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541B1 - 파쇄 장치 충격 흡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파쇄 장치 충격 흡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541B1
KR101458541B1 KR1020097014074A KR20097014074A KR101458541B1 KR 101458541 B1 KR101458541 B1 KR 101458541B1 KR 1020097014074 A KR1020097014074 A KR 1020097014074A KR 20097014074 A KR20097014074 A KR 20097014074A KR 101458541 B1 KR101458541 B1 KR 101458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pin
housing
shock absorbing
elastic lay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456A (ko
Inventor
앵구스 피터 롭슨
Original Assignee
터미네이터 아이피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터미네이터 아이피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터미네이터 아이피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90101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24Damping the reaction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08Means for retaining and guiding the tool bit, e.g. chucks allowing axial oscillation of the tool b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22/00Materials of the tool or the workpiece
    • B25D2222/54Plastics
    • B25D2222/57Elastomers, e.g. 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Earth Drilling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파쇄 장치(1)는 하우징(3); 피구동 단부 및 충격 단부를 가진 스트라이커 핀(4)으로서, 상기 충격 단부를 상기 하우징(3)을 관통하여 돌출시키도록 상기 하우징(3) 내의 적어도 하나의 유지 위치에 위치가능한 스트라이커 핀(4); 스트라이커 핀(4)의 상기 피구동 단부상에 충격력을 가하는 가동 매스(2); 및 상기 유지 위치에 커플링되는 충격 흡수기(7a, 7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충격 흡수기는 상기 유지 위치와 상기 스트라이커 핀 충격 단부 사이에서 스트라이커 핀(4) 둘레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는 제 1 충격 흡수 어셈블리(7a) 내에 적어도 2개의 탄성 층부(12) 및 적어도 1개의 비탄성 층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충격 흡수 어셈블리(7a)는 사용시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거나 동축인 충격 흡수기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Figure 112009041027276-pct00001
하우징, 스트라이커 핀, 가동 매스, 충격 흡수기, 탄성 층부, 비탄성 층부

Description

파쇄 장치 충격 흡수 시스템{BREAKING MACHINE SHOCK ABSORBING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파쇄 장치 충격 흡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중력 낙하 해머 파쇄 장치용 충격 흡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선행 특허 출원 PCT/NZ93/00074호와 PCT/NZ2006/00011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중력 낙하 해머는 기본적으로 노출 표면 암석을 파쇄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해머는 일반적으로 중량의 가동 매스(movable mass)를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의 단부에 위치한 노우즈 피스의 외부로 뻗어 나와 있는 스트라이커 핀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에 있어서는, 스트라이커 핀의 하단부가 암석상에 재치된 다음, 가동 매스가 상승 위치로부터 중력하에 낙하가능하게 되어 스트라이커 핀의 상단부상으로 충격력을 가하고, 이 충격력을 암석에 전달하게 된다.
높은 중압 레벨은 전체 해머 장치 및 지지 장치(예컨대, 운반 장치로서 알려진 굴착기)를 통해 파쇄 동작과 관련된 높은 충격력에 의해 생성된다. PCT/NZ93/00074호는 노우즈 피스 내에 스트라이커 핀을 지지하는 리테이너와 함께 단일의 충격 흡수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그와 같은 충격력을 완화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단일의 충격 흡수 수단은 스트라이커 핀상의 가동 매스의 충격력하에서 압축 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하나의 블록으로 되어 있다. 노우즈 피스에 대한 스트라이커 핀의 부착은 리테이너에 끼워맞춤되어 스트라이커 핀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통해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이동이 허용되는 한 쌍의 리테이닝 핀에 의해 제한적으로 작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PCT/NZ93/00074호에 개시된 시스템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보다 작은 운반 장치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추가적인 장치상의 충격력 작용의 완화 및/또는 장치 무게의 감소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그와 같은 개선은 또한 마모의 감소 및 관련 유지보수의 요구를 저감시키는 결과로 이어진다.
본 명세서에 인용되고 있는 특허 또는 특허출원을 포함하는 모든 인용자료들은 여기에 참고로 포함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어떠한 인용자료도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는다. 인용자료의 검토는 그 소유권자가 주장하고 있는 바를 진술하는 것일 뿐으로, 본 출원인은 인용문헌의 정확성 및 적절성에 도전할 권리를 가진다. 다수의 종래기술의 공개문헌이 본 명세서에 언급되고 있지만, 이들이 본 명세서에 인용되었다고 해서 언급된 문헌에 개시된 사항이 뉴질랜드 또는 다른 나라에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통된 일반적 지식의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안된다(잘못된 것일 수도 있다)는 것은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포함하다" 라는 용어는 여러 법제하에서 배제 또는 구비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포함하다" 라는 용어는 구비의 의미를 가진다. 즉, 직접적으로 열거되는 구성요소들뿐만 아니라 특정되지 않 은 구성요소들도 구비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이 해석은 또한 "포함되는" 또는 "포함하는"의 용어가 방법 즉 공정의 하나 이상의 단계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거나 적어도 공중에게 유용한 선택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양태 및 장점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주어지는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라, 파쇄 장치로서,
- 하우징;
- 피구동 단부 및 충격 단부를 가진 스트라이커 핀으로서, 상기 충격 단부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돌출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내의 적어도 하나의 유지 위치에 위치가능한 스트라이커 핀;
- 스트라이커 핀의 상기 피구동 단부상에 충격력을 가하는 가동 매스; 및
- 상기 유지 위치에 커플링되는 충격 흡수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충격 흡수기는 제 1 충격 흡수 어셈블리 및 제 2 충격 흡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충격 흡수 어셈블리는 상기 유지 위치와 상기 스트라이커 핀 충격 단부 사이에서 스트라이커 핀 둘레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는 제 1 충격 흡수 어셈블리 내에 적어도 2개의 탄성 층부 및 적어도 1개의 비탄성 층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2 충격 흡수 어셈블리는 상기 유지 위치와 상기 스트라이커 핀 피구동 단부 사이에서 스트라이커 핀 둘레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격 흡수 어셈블리는 하우징 내에 스트라이커 핀 둘레에서 미끄럼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파쇄 장치는 2개 이상의 안내 요소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안내 요소는,
- 하우징의 내벽에 배열되고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배향되며, 상기 안내 요소는 탄성 층부의 외주 둘레에 위치된 상보적인 돌출부 또는 오목부와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 스트라이커 핀의 외부에 배열되고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배향되며, 상기 안내 요소는 탄성 층부의 외주 둘레에 위치된 상보적인 돌출부 또는 오목부와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쇄 장치는 사용시 상기 제 1 충격 흡수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 충격 흡수 어셈블리 양자 모두가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거나 동축인 충격 흡수기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쇄 장치는 상기 유지 위치와 상기 스트라이커 핀 피구동 단부 사이에서 스트라이커 핀 둘레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는 제 2 충격 흡수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라이커 핀은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을 따르거나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위치된 2개의 충격 흡수 어셈블리 사이에 개재되는 리테이너에 의해 하우징 내의 유지 위치에 위치가능하다.
