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173B1 - 손가락용 부목 - Google Patents

손가락용 부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173B1
KR101458173B1 KR1020120103388A KR20120103388A KR101458173B1 KR 101458173 B1 KR101458173 B1 KR 101458173B1 KR 1020120103388 A KR1020120103388 A KR 1020120103388A KR 20120103388 A KR20120103388 A KR 20120103388A KR 101458173 B1 KR101458173 B1 KR 101458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plate
support plate
horse
swas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812A (ko
Inventor
김호용
김종훈
Original Assignee
김호용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용, 김종훈 filed Critical 김호용
Priority to KR1020120103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173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A61F5/0587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f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hands or fingers
    • A61F13/105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hands or fingers for the finger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치수지'라 불리는 손가락 손상 시 사용되는 손가락용 부목에 관한 것으로서, 말절골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일부를 손가락의 상부면을 기준하여 상향시키는 경사각을 갖는 경사판과, 원위지 관절에서 중절골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상부면 일부를 감싸는 지지판과, 상기 경사판과 지지판을 상호 연결시키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판을 손가락의 일부와 함께 감싸는 고정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손가락용 부목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말절골에 해당하는 손가락 일부가 안착되는 부분에 손가락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는 경사판을 구비하여, 망치수지의 치료를 위한 원위지 관절 부근에서 끊어진 신전건 양쪽 말단이 서로 인접되어 다시 붙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원위지 관절에서 중절골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상부면 일부를 감싸는 지지판에 의하여, 손가락용 부목 부착 이후, 원위지 관절이 쉽게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손가락용 부목{Splint for finger}
본 발명은 '망치수지'라 불리는 손가락 손상 시 사용되는 손가락용 부목에 관한 것으로서, 말절골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일부를 손가락의 상부면을 기준하여 상향시키는 경사각을 갖는 경사판과, 원위지 관절에서 중절골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상부면 일부를 감싸는 지지판과, 상기 경사판과 지지판을 상호 연결시키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판을 손가락의 일부와 함께 감싸는 고정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손가락용 부목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흔히 '부목' 이라 일컬어지는 교정장치는 뼈가 골절되거나 금이 간 경우 및 탈구시 다친 관절을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단단하게 감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환부의 가동성을 제한하여 관절을 원상태로 교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교정장치는 깁스와 함께 비관혈적 고정방법의 대표적인 것으로 종래 나무판이나 막대기만을 재료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금속망이나 금속판, 석고붕대 또는 유리섬유 등의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연관하여, 손가락 부상 중, 망치 수지(추지)는 손가락 끝마디의 신전건(펴는 힘줄)이 뼈에 붙는 부위에서 손상된 것이다. 손가락 신전건의 부착부위가 늘어나거나 끊어져 원위지 관절이 펴지지 않게 된다.
또한 망치 수지는 구부리는 힘줄(굴곡건)이 남아있기 때문에 이 힘줄이 지속적으로 구부리는 힘으로 작용해서 보통의 경우는 치료하지 않으면 점점 구부러진 정도가 심해진다. 아울러 2차적으로는 근위지 관절이 뒤쪽으로 과신전되어 백조목(백조목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모양의 변형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에 빠른 치료가 요구된다.
다음은 손가락용 부목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92859호는 손가락 환부용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손가락의 상부면을 밀착되게 감싸도록 곡단면의 형상을 갖고 일측에 손가락의 말절골을 보호하는 보호판이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손상된 관절부위의 가동을 제한시키는 알루미늄재질의 교정판(100)과; 상기 교정판 양측 전,후면에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손가락의 저면을 감싸주어 교정판을 유동없이 손가락에 밀착상태로 고정시키는 알루미늄재질의 고정부재(200)와; 상기 교정판 및 고정부재 저면에 고착된 쿠션재와; 상기 쿠션재에 부착되고 환부에 직접적으로 밀착되어 환부를 치유하는 파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환부용 교정장치를 제시하였다.
