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858B1 - 열융착용 다층시트 - Google Patents

열융착용 다층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858B1
KR101458858B1 KR1020130125034A KR20130125034A KR101458858B1 KR 101458858 B1 KR101458858 B1 KR 101458858B1 KR 1020130125034 A KR1020130125034 A KR 1020130125034A KR 20130125034 A KR20130125034 A KR 20130125034A KR 101458858 B1 KR101458858 B1 KR 101458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ermoplastic polyurethane
heat
hot
multilay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우
Original Assignee
황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우 filed Critical 황재우
Priority to KR1020130125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06M17/04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by applying synthetic resins as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2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2Gloves,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02Open containers
    • B32B2439/06Bags, sacks, sache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0~150 데니어인 섬유로 제조된 망상 직물층(1); 상기 망상 직물층의 일면에 합착된 핫멜트 접착층(2); 및 상기 망상 직물층의 다른 일면에 합착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용 다층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융착용 다층시트{Multi-layer sheet for heat sealing}
본 발명은 열융착용 다층시트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친환경 소재이면서, 저온특성, 내굴곡성, 내마모성, 열가공성 등의 물성이 탁월하여, 신 발, 의류, 가방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환경규제가 심해짐에 따라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의 대체 소재로서 그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신발제조 분야에서는 봉제공정을 제거(no-sewing)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자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용제형 접착제의 사용을 줄여, 인체에 해롭지 않은 제품을 개발하고자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다양한 색과 무늬를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을 핫멜트 접착층과 합착한 다층시트를 메쉬 직물이나 부직포 등의 피착재에 열융착하여 편리하게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식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제조된 제품은 인열강도가 취약하여 쉽게 찢어지는 등 제품의 강도 및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99504호에서 210 내지 1500 데니어인 고데니어 섬유로 제조된 망상 직물층(1); 상기 망상 직물층(1)의 일면에 합착된 핫멜트 접착층(2); 및 상기 망상 직물층의 다른 일면에 합착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강도가 개선된 열융착용 다층시트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열융착용 다층시트는 주로 신발, 의류, 가방 등의 제품에 사용되므로, 내굴곡성이 가장 중요하게 요구되는 특성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출원은 내굴곡성의 개선방법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9950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우수한 인열강도를 가지며, 특히, 100,000회 이상의 굴곡테스트에서도 망상 직물층(1)과, 핫멜트 접착층(2)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이 박리되지 않으므로, 종래의 열융착용 다층시트와 비교하여 2배 이상의 내굴곡성을 나타내는 열융착용 다층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10~150 데니어인 섬유로 제조된 망상 직물층(1);
상기 망상 직물층의 일면에 합착된 핫멜트 접착층(2); 및
상기 망상 직물층의 다른 일면에 합착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용 다층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망상 직물층(1)을 형성하는 망상 직물의 섬유 밀도는 5~50개/inch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핫멜트 접착층(2)은 융점이 70 내지 150℃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은 융점이 100 내지 220℃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의 반응으로 형성된 선형 폴리머이고, 상기 폴리올은 수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인 고분자량의 폴리올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발포층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융착용 다층시트는 우수한 인열강도를 가지며, 특히, 100,000회 이상의 굴곡테스트에서도 망상 직물층(1)과, 핫멜트 접착층(2)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이 박리되지 않으므로, 종래의 열융착용 다층시트와 비교하여 2배 이상의 내굴곡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신발, 의류, 가방 등의 제품의 강도 및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킨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융착용 다층시트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하향식 T-다이스 압출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융착용 다층시트를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열융착용 다층시트의 단면(적층구조)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시험예 1에서 사용된 내굴곡성 평가 장치의 사진이다.
도 7은 시험예 1에서 실시한 내굴곡성 평가 사진을 나타낸다((a): 실시예 1의 열융착용 다층시트(100,000회 굴곡 시험후 사진),(b): 비교예 1의 열융착용 다층시트(50,000회 굴곡 시험후 사진)).