제 1 충격 흡수 어셈블리는 리테이너와 스트라이커 핀 팁 사이에 위치되고, 제 2 충격 흡수 어셈블리는 리테이너와 가동 매스가 충격력을 가하게 되는 측의 스트라이커 핀의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제 2 충격 흡수 어셈블리는, 성공적이지 못한 타격 즉 암석이 파쇄되지 않고 스트라이커 핀의 충격 에너지의 일부가 반동력으로서 반대 방향으로 해머 내로 반동되는 성공적이지 못한 타격에 이어지는 반동시의 스트라이커 핀의 운동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유지 위치"는 충격 작업 중의 사용시에 허용가능한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이동의 정해진 이동 범위 내의 위치를 말한다. 스트라이커 핀은 바람직하게는 가동 매스에 의한 충격력 중의 상당한 크기의 힘이 파쇄 장치의 하우징 및/또는 장착부에 전달됨이 없이 가동 매스에 의한 충격력을 스트라이커 핀을 통해 암석의 가공 표면으로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파쇄 장치 하우징에 대해 이동가능하거나 미끄럼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커플링되다" 라는 용어는 하우징에 대한 상기 이동 범위 내에서의 스트라이커 핀의 유지 위치의 이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격 흡수기에 전달되어 충격 흡수기에 적어도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트라이커 핀은 미끄럼가능한 커플링으로 정해진 이동 범위의 유지 위치에서 파쇄 장치에 부착될 수 있어, 충격 작업시 스트라이커 핀의 소정의 종방향 이동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스트라이커 핀의 피구동 단부에 대해 가장 먼 쪽의 스트라이커 핀의 말단측 이동 한계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라이커 핀의 피구동 단부에 대해 가장 가까운 쪽의 스트라이커 핀의 기단측 이동 한계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테이너는 스트라이커 핀을 에워싸고 있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미끄럼가능한 커플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리테이너 몸체를 관통하고 파쇄 장치 하우징 외부 또는 스트라이커 핀상의 종방향 오목부 내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리테이닝 핀을 포함하고 있다. 종방향 오목부는 바람직하게는 스트라이커 핀상에 위치되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기술의 파쇄기와 같이, 미끄럼가능한 커플링은 스트라이커 핀 또는 스트라이커 핀에 인접한 하우징의 벽(즉, 노우즈 블록)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결합해제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닝 핀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여기서 결합해제가능한 리테이닝 핀은 스트라이커 핀 또는 하우징 벽의 대응하는 만입부 또는 오목부 내로 부분적으로 돌출하여 들어갈 수 있다.
만입부는 일반적으로 리테이닝 핀이 충격 작업시에 만입부의 종방향 양 단부와 맞닿기 전의 양 단부 사이의 허용가능한 스트라이커 핀 이동을 결정하는 거리만큼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스트라이커 핀의 길이와 함께, 만입부의 위치 및 길이, 결합해제가능한 리테이닝 핀의 위치가 스트라이크 핀이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최대 및 최소 길이를 결정한다. 가동 매스로부터 가장 가까운 기단측의 만입부 스톱부에는 스트라이커 핀이 파쇄 장치로부터 낙하하여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 요구되는 한편, 가동 매스로부터 가장 먼 말단측의 만입부 스톱부에는 작업자가 파쇄 장치를 준비 위치에 위치시킬 때에 스트라이커 핀이 하우징 내부로 완전히 밀어 넣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것이 요구된다.
스트라이커 핀은 가동 매스로부터 충격력을 받아 가공 표면으로 전달할 준비가 되어 있고 리테이닝 핀이 가공 표면에 가장 가까운 만입부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을 때 준비 위치에 있다. 이 준비 위치는 스트라이커 핀 팁이 허용하는 한 가공 표면에 가장 가깝게 파쇄 장치 팁을 위치시킨 결과로서 야기되며, 이 준비 위치에서 가공 표면으로부터 가장 먼 상부의 기단측 만입부의 스톱부와의 리테이닝 핀의 맞닿음에 의해 스트라이커 핀의 이동이 제한될 때까지 스트라이커 핀을 하우징 내로 가압할 준비를 한다.
가동 매스가 스트라이커 핀상으로 낙하하면, 스트라이커 핀은 가동 매스에 가장 가까운 측의 만입부의 단부와 맞닿은 리테이닝 핀에 의해 더 이상의 이동이 방지될 때까지 가공 표면으로 가압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탄성 층부 및/또는 상기 비탄성 층부는 환형이고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동심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충격 작업시 리테이닝 핀이 만입부의 최상부 유지 위치 또는 최하부 유지 위치로 가압되어 맞닿을 때는, 남아 있는 스트라이커 핀 모멘트는 탄성 층부를 압축시키는 것으로 충격 흡수 시스템에 전달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탄성 층부는 30 Gpa 미만의 영의 계수를 가진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비탄성 층부는 30 GPa 초과의 영의 계수를 가진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탄성 층부는 50 Gpa 초과의 영의 계수를 가진다. 최적의 영의 계수가 반드시 이들 값에 근접하게 위치해야한다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와 같은 정의가 재료를 탄성 또는 비탄성으로서 분류하기 위한 수량적 경계를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비탄성 층부 및 탄성 층부의 영의 계수는 각각 > 180x109 Nm-2 및 < 3x109 Nm-2이다.
