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617B1 - 사진액자 조립체 - Google Patents

사진액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617B1
KR101457617B1 KR1020140031863A KR20140031863A KR101457617B1 KR 101457617 B1 KR101457617 B1 KR 101457617B1 KR 1020140031863 A KR1020140031863 A KR 1020140031863A KR 20140031863 A KR20140031863 A KR 20140031863A KR 101457617 B1 KR101457617 B1 KR 101457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se panel
picture
area
canvas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숙
Original Assignee
최승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숙 filed Critical 최승숙
Priority to KR1020140031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8Picture frame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4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for decorative plat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사진액자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진액자 조립체는, 판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패널; 베이스패널의 적어도 정면을 둘러싸고 베이스패널에 결합되며 정면에 사진이 결합되는 사진결합영역이 구비되는 캔버스천; 및 사진결합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사진의 테두리를 지지하여 캔버스천에 밀착시키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서로 다른 크기의 사진이 결합되도록, 고정프레임은 베이스패널을 상대로 서로 다른 지점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프레임이 베이스패널의 정면에 결합됨에 있어서 서로 다른 지점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사진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캔버스천에서 사진결합영역 주변으로 그림영역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진과 그림영역이 동일 평면에서 표현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사진과 그림영역의 조화 및 미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진액자 조립체{PICTURE FRAME ASSEMBLY}
본 발명은 사진액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캔버스천을 이용하여 그림 등이 사진과 함께 표현되고 사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사진액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액자는 회화작품을 넣어 걸기 위해 만든 틀을 의미한다. 액자는 그림을 주위의 벽에서 격리시키거나 벽면과 조화되도록 하여 미감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작품의 오손을 막고 방진, 방습 등의 보존상의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액자에는 그림과 같은 작품뿐 아니라 사진이 수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액자는 액자프레임 내부에 그림 또는 사진이 수납되는 형태로 되어 있어 미감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대부분의 액자가 이러한 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액자는 일반적으로 그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다양한 형태의 미감을 표현하거나 다양한 사이즈의 사진을 고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0001)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4286호(공고일: 2001.09.25)
본 발명의 목적은, 사진을 고정하는 액자를 형성함에 있어서 액자를 형성하는 프레임의 주변으로 그림이 함께 표현되도록 하여 액자의 미감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사이즈의 사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형태가 가변적인 사진액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판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의 적어도 정면을 둘러싸고 상기 베이스패널에 결합되며 정면에 사진이 결합되는 사진결합영역이 구비되는 캔버스천; 및 상기 사진결합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사진의 테두리를 지지하여 상기 캔버스천에 밀착시키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서로 다른 크기의 상기 사진이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베이스패널을 상대로 서로 다른 지점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사진의 좌측단, 우측단, 상측단 및 하측단 각각을 개별적으로 지지하도록,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상측프레임 및 하측프레임으로 구분되고,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상측프레임 및 하측프레임은, 상기 사진결합영역의 중앙 쪽 또는 배면 쪽으로 탄력지지되도록 탄성밴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밴드는, 상기 좌측프레임과 우측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제1 탄성밴드; 및 상기 상측프레임과 하측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제2 탄성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탄성밴드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캔버스천에는 상기 탄성밴드가 관통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사진결합영역의 중앙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이동영역; 및 상기 이동영역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단부가 상기 사진결합영역의 중앙쪽을 향하여 기울어지는 고정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영역은 다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이동영역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탄성밴드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캔버스천은, 상기 사진결합영역의 크기가 가변되도록 탄력적으로 신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캔버스천에서 상기 사진결합영역의 주변에는, 그림, 무늬, 문양 또는 색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시되는 그림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캔버스천은, 상기 사진결합영역 내에서 접착제 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진 부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캔버스천은, 상기 사진결합영역의 크기가 가변되도록 탄력적으로 신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사진의 좌측단, 우측단, 상측단 및 하측단 각각을 개별적으로 지지하도록,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상측프레임 및 하측프레임으로 구분되고,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상측프레임 및 하측프레임 각각은, 상기 캔버스천 및 상기 사진에 점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프레임이 베이스패널의 정면에 결합됨에 있어서 서로 다른 지점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사진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캔버스천에서 사진결합영역 주변으로 그림영역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진과 그림영역이 동일 평면에서 표현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사진과 그림영역의 조화 및 미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액자 조립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진액자 조립체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진액자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진액자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진액자 조립체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액자 조립체(1)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진액자 조립체(1)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진액자 조립체(1)는, 베이스패널(10), 캔버스천(20) 및 고정프레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사진액자 조립체(1)는 그 앞쪽에 사진(a, b)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패널(10)의 앞쪽면을 정면으로 하고, 그 뒤쪽을 배면으로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베이스패널(10)은 판(board)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패널(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액자 조립체(1)의 전체적인 모양을 이루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편평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원형, 타원형, 마름모형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베이스패널(10)의 정면은 전체적으로 수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둥글게 굽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4 참조)
베이스패널(10)은 금속, 목재, 종이, 합성수지 또는 유리 등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패널(10)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1 관통홀(11)이 형성된다.