도 8은 시험예 2에서 실시된 인열강도 시험 결과표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은 10~150 데니어인 섬유로 제조된 망상 직물층(1); 상기 망상 직물층(1)의 일면에 합착된 핫멜트 접착층(2); 및 상기 망상 직물층의 다른 일면에 합착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을 포함하는 열융착용 다층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망상 직물층(1)을 형성하는 망상 직물은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평직, 니트직 또는 능직 등, 외관상 홀이 형성되는 모든 직물로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망상 직물은 10~150 데니어 섬유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30~150 데니어인 섬유로 제조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망상 직물을 형성하는 섬유가 10 데니어 미만인 경우 충분한 인열강도를 얻기 어렵고, 직조상 까다로운 특성으로 원가상승의 원인이되며, 150 데니어를 초과하는 경우 내굴곡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열융착용 다층시트가 내굴곡성을 요하는 제품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내굴곡성 테스트에서 100,000회 이상의 굴곡시험을 통과하여야 하는데, 150 데니어를 초과하는 섬유로 제조된 망상 직물로 망상 직물층(1)을 형성하는 경우, 50,000회 이상의 굴곡시험을 견디지 못하고, 망상 직물층(1)과, 핫멜트 접착층(2)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이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망상 직물의 섬유 밀도는 5~50개/inch,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개/inch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 밀도가 5개/inch 미만인 경우, 인열강도가 부족해지며, 50개/inch를 초과하는 경우는 내굴곡성이 저하된다.
상기와 같은 섬유로 형성된 망상 직물로 망상 직물층(1)을 형성하는 경우, 핫멜트 접착층과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의 접합성이 저해되지 않으며, 열융착용 다층시트의 인열강도 및 내굴곡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특히, 본 발명의 열융착용 다층시트는 신발, 의류, 가방 등의 상품에 사용되므로, 내굴곡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내굴곡성은 제품의 내구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상기 망상 직물은 부직포, 면직물, 모시직물, 합성섬유 직물 및 이들의 혼합직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핫멜트 접착층(2)은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폴리우레탄 수지 계열, 폴리에스테르 수지 계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계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핫멜트 접착층(2)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핫멜트 접착층(2)은 융점이 70 내지 150℃인 것을 사용함으로써 망상 직물층(1)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과(3)의 접착력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은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핫멜트 접착층(2)의 융점보다 융점이 높은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핫멜트 접착층(2)의 융점보다 융점이 적어도 20℃ 이상 높은 것으로, 그 융점이 100 내지 22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의 반응으로 형성된 선형 폴리머이다. 상기 폴리올로 수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 인 고분자량의 폴리올을 사용하는 경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의 내열성, 내마모성, 인장 및 인열강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디올을 사용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의 강성, 내유성 및 내화학성을 개선할 수 있고, 폴리에테르디올을 사용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의 저온특성, 레질리언스(Resilience), 내항균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디올을 사용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의 강성 및 내열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바, 폴리에스테르디올, 폴리에테르디올,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 폴리머릭 메틸렌 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TDI),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trimethyl hexamethylene diisocyanate),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phenylene diisocyanate), 디메틸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dimethyl diphenyl diisocyanate), 테트라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tetra methylene diisocyanate), 이소 홀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 holon diisocyanate),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 트리페닐 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triphenyl methane triisocyan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은 안료가 배합된 마스터배치를 사용하여 압출함으로써 제품의 표면에 색을 내거나, 안료를 첨가한 액상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나이프 코터, 그라비아 코터 등을 사용하여 직접 코팅함으로써 제품의 표면에 색을 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은 무늬가 조각되어 있는 롤에 통과시킴으로써 제품의 표면에 무늬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무늬는 엠보싱 무늬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엠보싱의 각도를 조절한 홀로그램 무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은 그 일면에 폴리우레탄 건식코팅층(4)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이렇게 형성된 열융착용 다층시트의 일 구현예는 도 2 에 도시하였다. 