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435B1 - Water supply apparatus for a sprinkler - Google Patents

Water supply apparatus for a sprink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435B1
KR101457435B1 KR1020130074158A KR20130074158A KR101457435B1 KR 101457435 B1 KR101457435 B1 KR 101457435B1 KR 1020130074158 A KR1020130074158 A KR 1020130074158A KR 20130074158 A KR20130074158 A KR 20130074158A KR 101457435 B1 KR101457435 B1 KR 101457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supply pump
uni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1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규
Original Assignee
(주)대림소방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28922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5743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림소방공사 filed Critical (주)대림소방공사
Priority to KR1020130074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4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4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1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of a cabinet form to automatically supply water to a temporary sprinkler using a water supply. The water supply apparatus for a temporary sprinkler includes: a casing (110) having a water tank (130) disposed therein and an output unit (120) which display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such as operation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in texts by items and output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item by lighting of a lamp; a static water level control unit (131) which is connected with a water supply line to constantly control a storage amount of water which is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ipe disposed in the casing and is stored in the water tank; a water level detecting unit (132)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a water supply pump (140) which is assembled with a firefighting line (OL), has an outlet connected with a discharge pipeline (L2) disposed inside the casing (110) and an inlet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FP)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tank (130) in order to discharg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30) to the discharge pipeline (L2); first and second check valves (151)(152) for preventing a back flow of water inside a pipeline part; a pressure switch (161) and a flow rate switch (162) for detecting pressure and flowing water of the discharge pipe; a battery (170)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casing to be used as standby power; and a control unit (200) which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pressure switch or the flow rate switch to control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receives commercial electricity to charge the battery and operates the water supply pump using electricity of the battery.

Description

간이 스프링클러용 소방용수 공급장치{Water supply apparatus for a sprinkle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apparatus for a sprinkler,

본 발명은 간이 스프링클러에 상수도를 이용하여 소방용수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캐비닛 형태의 소방용수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ire-fighting water supply system in the form of a cabinet for automatically supplying fire-fighting water to a simple sprinkler using a water supply.

스크링클러 시스템은 건물 내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에 초기 진압을 위한 설비로서,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화재가 감지된 지역의 스크링클러가 작동하여 화재의 진압이 이루어진다.The sclerkler system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it is a facility for initial suppression when a fire occurs. It automatically detects the fire and the scraper in the area where the fire is detected operates to suppress the fire.

일반적인 스크링클러 시스템은 대형 건물 등에서는 의무적으로 설치되며, 충분한 소방용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지하와 옥상에 대형 수조가 설치되고 각 층마다 설치된 스크링클러에 소방용수를 압송하기 위한 급수라인과 다수의 급수펌프가 설치되어야 하며, 옥상수조로 물을 양수하기 위한 양수라인과 양수펌프 들이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형 건물에 설치되는 스크링클러 시스템은 시공과 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이 발생된다.The general scracler system is installed mandatory in large buildings, and a large water tank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rooftop to ensure sufficient water for fire fighting, a water line for feeding the water for fire to the scroller installed on each floor, A water supply pump should be installed, and a water supply line and water pumps should be installed to pump water to the rooftop water tank. Therefore, a scraping system installed in a large building costs a lot of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한편 대형 건물의 스크링클러 시스템과는 달리 소형 주택이나 소규모 건물에서는 소화기나 간단한 소화장비 만을 비치하고 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화재 초기에 신속한 진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sclerkler system of a large building, small houses or small buildings only contain fire extinguishers or simpl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간이 스크링클러를 사용한 소규모 소방설비가 제안되어 있다.To solve these problems, a small-scale fire fighting facility using a simple scraper has been proposed.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4,366,865호(등록일자: 1983.01.04)는 수조를 이용한 일체형 스크링클러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으며, 초기에 직수공급관으로부터 스크링클러 헤드에 물을 공급하며, 더 많은 물의 공급이 요구될 때에는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펌프에 의하여 스크링클러 헤드로 압송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For example, U.S. Pat. No. 4,366,865 (Registered on Mar. 1, 1983) proposes a monolithic scraping system using a water tank, initially supplying water to the scraping head from the direct feed pip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can be pumped to the scrachler head by the pump.

