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420B1 - 전자 장치 및 이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420B1
KR101458420B1 KR1020080047555A KR20080047555A KR101458420B1 KR 101458420 B1 KR101458420 B1 KR 101458420B1 KR 1020080047555 A KR1020080047555 A KR 1020080047555A KR 20080047555 A KR20080047555 A KR 20080047555A KR 101458420 B1 KR101458420 B1 KR 101458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vement
mode
click
cli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582A (ko
Inventor
장상권
박영준
배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80047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420B1/ko
Priority to TW098113882A priority patent/TWI497352B/zh
Priority to PCT/KR2009/002184 priority patent/WO2009134040A2/en
Publication of KR20090121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이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조작을 통해 이동하는 작동 부재와, 상기 작동 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는 돔 스위치를 갖는 전자 장치에서 상기 작동 부재의 이동에 따른 센싱 신호와 상기 돔 스위치의 클릭에 따른 클릭 신호 또는 더블 클릭 신호를 인가받는 단계와, 다양한 동작 모드중 하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자석, 자기 센서, 센싱 신호, 클릭 신호, 모드 선택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gram of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이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2차원 평면을 이동하는 자기 센서를 이용한 입력 수단을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전자장치들은 점점 더 소형화되어 가고, 다양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수행되도록 발전되어 왔다. 그 일 예로,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 근래에는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사진, 그림 또는 지도와 같은 이미지 편집 기능까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전자 장치에서 활성화된 프로그램들의 제어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되었다. 즉, 종래의 전자 장치의 입력 수단으로 마우스, 터치 패드, 클릭 버튼 및 클릭 패드 등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마우스나 터치 패드의 경우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소형화된 전자 장치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다수의 클릭 버튼을 두고 각 클릭 버튼을 누를때 마다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화하여 활성화된 프로그램을 제어하였다. 프로그램의 제어와 모드 변경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클릭 버튼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의 이동 및 확대 모드 변경을 위한 하나의 클릭 버튼과 이미지의 상하좌우 이동과, 확대 및 축소를 위해서는 적어도 4개의 클릭 버튼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클릭 버튼의 증대로 인해 제작 단가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클릭 버튼으로 돔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 돔 스위치를 실장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크기를 일정 사이즈 이상 줄이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2차원 평면 내에서 회전 또는 상하 좌우로 이동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입력 수단에서 상기 센서 이동에 따라 출력되는 센서 이동 신호를 이용하여 모드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활성화된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어 전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이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작을 통해 이동하는 작동 부재와, 상기 작동 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는 돔 스위치를 갖는 전자 장치에서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의 이동에 따른 센싱 신호와 상기 돔 스위치의 클릭에 따른 클릭 신호 또는 더블 클릭 신호를 인가받는 단계와, 다양한 동작 모드중 하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동작 모드 결정은 상기 클릭 신호 또는 더블 클릭 신호의 인가 유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릭 신호와 더블 클릭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제 1 동작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클릭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제 2 동작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더블 클릭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제 3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의 경우,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복수의 제 1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동작 모드의 경우,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복수의 제 2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3 동작 모드의 경우,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복수의 제 3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작을 통해 이동하는 작동 부재와, 상기 작동 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는 돔 스위치와, 상기 작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갖는 전자 장치에서 그 화면상에 표시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프로그램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돔 스위치의 출력에 따라 이동 모드와, 확대 및 축소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이동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확대 및 축소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고, 