제1 관통홀(11)은 후술할 탄성밴드(40)가 관통하도록 이루어진 구멍이며, 따라서 제1 관통홀(11)은 베이스패널(10)을 관통하는 탄성밴드(40)의 숫자 및 위치에 따라 구비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밴드(40)가 제1 탄성밴드(41)와 제2 탄성밴드(42)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관통홀(11)은 베이스패널(10)의 상, 하, 좌, 우 4곳에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관통홀(11)이 4곳에 형성되는 경우, 각 제1 관통홀(11)은 베이스패널(10)의 중앙(12)을 중심으로, 점대칭, 좌우대칭 또는 상하대칭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11)은 탄성밴드(40)가 관통하면서 아울러 탄성밴드(4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이동영역(11a) 및 고정영역(11b)으로 구분된다.
이동영역(11a)은 사진결합영역(22)의 중앙(베이스패널(10)의 중앙(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영역(11b)은 이동영역(11a)에서 연장되며, 이동영역(11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단부가 사진결합영역(22)의 중앙 쪽을 향하여 기울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고정영역(11b)은 이동영역(11a)과 직교하는 형태가 아니고 베이스패널(10)의 중앙(12) 쪽을 향하여 다소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고정영역(11b)은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이동영역(1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면서 반복형성될 수 있다.
캔버스천(20)은 베이스패널(10)을 둘러싸도록 이루어지며, 적어도 베이스패널(10)의 정면을 덮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캔버스천(20)은 그 넓이가 베이스패널(10)보다 크거나 같도록 이루어진다. 캔버스천(20)이 베이스패널(10)의 정면을 감싼 상태에서 베이스패널(10)의 측면 또는 뒤쪽에 고정되기 위하여 볼트, 못, 핀, 스테이플러(stapler), 고정끈(26), 접착제와 같은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캔버스천(20)은 통상의 캔버스(canvas), 직물(fabric)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캔버스천(20) 상에(특히, 그림영역(23) 상에) 물감, 잉크 등을 이용한 그림이 표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진액자 조립체(1)에서 캔버스천(20)은 신축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캔버스천(20)은 스판덱스(spandex), 스트레치 패브릭(stretchy fabric)과 같은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캔버스천(20)이 베이스패널(10)의 정면을 감싼 상태에서 캔버스천(20)의 앞쪽면에는 사진결합영역(22) 및 그림영역(23)이 형성된다.
사진결합영역(22)은 캔버스천(2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며, 사진결합영역(22) 상에 사진이 결합된다. 사진결합영역(22)의 모양은 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사진(a, b)과 캔버스천(20)의 결합은 고정프레임(3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보다 안정된 결합을 위하여 사진결합영역(22) 상에는 부착층(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층(24)은 사진결합영역(22)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고, 캔버스천(20)의 정면 상에서 접착제 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며, 이러한 부착층(24)에서 사진(a, b)의 배면이 안정되게 접착 또는 점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부착층(24)이 형성된 부분에서 의도하지 않은 부착이나 부착층(24)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진결합영역(22) 상에는 이형지(25) 또는 박리테이프 등이 추가로 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형지(25) 등을 제거한 후 사진(a, b)이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림영역(23)은 사진결합영역(22)의 주변에 형성되며, 그림, 무늬, 문양 또는 색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림영역(23)에서 그림 등은, 사용자가 잉크 또는 물감을 사용하여 직접 표현할 수 있으며, 또는 프린트 장치를 사용하여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캔버스천(20)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2 관통홀(21)이 형성된다.