도 1은 상기 미국특허의 스크링클러 시스템의 구성도로써, 직수공급관(18)으로부터 저수조(14)로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며, 만수가 되면 수위 레벨제어수단(26)에 의해 물공급이 차단된다. 또한 직수공급관(18)은 분기된 브랜치(22)를 통하여 주공급관(34)에 직접 연결되어 물을 스크링클러 헤드로 공급하게 되며, 다수개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사용으로 인하여 주공급관(34)의 압력이 저하된 것을 압력스위치(36)가 감지하게 되면, 펌프(16)가 가동되어 저수조(14)의 물을 스크링클러 헤드로 공급하게 된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the scraping system of the U.S. Patent No. 6,402,207. Water is supplied from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18 to the water storage tank 14 and stored. When the water storage tank 14 is full, do.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18 is connected directly to the main supply pipe 34 through the branched branch 22 to supply water to the scrachler head and the pressure of the main supply pipe 34 due to the use of a plurality of sprinkler heads The pump 16 is operated to supply the water of the water storage tank 14 to the scraping head.

한편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브랜치(22)와 주공급관(34)에 각각 체크밸브(30)(42)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check valves 30 and 42 are provided on the branch 22 and the main supply pipe 34, respectively, to prevent backflow.

미국특허 제4,366,865호(등록일자: 1983.01.04)U.S. Patent No. 4,366,865 (registered date: 1983.01.04)

