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662B1 -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7662B1 KR101457662B1 KR1020130027784A KR20130027784A KR101457662B1 KR 101457662 B1 KR101457662 B1 KR 101457662B1 KR 1020130027784 A KR1020130027784 A KR 1020130027784A KR 20130027784 A KR20130027784 A KR 20130027784A KR 101457662 B1 KR101457662 B1 KR 1014576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piece
- compression
- piston body
- edge
- pist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71—Assembly or rep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4—Vortex flow passa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6/00—Manufacturing; Treatments
- F16F2226/04—Assembly or fixing methods; methods to form or fashion pa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8/00—Functional characteristics, e.g. variability, frequency-dependence
- F16F2228/12—Functional characteristics, e.g. variability, frequency-dependence degres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톤 몸체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 2 위치결정부에 압축 리테이너와 인장 리테이너를 안착시킴으로써 압축 유로와 인장 유로가 피스톤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통되므로, 오조립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과 체결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조립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과 체결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업소버는 차체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해지는 진동을 억제, 감쇠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승차감 향상, 적재화물의 보호 및 차량의 각 부품을 보호하는데 기여한다.
최근 피스톤 밸브에서는 튜닝의 자유도를 높여주는 샌드위치형 피스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11-0079963호의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샌드위치형 피스톤의 구조는 피스톤 몸체와 리테이너를 조립할 때 방향성을 고려하여 체결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선행기술은 리테이너에 돌기를 구비하여 조립 방향을 파악하고 체결하도록 된 구조이다.
하지만, 선행기술은 돌기와 같은 조립 방향 확인용의 부재로 인하여 조립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돌기가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체결이 이루어질 경우 조립 불량에 따른 작동 불능 등의 치명적인 문제에 직면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오조립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과 체결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린더를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가 중앙에 관통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주위에 상, 하 방향으로 압축 유로와 인장 유로가 차례로 관통되는 패턴이 반복되며, 상기 압축 유로의 하단부는 입구가 되며 상기 인장 유로의 상단부는 입구가 되어지되 상기 압축 유로의 입구 및 상기 인장 유로의 입구는 상기 압축 유로의 출구 및 상기 인장 유로의 출구에 비하여 큰 단면적을 형성하는 피스톤 몸체; 상기 피스톤 몸체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압축 유로에 대응하는 압축 연결홀이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인장 유로의 입구에 대응하는 인장 입구홈이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압축 리테이너; 상기 피스톤 몸체의 하부에 안착되고, 상기 인장 유로에 대응하는 인장 연결홀이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압축 유로의 입구에 대응하는 압축 입구홈이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인장 리테이너; 상기 인장 입구홈의 가장자리와 상기 압축 리테이너의 저면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피스톤 몸체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 위치결정부; 및 상기 압축 입구홈 가장자리와 상기 인장 리테이너의 상면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피스톤 몸체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는 제2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 유로의 출구는 상기 제1 위치결정부가 형성하는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인장 유로의 출구는 상기 제2 위치결정부가 형성하는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위치결정부는, 상기 압축 유로의 출구의 외측 가장자리 근방에 상기 피스톤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1 외측 시트편과, 상기 인장 유로의 입구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피스톤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1 내측 시트편과, 상기 제1 외측 시트편과 상기 제1 내측 시트편 각각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인장 유로의 입구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피스톤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1 연결 시트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 외측 시트편까지의 거리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 내측 시트편까지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인장 입구홈의 가장자리와 상기 압축 리테이너의 저면 가장자리는 상기 제1 외측 시트편과 제1 내측 시트편 및 상기 제1 연결 시트편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 외측 시트편까지의 거리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 내측 시트편까지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인장 입구홈의 가장자리와 상기 압축 리테이너의 저면 가장자리는 상기 제1 외측 시트편과 제1 내측 시트편 및 상기 제1 연결 시트편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제1 