제2 관통홀(21)은 탄성밴드(40)가 관통하도록 이루어진 구멍이며, 따라서 제2 관통홀(21)은 캔버스천(20)을 관통하는 탄성밴드(40)의 숫자 및 위치에 따라 구비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밴드(40)가 제1 탄성밴드(41)와 제2 탄성밴드(42)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 관통홀(21)은 사진결합영역(22)의 상하좌우 4곳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관통홀(21)은 제1 관통홀(11)과 대응된 위치에 형성되며, 특히 고정영역(11b)과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다.
고정프레임(30)은 사진결합영역(2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사진의 테두리를 지지하여 사진이 캔버스천(20)에 밀착되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대체로 얇은 판 또는 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프레임(30)은 금속, 목재, 종이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프레임(30)의 모양은 사진결합영역(22) 또는 사진의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프레임(30)은 사진의 좌측단, 우측단, 상측단 및 하측단 각각을 개별적으로 지지하도록, 좌측프레임(31), 우측프레임(32), 상측프레임(33) 및 하측프레임(34)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진 및 사진결합영역(22)이 사각형 형태인 경우, 좌측프레임(31), 우측프레임(32), 상측프레임(33) 및 하측프레임(34) 또한 조합시 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 기다란 선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만, 좌측프레임(31), 우측프레임(32), 상측프레임(33) 및 하측프레임(34) 각각은 직사각형 형태보다는, 다소 불규칙한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진 테두리 부분에서의 자연스러운 미감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30)은 베이스패널(10)을 상대로 서로 다른 지점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사진(a, b)이 사진액자 조립체(1) 상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고정프레임(30)을 이루는 좌측프레임(31), 우측프레임(32), 상측프레임(33) 및 하측프레임(34)은 사진결합영역(22)의 중앙 쪽 또는 배면 쪽으로 탄력지지되도록 탄성밴드(40)가 결합된다. 여기서, 탄성밴드(40)는 고무줄과 같이 탄성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수단을 말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밴드(40)는 제1 탄성밴드(41)와 제2 탄성밴드(42)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탄성밴드(41)는 좌측프레임(31)과 우측프레임(32)을 서로 연결하고, 제2 탄성밴드(42)는 상측프레임(33)과 하측프레임(34)을 서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는, 제1 탄성밴드(41)와 제2 탄성밴드(42)가 각각 하나씩 형성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1 탄성밴드(41) 및 제2 탄성밴드(42)는 2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제1 관통홀(11) 및 제2 관통홀(21)의 숫자 또한 증가되 수 있다.
제1 탄성밴드(41)는 베이스패널(10) 뒤쪽에 위치하면서 양쪽 단부가 제1 관통홀(11) 및 제2 관통홀(21)을 통하여 앞쪽으로 관통하여 좌측프레임(31) 및 우측프레임(32)의 배면에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제1 탄성밴드(41)는 탄성에너지를 저장하도록 인장된 상태에서 좌측프레임(31) 및 우측프레임(32)과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1 탄성밴드(41)는 좌측프레임(31) 및 우측프레임(32)의 배면이 캔버스천(20)에 밀착되도록 탄력지지하게 된다.
제2 탄성밴드(42) 또한 베이스패널(10) 뒤쪽에 위치하면서 양쪽 단부가 제1 관통홀(11) 및 제2 관통홀(21)을 통하여 앞쪽으로 관통하여 상측프레임(33) 및 하측프레임(34)의 배면에 고정결합된다.
또한 제2 탄성밴드(42)는 탄성에너지를 저장하도록 인장된 상태에서 상측프레임(33) 및 하측프레임(34)과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2 탄성밴드(42)는 상측프레임(33) 및 하측프레임(34)의 배면이 캔버스천(20)에 밀착되도록 탄력지지하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진액자 조립체(1)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에서 A-A에서 바라본 단면이고, 도 3(b)는 도 2(b)에서 B-B에서 바라본 단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진액자 조립체(1)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사진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상대적으로 작은 사진(a)이 사진액자 조립체(1)에 결합되는 경우, 탄성밴드(40)는 제1 관통홀(11)을 관통함에 있어서, 베이스패널(10)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고정영역(11b)을 관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고정영역(11b)은 베이스패널(10)의 중앙(12) 쪽을 향하여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탄성밴드(40)는 인장된 상태에서 탄성에너지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탄성밴드(40)는 제1 관통홀(11)의 이동영역(11a) 쪽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30)을 캔버스천(20) 앞쪽 방향으로 살짝 당기거나 좌측프레임(31), 우측프레임(32), 상측프레임(33) 및 하측프레임(34)을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프레임(30) 사이에 사진(a)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사진(a)이 삽입된 후 고정프레임(30)을 놓게 되면, 고정프레임(30)의 배면이 사진을 가압하면서 캔버스천(20)의 사진결합영역(22) 상에 사진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도 3(a) 참조)
이때, 좌측프레임(31), 우측프레임(32), 상측프레임(33) 및 하측프레임(34)은 각 길이가 사진(a)의 변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겹쳐진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대적으로 큰 사진(b)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탄성밴드(40)를 앞쪽으로 당겨 제1 관통홀(11)의 이동영역(11a)으로 이동시킨 후, 베이스패널(10)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고정영역(11b)으로 탄성밴드(40)를 옮길 수 있다.