상기 돔 스위치의 출력 유무에 따라 상기 확대 및 축소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돔 스위치의 출력이 없는 경우에는 이동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돔 스위치가 클릭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확대 및 축소 모드를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이동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작동 부재의 이동 영역을 복수개의 구간으로 정의하고, 상기 작동 부재가 위치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작동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확대 및 축소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작동 부재의 이동 영역을 두개의 구간으로 정의하고, 상기 작동 부재가 위치하는 구간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돔 스위치의 출력에 따라 메뉴 생성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메뉴 생성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메뉴를 생성하고,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메뉴 중 하나의 메뉴를 활성화시킨 이후, 상기 돔 스위치의 출력 유무에 따라 상기 활성화된 메뉴를 수행한 이후 메뉴 생성 모드를 종료하거나 상기 활성화된 메뉴를 수행하지 않고 메뉴 생성 모드를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돔 스위치가 더블 클릭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메뉴 생성 모드를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이동 제어 신호에 따라 현재 실행된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과, 돔 스위치의 클릭 신호 및 더블 클릭 신호와, 상기 돔 스위치 상측에 위치하고 이동하는 자석부의 움직임에 따른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포인팅 제어 수단 및 상기 클릭 신호 및 더블 클릭 신호의 인가 유무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동작 모드 결정 이후 인가된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각기 다른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포인터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클릭 신호 및 더블 클릭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이동 모드가 수행 되고, 이동 모드 수행시,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이동시키고, 상기 클릭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확대 및 축소 모드가 수행되고,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고, 상기 클릭 신호 및 더블 클릭 신호의 출력 유무에 따라 상기 확대 및 축소 모드를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돔 스위치와, 이동하는 자석과 이의 자장을 센싱하는 센서를 통해 동작 모드를 선택하고, 동작 모드에 따라 각기 입력되는 센싱 신호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돔 스위치의 사용을 줄이고, 자석과 센서를 소형화하여 전자 장치의 입력부를 소형화 및 슬림화할 수 있고, 전자 장치의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제어 수단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포인팅 제어 수단의 평면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포인터(100)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300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센싱 신호와 기타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1000)와,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실행된 프로그램을 제어하고, 화면 표시를 위한 신호를 표시부(3000)에 제공하는 본체부(2000)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부(1000), 본체부(2000) 및 표시부(3000)를 수납하는 케이스(4000)와, 상기 각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상술한 표시부(3000)는 본체부(2000)에서 제공된 화상 신호를 이용하여 화면내에 화상을 표시한다. 즉, 표시부(3000)는 본체부(2000)에서 실행된(즉, 활성화된) 프로그램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지도 검색(즉, 이미지 편집)을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된 화면을 나타내었다. 물론 표시부(300)는 화면 내에 포인터를 표시하고, 본체부(2000)의 포인터 이동 제어 신호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3000)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CRT(Cathode-Ray Tube)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입력부(100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한 제어 신호를 본체부(2000)에 제공한다. 이러한 입력부(10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조작에 따른 센서의 움직임 신호인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포인팅 제어 수단(1100)을 구비한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 조작에 따른 키 또는 버튼 신호를 출력하는 키 또는 버튼 제어 수단(12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본체부(20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팅 제어 수단(1100)의 복수의 센싱 신호와 클릭 신호를 인가받아 센서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이동 제어 신호와 제어 클릭 신호를 생성하는 포인터 제어 모듈(2100)과, 다양한 정보(영상, 구동, 제어 및 프로그램 등에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2200)와, 본체부(2000) 전체의 구동을 제어하고,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의 이동 제어 신호와 제어 클릭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실행된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 모듈(2300)과, 별도의 영상 입력 장치를 통해 제공되거나, 표시부(3000)에 표시되는 영상(즉, 화상)과, 스피커 또는 이어폰을 통해 제공되거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는 음성 및 영상 제어 모듈(2400)과, 유선 무선을 통해 전달받거나 송출할 데이터를 처리하는 유무선 통신 제어 모듈(2400)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체부(2000)는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디지털화하거나, 디지털화된 신호를 아날로그화하는 변복조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본체부(20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상기 모듈들이 집적된 칩 형태로 제작된다. 