위치결정부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과 접촉되게 상기 피스톤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중심링 시트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축 리테이너의 저면 중심은 상기 제1 중심링 시트편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위치결정부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과 접촉되게 상기 피스톤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중심링 시트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중심링 시트편이 상기 피스톤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제1 외측 시트편과 상기 제1 내측 시트편 및 상기 제1 연결 시트편이 상기 피스톤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와 상호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 위치결정부는, 상기 인장 유로의 출구의 외측 가장자리 근방에 상기 피스톤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2 외측 시트편과, 상기 압축 유로의 입구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피스톤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2 내측 시트편과, 상기 제2 외측 시트편과 상기 제2 내측 시트편 각각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압축 유로의 입구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피스톤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2 연결 시트편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외측 시트편까지의 거리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내측 시트편까지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입구홈 가장자리와 상기 인장 리테이너의 상면 가장자리는 상기 제2 외측 시트편과 제2 내측 시트편 및 상기 제2 연결 시트편의 저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때, 상기 제2 위치결정부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과 접촉되게 상기 피스톤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중심링 시트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장 리테이너의 상면 중심은 상기 제2 중심링 시트편의 저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위치결정부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과 접촉되게 상기 피스톤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중심링 시트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중심링 시트편이 상기 피스톤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제2 외측 시트편과 상기 제2 내측 시트편 및 상기 제2 연결 시트편이 상기 피스톤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와 상호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제1, 2 위치결정부에 압축 리테이너와 인장 리테이너를 안착시키기만 하면 자연히 압축 유로와 인장 유로가 피스톤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통되므로, 조립과 체결시에 방향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잘못된 조립과 체결로 인한 오작동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피스톤 몸체의 상, 하 구분이 없고, 압축 리테이너와 인장 리테이너가 동일한 형상이므로, 피스톤 로드의 체결 방향에 따른 방향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신속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은 피스톤 로드에 압축 리테이너와 피스톤 몸체 및 인장 리테이너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기만 하여도 체결이 가능하므로, 숙련도에 관계없이 작업이 가능하므로 생산 비용의 절감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중 주요부인 피스톤 몸체의 상측에서 압축 리테이너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B 시점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중 주요부인 피스톤 몸체의 하측에서 인장 리테이너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중 주요부인 피스톤 몸체의 상측에서 압축 리테이너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B 시점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중 주요부인 피스톤 몸체의 하측에서 인장 리테이너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중 주요부인 피스톤 몸체의 상측에서 압축 리테이너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B 시점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중 주요부인 피스톤 몸체의 하측에서 인장 리테이너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2는 피스톤 몸체(300)의 상측에서 바라본 시점의 도면이므로, 도면의 상측이 '상측', 도면의 하측이 '하측'이 된다.
이에 비하여 도 3은 피스톤 몸체(300)의 하측에서 바라본 시점의 도면이므로, 도면의 상측이 '하측', 도면의 하측이 '상측'이 되며, 따라서, 피스톤 몸체(300)의 상면과 저면에 대한 정의 또한 역이 됨을 밝혀둔다.
또한, 도 1에서 미설명 부호로 CF는 압축 유로(301)를 따라 흐르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RF는 인장 유로(302)를 따라 흐르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몸체(300) 상부의 제1 위치결정부(100)에 압축 리테이너(400)가 안착되고, 피스톤 몸체(300) 하부의 제2 위치결정부(200)에 인장 리테이너(500)가 안착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피스톤 몸체(300)는 실린더(C)를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600)가 중앙에 관통되고, 피스톤 로드(600)의 주위에 상, 하 방향으로 압축 유로(301)와 인장 유로(302)가 차례로 관통되는 패턴이 반복되어 피스톤 로드(600)의 왕복에 연동하여 실린더(C)를 승강하는 것이다.
여기서, 압축 유로(301)의 하단부는 입구(301i)가 되며 인장 유로(302)의 상단부는 입구(302i)가 되어지되, 압축 유로(301)의 입구(301i) 및 인장 유로(302)의 입구(302i)는 압축 유로(301)의 출구(301e) 및 인장 유로(302)의 출구(302e)에 비하여 큰 단면적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압축 리테이너(400)는 피스톤 몸체(300)의 상부에 안착되고, 압축 유로(301)에 대응하는 압축 연결홀(401)이 상하로 관통되며, 인장 유로(302)의 입구(302i)에 대응하는 인장 입구홈(402)이 압축 리테이너(400)의 저면(도 2 참고)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다.
