘 가변된 상태로 가이드공(116)에 삽입관통하며, 상기 가이드공(116)을 관통한 쐐기편(128)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가이드관(117)의 단부와 걸림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개폐조절부(120)는 가이드관(117)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되며, 상기 작동편(121)에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작동편(121)이 제1 배수경로(112)를 개방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제1 개폐조절부(120)의 안착홈(122)과 돌출리브(124)의 외면에 고무링으로 이루어진 제2 개폐조절부(140)를 배치한다.
이후, 상기 돌출리브(124)의 삽입홈(126)에 덮개(150)의 고정핀(151)을 삽입연결한다. 이때, 상기 덮개(150)의 이탈방지핀(153)은 상기 제2 개폐조절부(140)가 돌출리브(124)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의 임계수압보다 낮은 수압에서의 동작 상태도이다. 임계수압이란 상기 제1 개폐조절부(12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130)의 힘에 대항하여 제1 배수경로(112)가 닫히는 수압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배관계통에 하우징(110)을 연결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정유량 밸브(100)로 임계 수압보다 낮은 유체가 공급되면, 공급된 유체는 상기 수용홈(111)과 작동편(121)의 사이 공간인 1차 배수경로(112)와, 제2 배수경로(123)를 통해 배수되며, 상기 1차 배수경로(112)와 2차 배수경로(123)를 통해 배수된 유체는 배수공(113)과 배수로(119)를 통해 본 발명의 정유량 밸브(100)를 통과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정유량 밸브(100)의 임계 수압은 탄성부재(130)의 탄성력과 1차 배수경로(112), 2차 배수경로(123)의 폭을 계산하여 제품 설계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 중 제1 개폐조절부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임계 수압보다 높은 유체가 정유량 밸브(100)로 공급되면, 유체는 상기 제1 개폐조절부(120)의 작동편(121)을 가압하여 제1 배수경로(112)를 차단함으로써, 유체가 제2 배수경로(123) 측으로만 배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배수경로(123)를 통해 배수되는 유체는 임계 수압보다 높은 수압이 형성됨은 물론, 유속 또한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유량 밸브(100)를 통과하는 유량은 임계 수압을 갖는 유체가 통과할 때와 유사한 정량의 유량이 통과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 중 제2 개폐조절부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작동편(121)이 제1 배수경로(112)를 차단했을 때의 수압보다 더 큰 수압을 갖는 유체가 정유량 밸브(100)로 공급되면, 상기 제2 개폐조절부(140) 내경과 외경 간의 압력차이로 인해 상기 제2 개폐조절부(140)가 내측으로 오그라드는 형상가변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제2 개폐조절부(140)의 오그라드는 부위가 상기 제2 배수경로(123)의 개방 면적을 줄임으로써, 상기 정유량 밸브(100)를 통과하는 유량은 일정한 유량이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밸브는 그 구조개선을 통해 기준 수압의 유체가 통과시 원활한 유체이동을 가능하도록 하여 시스템 및 제품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서로 다른 범위의 수압에 의해 동작하는 개폐조절부를 다단으로 구비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수압 편차를 갖는 유체에 대한 정유량 조절을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정유량 밸브(100)는 다양한 시스템 및 제품의 배관계통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양변기의 필밸브, 건축물의 난방시스템, 솔레노이드 밸브, 스프링쿨러 시스템 등에 활용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정유량 밸브가 양변기 탱크 내의 급수기능을 전담하는 부속인 필밸브 급수구 내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압력에 따른 연속적인 배출 유량 비교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인 도 1과 유사한 제품은 낮은 압력에서 정량의 유량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본 발명의 샘플은 낮은 압력에도 정량의 유량을 제공하는데 우수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110 : 하우징 115 : 유도관 117 : 가이드관
119 : 배수로 120 : 제1 개폐조절부 121 : 작동편
125 : 가이드핀 127 : 이탈방지구 130 : 탄성부재
140 : 제2 개폐조절부 150 : 덮개 153 : 이탈방지핀

Claims (5)