즉, 이때, 본체부(20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000) 각각의 모듈들이 각기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이들이 단일 칩내에 집적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전자 장치는 입력부(1000)로 부터 입력된 신호 및 본체부(2000)에 제공되거나 저장된 신호 및 데이터들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지도와 같은 이미지 편집, 영화 또는 음악 감상, 사진 또는 동화상 촬영, 유무선 통신, 웹서핑, 데이터 가공, 게임, 길 찾기)들을 수행 및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로는 예를 들어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PMP, PDA, GPS, 노트북, 게임기, 리모콘, 전자 사전,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포인팅 제어 수단(1100)의 센싱 신호와 클릭 신호를 인가받은 포인터 제어 모듈(2100)에 의해 상술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 장착된 본 실시예의 포인팅 제어 수단(1100)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포인팅 제어 수단(1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10)과, 기판(1110)상에 마련된 자석부(1120)와, 사용자에 의한 움직임을 통해 자석부(1120)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1130)와, 자석부(1120)와 작동 부재(1130)를 이동, 회전 및 복원시키는 매개 부재(1140)와, 자석부(1120)의 움직임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여 소정의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1160)와, 매개 부재(1140)가 고정되고, 상기 기판(1110)에 고정된 커버부(1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판(1110) 상측 표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 스위치(1111)가 위치한다. 따라서, 작동 부재(1130)가 Z 축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면 매개 부재(1140)에 의해 돔 스위치(1111)가 눌려지게 된다. 돔 스위치(1111)가 눌러지게 되면 포인팅 제어 수단(1100)은 이를 클릭 신호로 본체부(2000)에 제공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기판(1110)의 돔 스위치(1111) 상에는 윤활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윤활 패드(1112)가 부착된다. 이를 통해 돔 스위치(1111)와 매개 부재(1140)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이어서, 자석부(11200)는 매개부재(1140)와 작동 부재(1130)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어 작동 부재(113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게 되고, 매개 부재(1140)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
상기의 자석부(1120) 상측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움직이는 작동 부재(1130)가 배치된다.
상술한 작동 부재(1130)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힘(즉,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이동 및 회전하게 되고, 이동 및 회전력은 자석부(1120)에 전달된다. 상기 자석부(1120)가 작동 부재(1130)에 고정되어 작동 부재(1130)와 함께 이동 및 회전한다.
이와 같은 작동 부재(1130)와 이동 및 회전하는 자석부(1120)는 외부 힘이 사라지는 경우 매개 부재(1140)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 본 실시예의 매개 부재(1140)는 상기 자석부(1120)를 작동 부재(1130)에 고정시키고, 자석부(1120)와 작동 부재(1130)에 복원력을 인가한다.
이와 같은 매개 부재(1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1141)와, 중심부(1141)에서 연장된 복수의 패턴부(1142)와, 패턴부(1142) 각각의 끝단에 마련된 복수의 고정부(1143)와, 중심부(1141)에서 돌출되어 자석부(1120)를 지지고 정하는 고정 돌기부(1144)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부(1141)는 하측 바닥면으로 돌출된 클릭 돌기부(1145)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매개 부재(1140)는 고강도 플라스틱(예를 들어, POM, PC 등)을 이용한 사출 공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매개 부재(1140)의 제작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대량 생산을 할 수 있다. 이로인해 상기 중심부(1141), 패턴부(1142), 고정부(1143) 및 고정 돌기부(1144)는 단일 몸체로 제작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매개 부재(1140)를 금속성의 물질로 제작할 수 있다. 금속성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금속의 에칭공정 또는 금속 절단 공정을 통해 제작된다. 또한, 매개 부재(1140)로 윤활성, 내마모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중심부(1141)는 판 형상으로 제작한다. 중심부(1141)는 고정부(1143)들의 중심점 영역에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고정부(1143)가 중심부 (1141) 주변 영역에 배치된다. 이때, 3개의 고정부(1143)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의 중심점 영역에 상기 중심부(1141)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복수의 패턴부(1142) 각각은 양 단부가 각기 중심부(1141)와 고정부(1143)에 각기 접속되고 곡선 형태로 연장 절곡된 절곡 선 형상으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의 매개 부재(1400)는 패턴부(1142)의 하측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처짐 방지 돌기부(1146)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패턴부(1142)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S자 형상(즉, 대략 사인 곡선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술한 패턴부(1142)의 끝단은 고정부(1143)에 접속된다. 이때, 고정부(1143)는 커버부(1150)에 고정된다. 이를 통해 패턴부(1142)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복수의 패턴부(1142)의 일 끝단을 고정시킴으로 인해 복원력을 부여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패턴부(1142)의 구조에 의해 중심부(1141)는 외부 힘에 의해 2차원 운동을 할 수 있다. 직선 운동은 물론 곡선 및 원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힘이 제거되면 패턴부(1142)에 의해 중심부(1141)는 고정부(1143)의 중심점에 자연스럽게 복원될 수 있다.