상기 종래기술은 손가락에 입은 외상이나 골절, 탈구, 인대파열, 염좌, 등을 손가락 전용 교정장치를 이용하여 병,의원을 찾지않고서도 가정에서 간단한 방법으로 환부를 움직이지 않도록 감싸주어 즉각적인 응급처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를 제시하였으나, 신전건이 손상되어 발생된 망치수지의 환부에 대한 사용은 불가능하고, 고정부재의 말단 간의 체결이 용이하지 못한 어려움이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손가락용 부목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손가락용 부목은 단순히 골절된 손가락을 일자 형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망치수지의 치료를 위한 원위지 관절 부근에서 끊어진 신전건 양쪽 말단을 상호 결합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였고, 손가락용 부목이 다친 손가락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손가락의 상부면 일정부분에서 손가락을 감싸며 체결되기 때문에, 손가락 관절, 특히 원위지 관절이 쉽게 움직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손가락용 부목을 손가락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붕대 또는 반창고 등과 같은 고정물을 필연적으로 이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말절골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하부면 일부를 안착시키는 동시에, 말절골 이외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상부면을 기준하여 상향하는 경사각을 갖는 경사판과; 원위지 관절에서 중절골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상부면 일부를 감싸는 지지판과; 하부 말단은 원위지 관절에 해당하는 위치의 경사판 측부 양쪽에서 손가락 상부면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고, 상부 말단은 지지판 전방부의 측부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판은 지지판의 후방부와 중절골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일부를 동시에 감싸는 고정물에 의하여 손가락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손가락용 부목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용 부목은 말절골에 해당하는 손가락 일부가 안착되는 부분에 손가락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는 경사판을 구비하여, 망치수지의 치료를 위한 원위지 관절 부근에서 끊어진 신전건 양쪽 말단이 서로 인접되어 다시 붙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원위지 관절에서 중절골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상부면 일부를 감싸는 지지판에 의하여, 손가락용 부목 부착 이후, 원위지 관절이 쉽게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손가락용 부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손가락용 부목을 환부에 부착했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손가락용 부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손가락용 부목을 환부에 부착했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손가락용 부목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손가락용 부목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손가락용 부목을 환부에 부착하기 위한 순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은 '망치수지'라 불리는 손가락 손상 시 사용되는 손가락용 부목에 관한 것으로서, 말절골(80)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하부면 일부를 안착시키는 동시에, 말절골(80) 이외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상부면을 기준하여 상향하는 경사각을 갖는 경사판(10)과; 원위지 관절(83)에서 중절골(81)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상부면 일부를 감싸는 지지판(20)과; 하부 말단은 원위지 관절(83)에 해당하는 위치의 경사판(10) 측부 양쪽에서 손가락 상부면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고, 상부 말단은 지지판(20) 전방부의 측부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대(30)와; 상기 지지판(20)은 지지판(20)의 후방부와 중절골(81)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일부를 동시에 감싸는 고정물(60)에 의하여 손가락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손가락용 부목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경사판(10)은 말절골(80)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하부면 일부를 안착시키는 동시에, 말절골(80) 이외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상부면을 기준하여 상향하는 경사각을 갖는 구성으로서, 말절골(80)에 해당하는 손가락 일부가 말절골(80)과 중절골(81)을 연결하는 관절(이하, '원위지 관절(83)'이라 칭함.)을 중심으로 10~25°의 경사각을 가지며 손등 방향으로 상향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망치수지는 손가락의 상부에 위치된 신전건이 원위지 관절(83) 부근에서 끊어져 원위지 관절(83)을 중심으로 말절골(80)에 해당하는 손가락이 손바닥 방향으로 굽어져 있는 증상인데, 본 발명에 의한 경사판(10)은 말절골(80)에 해당하는 손가락을 원위지골을 중심으로 상향시켜 말절골(80)의 상부에 위치된 신전건의 말단과 중절골(81)의 상부에 위치된 신전건의 말단을 상호 맞닿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아울러 경사판(10)의 경사각은 말절골(80) 이외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상부면을 기준하여 말절골(80)이 10~25°의 기울기로 상향될 수 있으면 어떠한 구성을 하여도 무방하다. 즉, 경사판(10)의 경사각은 손가락용 부목의 제조시에는 상기 범위 내의 경사각으로 설정되어 제조되고, 환자의 손가락 형태에 따라 말절골(80)에 해당하는 손가락 일부가 10~25°의 기울기로 상향될 수 있도록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손가락의 하부면이 안착되는 경사판(10)의 상부면(또는 상부면과 하부면 전체)은 유선형을 갖는 손가락 하부면이 안정적으로 안착가능하고, 사용자의 이물감을 줄이기 위하여 손가락 하부면과 대응되는 유선형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3과 같이, 경사판(10)의 상부는 열린 상태의 구조를 갖아 말절골(80)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상부에 위치된 손톱이 외부로 노출되어 손톱과 경사판(10) 간의 이물감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판(10)의 전방부는 손가락 끝부분의 외형과 유사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말절골(80)에 해당하는 손가락 끝부분인 하부면이 용이하게 경사판(10)의 안쪽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경사판(10)은 경사판(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기홀(90)을 구비하여, 일반적으로 6~10주 정도를 환부에 손가락용 부목을 부착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발생될 수 있는 손가락의 허무름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판(20)은 원위지 관절(83)에서 중절골(81)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상부면 일부를 감싸는 구성으로서, 손가락의 상부면에 위치되어 손가락에 고정됨으로써 하기의 지지대(30)에 의하여 연결된 경사판(10)이 말절골(80) 이외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상부면을 기준하여 상향하는 경사각을 갖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지지판(20)의 전방부는 도 6과 같이, 원위지 관절(83) 해당하는 손가락 상부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위치되어 원위지 관절(83) 해당하는 손가락 상부면을 지지하고, 지지판(20)의 후방부는 중절골(81)에 해당하는 손가락 상부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위치되어 중절골(81)에 해당하는 손가락 상부면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때, 지지판(20)의 전방부는 하기 한 쌍의 지지대(30)와 체결되고, 후방부는 붕대, 반창고 또는 밸크로 등과 같은 고정물(이하, 고정물을 '밸크로'라 칭함.)에 의하여 손가락의 일부와 함께 감싸지어 손가락에 부착된다.