바람직하게는, 비탄성 재료는 스틸 플레이트(일반적으로 200 GPa의 영의 계수를 가지는)나 높은 응력과 압축 하중을 견딜 수 있고 바람직하게 비교적 낮은 마찰력을 나타내는 스틸 플레이트와 유사한 재료로 형성된다. 탄성 재료로서는, 폴리우레탄(대략 0.025x109 Nm-2의 영의 계수를 가지는)이 본 출원에 이상적인 특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어느 정도의 탄성을 나타내는 여러가지 재료에서 선택될 수 있다.
압축 하중의 부하시에, 고무 재료 등은 체적이 감소될 수 있고, 나쁜 열, 탄성, 하중 및/또는 회복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폴리우레탄과 같은 엘라스토머는 기본적으로 비압축성 유동체이고, 따라서 압축 하중의 부하시에 형상(체적이 아닌)을 변경시키는 경향이 있는 동시에, 바람직한 열, 탄성, 하중 및 회복 특성들을 나타낸다. 따라서, 강성의 비탄성 층부의 반대측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측에 구속되는 층부를 엘라스토머로 형성함으로써, 구속되는 층부의 평면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축력은 엘라스토머가 횡방향으로 확장되게 한다. 횡방향 변형량의 정도는 하나의 하중 부하 표면의 면적 대 확장에 자유로운 하중 무부하 표면들의 전체 면적의 비로 주어지는 경험적으로 유도된 "형상 인자"에 따른다.
평행한 비탄성 플레이트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평면인 엘라스토머 층부를 사용하면, 플레이트와 접촉된 엘라스토머 표면이 횡방향으로 확장되게 하여, 유효 하중 지지 면적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게 된다. 폴리우레탄 층부들 사이에 삽입되는 다수의 스틸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충격 흡수 어셈블리가 각각의 폴리우레탄 층부가 압축 하중 부하시에 악효과 없이 대략 30%만큼 횡방향으로 확장되게 해주는 동시에 단일 피스의 탄성 재료로 성취될 수 있는 압축 강도보다 훨씬 큰 압축 강도를 제공하는 효과적인 구성을 제공한다는 것이 판정되었다.
해머 노우즈 하우징 내의 체적은 그 소요가 많기 때문에, 충격 흡수기 층부들과 같은 노우즈 피스 구성요소의 체적 효율을 최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일한 총 부피를 가지는 두꺼운 단일의 층부 대신에 다수의 얇은 층부들을 사용하면 개개의 탄성 층부를 제어가능한 정도로만 변형시키면서 높은 하중 부하 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이 30mm의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져 30% 변형하는 즉 18mm 변형하는 2개의 층부는 18mm 변형하는 60mm의 하나의 층부보다 2배의 하중 지지 용량을 가진다. 이것은 종래기술을 뛰어넘는 중대한 장점을 제공한다. 시험에서, 본 발명은 단일의 탄성 층부를 가진 비교예의 충격 흡수기의 2배의 하중을 견뎌내어, 해머 노우즈 블록의 동일 체적 내의 충격 흡수기에 의해 2배의 충격 하중이 억지될 수 있게 해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변형량의 정도는 탄성 층부의 두께 변화에 정비례하고, 이러한 탄성 층부의 두께 변화는 가동 매스의 감속률에 영향을 미친다. 총 두께 변화가 작으면 작을수록, 감속은 더 격렬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얇은 여러개의 탄성 재료 층부를 사용하면, 가동 매스의 감속률이 해머의 특정 파라미터에 효과적으로 맞추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단일의 탄성 구성요소를 가지고서는 실행할 수 없는 것이다.
하중 부하 표면 조건의 변화는 탄성 층부의 강성도에 중대한 결과적인 변화를 야기한다. 예컨대, 윤활 표면은 횡방향 이동에 대해 사실상 아무런 저항도 제공하지 못하고, 청결한 건조한 하중 부하 표면은 어느 정도의 마찰 저항을 제공하는 반면, 비탄성 재료에 탄성 재료를 결합하면 하중 부하 표면에서의 횡방향 이동을 방해하고 압축 변형률 및 하중 지지 성능을 더 증가시킨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머 하우징 노우즈 피스 내부의 공간 체적은 제한되어 있어, 결론적으로 그 공간 절약은 무게 감소 및/또는 성능 향상으로 귀결되는 더 강하고 더 많은 우수한 구성요소들의 장입을 가능하게 해준다. 예컨대, 본 발명은 해머 노우즈 블록에 있어서 충분한 무게 절감(일반적으로 10-15%)을 가능하게 해 줄 수 있어, 보다 경량의 운반 장치가 운반/작업에 사용될 수 있게 해준다. 36톤의 운반 장치에서 30톤의 운반 장치로 무게 감소가 주어지면, 저감된 작업 및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된 효율에 더하여 대략 NZ$80,000의 구입비 절감을 제공한다. 36톤의 운반 장치를 운반하는 것도 보다 더 실용적인 30톤의 운반 장치와 비교하여 고비용이며 작업자에게 큰 부담이다.