여기서, 패턴부(1142)는 외부 힘에 의해 중심부(1141)가 이동 또는 회전하는 경우 중심부(1141)를 지지하고, 외부 힘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즉, 중심부(1141)가 이동 및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심부(1141)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따라서, 패턴부(1142)의 형상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패턴부(1142)는 단일 라인이 나선 형상(즉, 선회 형상)으로 중심부(1141) 둘레를 따라 중심부(1141)와 고정부(1143) 사이 공간에 위치하도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패턴부(1142)는 복수의 사행형상의 선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고정부(1143)는 커버부(1150)에 고정된다. 고정부(1143)는 상기 커버부(1150)의 홈에 끼워 맞춤 형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고정부(1143)는 복수의 점 형태로 제작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 부(1143)는 띠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부(1120)가 매개 부재(1140)의 고정 돌기부에 의해 작동 부재(1130)에 고정되고, 커버부(1150)에 장착 고정되는 매개 부재(1140)의 고정부(1143)에 의해 작동 부재(1130) 및 자석부(1120)가 커버부(1150)에 고정된다.
여기서, 작동 부재(1130)의 기둥부가 관통홈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이때, 관통홈의 직경이 상기 기둥부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기둥부와 관통홈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이 이격 공간에 의해 자석부(1120)의 2차원 이동 영역이 정의된다. 즉, 자석부(1120)는 커버부(1150)의 원형 형상의 관통홈 영역 내에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자석부(1120), 작동 부재(1130), 매개 부재(1140) 및 커버부(1150)가 마련된 기판(1110)의 하측면 영역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160)가 배치된다. 이때, 센서부(1160)는 기판(1110)의 상측 영역에 배치된 자석부(1120)의 이동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고 해당 센싱 신호를 출력한다.
즉, 센서부(1160)는 자석부(1120)의 상하좌우 방향의 움직임(즉, 2차원 움직임)을 감지한다. 센서부(1160)는 각기 자석부(1120)의 X축 방향의 움직임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X축 센싱 신호(즉, ±X 좌표치)를 출력하는 복수의 자기 센서와, Y축 방향의 움직임에 따른 자장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Y 축 센싱 신호(즉, ±Y 좌표치)를 출력하는 복수의 자기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기 센서의 출력을 증폭하고, 종합하여 최종 자장의 변화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복 수의 자기 센서가 원칩화된 센서칩을 센서부(11160)로 사용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자기 센서가 원칩화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자기 센서가 자석부(1120)를 중심으로 4 방향(즉, 상하좌우 방향)에 각기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이때, 복수의 자기 센서들은 자석부(1120)의 중심점 영역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부(1160) 내의 자기 센서로는 홀소자, 반도체 자기 저항 소자, 감자성체 자기 저항 소자 또는 GMR(Giant Magneto Resistive) 소자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기 센서는 자장의 변화에 따라 그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는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 센서로 자속 밀도에 비례하여 출력 전압이 변화하는 홀 소자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의 센서부(1160)에 의해 출력되는 센싱 신호에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하는 자석부(1120)의 좌표 관련 데이터(즉, 이동 관련 데이터)가 포함된다. 이는 센싱 신호를 통해 자석부(1120) 즉, 매개 부재(110)의 이동에 관련된 복수의 이동 신호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부(1120) 및 매개 부재(1140)의 이동시 발생한 복수의 센싱 신호와 돔 스위치(1111) 클릭에 의해 발생한 클릭 신호의 조합을 통해 프로그램 제어를 위한 복수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실행된 프로그램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작동 부재(1130), 자석부(1120) 및 매개 부재(1140)는 2차원 평면 상을 이동하고, 이를 센서부(1160)에서 감지하여 센싱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작동 부재(1130), 자석부(1120) 및 매개 부재(1140)가 하강하여 돔 스위치(1111)를 누르게 되면 클릭 신호가 생성된다. 