또한 지지판(20)의 내측면은 손가락의 상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판(20)에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기홀(90)을 구비하여, 손가락용 부목을 부착으로 인한 손가락의 허무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지지판(20)의 길이는 원위지 관절(83)에서 근위지 관절(84) 이전의 중절골(81) 말단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아 원위지 관절(83)을 중심으로 말절골(80)이 손가락의 상부면 방향으로 상향될 수 있도록 하고, 근위지 관절(84)을 중심으로 중절골(81)은 기절골(82)에서 자유롭게 굽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한 쌍의 지지대(30)는 하부 말단이 원위지 관절(83)에 해당하는 위치의 경사판(10) 측부 양쪽에서 손가락 상부면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고, 상부 말단이 지지판(20) 전방부의 측부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구성하여, 경사판(10)과 하기의 지지판(20)을 상호 연결하여 체결시키는 구성이다.
즉, 한 쌍의 지지대(30)는 도 4 내지 6과 같이, 각각의 하부 말단은 경사판(10) 측부 양쪽에 연결 체결되고, 하부 말단에서 손가락 상부면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상부 말단은 손가락의 상부면의 일부를 감싸며 체결된 지지판(20)에 연결 체결된다.
이때, 지지대(30)의 하부 말단은 원위지 관절(83)에 해당하는 위치의 경사판(10) 측부인 후방부에 연결 체결되고, 상부 말단은 지지판(20)의 전방부의 측부에 연결 체결되며, 지지대(30)에 의하여 경사판(10)과 지지판(20)이 상호 연결되어 손가락용 부목이 말절골(80)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끝부분에서 중절골(81)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일부까지 일정의 길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지지대(30)는 도 6과 같이, 경사판(10)과 지지판(20)이 일정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경사판(10)과 지지판(20) 사이에 손가락을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지지대(30)의 하부 말단과 상부 말단에 의하여 형성된 지지재의 길이는 손가락의 두께 정도의 길이를 갖아 손가락이 경사판(10)의 후방부, 한 쌍의 지지대(30) 및 지지판(20)의 전방부에 의하여 형성된 인입홈(40)에 원위지 관절(83)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일부가 인입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지지대(3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경사판(10)과 지지판(20)은, 경사판(10)의 후방부가 말절골(80)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일부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지지판(20)의 전방부가 원위지 관절(83) 및 중절골(81)에 대하는 손가락의 상부면 일부를 지지하여, 말절골(80)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일부가 원위지 관절(83)을 중심으로 상향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인입홈(40)을 구성하는 지지판(20)의 전방부는 원위지 관절(83)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상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손가락의 상부면 방향으로 가해질 수 있는 지지판(20) 전방부의 손가락 결속 해제력에 대한 저항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원위지 관절(83)을 중심으로 말절골(80)이 하부 방향 굽힘력이 발생하였을 때, 말절골(80)와 연결된 원위지 관절(83)은 손가락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데, 이때, 지지판(20)의 전방부와 지지대(30)의 상부 말단 간의 체결이 손가락의 상부면 일정부분에서 이루어지면, 원위지 관절(83)이 손가락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말절골(80)의 상부에 위치된 신전건의 말단과 중절골(81)의 상부에 위치된 신전건의 말단이 지속적으로 상호 맞닿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용 부목의 경사판(10)과 지지판(20)이 지지대(30)의 구성없이 직접 체결되고, 경사판(10)이 지지판(20)에서 말절골(80) 이외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상부면을 기준하여 상향하는 경사각을 갖으며 구성되면, 경사판(10)과 지지판(20)만의 체결에 의하여 형성된 인입홈(40)에 의한 원위지 관절(83)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일부분의 인입은 원활하게 확보할 수 있으나, 일정의 경사각을 갖아 형성된 경사판(10)의 말단에 위치되는 말절골(80)의 끝부분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끝부분은 경사판(10)의 경사에 의하여 심하게 압박받을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 구성의 지지대(30)는 경사판(10)과 지지판(20)이 일정의 간격을 가지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인입홈(40)에 인입되는 손가락의 일부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경사판(10)의 말단에서 손가락 끝부분이 