2개의 강성의 평행 플레이트 사이에서 하중 부하하에서 구속되어 있는 엘라스토머와 같은 탄성 층부는 외측으로 변형될 것임을 알 수 있다. 만약 탄성 층부가 횡방향에 있어 스트라이커 핀을 에워싸고 있는 대략 환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면, 탄성 재료는 또한 개구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도 변형할 것이다. 이러한 양쪽 횡방향으로의 동시적인 이동은 충격 흡수 어셈블리가 성공적으로 기능하기 위한 세심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탄성 플레이트와 비탄성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전체 충격 흡수 어셈블리가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거나 동축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을 것과 탄성 층부가 하우징의 벽 및/또는 스트라이커 핀과 맞닿는 일 없이 횡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을 것을 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 어셈블리는 하우징 내에 스트라이커 핀 둘레에서 미끄럼가능하게 유지되고, 하우징은 하우징의 내벽에 배열되고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배향된 2개 이상의 안내 요소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안내 요소는 탄성 층부의 외주 둘레에 위치된 상보적인 형상의 돌출부와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당업자라면 하나의 변경된 실시형태로 안내 요소가 스트라이커 핀의 외부상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탄성 층부의 외주부가 오목부를 구비하고 이 오목부에 돌출형 안내 요소가 미끄럼 결합되는 반대 형태도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보적인 형상의 길다란 안내 요소 홈 내에서 미끄럼운동하는 대략 둥근형상 또는 곡선형 팁을 가진 삼각형상이다. 충격력을 흡수함으로써 생기는 종방향 이동시에 탄성 층부를 위치조절하는 즉 "중심맞춤"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며, 그 이유는 그렇게 함으로써 탄성 층부의 변위/변형된 부분이 하우징 및/또는 스트라이커 핀 벽과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압축 사이클 중에, 탄성 층부의 가장자리부는 치수와 형상에 있어 큰 변화를 겪게 된다. 가장자리부에서의 급격한 기하학적 불연속 지점은 점진적인 불연속 지점보다 훨씬 높은 응력을 받게 되며, 따라서 탄성 층부는 높은 응력 집중과 그에 따른 파손을 방생시키는 뾰족한 반경부분, 작은 구멍들, 얇은 돌출부가 없는 매끄러운 환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엘라스토머 층부에 작은 안정화 형상부를 직접적으로 형성하는 것은 배제된다. 또한, 탄성 층부의 돌출부는 급속하게 마모되거나 만약 안내 요소가 강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면 찢어질 것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안내 요소는 반강성이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재료로 형성된다.
변형적으로, 큰 안정화 형상부를 형성하더라도, 큰 안정화 형상부는 충격 흡수 어셈블리를 벗어나는 지점을 따라 파손될 것이다. 따라서, 안내 요소는 충격 흡수 어셈블리와 별개로 형성되어야만 한다.
폴리우레탄과 같은 엘라스토머가 강성 표면에 의해 국지적으로 구속되면(즉, 특정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 방지되면), 그 국지 지점에서 비압축성이 되고, 가해지는 압축력에 의해 생기는 강한 자체 발생열에 의해 급속히 파괴된다. 따라서, 탄성 층부는 압축 사이클 과정에 걸쳐 항상 자유 확장할 수 있거나 적어도 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어야만 한다. 이는 탄성 층부의 횡방향 치수를 과도하게 작게 제한하는 것에 의해 간단히 성취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접근 방법은 해머 노우즈부 내의 가용한 단면적을 충격을 흡수하는 데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만들지 못한다. 따라서, 탄성 층부의 무결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가용한 횡단면적의 활용도를 최대화하는 것이 유리하다. 안내 요소의 편입은 그와 같은 효율성을 성취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탄성 층부가 스트라이커 핀을 향해 내측으로 확장되기도 하지만, 하중이 부하된 충격 흡수 어셈블리와 스트라이커 핀은 종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탄성 층부의 스트라이커 핀과의 접촉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내 요소는 탄성 층부보다 더 큰 탄성의 재료로 형성된다. 그 결과, 탄성 층부는 압축하의 사용시에 횡방향으로 확장되고 돌출부가 이동하여 안내 요소와 증가된 접촉력으로 접촉하게 되어, 2가지 다른 유형의 상호작용 메커니즘이 발생한다. 초기에는, 돌출부는, 안내 요소가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탄성 층부와 함께 이동하기 시작하는 시점에 접촉 압력이 도달할 때까지,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미끄럼 이동한다. 따라서, 안내 요소는 탄성 층부의 돌출부에 대해 최소한의 마모성 이동 저항을 제공한다. 또한, 탄성 층부의 돌출부에 비해 더 증대된 안내 요소의 연성은, 돌출부가 국지적으로 비압축성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더하여, 마모 효과가 안내 요소에 우세하게 나타나도록 만든다. 이는 안내 요소는 충격 흡수 어셈블리를 제거하거나 분해할 필요 없이 쉽게 교체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유지보수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충격 흡수기는 안내 요소 없이 작동할 수 있겠지만, 각각의 탄성 층부에 하우징 및/또는 스트라이커 핀 벽과의 간섭 없이 최대한의 지지 표면을 편입시키기 위한 가용 체적을 최대화시키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 요소를 편입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라, 돌출부는 돌출부 정점부에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부는 탄성 층부의 평면 내에 기하학적 회전 축선을 구비하여 배향된 부분 원통형 단면을 가지고 형성된다. 압축 하중 부하하에서는, 탄성 층부의 중심이 가장 크게 외측으로 변위된다. 돌출부 정점부에서 재료를 제거하여 이루어진 오목부 즉 "움푹 파인 부분"은 돌출부의 중심이 탄성 층부의 외주부의 범위를 넘어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탄성 층부가 외측으로 확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하우징"이란 용어는 스트라이커 핀을 위치시켜 고정하는 데 사용되고, 외측 케이싱 즉 보호 커버, 스트라이커 핀이 관통하여 돌출하는 노우즈 블록부, 및/또는 기타 스트라이커 핀에 접촉시키도록 가동 매스를 작동 및/또는 안내하기 위해 상기 보호 커버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되는 부속 끼워맞춤부 및 기구 등을 구비하는 파쇄 장치의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지만, 그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트라이커 핀"이란 용어는 운동 에너지를 암석 또는 가공 표면으로 전달하기 위한 매체로서 기능하는 요소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라이커 핀은 2개의 단부, 즉 가동 매스에 의한 충돌에 의해 제공되는 추진력에 의해 구동되는 피구동 단부가 되는 하나의 단부(일반적으로 하우징 내부에 위치)와, 충격이 가해질 가공 표면상에 재치되는 충격 단부가 되는 다른 하나의 단부(하우징 외부에 위치)를 구비한 길다란 요소로 이루어진다. 스트라이커 핀은 임의 적합한 형상 또는 치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파쇄 장치를 암석 파쇄 장치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다른 파쇄 장치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 매스는 상승된 후 스트라이커 핀의 피구동 단부에 충격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해 중력하에 낙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예컨대 유압식 해머와 같은 동력식 해머의 형태를 기진 파쇄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저한 결함 없이 제작 및 작업 비용을 포함하여 종래기술을 뛰어 넘는 충격 장치의 충격 흡수에 있어서의 향상 및 작업 효율의 향상이라는 하나 이상의 장점들의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쇄 장치 작업의 특정 구속조건 및 요구조건에 따라 충격 흡수 어셈블리 내에 편입되는 탄성(및 비탄성) 층부의 개수 및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파쇄 장치의 충격 흡수 특성을 용이하게 최적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아래에 간단히 설명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하나의 예시로서 주어지는 하기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암석 파쇄 장치용 노우즈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노우즈 어셈블리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2에 도시된 노우즈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4B는 유효 타격(effective strike) 전후의 파쇄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A-5B는 오타격(mis-hit) 전후의 파쇄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A-6B는 무효 타격(ineffective strike) 전후의 파쇄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1-3에 하우징(3) 내에서 선형 이동하도록 구속된 가동 매스(2)를 구비한 암석 파쇄 해머(1)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스트라이커 핀(4)이 하우징(3)을 관통하여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하우징의 노우즈부(5) 내에 위치되어 있다. 스트라이커 핀(4)은 2개의 단부 즉 가동 매스(2)에 의해 충격력을 받는 피구동 단부와 작업이 행해지는 암석 표면과 접촉하도록 하우징을 관통하여 돌출한 충격 단부를 구비한 길다란 대략 원통형의 매스(mass)이다. 하우징(3)은 대략 길다란 형상으로 부착 커플링(6)(하우징(3)의 한쪽 단부에서 노우즈부(5)에 부착됨)을 구비하고 있고, 파쇄 장치(1)를 트랙터 굴착기 등과 같은 운반 장치(도시 생략)에 부착하는 데 이용된다.