후술되는 설명에서는 작동 부재(1130)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는 작동 부재(1130)와 함께 자석부(1120) 및 매개 부재(1140)가 함께 이동하기 때문이다. 하기에서 작동 부재(1130)의 이동은 작동 부재(1130)의 중심점의 이동을 지칭한다. 또한, 작동 부재(1130)의 이동 구간은 상기 중심부의 중심점의 이동 구간을 지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 부재(1130)의 이동에 따라 생성된 센싱 신호와 클릭 신호는 포인터 제어 모듈(2100)로 제공된다.
이때,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일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즉, 일정 신호 입력 주기 마다) 센싱 신호를 인가받는다. 즉, 본 실시예의 본체부(2000)의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일정 시간(5 내지 1000msec)마다 포인팅 제어 수단(1100)으로 부터 출력된 신호(센싱 신호 및/또는 클릭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매 20msec 마다(신호 입력 주기) 센싱 신호를 입력 받는다. 물론 센싱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 주기 시간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센서부(1160)의 센싱 감도 및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의 반응 감도에 따라 상기 범위보다 더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포인터 제어 모듈(2100)과, 센싱 신호 및/또는 클릭 신호를 제공하는 포인팅 제어 수단(1100)을 중심으로 이미지(예를 들어, 지도 또는 사진) 제어 프로그램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표시부(3000)에 지도 관련 이미지가 로딩된 이후의 동작을 설명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포인팅 제어 수 단(1100)의 출력 신호(센싱 신호, 클릭 신호)에 의해 지도 관련 이미지를 로딩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제어 프로그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클릭 신호 또는 더블 클릭 신호의 인가 여부를 판단하여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S100). 즉, 클릭 신호와 더블 클릭 신호의 인가 유무에 따라 이동 모드와, 확대 및 축소 모드를 수행한다. 이에 더하여 메뉴 생성 모드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클릭 신호와 더블 클릭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 모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이동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작동 부재(1130)의 이동에 의해 생성된 센싱 신호에 따라 화면상의 지도(즉, 이미지)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110). 이때,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인가된 센싱 신호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이동 제어 신호에 따라 표시부(3000) 내의 지도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작동 부재(1130)는 2차원 평면(±X축과 ±Y축)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작동 부재(1130)의 이동 영역을 4 영역(+X 영역, -X 영역, +Y 영역 및 -Y 영역)으로 정의할 경우, 이에 따라 4개의 이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작동 부재(1130) 이동에 따라 포인팅 제어 수단(1100)은 +X축 방향의 센싱 신호, -X축 방향 센싱 신호, +Y축 방향 센싱 신호 및 -Y축 방향 센싱 신호를 출력하고,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이를 각기 우측 이동 제어 신호, 좌측 이동 제어 신 호, 상측 이동 제어 신호 및 하측 이동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화면상의 지도를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4개 영역의 기준은 X축과 Y축 사이를 2등분하는 선(즉, X축 기준으로 45도 각도를 이루는 선)에 의해 결정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작동 부재(1130)의 이동 영역을 8개의 영역(+X 영역, +X+Y 영역, +Y영역, -X+Y 영역, -X 영역, -X-Y영역, -Y 영역 및 -Y+X 영역으로 정의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8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화면상의 지도를 우측 