등록특허공보 제10-0456071호(등록일자: 2004.10.28)
Patent Registration No. 10-0456071 (registered on October 28, 2004)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간이 스크링클러 시스템을 더욱 개선하여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며 조작 및 관리가 용이한 간이 스프링클러용 소방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vide a water supply device for a fire extinguisher for a simple sprinkler which can be easily moved and installed and is easy to operate and manage by further improving the conventional simple scraping system.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스프링클러용 소방용수 공급장치는, 내부에 수조가 수납되며, 외부에 동작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가 항목 별로 문자로 표기되어 해당 항목에 대한 램프의 점등에 의해 정보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출력부가 일체로 마련된 케이싱과; 상수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에 마련된 급수배관을 통해 공급되어 상기 수조에 저장되는 소화용수의 저장량을 일정하게 조절하게 되는 정수위 조절부와; 상기 수조 내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수위검출부와; 다수의 스프링클러 헤드를 갖는 소방라인과 조립되어 상기 케이싱 내에 마련되는 토출배관과 토출구가 연결되며, 상기 수조와 연통되는 급수파이프에 흡입구가 연결되어 상기 수조에 저장된 소화용수를 상기 토출배관으로 토출하기 위한 급수펌프와; 상기 급수배관과 상기 토출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에 마련되어 급수배관에서 토출배관으로 공급되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1체크밸브와; 급수파이프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펌프에서 상기 수조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체크밸브와; 상기 토출배관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스위치와; 상기 토출배관의 유수를 검출하기 위한 유량스위치와; 상기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어 예비전원으로 사용이 가능한 배터리와; 상기 압력스위치 또는 상기 유량스위치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정전 시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급수펌프를 구동하게 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ire water supply device for a simple sprink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tank inside, and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opera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outside in letters, A casing integrally provided with an output section for outputting information by lighting; A water level adjusting unit connected to the constant line and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ipe provided in the casing to constantly adjust the amount of water to be stored in the water tank;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a discharge pipe provided in the casing and connected to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a fire line having a plurality of sprinkler heads and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communicated with the water tank and discharging fir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o the discharge pipe A water supply pump; A first check valve provided in a connection pipe for connecting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discharge pipe to prevent reverse flow of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discharge pipe; A second check valve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ipe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back to the water tank from the water supply pump; A pressure switch for detecting a pressure of the discharge pipe; A flow rate switch for detecting the flow rate of the discharge pipe; A battery provided inside the casing and usable as a standby power source;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pressure switch or the flow rate switch to control driving of the water supply pump, charges the battery by receiving a commercial power supply, and drives the water supply pump by using power of the battery Unit.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수라인으로부터 급수되는 소화용수의 공급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배관에 마련되는 입수밸브와; 상기 입수밸브의 동작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유니트로 검출신호를 전달하는 템퍼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니트는 템퍼스위치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출력부를 통해 템퍼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n inlet valve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ipe so as to open and close the supply of water to be supplied from the constant line;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witch for detecting an operation of the inlet valve and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operation status of the temperature switch through the output unit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temperature switch do.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주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게 되는 충전부와; 배터리에 충전된 직류전원을 급수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충전부 및 컨버터를 제어하게 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battery using a main power source;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D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into an AC power for driving the water supply pump;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unit and the converter.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급수펌프에 인가되는 주전원과 상기 컨버터 전원을 절환하기 위한 제1릴레이와; 상기 제1릴레이와 직렬 연결되어 급수펌프에 인가되는 전원을 개폐하기 위한 제2릴레이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relay for switching a main power source applied to a feed pump and the converter power source; And a second relay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relay for opening / closing a power source applied to the feed pump.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에 표시되는 각 항목들은, 운전이 이루어지는 전원을 표시하는 항목들로 이루어진 전원 출력부와; 급수펌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 출력부와; 배터리의 충전회로의 동작 상태와 검출장치의 작동 상태를 포함한 점검 항목들을 표시하는 점검 출력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item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includes a power output unit including items indicating a power source to be operated; An operation output unit for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supply pump; And an inspection output section for displaying inspection items includ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charging circuit of the battery and an operation state of the detection device.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치를 더 포함한다.
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unit further includes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스프링클러용 소방용수 공급장치는, 정전 시에도 작동이 가능하도록 보조전원을 포함하며, 또한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구성하는 배관 작업 및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운전 상태나 동작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부가 케이싱에 일체로 마련되어 조작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fire water supply device for a simple sprink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xiliary power source so as to be able to operate even during a power failure, and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perform piping work and installation work constituting a simple sprinkler system, The output unit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casing so that operation and management are facilit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스프링클러용 소방용수 공급장치는, 급수펌프의 초기운전 시에 필요한 마중물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fire-fighting water supply device for a simple sprink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it is not necessary to supply the priming water necessary for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도 1은 종래기술의 간이 스크링클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스프링클러용 소방용수 공급장치의 전면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스프링클러용 소방용수 공급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스프링클러용 소방용수 공급장치의 제어유니트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스프링클러용 소방용수 공급장치의 입출력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rior art simple scraping system; Fig.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a fire water supply device for a simple sprink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ter supply device for fire fighting for a simple sprink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of a water supply device for fire fighting for a simple sprink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input / output unit of a fire water supply device for a simple sprink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pecific structure or functional description presen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and / or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terms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ever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omething to do.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ta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also be interpre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will be further understood that the terms " comprises ", or "having ", and the like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스프링클러용 소방용수 공급장치(이하, "소방용수 공급장치"로도 약칭함)의 전면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2 is a front view of a fire water supply device for a simple sprink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bbreviated as "fire water supply device").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소방용수 공급장치(100)는 함체로 이루어진 케이싱(110) 내에 설비가 패키지 형태로 수납이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케이싱(110) 하부에 수조(130)가 설치되며, 수조(120) 상단으로 파이프배관, 펌프, 배터리 및 제어유니트 등과 같은 관련 설비 등이 배치될 수 있다.2, the fire-fighting water suppl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110 in which a facility is stored in the form of a package. Preferably, a water tank 130 is installed below the casing 110 And related equipment such as pipe piping, a pump, a battery, and a control unit, etc. may b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120.

케이싱(110) 외부에는 동작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가 항목 별로 문자로 표기되어 해당 항목에 대한 램프의 점등에 의해 정보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출력부(120)가 마련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관련 도면에서 다시 설명될 것이다.In the outside of the casing 110,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opera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re displayed as characters on an item basis, and an output unit 120 for outputting information by lighting a lamp for the item is provided. Will be described again in the related drawings.