상기 폴리우레탄 건식코팅층(4)은 색 또는 무늬가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건식코팅은 액상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도포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을 열 챔버에 넣어 가온 건조하여 경화시킨 것으로, 상기 액상의 폴리우레탄 수지에 안료를 첨가함으로써 제품의 표면에 색을 내거나, 무늬가 형성되어있는 이형층 위에 액상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도포한 후, 이를 열 챔버에 넣어 가온 건조하여 경화시킨 후, 이형층를 박리시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에 의해 다양한 색 또는 무늬를 갖는 열융착용 다층시트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발포층(5)일 수 있는 바, 이 경우 제품의 경량화 및 쿠션감의 개선이 가능하다. 또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발포층(5)과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의 혼합층일 수 있는 바, 이렇게 형성된 열융착용 다층시트의 일 구현예는 도 3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융착용 다층시트는 핫멜트 접착층(2) 상부에 이형층(6)을 합착시킴으로써, 열융착용 다층시트를 제품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신발갑피와 같은 피접착물에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융착용 다층시트를 열융착시킬 경우에는 제품으로부터 상기 이형층(6)은 제거하고 열융착용 다층시트만 접착시켜 열융착을 완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형층(6)의 종류는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층,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층, 폴리프로필렌(PP)층, 종이 층 및 이들의 혼합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융착용 다층시트는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바, 그 제조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공정에 따라서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하향식 T-다이스 압출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융착용 다층시트를 제조하는 공정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핫멜트 접착층(2)용 원료를 제습 및 건조된 상태로 압출기 호퍼에 투입하면, 상기 원료는 3 내지 6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각 구역별로 온도를 콘트롤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T-다이스(9)와 연결하는 아답터; 및 상기 아답터에 연결되고, 5 내지 7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각 구역별로 온도와 개구 부분의 갭을 콘트롤할 수 있도록 설계된 T-다이스(9)를 통과하여, 용융된 필름상태의 핫멜트 접착층(2)이 압출된다. 상기 핫멜트 접착층(2)은 제 1 Un-winder(7)에서 공급되는 이형층(6); 및 제 2 Un-winder(8)에서 공급되는 망상 직물층(1)의 일면에 합착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과, 탄성터치롤(10) 및 냉각&무늬 롤(11)에서 압착 및 냉각된다. 이 때, 냉각&무늬 롤(11) 표면의 무늬에 따라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층(3)의 표면에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Un-winder(8)에서 공급되어지는 망상 직물층(1)의 일면에 합착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은 별도의 T-다이스를 통과하여, 용융된 필름상태로 압출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과 별도의 Un-winder에서 공급되는 망상 직물층(1)을 압착 및 냉각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탄성터치롤(10) 및 냉각&무늬 롤(11)을 통과한 열융착용 다층시트는 냉각롤(12)을 거쳐 Rewinder(13)에서 롤 상태로 권취함으로써 열융착용 다층시트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열융착용 다층시트는 높은 인열강도 및 내굴곡성을 가져, 제품의 강도 및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신발, 의류, 가방 등의 분야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1: 열융착용 다층시트의 제조
도 4에 제시한 공정에 따라 열융착용 다층시트를 제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T-다이스(9)를 통과하여, 압출된 핫멜트 접착층(2); 제 1 Un-winder(7)에서 공급되는 이형층(6); 및 제 2 Un-winder(8)에서 공급되는 망상 직물층(1)(폴리에스테르, 40 데니어, 25 ea/inch)의 일면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이 합착된 시트를 탄성터치롤(10) 및 냉각&무늬 롤(11)에서 압착 및 냉각시켰다.