방향, 우측 상 방향, 상 방향, 좌측 상 방향, 좌측 방향, 좌측 하 방향, 하 방향 및 우측 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동 영역은 이보다 많거나 적은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으로 분할하지 않고, 작동 부재(1130)의 이동과 연동하여 화면상의 지도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는 작동 부재(1130)의 이동에 따라 센싱 신호의 출력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이를 직접 이동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작동 부재(1130)는 이동뿐만 아니라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회전에 대응하는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작동 부재(1130)의 이동에 따라 화면상의 지도를 이동시킨 이후, 다시 클릭 신호 인가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클릭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는 확대 및 축소 모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확대 및 축소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작동 부재(1130)의 이동에 의해 생성 된 센싱 신호에 따라 화면상의 지도를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킨다(S120).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포인팅 제어 수단(1100)으로부터 출력된 센싱 신호를 2개의 신호 그룹으로 분할하고, 각 그룹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확대를 위한 이동 제어 신호와 축소를 위한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는 작동 부재(1130)의 이동 영역을 2개의 영역으로 정의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X축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 두 영역으로 정의한 경우, 작동 부재(1130)가 X축의 상측 영역에 위치할때, 발생된 센싱 신호는 모두 확대를 위한 이동 제어 신호로 변환되어 화면상의 지도를 확대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 부재(1130)가 X축의 하측 영역에 위치할때, 발생된 센싱 신호는 모두 축소를 위한 이동 제어 신호로 변환되어 화면상의 지도를 축소시키게 된다. 이경우 확대와 축소는 일정 배율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작동 부재(1130)의 이동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정의하고, 각 영역에 따라 확대와 축소 비율을 각기 다르게 지정할 수도 있다. 또한, 작동 부재(1130)의 시계 방향의 회전과 반 시계 방향의 회전에 따라 생성된 센싱 신호를 각기 확대 및 축소를 위한 이동 제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의 판단은 매 신호 입력 주기 마다 포인터 제어 모듈(2100)로 인가되는 센싱 신호의 동일 유무로 판단한다. 즉, 최대 2 내지 5 신호 입력 주기 동안 인가되는 센싱 신호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를 회전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른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물론, 클릭 신호가 인가될때, 지도 상에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하는 경우, 마 우스 포인터가 위치한 지점이 화면의 중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상의 지도를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킨 이후, 클릭 신호 및 더블 클릭 신호 인가 여부를 판단한다(S130). 판단 결과 클릭 신호 및 더블 클릭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앞선 지도의 확대 및 축소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하지만, 클릭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는 확대 및 축소 모드를 종료한다. 이는 확대 및 축소 모드가 아닌 이동 모드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또한, 더블 클릭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는 확대 및 축소 모드에서 사용되는 메뉴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하기에서는 동작 모드 결정시 더블 클릭 신호가 인가되거나 확대 및 축소 모드 중에 더블 클릭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수행되는 메뉴 생성 모드에 관해 설명한다.
더블 클릭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는 메뉴 생성 모드를 수행한다. 메뉴 생성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화면상의 지도와 관련된 다양한 메뉴를 팝업 형태로 생성한다(S140).