케이싱(110) 상단에는 소방용수로 사용되는 상수라인과 연결하기 위한 제1커텍터(111)와, 다수의 스프링클러 헤드를 갖는 소방라인과 연결하기 위한 제2커넥터(112)가 마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방용수 공급장치는 배관 설치 시에 제1커넥터(111)와 제2커넥터(112)에 각각 상수라인과 소방라인만을 연결하여 배관 작업이 완료된다.A first connector 111 for connecting to a constant line used as a fire fighting water and a second connector 112 for connecting to a fire line having a plurality of sprinkler heads ar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asing 110. Accordingly, in the water supply device for fire fight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constant line and the fire line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11 and the second connector 112, respectively, to complete the piping work.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스프링클러용 소방용수 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e water supply device for a simple sprink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소방용수 공급장치(100)는 수조(130)가 케이싱(110)의 하부에 일체로 마련되며, 케이싱(110) 내의 수조(130) 상부에 마련되는 배관부, 급수펌프(140), 배터리(170) 및 제어유니트(200)를 포함한다.3, the fire-fighting water supply device 100 includes a water tub 130 integrall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sing 110, a pipe portion provided above the water tub 130 in the casing 110, a water supply pump 140, a battery 170, and a control unit 200.

수조(130)는 저장되는 물의 저장량을 일정하게 조절하게 되는 정수위 조절부(131)와,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수위검출부(132)가 마련된다.The water tank 130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adjusting unit 131 for constant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to be stored and a water level detecting unit 132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정수위 조절부(131)는 급수배관(L1)을 통해 공급되어 수조(130) 내에 저장되는 물의 저장량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부력에 의해 수위에 따라서 상하 이동하는 플로터(floater)와 플로터에 연동되어 개폐가 이루어지는 볼밸브에 의해 제공될 있다.The water level adjusting unit 131 adjusts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L1 and stored in the water tank 130. The water level adjusting unit 131 is connected to a floater that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a water level by buoyancy, And can be provided by a ball valve which is opened and closed.

수위검출부(132)는 수조(130) 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검출하게 되며, 일정 수준 이하로 수위가 검출되면 소방 용수의 수위가 낮은 상태임을 경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water level detector 132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30. When the water level is detected below a predetermined level, the water level detector 132 can be used to warn that the water level of the fire water is low.

수조(130)의 하단에는 제1배수구(133)가 마련되어 수조의 소화용수가 장기간 방치되어 오염되거나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한 경우에 저장된 소화용수를 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수조(130) 상단에는 제2배수구(133)가 마련되어 정수위 조절부(131)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수조의 소화용수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A first drain port 133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130 so that the water for fire extinguishing can be discharged when the water for fire extinguishing water of the water tank is left for a long time to be dirty or periodically inspected. The water discharge port 133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the water for fire extinguishing water when the water level control section 131 is not normally operated.

본 실시예에서 케이싱(110) 내부에 마련되는 배관부는 상수라인(IL)과 연결되어 소방 용수가 공급되는 급수배관(L1)과, 다수의 스프링클러 헤드가 마련되는 소방라인(OL)과 연결되어 소방 용수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배관(L2)과, 급수배관(L1)에서 분기되어 토출배관(L2)과 연결되는 연결배관(L3)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ip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casing 110 is connected to the constant line IL and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L1 through which water for fire fighting water is supplied and a fire-fighting line OL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rinkler heads, A discharge pipe L2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and a connection pipe L3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L1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L2.

급수배관(L1) 하단에는 앞서 설명한 정수위 조절부(131)를 통하여 소방 용수가 수조(130) 내에 저장되어 일정량의 소방용수를 확보하게 되며, 한편 급수배관(L1)에서 분기된 연결배관(L3)에는 제1체크밸브(151)가 마련되어 토출배관(L3)에서 급수배관(L1) 측으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water for fire fighting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tank 130 through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131 described above to secure a certain amount of water for fire fighting and the connection pipe L3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L1, A first check valve 151 is provided to prevent backward flow of water from the discharge pipe L3 to the water supply pipe L1 side.