즉, 인장 입구홈(402)은 압축 리테이너(400)의 저면 가장자리로부터 피스톤 로드(600)가 관통되는 압축 리테이너(400)의 중심부측을 향하여 함몰된 구조이다.
다시말해, 인장 입구홈(402)은 인장 유로(302)의 입구(302i)와 함께 일종의 압력 챔버를 형성하여 인장 행정에 따른 작동 유체의 최초 유입시 급격한 감쇠력 발생에 따른 승차감 저하 현상을 저감하고 디그레시브(degressive)한 감쇠력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인장 리테이너(500)는 피스톤 몸체(300)의 하부에 안착되고, 인장 유로(302)에 대응하는 인장 연결홀(502)이 상하로 관통되며, 압축 유로(301)의 입구(301i)에 대응하는 압축 입구홈(501)이 인장 리테이너(500)의 상면(도 3 참고)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다.
즉, 압축 입구홈(501)은 인장 리테이너(500)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피스톤 로드(600)가 관통되는 인장 리테이너(500)의 중심부측을 향하여 함몰된 구조이다.
다시말해, 압축 입구홈(501)은 압축 유로(301)의 입구(301i)와 함께 일종의 압력 챔버를 형성하여 압축 행정에 따른 작동 유체의 최초 유입시 급격한 감쇠력 발생에 따른 승차감 저하 현상을 저감하고 디그레시브(degressive)한 감쇠력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제1 위치결정부(100)는 인장 입구홈(402)의 가장자리와 압축 리테이너(400)의 저면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되게 피스톤 몸체(300)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것이다.
제2 위치결정부(200)는 압축 입구홈(501) 가장자리와 인장 리테이너(500)의 상면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되게 피스톤 몸체(300)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압축 리테이너(400)를 제1 위치결정부(100)에 안착시키고, 인장 리테이너(500)를 제2 위치결정부(200)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도 피스톤 로드(600)의 길이 방향에 따른 피스톤 어셈블리의 체결 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1, 2 위치결정부(100, 200)의 형상 및 압축 유로(301)와 인장 유로(302)의 형상이 방향성을 고려할 필요없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즉 피스톤 몸체(300)의 상, 하를 뒤집어도 변함없는 압축, 인장 행정에 따른 감쇠 거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는 도 1 내지 도 3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이며, 상기와 같은 구조의 실시예에 따라 작업자는 돌기 등의 방향성을 고려한 부재의 위치를 확인하고 정확한 위치에 상호 체결을 시켜야 함에 따른 불필요한 작업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 위치결정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 몸체(300)의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압축 리테이너(400)가 안착되는 면적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 2를 참고로 하면, 제1 외측 시트편(111)과 제1 내측 시트편(121) 및 제1 연결 시트편(131)이 상호 연결되어 피스톤 몸체(300)의 상면에 기어이를 구비한 기어 형상으로 돌출된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어 형상으로 돌출된 영역은 제1 위치결정부(100)에 대응하는 인장 입구홈(402)의 가장자리와 압축 리테이너(400)의 저면 가장자리 형상과도 동일한 영역이다.
경우에 따라 인장 입구홈(402)의 가장자리와 압축 리테이너(400)의 저면 가장자리가 형성하는 영역의 면적을 제1 위치결정부(100)가 형성하는 기어 형상으로 돌출된 영역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압축 리테이너(400)가 정확하게 제1 위치결정부(100)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안착 결합되도록 하는 변형 및 응용 설계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 외측 시트편(111)은 압축 유로(301)의 출구(301e)의 외측 가장자리 근방에 피스톤 몸체(300)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다.
제1 내측 시트편(121)은 인장 유로(302)의 입구(302i)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피스톤 몸체(300)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다.
제1 연결 시트편(131)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외측 시트편(111)과 제1 내측 시트편(121) 각각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인장 유로(302)의 입구(302i)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피스톤 몸체(300)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다.