이때, 사용자는 작동 부재(1130)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센싱 신호를 생성하고, 포인터 제어 모듈(2100)은 센싱 신호를 이용한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화면상의 메뉴 중 하나의 메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메뉴 활성화 영역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통해 하나의 메뉴가 활성화된다(S150). 이후, 클릭 신호 인가 유무를 판단하여(S160) 클릭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는 활성화된 메뉴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메뉴 생성 모드를 종료한다(S170). 하지만, 클릭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메뉴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메뉴 생성 모드를 종료한다. 이때, 메뉴 활성화 이후, 최대 2 내지 200 신호 입력 주기 동안 클릭 신호가 인가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기간 동안 클릭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메뉴 생성 모드를 종료한다. 여기서 메뉴 생성 모드의 종료는 이동 모드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상기 메뉴로는 편집 종료, 모드 변경, 이미지의 확대, 축소, 거리 찾기, 출발지 및 도착지 지정, 거리 계산, 위치 고정과 같은 지도 관련 메뉴는 물론, 다양한 이미지 편집에 관련된 메뉴와 네비게이션 관련 메뉴도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클릭 또는 더블 클릭 신호 유무에 따라 동작 모드를 선택적으로 결정하여 이에 따라 인가된 센싱 신호에 의한 이미지 처리를 서로 다르게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돔 스위치와, 자석과 자석의 자장 변화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이미지(예를 들어, 사진, 지도, 그림) 제어를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 인해 입력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돔스위치의 사용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포인팅 제어 수단의 클릭 신호, 더블 클릭 신호 및 X축과 Y축 관련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릭 신호에 따라 1개의 이동 제어 신호로 생성하고, ±X축 및 ±Y축 방향 관련 센싱 신호들을 통해 각기 4개의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더블 클릭 신호에 따라 1개의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포인팅 제어 수단의 작동 부재(1130)의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의 회전에 따라 2개의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클릭 신호, 더블 클릭 신호, ±X축 및 ±Y축 방향의 센싱 신호, 그리고, 회전 신호들의 조합을 통해 다수의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제어 신호는 최초 인가된 클릭 신호 및 더블 클릭 신호에 따라 그 동작 모드가 결정되고, 이후 생성되는 이동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개념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제어 수단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포인팅 제어 수단의 평면 개념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제어 프로그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포인터 1000 : 입력부
1100 : 포인팅 제어 수단 2000 : 본체부
2100 : 포인터 제어 모듈 3000 : 표시부

Claims (13)

  1. 사용자 조작을 통해 이동하는 작동 부재와, 상기 작동 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는 돔 스위치를 갖는 전자 장치에서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의 이동에 따른 센싱 신호와 상기 돔 스위치의 클릭에 따른 클릭 신호 또는 더블 클릭 신호를 인가받는 단계;
    다양한 동작 모드중 하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클릭 신호와 더블 클릭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제 1 동작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클릭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제 2 동작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더블 클릭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제 3 동작 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제 1 동작 모드의 경우, 상기 작동 부재의 이동에 따른 센싱 신호에 따라 복수의 제 1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동작 모드의 경우, 상기 작동 부재의 이동에 따른 센싱 신호에 따라 복수의 제 2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3 동작 모드의 경우, 상기 작동 부재의 이동에 따른 센싱 신호에 따라 복수의 제 3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사용자 조작을 통해 이동하는 작동 부재와, 상기 작동 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는 돔 스위치와, 상기 작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갖는 전자 장치에서 그 화면상에 표시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프로그램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의 이동에 따른 센싱 신호와 상기 돔 스위치의 클릭 또는 더블 클릭에 따른 클릭 신호 또는 더블 클릭 신호를 인가받는 단계;
    상기 클릭 신호와 더블 클릭 신호 모두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 모드로 결정되는 단계;
    상기 이동 모드인 경우, 상기 작동 부재의 이동에 따른 센싱 신호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된 이미지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클릭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확대 및 축소 모드로 결정되는 단계;
    상기 확대 및 축소 모드인 경우, 상기 작동 부재의 이동에 따른 센싱 신호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된 이미지를 확대 및 축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작동 부재의 이동 영역을 복수개의 구간으로 정의하고, 상기 작동 부재가 위치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작동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확대 및 축소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작동 부재의 이동 영역을 두개의 구간으로 정의하고, 상기 작동 부재가 위치하는 구간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전자 장치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
  10. 청구항 5,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클릭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메뉴 생성 모드로 결정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확대 및 축소 모드인 경우, 메뉴를 생성하고,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메뉴 중 하나의 메뉴를 활성화시킨 후, 상기 돔 스위치의 클릭에 따른 클릭 신호의 유무에 따라서 상기 활성화된 메뉴를 수행한 이후 메뉴 생성 모드를 종료하거나 상기 활성화된 메뉴를 수행하지 않고 메뉴 생성 모드를 종료하는 전자 장치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
  11. 삭제
  12. 복수의 이동 제어 신호에 따라 현재 실행된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돔 스위치의 클릭 신호 및 더블 클릭 신호와, 상기 돔 스위치 상측에 위치하고 이동하는 자석부의 움직에 따른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포인팅 제어 수단; 및
    상기 클릭 신호 및 더블 클릭 신호의 인가 유무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동작 모드 결정 이후 인가된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각기 다른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포인터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클릭 신호 및 더블 클릭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이동 모드가 수행되고, 상기 이동 모드 수행시,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된 이미지를 이동시키고,
    상기 클릭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확대 및 축소 모드가 수행되고,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된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고, 상기 클릭 신호 및 더블 클릭 신호의 출력 유무에 따라 상기 확대 및 축소 모드를 종료하는 전자 장치.