한편 급수배관(L1)에는 상수라인(IL)으로부터 소방용수의 공급을 개폐할 수 있는 입수밸브(180)가 마련될 수 있으며, 특히 입수밸브(180)는 개폐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템퍼스위치가 마련되어 입수밸브(180)의 조작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ipe L1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inlet valve 180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supply of the water for fire water from the constant line IL. Particularly, the water inlet valve 180 is provided with a tempering switch So th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inlet valve 180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토출배관(L2)에는 수조(130)에 저장된 소화용수를 압송하기 위한 급수펌프(140)가 마련된다. The discharge pipe (L2)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ump (140) for feeding the digestiv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30).

특히 본 발명에서 급수펌프(140)의 토출구는 토출배관(L2)과 연결되고 흡입구는 수조(130)와 연통되는 급수파이프(FP)와 연결되며, 급수파이프(FP)에 역류를 방지하는 제2체크밸브(152)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ort of the water supply pump 14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L2, the suction port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FP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tank 130, And a check valve 152 is provided.

제2체크밸브(152)는 급수펌프(140)의 흡입구를 통해 수조(130)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특히 제2체크밸브(152)가 급수파이프(FP)에 설치됨으로써 상수라인(L1)을 통해 공급된 소방용수는 급수펌프(140)의 토출구를 통하여 급수파이프(FP)의 제2체크밸브(152) 전단까지 수압이 걸리게 되므로, 급수펌프(140)의 초기운전 시에 별도의 마중물 공급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The second check valve 152 prevents water from flowing back to the water tank 130 through the suction port of the water supply pump 140. Particularly, since the second check valve 152 i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FP, The water for fire supply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L1 is supplied with water pressure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heck valve 152 of the water supply pipe FP through the discharge port of the water supply pump 140, Do not require the priming operation.

일반적으로 펌프의 초기운전 시에는 펌프 내에 유체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이며, 따라서 초기운전 시에 유체를 흡입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펌프 내부를 유체로 채우게 되는 마중물 공급을 해주어야만 한다.Generally, in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pump, the fluid is not filled in the pump.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hale the fluid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In order to do this, the fluid must be filled with the primer to fill the inside of the pump.

한편 케이싱 내에 펌프와 인접하여 배터리 및 제어유니트와 같은 전기설비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펌프의 마중물 공급 작업 과정에서 물에 민감한 주변 전기설비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electrical equipment such as a battery and a control unit is installed in the casing adjacent to the pump, damage to the water-sensitive peripheral equipment may occur during the priming operation of the pump.

본 발명에서는 설비 설치 후에 상수라인(L1)을 통해 소방용수가 공급되면, 급수펌프(140)의 토출구, 흡입구, 및 급수파이프(FP)로 연결되는 라인은 일정 수압이 작용하여 급수펌프(1430)의 초기운전에 필요한 마중물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fire-fighting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line L1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facility, a certain water pressure acts on the line connecting the discharge port, the suction port, and the water supply pipe FP of the water supply pump 14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iming necessary for the initial operation is not required.

다음으로, 토출배관(L2) 측에는 수압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스위치(161)와 유수를 검출하기 위한 유량스위치(162)가 마련되며, 수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게이지(163)가 더 포함될 수 있다.Next, a pressure switch 161 for detecting the water pressure and a flow rate switch 162 for detecting the water flow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ischarge pipe L2, and a pressure gauge 163 can be further provided so as to confirm the water pressure information .