이때, 신축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캔버스천(20)을 확장시켜 사진결합영역(22)의 크기를 확장시켜며, 아울러 각 제2 관통홀(21) 간의 거리를 확장시킨다. 여기서, 캔버스천(20)의 확장은, 제2 관통홀(21)과 이동시키고자 하는 제1 관통홀(11)의 고정영역(11b)이 일치되는 범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역시, 고정프레임(30)을 캔버스천(20) 앞쪽 방향으로 당기거나 좌측프레임(31), 우측프레임(32), 상측프레임(33) 및 하측프레임(34)을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프레임(30) 사이에 상대적으로 큰 사진(b)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사진(b)이 삽입된 후 고정프레임(30)을 놓아 사진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도 3(b)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진액자 조립체(1)에 의하면, 고정프레임(30)이 베이스패널(10)의 정면에 결합됨에 있어서 서로 다른 지점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사진(a, b)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캔버스천(20)에서 사진결합영역(22) 주변으로 그림영역(23)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진과 그림영역(23)이 동일 평면에서 표현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사진과 그림영역(23)의 조화 및 미감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진액자 조립체(1)에서, 탄성밴드(4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좌측프레임(31), 우측프레임(32), 상측프레임(33) 및 하측프레임(34) 각각은, 캔버스천(20) 및 사진에 점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캔버스천(20)을 신축시킨 후 사진(a, b)에 맞게 재부착하는 방법으로 사진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진액자 조립체(1)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는 캔버스천(20)이 베이스패널(10)을 감싸는 형태로 베이스패널(10)과 캔버스천(20)을 결합시킨 형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결합에 앞서, 별도의 프린트장치를 이용하여 캔버스천(20)의 그림영역(23)에 미리 그림 등이 표현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베이스패널(10)과 캔버스천(20)의 결합 후 그림영역(23)이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캔버스천(20)에서 사진결합영역(22) 상에는 점착제 등을 도포하여 부착층(24)을 형성할 수 있고, 부착층(24)의 손상 방지를 위하여 이형지(25)를 부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캔버스천(20) 상에 사진(a, b)을 부착하고자 하는 경우, 사진결합영역(22) 상에 부착된 이형지(25)를 제거한 후, 사진, 특히 사진의 가운데 부분이 캔버스천(20)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부착한다.(도 5(b))
다음으로 사진(a, b)의 테두리를 따라 고정프레임(30)을 결합시키며, 이때 고정프레임(30)은 종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접착의 방법으로 사진(a, b)의 테두리 및 캔버스천(20)에 부착될 수 있다.(도 5(c))
고정프레임(30)을 부착하는 것으로 사진액자 조립체(1)를 완성할 수 있으나,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30)의 주변으로 추가적인 장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사진액자 조립체 10 : 베이스패널
11 : 제1 관통홀 11a : 이동영역
11b : 고정영역 20 : 캔버스천
21 : 제2 관통홀 22 : 사진결합영역
23 : 그림영역 24 : 부착층
25 : 이형지 30 : 고정프레임
31 : 좌측프레임 32 : 우측프레임
33 : 상측프레임 34 : 하측프레임
40 : 탄성밴드 41 : 제1 탄성밴드
42 : 제2 탄성밴드
a, b : 사진

Claims (10)

  1. 판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의 적어도 정면을 둘러싸고 상기 베이스패널에 결합되며 정면에 사진이 결합되는 사진결합영역이 구비되는 캔버스천; 및
    상기 사진결합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사진의 테두리를 지지하여 상기 캔버스천에 밀착시키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서로 다른 크기의 상기 사진이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베이스패널을 상대로 서로 다른 지점에서 고정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사진의 좌측단, 우측단, 상측단 및 하측단 각각을 개별적으로 지지하도록,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상측프레임 및 하측프레임으로 구분되고,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상측프레임 및 하측프레임은, 상기 사진결합영역의 중앙 쪽 또는 배면 쪽으로 탄력지지되도록 탄성밴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는,
    상기 좌측프레임과 우측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제1 탄성밴드; 및
    상기 상측프레임과 하측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제2 탄성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에는 상기 탄성밴드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캔버스천에는 상기 탄성밴드가 관통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사진결합영역의 중앙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이동영역; 및
    상기 이동영역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단부가 상기 사진결합영역의 중앙쪽을 향하여 기울어지는 고정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영역은 다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이동영역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 조립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탄성밴드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캔버스천은, 상기 사진결합영역의 크기가 가변되도록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 조립체.