파쇄 장치(1)는 또한 노우즈부(5) 내에 스트라이커 핀(4)을 횡방향으로 에워싸고 있고 리코일 플레이트(8) 형태의 리테이너에 의해 개재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충격 흡수 어셈블리(7a, 7b) 형태의 충격 흡수기를 포함하고 있다.
충격 흡수 어셈블리(7a, 7b)와 리코일 플레이트(8)는, 해머의 말단부에 위치되고 스트라이커 핀(4)이 관통하여 돌출하게 되어 있는 하우징의 노우즈 콘(11) 부분에 종방향 볼트(10)에 의해 고정되는 상부 캡 플레이트(9)에 의해, 스트라이커 핀(4) 둘레에 적층부로서 함께 유지된다.
도 3에서 보다 명확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충격 흡수 어셈블리(7a, 7b) 의 각각은 복수의 개별 층부들로 이루어져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충격 흡수 어셈블리(7a, 7b)의 각각은 개구형 스틸 플레이트(13) 형태의 비탄성 플레이트에 의해 분리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환형 링(12) 형태의 2개의 탄성 층부로 이루어져 있다. 충격 흡수 어셈블리(7a, 7b)는 캡 플레이트(9)와 노우즈 콘(11) 사이에서 밀접한 끼워맞춤으로 유지된다. 충격 흡수 어셈블리(7a, 7b)는 캡 플레이트(9)와 노우즈 콘(11) 사이에서 밀접한 끼워맞춤으로 유지되지 않으면, 충격 흡수 어셈블리(7a, 7b)는 스트라이커 핀(4)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고 스트라이커 핀(4)의 종방향 축선에 동축방향인 종방향 이동이 구속되지 않는다. 2개의 리테이닝 핀(14)은 리코일 플레이트(8)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일부분이 스트라이커 핀(4)에 형성된 만입부(15) 내로 돌출하여 들어간다.
각각의 충격 흡수 어셈블리 (7a, 7b) 내의 폴리우레탄 링(12)은 하우징(3)의 내벽에 위치된 안내 요소(16)에 의해 스트라이커 핀 종방향 축선에 수직인 상태로 유지된다.
각각의 폴리우레탄 링(12)은 폴리우레탄 링(12)의 평면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뻗은 작은 둥근형상의 돌출부(17)를 구비하고 있다. 안내 요소(16)는, 충격 흡수 어셈블리(7a, 7b)가 횡방향 정렬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해주도록, 상기 돌출부(17)에 상보적인 프로파일 형상의 길다란 홈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는 폴리우레탄 링(12)이 하우징(3)의 내벽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면서 즉 링(12)을 스트라이커 핀(4)에 대해 동축으로 중심맞춤된 상태로 유지시켜 폴리우레탄 링(12)에 마멸성 및 과열성 손상이 초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링(12)이 횡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안내 요소(16)는 전체적으로 길다랗고 탄성 층부(12)와 유사한 탄성 재료 즉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안내 요소(16)는 보다 더 연한 탄성 재료 즉 더 낮은 탄성계수를 가진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다음의 2가지 중요한 장점을 제공한다.
1. 더 연한 안내 요소는 폴리우레탄 환형 링(12)보다 더 쉽게 마모된다. 그 결과, 안내 요소(16)는 마모되었을 때 더 쉽게 교체될 수 있는 것이고, 환형 링(12)을 교체하기 위해 충격 흡수 어셈블리(7a, 7b)를 제거하고 분해할 필요를 없애기 때문에, 유지보수 비용이 저감된다.
2. 안내 요소(16)는 하중이 가해졌을 때 환형 링(12)의 횡방향 확장에 대해 사실상 저항을 제공하지 않아서, 고장이 원인이 되는 돌출부(17)가 국지적으로 압 축 불가능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충격 흡수 과정 동안에는, 엘라스토머 링(12)이 횡방향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돌출부(17)는 압력이 안내 요소(16)가 폴리우레탄 링(12)과 함께 스트라이커 핀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이동하기 시작하는 시점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외측으로 가압되어 안내 요소(16)와의 접촉력이 증가된다.