  13. 삭제
KR1020080047555A 2008-04-28 2008-05-22 전자 장치 및 이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 KR101458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555A KR101458420B1 (ko) 2008-05-22 2008-05-22 전자 장치 및 이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
TW098113882A TWI497352B (zh) 2008-04-28 2009-04-27 電子裝置以及控制該裝置之程式的方法
PCT/KR2009/002184 WO2009134040A2 (en) 2008-04-28 2009-04-2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gra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555A KR101458420B1 (ko) 2008-05-22 2008-05-22 전자 장치 및 이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582A KR20090121582A (ko) 2009-11-26
KR101458420B1 true KR101458420B1 (ko) 2014-11-10

Family

ID=4160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555A KR101458420B1 (ko) 2008-04-28 2008-05-22 전자 장치 및 이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4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360B1 (ko) * 2013-12-31 2021-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텍스트 편집 위치를 가이드 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731386B1 (ko) 2015-09-17 2017-04-28 주식회사 래빗투래빗 광고 오픈 마켓을 통한 광고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715A (ko) * 2001-06-05 2002-1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컴퓨터 및 그 컴퓨터의 문자입력 제어방법
KR20040107472A (ko) * 2002-03-05 2004-12-2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 그리고 화상 처리방법
KR20080024414A (ko) * 2006-09-13 2008-03-18 (주)텍에이드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715A (ko) * 2001-06-05 2002-1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컴퓨터 및 그 컴퓨터의 문자입력 제어방법
KR20040107472A (ko) * 2002-03-05 2004-12-2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 그리고 화상 처리방법
KR20080024414A (ko) * 2006-09-13 2008-03-18 (주)텍에이드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582A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95481B (zh) 具有图像传感器移位功能的相机
US10437458B2 (en) Electronic device using auxiliary inpu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25552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30761B1 (ko) 방위-감응 신호 출력
US7791594B2 (en) Orientation based multiple mode mechanically vibrated touch screen display
US20110134029A1 (en) Electronic device and a pointer mo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0070013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움직임을 이용하는 장치 및 그장치로의 입력 제공 방법
JP6301613B2 (ja) 携帯通信端末、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表示方法
TW201229830A (en) Multi-direction input device
JP2010282408A (ja) 制御装置、入力装置、制御システム、ハンドヘルド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6113859A (ja)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EP326096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WM368130U (en) Apparatus for implementing multiple push buttons in a user input device
US20070070054A1 (en) Slide-type input device, portable device having the input device and method and medium using the input device
KR101458420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
EP29418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flexing of a device
TWI497352B (zh) 電子裝置以及控制該裝置之程式的方法
JP2017079038A (ja) ウェアラブル端末装置及びウェアラブル端末装置の制御方法
JP2006146440A (ja) 電子機器及び情報表示選択方法
KR100931070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KR100931071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아이콘 활성화 방법
KR101004653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
KR20100091807A (ko) 관성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US20080211770A1 (en) Pointing device, portable terminal, point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strap
JP2007200188A (ja) 位置入力装置、リモコン装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