  8.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캔버스천에서 상기 사진결합영역의 주변에는, 그림, 무늬, 문양 또는 색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시되는 그림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 조립체.
  9.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캔버스천은, 상기 사진결합영역 내에서 접착제 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진 부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버스천은, 상기 사진결합영역의 크기가 가변되도록 탄력적으로 신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사진의 좌측단, 우측단, 상측단 및 하측단 각각을 개별적으로 지지하도록,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상측프레임 및 하측프레임으로 구분되고,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상측프레임 및 하측프레임 각각은, 상기 캔버스천 및 상기 사진에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 조립체.
KR1020140031863A 2014-03-18 2014-03-18 사진액자 조립체 KR101457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863A KR101457617B1 (ko) 2014-03-18 2014-03-18 사진액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863A KR101457617B1 (ko) 2014-03-18 2014-03-18 사진액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617B1 true KR101457617B1 (ko) 2014-11-07

Family

ID=52287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863A KR101457617B1 (ko) 2014-03-18 2014-03-18 사진액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6406A (zh) * 2017-01-13 2017-05-31 广东省智能制造研究所 一种相框自动化组装的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5039A1 (en) * 2000-03-10 2001-11-29 Lee Jack R. Flat light panel thin mount illuminated picture frame
KR200337698Y1 (ko) * 2003-08-23 2004-01-13 최선옥 액자
KR20080098982A (ko) * 2007-05-08 2008-11-12 이상준 사진액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5039A1 (en) * 2000-03-10 2001-11-29 Lee Jack R. Flat light panel thin mount illuminated picture frame
KR200337698Y1 (ko) * 2003-08-23 2004-01-13 최선옥 액자
KR20080098982A (ko) * 2007-05-08 2008-11-12 이상준 사진액자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6406A (zh) * 2017-01-13 2017-05-31 广东省智能制造研究所 一种相框自动化组装的方法及系统
CN106736406B (zh) * 2017-01-13 2019-02-26 广东省智能制造研究所 一种相框自动化组装的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29024S1 (en) Display case
US8134651B1 (en) Television frame device
USD878903S1 (en) Quick release equipment mount
US20060143964A1 (en) Magnetic picture frames in framed display field
US8904688B1 (en) Picture frame with protective cover and interchangable canvas
JP3168090U (ja) 携帯端末装置のカバー
USD912062S1 (en) Electronic display apparatus with a mount and display
USD911831S1 (en) Tarp anchor with optional locking base
US9730534B2 (en) Magnetic mounting system and method
USD816768S1 (en) Stretched canvas banner
USD736523S1 (en) Sports themed picture frame
KR101457617B1 (ko) 사진액자 조립체
JP2016528978A (ja) 装飾フレーム
US20160065803A1 (en) Television Display Device
US9517655B2 (en) Display frame
US10628112B2 (en) Changeable signage system
US20120227298A1 (en) Sign Exhibiting Kit
USD847107S1 (en) Pole-mountable digital banner
US20040255499A1 (en) Decorative support assembly
KR20160002536U (ko) 아크릴 액자
US2015008267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rames and frame mat board design
US20160140884A1 (en) Mounting board with net mounting means
KR102108416B1 (ko) 경사지지구와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경사지지구를 이용한 경사지지 물품 세트
USD931023S1 (en) Rotating display
JP3157645U (ja) 展示用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