도 1에 가장 명확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각의 돌출부(17)는 돌출부 정점부에 오목부(19)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오목부(19)는 탄성 층부(12)의 평면 내에 기하학적 회전 축선을 구비하여 배향된 부분 원통형 단면을 가지고 있다. 압축 하중 부하하에서는, 탄성 층부(12)의 중심은 횡방향 외측으로 크게 변위된다. 오목부(19)는 돌출부(17)의 중심이 돌출부(17)의 외주 범위를 넘어서 팽창하게 하는 일 없이 탄성 층부(12)가 외측으로 확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도 4A-4B, 5A-5B 및 6A-6B는 유효 타격, 오타격 및 무효 타격을 행하는 암석 파쇄 해머(1) 형태의 파쇄 장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4A, 5A, 6A는 가동 매스(2)가 스트라이커 핀(4)에 충격력을 가하기 전이고 도 4B, 5B, 6B는 가동 매스(2)가 스트라이커 핀(4)에 충격력을 가한 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사용에 있어서는, 스트라이커 핀(4)의 하부 팁은 암석(18)상에 재치되고, 해머(1)는 리테이닝 핀(14)이 만입부(15)의 하부 스톱부에 맞닿을 때까지 강하한다. 이 때를 "준비" 위치라 한다. 그런 다음, 가동 매스(2)는 하우징(3) 내부의 스트라이커 핀의 상단부 위로 낙하하는 것이 허용되고 그 결과의 힘이 스트라이커 핀(4)을 통해 암석(18)에 전달된다. 이 충 격력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석(18)의 성공적인 파쇄를 낳게 되고, 가동 매스(2)로부터의 충격 에너지의 사실상 전부가 소산되어 거의 남아 있지 않을 것이지만, 만약 소산되지 않고 일부가 남아 있다면, 그 남은 힘은 충격 흡수 어셈블리(7a, 7b)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흡수될 것이 요구된다.
도 5A-5B는 스트라이커 핀(4)이 암석(18)에 충돌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스트라이커 핀(4)의 암석(18)에 의한 구속 없이 가동 매스(2)가 스트라이커 핀(4)만에 충격력을 주게 되는 등의 "오타격" 즉 "헛타격"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가동 매스(2)의 충격 에너지의 전부 또는 대부분은 해머(1)에 전달된다. 스트라이커 핀(4)에 충격력을 가하는 가동 매스(2)의 하향력은 리테이닝 핀(14)과 접촉하고 있는 만입부(15)의 상단부를 가압하고, 결과적으로 리코일 플레이트(8)와 노우즈 콘(11) 사이의 하부 충격 흡수 어셈블리(7a)에 하향력을 가한다. 이에 의한 압축력은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폴리우레탄 링(12)을 스트라이커 핀 종방향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인 횡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스틸 플레이트(13)는 폴리우레탄 링(12)들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마모를 회피시키면서, 또한 단일의 탄성 부재를 사용했을 때와 비교하여 충격 흡수 어셈블리(7a) 내의 모든 탄성의 폴리우레탄 링(12)의 충격 흡수 결합 용량을 최대화시킨다.
연속된 충격 작업전에 작업자에 의해 냉각 기간이 주어진다면, 수차례의 "헛타격"이 연속된다 하더라도 폴리우레탄 링(12)에 대한 영구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지만, "헛타격"에서는 상당한 정도의 열이 발생된다. 헛타격에서는 폴리우레탄 링(12)의 변형은 가해지는 힘 방향 두께 변화가 50%까지 증가할 수도 있지만, 폴리우레탄 링(12)의 변형은 가해지는 힘 방향 두께 변화가 30% 미만으로 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도 6A-6B는 스트라이커 핀(4)상의 가동 매스(2)의 충격력이 암석을 파쇄하기에는 불충분하여, 스트라이커 핀(4)이 왕복 경로상에서 하우징(3) 내로 반동(되튐)하는 것을 야기하게 되는 무효 타격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 반동은 리테이닝 핀(14)이 스트라이커 핀 만입부(15)의 하단부와 접촉하도록 가압한다. 그 결과, 상향력이 리코일 플레이트(8)를 통해 상부 충격 흡수 어셈블리(7b)에 전달되어, 가해지는 힘을 흡수하는 동안 탄성의 폴리우레탄 링(12)이 횡방향으로 변형되게 한다. 따라서, 충격 흡수 어셈블리(7b)는 해머(1) 및/또는 운반 장치(도시 생략)에 대한 반동력의 악효과를 완화시킨다.
본 발명을 실시예의 예시에 의해 설명하였지만, 그에 대한 수정 및 부가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0)

  1. 파쇄 장치로서,
    - 하우징;
    - 피구동 단부 및 충격 단부를 가진 스트라이커 핀으로서, 상기 충격 단부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돌출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내의 적어도 하나의 유지 위치에 위치가능한 스트라이커 핀;
    - 스트라이커 핀의 상기 피구동 단부상에 충격력을 가하는 가동 매스; 및
    - 상기 유지 위치에 커플링되는 충격 흡수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충격 흡수기는 제 1 충격 흡수 어셈블리 및 제 2 충격 흡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충격 흡수 어셈블리는 적어도 2개의 탄성 층부 및 적어도 1개의 비탄성 층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충격 흡수 어셈블리는 상기 유지 위치와 상기 스트라이커 핀 충격 단부 사이에서 스트라이커 핀 둘레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충격 흡수 어셈블리는 상기 유지 위치와 상기 스트라이커 핀 피구동 단부 사이에서 스트라이커 핀 둘레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격 흡수 어셈블리는 하우징 내에 스트라이커 핀 둘레에서 미끄럼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파쇄 장치는 2개 이상의 안내 요소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안내 요소는,
    - 하우징의 내벽에 배열되고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배향되며, 상기 안내 요소는 탄성 층부의 외주 둘레에 위치된 상보적인 돌출부 또는 오목부와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 스트라이커 핀의 외부에 배열되고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배향되며, 상기 안내 요소는 탄성 층부의 외주 둘레에 위치된 상보적인 돌출부 또는 오목부와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쇄 장치는 사용시;
    상기 제 1 충격 흡수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 충격 흡수 어셈블리 양자 모두가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거나 동축인 충격 흡수기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충격 흡수 어셈블리는 적어도 2개의 탄성 층부 및 적어도 1개의 비탄성 층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스트라이커 핀은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을 따르거나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위치된 상기 제 1 충격 흡수 어셈블리와 상기 제 2 충격 흡수 어셈블리 사이에 개재되는 리테이너에 의해 하우징 내의 유지 위치에 위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스트라이커 핀은 미끄럼가능한 커플링으로 유지 위치에서 파쇄 장치에 부착되어, 충격 작업시 스트라이커 핀의 소정의 종방향 이동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피구동 단부에 대해 가장 먼 쪽의 스트라이커 핀의 말단측 이동 한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핀을 상기 미끄럼가능한 커플링으로 유지 위치에서 파쇄 장치에 부착하는 것은 또한 상기 피구동 단부에 대해 가장 가까운 쪽의 스트라이커 핀의 기단측 이동 한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스트라이커 핀을 대체로 에워싸고 