원활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손가락 끝부분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30)는 경사판(10)과 지지판(20)이 상호 체결되어 경사판(10)이 말절골(80) 이외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상부면(지지판(20))을 기준하여 상향하는 경사각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면 경사판(10) 및 지지판(20)과 어떠한 연결관계를 가지며 체결되어도 무방하나, 도 5의 (a)와 같이, 지지대(30)의 상부 말단은 원위지 관절(83)을 중심으로 경사판(10)의 경사각(c)과 동일한 각(c)을 가지며 연결 체결되어 지지판(20)의 전방으로 하향 돌출되고, 지지대(30)의 하부 말단은 지지대(30)의 하향 방향과 수직한 각을 가지며 경사판(10)과 연결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성의 지지대(30)는 하부 말단과 경사판(10)의 체결이 일정의 경사각을 갖으며 구성되는 경우보다 인입홈(40) 부분에서 경사판(10) 말단으로의 유연한 경사각을 유도하여, 착용자의 이물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용 부목은 착용되는 손가락의 종류 또는 착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일반적인 사람의 손가락 길이를 고려하여 상기 경사판(10)은 전방 말단에서 후방 말단까지 33~45mm의 길이를 갖고, 상기 지지판(20)은 전방 말단에서 후방 말단까지 30~45mm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판(10)과 지지판(20)을 상호 연결하는 지지대(30)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착용자의 손가락 두께를 고려하여 더욱 다양한 크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용 부목의 경사판(10), 지지판(20) 및 지지대(30)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경량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경사판(10)의 상부면 일정부분임과 동시에, 경사판(10)과 손가락 사이에 탄성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50)는 스폰지와 같은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천연수지 재질로 구성된다. 이때, 탄성부재(50)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지지판(20) 또는 지지대(30)와 손가락의 사이에도 구비되어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용 부목의 내측면이 손가락 표면과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피부가 허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용 부목은 말절골(80)과 중절골(81)을 아우르는 형태로 손가락에 체결될 수 있으면 어떠한 구성을 갖아도 무방하나, 도 6과 같이, 지지판(20)의 후방부와 중절골(81)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일부를 동시에 감싸는 밸크로(60)에 의하여 손가락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판(20)의 후방부의 상부 일정부분에는 후방부와 손가락을 아우르며 감싸는 밸크로(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밸크로(6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미도시) 또는 고정고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경사판 20 : 지지판
30 : 지지대 40 : 인입홈
50 : 탄성부재 60 : 고정물
80 : 말절골 81 : 중절골
82 : 기절골 83 : 원위지 관절
84 : 근위지 관절 90 : 통기홀

Claims (4)

  1. 삭제
  2. 말절골(80)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하부면 일부를 안착시키는 동시에, 말절골(80) 이외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상부면을 기준하여 상향하는 경사각을 갖는 경사판(10)과; 원위지 관절(83)에서 중절골(81)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상부면 일부를 감싸는 지지판(20)과; 하부 말단은 원위지 관절(83)에 해당하는 위치의 경사판(10) 측부 양쪽에서 손가락 상부면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고, 상부 말단은 지지판(20) 전방부의 측부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대(30)와; 상기 지지판(20)은 지지판(20)의 후방부와 중절골(81)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일부를 동시에 감싸는 고정물(60);에 의하여 손가락에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경사판(10)의 경사각은 말절골(80)에 해당하는 손가락의 일부가 말절골(80) 이외에 해당하는 손가락을 기준하여, 원위지 관절(83)을 중심으로 10~25°의 경사를 갖도록 구성되며,
    지지대(30)는 상부 말단이 원위지 관절(83)에 해당하는 지지판(20)의 일정 부분을 중심으로 경사판(10)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을 가지며 연결 체결되어 지지판(20)의 전방으로 하향 돌출되고, 하부 말단이 지지대(30)의 하향 방향과 수직한 각을 가지며 경사판(10)과 연결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경사판(10)은 상부면의 일정부분에 경사판(10)과 손가락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용 부목.