피스톤 로드(600)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 외측 시트편(111)까지의 거리는 피스톤 로드(600)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 내측 시트편(121)까지의 거리보다 큰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인장 입구홈(402)의 가장자리와 압축 리테이너(400)의 저면 가장자리는 제1 외측 시트편(111)과 제1 내측 시트편(121) 및 제1 연결 시트편(131)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이다.
또한, 압축 유로(301)의 출구(301e)는 조립 체결에 따른 방향성을 고려하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하여 제1 위치결정부(100)가 형성하는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외측 시트편(111)과 제1 내측 시트편(121) 및 제1 연결 시트편(131)이 피스톤 몸체(3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인장 입구홈(402)의 가장자리와 압축 리테이너(400)의 저면 가장자리가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상호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위치결정부(100)는 인장 입구홈(402)의 가장자리와 압축 리테이너(400)의 저면 가장자리가 더욱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피스톤 로드(600)의 외주면과 접촉되게 피스톤 몸체(3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중심링 시트편(141)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압축 리테이너(400)의 저면 중심은 제1 중심링 시트편(141)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중심링 시트편(141)이 피스톤 몸체(3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인장 입구홈(402)의 가장자리와 압축 리테이너(400)의 저면 가장자리가 더욱 정확하게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1 외측 시트편(111)과 제1 내측 시트편(121) 및 제1 연결 시트편(131)이 피스톤 몸체(3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와 상호 동일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제2 위치결정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 몸체(300)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인장 리테이너(500)가 안착되는 면적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 3을 참고로 하면, 제2 외측 시트편(212)과 제2 내측 시트편(222) 및 제2 연결 시트편(232)이 상호 연결되어 피스톤 몸체(300)의 저면에 기어이를 구비한 기어 형상으로 돌출된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어 형상으로 돌출된 영역은 제2 위치결정부(200)에 대응하는 아축 입구홈(501)의 가장자리와 인장 리테이너(500)의 상면 가장자리 형상과도 동일한 영역이다.
경우에 따라 압축 입구홈(501)의 가장자리와 인장 리테이너(500)의 상면 가장자리가 형성하는 영역의 면적을 제2 위치결정부(200)가 형성하는 기어 형상으로 돌출된 영역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인장 리테이너(500)가 정확하게 제2 위치결정부(200)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안착 결합되도록 하는 변형 및 응용 설계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 외측 시트편(212)은 인장 유로(302)의 출구(302e)의 외측 가장자리 근방에 피스톤 몸체(300)의 저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다.
제2 내측 시트편(222)은 압축 유로(301)의 입구(301i)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피스톤 몸체(300)의 저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다.
제2 연결 시트편(232)은 제2 외측 시트편(212)과 제2 내측 시트편(222) 각각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압축 유로(301)의 입구(301i)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피스톤 몸체(300)의 저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다.
피스톤 로드(600)의 외주면으로부터 제2 외측 시트편(212)까지의 거리는 피스톤 로드(600)의 외주면으로부터 제2 내측 시트편(222)까지의 거리보다 큰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압축 입구홈(501) 가장자리와 인장 리테이너(500)의 상면 가장자리는 제2 외측 시트편(212)과 제2 내측 시트편(222) 및 제2 연결 시트편(232)의 저면에 안착되는 것이다.