있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미끄럼가능한 커플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리테이너 몸체를 관통하고 파쇄 장치 하우징 외부 또는 스트라이커 핀상의 종방향 오목부 내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리테이닝 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탄성 층부는 스트라이커 핀 종방향 축선 둘레에서 대체로 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비탄성 층부는 스트라이커 핀 종방향 축선 둘레에서 대체로 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 어셈블리는 하우징 내에 스트라이커 핀 둘레에서 미끄럼가능하게 유지되고, 하우징은 스트라이커 핀의 외부에 위치되고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배향된 2개 이상의 안내 요소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안내 요소는 탄성 층부의 외주 둘레에 위치된 상보적인 형상의 돌출부와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 어셈블리는 하우징 내에 스트라이커 핀 둘레에서 미끄럼가능하게 유지되고, 하우징은 하우징의 내벽에 배열되고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배향된 2개 이상의 안내 요소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안내 요소는 탄성 층부의 외주 둘레에 위치된 상보적인 형상의 오목부와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 어셈블리는 하우징 내에 스트라이커 핀 둘레에서 미끄럼가능하게 유지되고, 하우징은 스트라이커 핀의 외부에 위치되고 스트라이커 핀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배향된 2개 이상의 안내 요소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안내 요소는 탄성 층부의 외주 둘레에 위치된 상보적인 형상의 오목부와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보적인 형상의 길다란 안내 요소 홈 내에서 미끄럼운동하는 대략 둥근형상 또는 곡선형 팁을 가진 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는 반강성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는 각각의 상기 충격 흡수 어셈블리와 별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는 탄성 층부보다 더 큰 탄성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돌출부는 돌출부 정점부에 대체로 오목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탄성 층부의 평면 내에 기하학적 회전 축선을 구비하여 배향된 부분 원통형 단면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97014074A 2006-12-07 2007-12-03 파쇄 장치 충격 흡수 시스템 KR101458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Z551876A NZ551876A (en) 2006-12-07 2006-12-07 Breaking machine shock absorbing system
NZ551876 2006-12-07
PCT/NZ2007/000353 WO2008069685A1 (en) 2006-12-07 2007-12-03 Breaking machine shock absorb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456A KR20090101456A (ko) 2009-09-28
KR101458541B1 true KR101458541B1 (ko) 2014-11-07

Family

ID=3949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074A KR101458541B1 (ko) 2006-12-07 2007-12-03 파쇄 장치 충격 흡수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81716B2 (ko)
EP (1) EP2091694B1 (ko)
JP (1) JP5160558B2 (ko)
KR (1) KR101458541B1 (ko)
CN (1) CN101600543B (ko)
AU (1) AU2007328547B2 (ko)
NZ (1) NZ551876A (ko)
WO (1) WO2008069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96658B1 (en) * 2005-05-16 2017-09-13 Terminator IP SA Improved hammer mounting
US9278443B2 (en) * 2006-12-07 2016-03-08 Terminator Ip Limited Breaking machine shock absorbing apparatus
DE102008010100A1 (de) * 2008-02-20 2009-08-27 Robert Bosch Gmbh Handwerkzeugmaschine
CN102439256B (zh) * 2009-05-25 2014-07-02 李宁锡 液压破碎机
US8708061B2 (en) * 2010-12-14 2014-04-29 Caterpillar Inc. Lower damper for demolition hammer
KR200456268Y1 (ko) 2011-02-10 2011-10-20 룡정주식회사 해머드릴의 프론트커버 고정구조
SE537773C2 (sv) * 2012-02-17 2015-10-13 Tools Pc Ab Const Slaganordning innehållande en rekyldämpare
WO2014013466A2 (en) * 2012-07-18 2014-01-23 Terminator Ip S.A. Cushioning slides
AT513442A1 (de) * 2012-10-10 2014-04-15 Fill Gmbh Rüttelhammer mit Rückschlagdämpfung
WO2014160190A1 (en) * 2013-03-14 2014-10-02 Robert Bosch Gmbh Power hand tool with vibration isolation
KR101644616B1 (ko) * 2014-06-23 2016-08-01 조붕구 브레이커의 프론트 헤드 보호용 충격 흡수 장치
US20180180128A1 (en) * 2015-06-29 2018-06-28 Terminator Ip Limited Shock absorbing tool connection
CN108291380A (zh) * 2015-10-05 2018-07-17 安格斯·罗伯森 往复式冲击锤
US11613869B2 (en) * 2015-10-05 2023-03-28 Terminator Ip Limited Reciprocating impact hammer
GB2548579B (en) * 2016-03-21 2019-06-26 Webster Tech Limited A power tool comprising a tool carrier for mounting an impact tool
WO2017199823A1 (ja) * 2016-05-18 2017-11-23 株式会社マキタ 打撃工具
US10538892B2 (en) * 2016-06-30 2020-01-21 American Piledriving Equipment, Inc. Hydraulic impact hammer systems and methods
EP3548669A1 (en) * 2016-11-30 2019-10-09 Junttan OY Lower cushion of a pile driving rig
CN107060764A (zh) * 2017-03-28 2017-08-18 广东力源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改进结构的锤击式破碎机及破碎方法
GB2616915A (en) * 2022-03-26 2023-09-27 Webster Tech Limited Power too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8792A (en) * 1990-05-25 1991-05-28 Caterpillar Inc. Impact ripper apparatus with linear reciprocating ram
US5407018A (en) * 1994-01-10 1995-04-18 Tc Services Pneumatic impact tool having improved vibration and noise attenuation
KR950702896A (ko) * 1992-08-31 1995-08-23 앤거스 롭슨 코형상 블럭 어셈블리(nose block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0100A (en) * 1915-03-29 1917-03-20 Charles H Haeseler Fluid-pressure hammer.