  1. 정량의 유체를 배수하는 정유량 밸브에 있어서,
    서로 연통을 이루는 수용홈과 하부에 배수공이 형성된 유도관, 및 상기 유도관과 연결리브를 통해 연결되고 내부에 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관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유도관과의 사이에 제1 배수경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안착홈을 갖는 작동편, 상기 안착홈을 관통하는 제2 배수경로, 및 상기 작동편의 하부 단부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공을 통과하는 가이드핀을 구비하는 제1 개폐조절부;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관과 상기 제1 개폐조절부의 작동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개폐조절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개폐조절부의 안착홈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배수경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변화에 따라 형상 가변이 이루어져 상기 제2 배수경로의 개방면적을 조절하는 제2 개폐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개폐조절부의 작동편은 임계 수압보다 높은 유체가 정유량 밸브에 공급되면, 유체는 상기 제1 개폐조절부의 작동편을 가압하여 상기 제1 배수경로를 차단하여, 유체가 제2 배수경로측으로만 배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조절부의 작동편 중앙부위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된 돌출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개폐조절부는 상기 안착홈과 상기 돌출리브의 외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리브에서 상기 제2 개폐조절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조절부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을 통과하는 가이드핀의 단부에는 이탈방지구를 구비하며,
    상기 이탈방지구는,
    상기 가이드핀의 단부에서 서로 대칭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관의 단부와 걸림을 이루는 한 쌍의 쐐기편, 및
    상기 한 쌍의 쐐기편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쐐기편과 쐐기편 사이에 형성된 절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
KR1020120107217A 2012-09-26 2012-09-26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 KR101459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217A KR101459389B1 (ko) 2012-09-26 2012-09-26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217A KR101459389B1 (ko) 2012-09-26 2012-09-26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487A KR20140040487A (ko) 2014-04-03
KR101459389B1 true KR101459389B1 (ko) 2014-11-07

Family

ID=50650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217A KR101459389B1 (ko) 2012-09-26 2012-09-26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3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8977U (ko) * 1985-03-06 1986-09-13
JP2003102862A (ja) 2001-09-28 2003-04-08 Senju Sprinkler Kk 流水検知装置
KR100777398B1 (ko) * 2007-06-12 2007-11-19 하지공업(주) 신축성 오리피스 튜브를 구비한 과유량 방지밸브 및 이를이용한 과유량 방지시스템
JP2010186463A (ja) 2009-02-12 2010-08-26 Nan Ya Printed Circuit Board Corp 圧力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圧力調整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8977U (ko) * 1985-03-06 1986-09-13
JP2003102862A (ja) 2001-09-28 2003-04-08 Senju Sprinkler Kk 流水検知装置
KR100777398B1 (ko) * 2007-06-12 2007-11-19 하지공업(주) 신축성 오리피스 튜브를 구비한 과유량 방지밸브 및 이를이용한 과유량 방지시스템
JP2010186463A (ja) 2009-02-12 2010-08-26 Nan Ya Printed Circuit Board Corp 圧力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圧力調整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487A (ko)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265922U (zh) 平衡内件压力调节器和平衡内件组件
US9298190B2 (en) Automatic flow control system and apparatus
US8381761B2 (en) Pressure management control valve assembly
US10203061B2 (en) Fluid regulator with field convertible slam-shut device
EP2898386B1 (en) Balanced regulator with inlet pressure sensing tube
EP3067772B1 (en) Automatic balancing valve
EP3596369B1 (en) Valve with integral balancing passage
KR101285748B1 (ko) 유수 제어기능을 갖는 전자석 밸브
KR101764709B1 (ko) 유량 및 압력 조절형 감압밸브
US9989977B2 (en) Mechanism and method to adjust size of balanced valve
US9298189B2 (en) Automatic flow control system and apparatus
WO2017070277A1 (en) Pressure regulating device having a variable travel stop
CN106979366B (zh) 具有定向升压传感管的平衡调节器
US9678516B2 (en) Balanced regulator having a balanced trim including a variable pressure sense area
KR101459389B1 (ko) 다단 유량 조절기능을 갖는 정유량 밸브
KR101994110B1 (ko) 역압방지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컨트롤 밸브
KR101964123B1 (ko) 파일럿식 부스터 펌프 제어 밸브 시스템
KR100727622B1 (ko) 소방용 감압밸브
KR20110092726A (ko) 밸브 조립체
KR200368321Y1 (ko) 수도급수용 감압밸브
KR20060033621A (ko) 역류 방지기
AU2010202045A1 (en) Pressure Management Control Valve Assembly
KR20150022438A (ko) 유량 제어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