또한, 인장 유로(302)의 출구(302e)는 조립 체결에 따른 방향성을 고려하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하여 제2 위치결정부(200)가 형성하는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외측 시트편(212)과 제2 내측 시트편(222) 및 제2 연결 시트편(232)이 피스톤 몸체(30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압축 입구홈(501)의 가장자리와 인장 리테이너(500)의 상면 가장자리가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상호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위치결정부(200)는 압축 입구홈(501) 가장자리와 인장 리테이너(500)의 상면 가장자리가 더욱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피스톤 로드(600)의 외주면과 접촉되게 피스톤 몸체(30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중심링 시트편(24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인장 리테이너(500)의 상면 중심은 제2 중심링 시트편(242)의 저면에 안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중심링 시트편(242)이 피스톤 몸체(30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압축 입구홈(501) 가장자리와 인장 리테이너(500)의 상면 가장자리가 더욱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2 외측 시트편(212)과 제2 내측 시트편(222) 및 제2 연결 시트편(232)이 피스톤 몸체(30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와 상호 동일해야 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오조립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과 체결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100...제1 위치결정부 200...제2 위치결정부
300...피스톤 몸체 400...압축 리테이너
500...인장 리테이너 600...피스톤 로드
300...피스톤 몸체 400...압축 리테이너
500...인장 리테이너 600...피스톤 로드
Claims (11)
- 실린더(C)를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600)가 중앙에 관통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600)의 주위에 상, 하 방향으로 압축 유로(301)와 인장 유로(302)가 차례로 관통되는 패턴이 반복되며, 상기 압축 유로(301)의 하단부는 입구(301i)가 되며 상기 인장 유로(302)의 상단부는 입구(302i)가 되어지되 상기 압축 유로(301)의 입구(301i) 및 상기 인장 유로(302)의 입구(302i)는 상기 압축 유로(301)의 출구(301e) 및 상기 인장 유로(302)의 출구(302e)에 비하여 큰 단면적을 형성하는 피스톤 몸체(300);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압축 유로(301)에 대응하는 압축 연결홀(401)이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인장 유로(302)의 입구(302i)에 대응하는 인장 입구홈(402)이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압축 리테이너(400);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하부에 안착되고, 상기 인장 유로(302)에 대응하는 인장 연결홀(502)이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압축 유로(301)의 입구(301i)에 대응하는 압축 입구홈(501)이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인장 리테이너(500);
상기 인장 입구홈(402)의 가장자리와 상기 압축 리테이너(400)의 저면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 위치결정부(100); 및
상기 압축 입구홈(501) 가장자리와 상기 인장 리테이너(500)의 상면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는 제2 위치결정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 유로(301)의 출구(301e)는 상기 제1 위치결정부(100)가 형성하는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인장 유로(302)의 출구(302e)는 상기 제2 위치결정부(200)가 형성하는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결정부(100)는,
상기 압축 유로(301)의 출구(301e)의 외측 가장자리 근방에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1 외측 시트편(111)과,
상기 인장 유로(302)의 입구(302i)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1 내측 시트편(121)과,
상기 제1 외측 시트편(111)과 상기 제1 내측 시트편(121) 각각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인장 유로(302)의 입구(302i)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1 연결 시트편(1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600)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 외측 시트편(111)까지의 거리는 상기 피스톤 로드(600)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 내측 시트편(121)까지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인장 입구홈(402)의 가장자리와 상기 압축 리테이너(400)의 저면 가장자리는 상기 제1 외측 시트편(111)과 제1 내측 시트편(121) 및 상기 제1 연결 시트편(131)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 시트편(111)과 상기 제1 내측 시트편(121) 및 상기 제1 연결 시트편(131)이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호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서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결정부(100)는,
상기 피스톤 로드(600)의 외주면과 접촉되게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중심링 시트편(14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축 리테이너(400)의 저면 중심은 상기 제1 중심링 시트편(141)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결정부(100)는,
상기 피스톤 로드(600)의 외주면과 접촉되게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중심링 시트편(14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중심링 시트편(141)이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제1 외측 시트편(111)과 상기 제1 내측 시트편(121) 및 상기 제1 연결 시트편(131)이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와 상호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결정부(200)는,
상기 인장 유로(302)의 출구(302e)의 외측 가장자리 근방에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저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2 외측 시트편(212)과,