이 때, 상기 제 2 Un-winder(8)에서 공급되어지는 40 데니어 망상 직물층(1)의 일면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이 합착된 시트는 별도의 T-다이스를 통과하여, 용융된 필름상태로 압출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과 별도의 Un-winder에서 공급되는 망상 직물층(1)(폴리에스테르, 40 데니어, 25 ea/inch)을 압착 및 냉각함으로써 제조된다.
이어서, 상기 탄성터치롤(10) 및 냉각&무늬 롤(11)을 통과한 열융착용 다층시트는 냉각롤(12)을 거쳐 Rewinder(13)에서 롤 상태로 권취함으로써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 망상 직물층(1)/ 핫멜트 접착층(2)/ 이형층(6)의 열융착용 다층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열융착용 다층시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4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제조된 망상 직물(25 ea/inch) 대신 250데니어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제조된 망상 직물(12 ea/inch)로 망상 직물층(1)을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융착용 다층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열융착용 다층시트의 제조
도 4에 제시한 공정과 유사하게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 핫멜트 접착층(2)/ 이형층(6)의 다층시트를 제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T-다이스(9)를 통과하여, 압출된 핫멜트 접착층(2); 및 제 1 Un-winder(7)에서 공급되는 이형층(6)을 탄성터치롤(10) 및 냉각&무늬 롤(11)에서 압착 및 냉각시켰다. 이어서, 상기 탄성터치롤(10) 및 냉각&무늬 롤(11)을 통과한 다층시트는 냉각롤(12)을 거쳐 Re-winder(13)에서 롤 상태로 권취하였다.
상기 권취된 다층시트를 별도의 Un-winder에 장착하였고, 이를 별도의 T-다이스를 통과하여, 용융된 필름상태로 압출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과 함께 탄성터치롤(10)및 냉각&무늬 롤(11)을 통과시키고, 냉각롤(12)을 거쳐 Re-winder(13)에서 롤 상태로 권취함으로써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 핫멜트 접착층(2)/ 이형층(6)의 열융착용 다층시트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내굴곡성 평가
내굴곡성 평가는 FLEXO METER(BALLY TYPE) M/C 장치(도 6)를 사용하여 R.P.M 100/MIN의 방법에 의해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과 도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굴곡시험 결과 100,00까지 박리 발생하지 않음 50,000회 이전부터 박리 발생함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열융착용 다층시트에서는 100,000회 굴곡 후에도 망상 직물층(1)과, 핫멜트 접착층(2)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 사이에 박리가 발생하지 않았다(도 7(a), 참조). 반면, 비교예 1의 열융착용 다층시트에서는 50,000회 굴곡 이전부터 망상 직물층(1)과, 핫멜트 접착층(2)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 사이에 박리가 발생했다(도 7(b), 참조). 그러므로, 본 발명의 열융착용 다층시트는 내굴곡성 면에서 종래기술보다 매우 현저한 효과를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인열강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열융착용 다층시트에 대하여, ASTM D624에 따라 인열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1 비교예 2 강도향상
40D 망사 직물층이 적층된 열융착용 다층시트 TPU층/핫멜트층 구조의
일반 열융착용 다층시트
인열강도(kgf/cm) A방향 14.512 10.944 32.6% 향상
인열강도(kgf/cm) B방향 15.713 10.075 55.9% 향상
상기 표 2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열융착용 다층시트는 망상 직물층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의 종래 열융착용 다층시트와 비교하여 인열강도 면에서 30% 이상 향상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1: 망상 직물층 2: 핫멜트 접착층
3: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 4: 폴리우레탄 건식코팅층
5: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발포층 6: 이형층
7: 제 1 Un-winder 8: 제 2 Un-winder
9: T-다이스 10: 탄성터치롤
11: 냉각&무늬 롤 12: 냉각롤
13: Re-winder

Claims (6)

10~150 데니어인 섬유로 제조된 망상 직물층(1);
상기 망상 직물층의 일면에 합착된 핫멜트 접착층(2); 및
상기 망상 직물층의 다른 일면에 합착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용 다층시트.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상 직물층(1)을 형성하는 망상 직물의 섬유 밀도는 5~50개/in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용 다층시트.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접착층(2)은 융점이 7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용 다층시트.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은 융점이 100 내지 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용 다층시트.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의 반응으로 형성된 선형 폴리머이고,
상기 폴리올은 수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인 고분자량의 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용 다층시트.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3)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발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용 다층시트.