US1690571A (en) * 1923-11-24 1928-11-06 Donaldson John Shearman Tool and tool retainer
US1896992A (en) * 1930-02-06 1933-02-07 Agren Ernst Malcus Arrangement in striking tools
US2308143A (en) * 1941-12-03 1943-01-12 Chicago Pneumatic Tool Co Snubber for tamper bars
GB589219A (en) * 1945-03-20 1947-06-13 James Christopher Fitzmauric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vices for laterally supporting elongated members while under longitudinal compressive stress
US2609813A (en) * 1946-08-15 1952-09-09 Chicago Pneumatic Tool Co Gas hammer
US3301009A (en) * 1965-02-02 1967-01-31 Rotary shock absorbing sub unit
DE1603852C3 (de) * 1968-01-29 1975-12-04 Hilti Ag, Schaan (Liechtenstein) Abfangvorrichtung für den Eintreibkolben eines pulverkraftbetriebenen Bolzensetzgerätes
US3783970A (en) * 1972-06-07 1974-01-08 Thor Power Tool Co Sound attenuating device for a work steel or the like
US4211290A (en) 1974-07-11 1980-07-08 Clifford Anderson Drilling string shock-absorbing tool
JPS5623021Y2 (ko) * 1975-01-21 1981-05-29
DE2844109A1 (de) * 1978-10-10 1980-04-24 Bosch Gmbh Robert Handwerkzeugmaschine, insbesondere bohr- und/oder schlaghammer
NL189974C (nl) * 1980-04-08 1993-09-16 Rotterdamsche Droogdok Mij Heiblok.
SE444401B (sv) * 1983-01-24 1986-04-14 Atlas Copco Ab Energiabsorberande inspenningsenhet for slagverktyg
JPS6062594U (ja) * 1983-09-30 1985-05-01 日立建機株式会社 緩衝装置
US4924948A (en) * 1988-11-15 1990-05-15 Sandvik Rock Tools, Inc. Shock absorbing bit retaining ring
RU1812094C (ru) * 1989-08-24 1993-04-30 Московское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По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му Строительному Инструменту И Отделочным Машинам Машина ударного действи
FI91944C (fi) * 1991-07-09 1994-09-12 Bretec Oy Hydraulinen iskuvasara
JP3177535B2 (ja) * 1992-03-16 2001-06-18 日本ニューマチック工業株式会社 衝撃動工具の支持装置
US5573075A (en) * 1995-07-05 1996-11-12 T.C. Service Company Pneumatic impact tool having improved vibration and noise attenuation
DE19800847A1 (de) * 1997-12-04 1999-06-17 Gerd Dr Ing Kellner Gerät zum Setzen eines Befestigungselementes in einen Setzuntergrund und Verwendung des Gerätes
DE19755730A1 (de) * 1997-12-15 1999-06-17 Hilti Ag Bolzensetzgerät
US6135214A (en) * 1999-01-11 2000-10-24 International Construction Equipment, Inc. Impact absorbing fluid operated hammer
DE20014712U1 (de) * 2000-08-25 2000-10-19 Moers Wolfgang Hydraulikhammer
DE10105881B4 (de) * 2001-02-09 2004-01-15 Hilti Ag Kolbenhalterung
GB2401570B (en) * 2003-05-12 2006-07-05 Black & Decker Inc Spindle assembly for hammer drill
JP4559156B2 (ja) * 2004-08-18 2010-10-06 株式会社東洋空機製作所 ブレーカ取付用ブラケット
EP1733850A1 (en) * 2005-06-15 2006-12-20 Caterpillar, Inc. Shock absorber for the holding assembly of a reciprocating tool
US7614464B2 (en) * 2007-09-26 2009-11-10 Doofor Oy Rock drill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8792A (en) * 1990-05-25 1991-05-28 Caterpillar Inc. Impact ripper apparatus with linear reciprocating ram
KR950702896A (ko) * 1992-08-31 1995-08-23 앤거스 롭슨 코형상 블럭 어셈블리(nose block assembly)
JPH08503169A (ja) * 1992-08-31 1996-04-09 ロックテック・リミテッド ノーズブロックアセンブリ
US5407018A (en) * 1994-01-10 1995-04-18 Tc Services Pneumatic impact tool having improved vibration and noise atte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328547B2 (en) 2014-02-13
JP5160558B2 (ja) 2013-03-13
KR20090101456A (ko) 2009-09-28
AU2007328547A1 (en) 2008-06-12
EP2091694A4 (en) 2013-05-01
NZ551876A (en) 2009-06-26
CN101600543A (zh) 2009-12-09
US8181716B2 (en) 2012-05-22
US20100126746A1 (en) 2010-05-27
EP2091694A1 (en) 2009-08-26
EP2091694B1 (en) 2017-03-01
CN101600543B (zh) 2013-11-13
WO2008069685A1 (en) 2008-06-12
JP2010511819A (ja)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541B1 (ko) 파쇄 장치 충격 흡수 시스템
US9278443B2 (en) Breaking machine shock absorbing apparatus
KR102591330B1 (ko) 왕복 운동 임팩트 해머
JP2019500227A5 (ko)
US9821447B2 (en) Cushioning slides
KR20130126637A (ko) 파쇄해머용 하부 댐퍼
CN102061888B (zh) 抗冲击螺杆钻具
KR102266336B1 (ko) 유압 브레이커용 치즐
US20230279637A1 (en) Reciprocating impact hammer
US20090096275A1 (en) Isolator plate assembly for rock breaking device
JP2002192482A (ja) 破砕装置および工具
US20180180128A1 (en) Shock absorbing tool connection
US6257352B1 (en) Rock breaking device
KR101270866B1 (ko) 브레이커용 방진장치
KR100501735B1 (ko) 유압브레이커의 방진장치
KR100910796B1 (ko) 브레이커의 방진장치
CN219865017U (zh) 一种集束冲击式tbm刀盘
KR101311183B1 (ko) 브레이커용 로드핀
KR102242995B1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GB2616915A (en) Power tool
CN104204562A (zh) 联轴接头
JP2004188549A (ja) 固着具打込装置の緩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