상기 압축 유로(301)의 입구(301i)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저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2 내측 시트편(222)과,
상기 제2 외측 시트편(212)과 상기 제2 내측 시트편(222) 각각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압축 유로(301)의 입구(301i)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저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2 연결 시트편(232)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600)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외측 시트편(212)까지의 거리는 상기 피스톤 로드(600)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내측 시트편(222)까지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압축 입구홈(501) 가장자리와 상기 인장 리테이너(500)의 상면 가장자리는 상기 제2 외측 시트편(212)과 제2 내측 시트편(222) 및 상기 제2 연결 시트편(232)의 저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 삭제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외측 시트편(212)과 상기 제2 내측 시트편(222) 및 상기 제2 연결 시트편(232)이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호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서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결정부(200)는,
상기 피스톤 로드(600)의 외주면과 접촉되게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중심링 시트편(2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장 리테이너(500)의 상면 중심은 상기 제2 중심링 시트편(242)의 저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결정부(200)는,
상기 피스톤 로드(600)의 외주면과 접촉되게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중심링 시트편(2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중심링 시트편(242)이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제2 외측 시트편(212)과 상기 제2 내측 시트편(222) 및 상기 제2 연결 시트편(232)이 상기 피스톤 몸체(30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와 상호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7784A KR101457662B1 (ko) | 2013-03-15 | 2013-03-15 |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7784A KR101457662B1 (ko) | 2013-03-15 | 2013-03-15 |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3000A KR20140113000A (ko) | 2014-09-24 |
KR101457662B1 true KR101457662B1 (ko) | 2014-11-07 |
Family
ID=51757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7784A KR101457662B1 (ko) | 2013-03-15 | 2013-03-15 |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766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9062B1 (ko) * | 2015-02-02 | 2017-01-23 | 주식회사 만도 | 쇽업소버의 바디 밸브 어셈블리 |
CN111043224B (zh) * | 2019-12-19 | 2021-09-28 | 湖南联诚轨道装备有限公司 | 一种油压减振器底阀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14012A (ja) | 2007-06-29 | 2009-01-22 | Hitachi Ltd | 緩衝器 |
KR20090102713A (ko) * | 2008-03-26 | 2009-09-30 |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 유체압 완충기 |
KR20110001283A (ko) * | 2009-06-30 | 2011-01-06 | 주식회사 만도 |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조립체 |
-
2013
- 2013-03-15 KR KR1020130027784A patent/KR10145766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14012A (ja) | 2007-06-29 | 2009-01-22 | Hitachi Ltd | 緩衝器 |
KR20090102713A (ko) * | 2008-03-26 | 2009-09-30 |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 유체압 완충기 |
KR20110001283A (ko) * | 2009-06-30 | 2011-01-06 | 주식회사 만도 |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조립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3000A (ko) | 2014-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4875B1 (ko) |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 |
KR101375804B1 (ko) | 주파수 및 압력 감응형 쇽업소버 | |
US8973726B2 (en) | Hydraulic shock absorber | |
US9086111B2 (en) | Valve assembly of shock absorber | |
US8752682B2 (en) | Piston assembly of shock absorber | |
WO2018155339A1 (ja) | 緩衝器 | |
US11199241B2 (en) | Damper | |
CN103097764A (zh) | 油箱用橡胶垫 | |
CN101796323A (zh) | 具有全位移阀组件的减振器 | |
KR101457662B1 (ko) |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 |
CA2820000A1 (en) | Axially damped hydraulic mount assembly | |
US20130220751A1 (en) | Dust lip for shock absorber | |
JP2019105270A (ja) | ツーピース型オイルゼットアセンブリー及びその製造方法 | |
EP3477145B1 (en) | Shock absor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252212B1 (ko) | 진동흡수댐퍼 | |
KR101364454B1 (ko) |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 |
KR101913116B1 (ko) | 쇽업소버의 더스트 씰 어셈블리 | |
JPH07238973A (ja) | 油圧緩衝器 | |
JP4883279B2 (ja) | シリンダ装置 | |
US20110070106A1 (en) | Air compressor structure | |
KR101716694B1 (ko) | 쇽업소버용 피스톤 | |
KR101325746B1 (ko) | 쇽업소버의 체결 구조 | |
KR101699062B1 (ko) | 쇽업소버의 바디 밸브 어셈블리 | |
JP2918302B2 (ja) | 緩衝器用ピストン | |
EP2901039A1 (en) | Shock absorber having hydraulic damping mechanis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