압력스위치(161)와 유량스위치(162)에서 검출된 신호는 제어유니트(200)로 전달되며, 압력스위치(161) 또는 유량스위치(162)에서 검출된 신호에 따라서 급수펌프(140)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signal detected by the pressure switch 161 and the flow rate switch 162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drive of the feedwater pump 14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gnal detected by the pressure switch 161 or the flow rate switch 162 .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압력스위치(161)가 일정 수압 이상(예를 들어, 0.4MPa 이상)인 경우에는 상수라인(IL) -> 급수배관(L1) -> 연결배관(L3) -> 토출배관(L2) -> 소방라인(OL)을 통하여 소방용수가 스프링클러 헤드로 전달되며, 한편 압력스위치(161)가 일정 수압 이하(0.4MPa 이하)인 경우에는 급수펌프(140)가 작동하여 수조(130)에 저장된 소방 용수가 토출배관(L2)을 통해 소방라인(OL)으로 공급되어 소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ssure switch 161 is above a predetermined water pressure (for example, 0.4 MPa or more), the constant line IL, the water supply pipe L1, the connection pipe L3, When the pressure switch 161 is under a predetermined water pressure (0.4 MPa or less), the water supply pump 140 is operated and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30 (130) is supplied to the sprinkler head Can be supplied to the fire-fighting line OL through the discharge pipe L2 to be extinguished.

특히 본 발명에서 압력스위치(161)와는 별도로 토출배관의 유수를 검출하기 위한 유량스위치(162)를 더 포함하며, 따라서 압력스위치(161)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화재에 의해 스크링클러 헤드가 개방되어 토출배관(L2)에 유속이 발생되면 유량스위치(162)가 작동하여 검출신호를 제어유니트(200)로 전달하며, 제어유니트(200)는 유량스위치(162)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급수펌프(140)를 작동하여 수조(130)에 저장된 소방 용수를 송수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low switch 162 for detecting the flow rate of the discharge pipe separately from the pressure switch 161. Accordingly, even if the pressure switch 161 fails, the scrachler head is opened by the fire When the flow rate is generated in the discharge pipe L2, the flow rate switch 162 operates to transmit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200.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supply pump 140 To send and receive the fire water stored in the water tub 130.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급수펌프(140)의 구동이 압력스위치(161)와는 별도로 토출배관(L2)에 마련된 유량스위치(162)를 이용하여 급수펌프(140)의 작동 조건을 판단하게 되므로, 압력스위치(161)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토출배관(L2)의 유속에 의해 급수펌프(140)를 작동하여 화재 발생 시에 정상적인 소화용수의 공급이 가능하여 작동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140 is determined by using the flow rate switch 162 provided in the discharge pipe L2 separately from the pressure switch 161, The water supply pump 140 is operated by the flow rate of the discharge pipe L2 so that normal fire water can be supplied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a fire, so that the operation reliability can be improved.

다음으로, 케이싱(110) 내부에는 예비전원용으로 사용되는 배터리(170)와 제어유니트(200)가 마련되며, 본 발명의 공급장치는 상용 전원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고 정전 시에는 배터리(170)에 저장된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이 가능하다. Next, a battery 170 and a control unit 200, which are used for a standby power source, are provided in the casing 110. The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by a commercial power source, Operation is possible using stored power.

제어유니트(200)는 압력스위치(161) 또는 유량스위치(162)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급수펌프(140)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170)를 충전하고 정전 시에 배터리(170)의 전원을 활용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며, 또한 배터리(170) 전원을 이용하여 급수펌프(140)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0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pressure switch 161 or the flow rate switch 162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140 and receives the commercial power to charge the battery 170,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mp 140 can be performed by using the power of the battery 170 and the power of the water pump 140 by using the power of the battery 170.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스프링클러용 소방용수 공급장치의 제어유니트의 블록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the water purifier for fire fighting for a simple sprink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제어유니트(200)는 제어부(210), 충전부(220) 및 컨버터(230)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control unit 200 includes a control unit 210, a charging unit 220, and a converter 230.

제어부(210)는 각종 검출수단으로부터 검출신호를 수신하여 비교, 연산하고 각각의 장치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The control unit 210 receives detection signals from various detection means, compares them, and outputs control signals for the respective devices.