KR1020130125034A 2013-10-21 2013-10-21 열융착용 다층시트 KR101458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034A KR101458858B1 (ko) 2013-10-21 2013-10-21 열융착용 다층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034A KR101458858B1 (ko) 2013-10-21 2013-10-21 열융착용 다층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858B1 true KR101458858B1 (ko) 2014-11-10

Family

ID=52287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034A KR101458858B1 (ko) 2013-10-21 2013-10-21 열융착용 다층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8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171A (ko) * 2015-03-18 2016-09-28 (주)오로피노 고강도 내열섬유를 이용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630Y1 (ko) * 2008-12-30 2011-05-1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3차원 그물구조를 갖는 인도어 골프용 네트
KR20130083281A (ko) * 2012-01-12 2013-07-22 주원테크 주식회사 재 박리성이 낮은 접착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내열성이 우수한 보호층용 열가소성폴리우레탄 수지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99504A (ko) * 2012-02-29 2013-09-06 황재우 열융착용 다층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630Y1 (ko) * 2008-12-30 2011-05-1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3차원 그물구조를 갖는 인도어 골프용 네트
KR20130083281A (ko) * 2012-01-12 2013-07-22 주원테크 주식회사 재 박리성이 낮은 접착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내열성이 우수한 보호층용 열가소성폴리우레탄 수지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99504A (ko) * 2012-02-29 2013-09-06 황재우 열융착용 다층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171A (ko) * 2015-03-18 2016-09-28 (주)오로피노 고강도 내열섬유를 이용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661910B1 (ko) * 2015-03-18 2016-10-04 (주)오로피노 고강도 내열섬유를 이용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798B1 (ko) 자동차 내장재용 인조 피혁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2105549B (zh) 弹性粘合膜
CN108350646B (zh) 利用聚酯的人造革及其制备方法
JP2010516492A (ja)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を材料とするフィルムおよびウェブを含むラミネート
EP3578360A1 (en) Laminate, laminate precursor, and laminate production method
KR102640140B1 (ko) 복합 적층체 및 일회용 기저귀
JP5398451B2 (ja) 合成皮革の製造方法
WO2011149370A1 (en) Cork fabric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106660302A (zh) 热塑性复合材料和其制造
KR101337448B1 (ko) 열융착용 다층시트
KR101458858B1 (ko) 열융착용 다층시트
JP7300384B2 (ja) 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接着剤、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ITMI952652A1 (it) Materiale composito comprendente un prodotto microfibroso suo metodo di preparazione e suo impiego per il rivestimento di prodotti ottenuti
KR20110000088U (ko) 친환경 우레탄 시트
KR101987037B1 (ko) 자동차 내장 기재용 다층 복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26932B1 (ko) 인테리어 바닥재용 섬유원단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바닥재
JP5049558B2 (ja) シート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11523B2 (ja) シート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547536B1 (ko) 인조가죽
KR102108897B1 (ko) 자동차 내장 기재용 다층 복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JPS62282078A (ja) 回折模様を有するポリウレタン製合成シ−トの製造方法
KR20230102538A (ko) 폴리우레탄수지층을 갖는 코팅사의 제조방법
ITMI951058A1 (it) Materiale composito comprendente un tessuto non tessuto microfibroso suo metodo di preparazione e suo impiego per il rivestimento di
JP2024517660A (ja) 生分解性、工業的コンポスト化可能、及び/又は再利用可能押出し皮革様材料
Smith et al. A Novel Process for Urethane Transfer Coa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