  3. 삭제
  4. 삭제
KR1020120103388A 2012-09-18 2012-09-18 손가락용 부목 KR101458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388A KR101458173B1 (ko) 2012-09-18 2012-09-18 손가락용 부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388A KR101458173B1 (ko) 2012-09-18 2012-09-18 손가락용 부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812A KR20140036812A (ko) 2014-03-26
KR101458173B1 true KR101458173B1 (ko) 2014-11-04

Family

ID=5064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388A KR101458173B1 (ko) 2012-09-18 2012-09-18 손가락용 부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1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523A (ko) 2017-11-15 2019-05-2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플린트
KR20200008184A (ko) 2018-07-16 2020-01-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디뼈 골절용 외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1824A1 (en) * 2015-11-29 2017-06-01 Hislop Neil Shaka Finger supports and gloves incorporating the same
CN112603629A (zh) * 2020-12-24 2021-04-06 俞洁瑶 一种远节指骨底损伤后用固定装置
KR102633393B1 (ko) 2023-01-25 2024-02-05 박효준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3021B1 (de) * 1984-11-07 1989-01-04 Waldemar Link (GmbH & Co.) Fingerschiene zur Fixierung des äussersten Fingergelenks in Streckstellung
WO1990014057A1 (de) * 1989-05-19 1990-11-29 Waldemar Link Gmbh & Co. Fingerschiene
JPH03103366A (ja) * 1989-09-14 1991-04-30 Kawasaki Refract Co Ltd 溶銑予備処理ランス用キャスタブル耐火物
JP2975363B1 (ja) * 1998-11-26 1999-11-10 伊三雄 島田 指固定具
KR20080005845U (ko) * 2007-05-29 2008-12-03 김학수 손가락 보조기
KR20120008471U (ko) * 2011-06-01 2012-12-11 이영국 손가락 보호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3021B1 (de) * 1984-11-07 1989-01-04 Waldemar Link (GmbH & Co.) Fingerschiene zur Fixierung des äussersten Fingergelenks in Streckstellung
WO1990014057A1 (de) * 1989-05-19 1990-11-29 Waldemar Link Gmbh & Co. Fingerschiene
JPH03103366A (ja) * 1989-09-14 1991-04-30 Kawasaki Refract Co Ltd 溶銑予備処理ランス用キャスタブル耐火物
JP2975363B1 (ja) * 1998-11-26 1999-11-10 伊三雄 島田 指固定具
KR20080005845U (ko) * 2007-05-29 2008-12-03 김학수 손가락 보조기
KR20120008471U (ko) * 2011-06-01 2012-12-11 이영국 손가락 보호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523A (ko) 2017-11-15 2019-05-2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플린트
KR20200008184A (ko) 2018-07-16 2020-01-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디뼈 골절용 외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812A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173B1 (ko) 손가락용 부목
US11207201B2 (en) Thumb orthosis
US9498368B2 (en) Device for gripping the forearm of a user suffering from muscular problems in the elbow
US8628488B2 (en) Compression wrap
US8246560B2 (en) Hand brace for immobilizing and adjustably positioning one or more digits
US6293918B1 (en) Adjustable splint
US20040039413A1 (en) Radial artery compression system
US2318864A (en) Medical wood splint
US9486352B2 (en) Wrist support device
US20030078531A1 (en) Combination finger and wrist splint
JP2005512731A (ja) 骨折固定のための添え木兼用のギプス部材
SU1672925A3 (ru) Фиксирующа пов зка
KR20010082204A (ko) 무지외번증 보조기
US6913582B2 (en) Universal hand splint
EP2194881A4 (en) EXTERNAL FIXATION ARRANGEMENT
US6514222B2 (en) Post surgical appendage protector
KR20140030590A (ko) 손가락용 부목
JP7105011B2 (ja) 顎角度保持用補助具及びこれを含む顎角度矯正装置
US9486351B2 (en) Ulnar sided wrist support brace
AU2015298357A1 (en) Wrist splint
US20130237892A1 (en) Fracture brace
CN115052561A (zh) 具有多个q角调节器的矫形装置
KR200292859Y1 (ko) 손가락 환부용 교정장치
US20080281243A1 (en) Adjustable joint splint
ES2401196T3 (es) Dispositivo de sopor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