구체적으로, 제어부(210)는 압력스위치(161)와 유량스위치(162)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어 급수펌프(140)의 구동을 제어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10 receives detection signals from the pressure switch 161 and the flow rate switch 162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water supply pump 140.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210)는 소방용수 공급장치 외부에 마련되어 실내에 설치된 화재검출부로부터 화재 검출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화재검출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서 급수펌프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 unit 21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water supply unit for fire water, and may receive a fire detection signal from a fire detection unit installed in the room, and the water supply pump may be driven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또한 입수밸브(180)(도 3 참고)에 마련된 템퍼스위치(164)의 검출 신호로부터 입수밸브(180)의 개폐 상태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수위검출부(132)의 검출신호로부터 수조의 소방 용수가 적정 수위 이하인 경우에 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inlet valve 180 can be output to the outside from the detection signal of the tempering switch 164 provided in the inlet valve 180 (see FIG. 3). Further, from the detection signal of the water level detector 132, If the fire water is below the appropriate level, it can be output to the outside.

충전부(220)는 상용전원을 주전원으로 하여 배터리(170)를 충전하게 되며,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여 트리클충전으로 배터리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한다.The charging unit 220 charges the battery 170 using a commercial power source as a main power source. The controller 210 prevents overcharging and overdischarge and maintains the battery in the best condition by trickle charging.

컨버터(230)는 배터리(170)에 충전된 직류전원을 급수펌프(140)를 구동하기 위한 교류전원으로 변환한다.The converter 230 converts the D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170 into an AC power for driving the water supply pump 140.

제어유니트(200)는 또한 급수펌프(140)에 인가되는 주전원과 컨버터 전원을 절환하기 위한 제1릴레이(241)와, 이 제1릴레이(241)와 직렬 연결되어 급수펌프(140)에 인가되는 전원을 개폐하기 위한 제2릴레이(242)를 포함하며, 제1,2릴레이(241)(242)는 제어부(21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절환 동작이 이루어진다.The control unit 200 further includes a first relay 241 for switching a main power source and a converter power source applied to the water supply pump 140 and a second relay 242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relay 241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ump 140 And a second relay 24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ower source. The first and second relays 241 and 242 are switch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210. [

제어부(210)에서 각종 검출장치로부터 검출된 신호는 출력부(12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어 소방용수 공급장치의 운전 상태와 점검이 요구되는 관리정보를 항목별로 출력한다.The signals detected by the various detection devices in the control unit 210 are outpu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put unit 120 to output the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fire water and management information required to be inspected for each item.

또한 외부에서 운전 및 관리에 필요한 조작버튼 등의 조작부(190)가 마련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조작부(190)를 조작하여 소방용수 공급장치의 상태를 점검하거나 경보음 발생 시에 경보음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ration unit 190 such as an operation button necessary for operation and management from the outside can be provided. An administrato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190 to check the state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fire water or to stop the alarm sound output upon occurrence of an alarm sound can do.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스프링클러용 소방용수 공급장치의 입출력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put / output unit of the fire water supply device for a simple sprink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 출력부(120)는 동작 정보 및 상태 정보 등의 각종 정보가 항목 별로 문자(120a)로 표기되며, 해당 항목별 문자와 대응되어 램프(120b)가 점등되어 필요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the output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opera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by characters 120a, and the lamp 120b is lit So that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outputted.

바람직하게는 각 출력 정보는 전원계통과 관련된 항목들로 이루어진 '전원부' 출력부와, 동작 상태와 관련된 항목들로 이루어진 '동작부' 출력부와, 점검 항목들로 이루어진 '점검부' 출력부로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다. Preferably, each output information is divided into a 'power unit' output unit including items related to the power system, an 'operation unit' output unit including items related to the operation status, and an 'inspection unit' output unit including the maintenance items .

예를 들어, '점검부'는 운전이 이루어지는 전원을 표시하는 '주전원'과 '예비전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주전원'은 주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해당 램프가 점등되며, '예비전원'은 주전원이 아닌 배터리에 의한 운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해당 램프가 점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spection unit' may be composed of a 'main power source' and a 'standby power source', which indicate the power source where the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main power source', when the main power source is normally supplied, The corresponding lamp may be turned on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a battery other than the main power source.

다음으로, '동작부'는 'Pump'와 'Fire'로 구성되어, 펌프가 작동 중인 경우와 화재 감지 시에 해당 램프가 각각 점등될 수 있다.Next, 'operating part' is composed of 'Pump' and 'Fire', and each lamp can be lighted when the pump is operating and when fire is detected.

'점검부'는 정상적인 운전에 필요한 관리가 필요한 항목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터리의 이상 시에 점멸되는 '축전지'와, 충전회로 및 인버터 회로의 이상 시에 점멸되는 '충전부' 및 '인버터'와, 압력스위치, 유량스위치 및 템퍼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각각 표시하기 위한 '압력스위치', '유수검지' 및 '템퍼스위치'가 있을 수 있으며, 수위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수조 내에 소방용수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 점멸되는 '저수위'가 있을 수 있다.The 'checking unit' may be composed of items requiring maintenance for normal operation. For example, the 'checking unit' may be a 'battery' that flashes when the battery is abnormal, a 'charging unit' that flashes when the charging circuit and the inverter circuit are abnormal, There may be a 'pressure switch', a 'water flow detection', and a 'temper switch' for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es of the pressure switch, the flow switch and the temper switch, respectively. There may be a 'low water level' flashing when the water level of the fire water is low.

이러한 점검부 항목 들은 오동작 또는 현재의 동작 상태에 대해 항목 별로 해당 램프가 점등되어 관리자가 쉽게 현재 동작 상태를 파악하거나 점검이 필요한 사항을 쉽게 인지할 수가 있다.These check items are illuminated by the lamp for each item regarding the malfunction or the current operation state, so that the manager can easily grasp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r easily recognize the items to be inspected.

한편, 출력부(120)와 인접하여 조작부(190)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조작부(190)는 급수펌프를 작동 기능을 확인하기 위한 '작동시험' 버튼과, 경보음이 발생 시에 이를 종료하기 위한 '경보정지'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An operation unit 190 may be further provided adjacent to the output unit 120. The operation unit 190 may include an operation test button for confirming an operation func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and a stop button An alarm stop button "

도면부호 121은 경보음 출력을 위한 출력장치인 스피커이며, 앞서 설명된 각종 항목에 대한 해당 램프의 점등 시에는 스피커(121)를 통한 경보음이 같이 출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Reference numeral 121 denotes a speaker which is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n alarm sound. When the corresponding lamp is turned on for the various items described above, an alarm sound through the speaker 121 may be output.

이와 같이 출력부(120) 또는 조작부(190)가 항목 별로 문자로 표기되고 해당 문자 항목과 대응되어 점등이 이루어지는 램프로 이루어져 케이싱 전면에 일체로 마련됨으로써, 가정이나 소규모 건물 등에서 전문적인 관리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운전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서 관리 및 유지 편의성을 높일 수가 있다.
Since the output unit 120 or the operation unit 19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ing, the lamp unit is formed by a lamp in which letters are displayed on a character-by-item basis and corresponded to corresponding character items so as to be lit, The operating state can be grasped and th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convenience can be improv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소방용수 공급장치 110 : 케이싱
111 : 제1커넥터 112 : 제2커넥터
120 : 출력부 120a : 문자
120b : 램프 121 : 스피커
130 : 수조 131 : 정수위 조절부
132 : 수위검출부 133 : 제1배수구
134 : 제2배수구 140 : 급수펌프
151 : 제1체크밸브 152 : 제2체크밸브
161 : 압력스위치 162 : 유량스위치
163 : 압력게이지 164 : 템퍼스위치
170 : 배터리 180 : 입수밸브
190 : 조작부 200 : 제어유니트
210 : 제어부 220 : 충전부
230 : 컨버터 241 : 제1릴레이
242 : 제2릴레이 IL : 상수라인
L1 : 급수배관 L2 : 토출배관
L3 : 연결배관 OL : 소방라인
FP : 급수파이프
100: Water supply device for fire water 110: Casing
111: first connector 112: second connector
120: output unit 120a: character
120b: lamp 121: speaker
130: Water tank 131:
132: water level detection unit 133: first drain port
134: second drainage port 140: feed pump
151: first check valve 152: second check valve
161: Pressure switch 162: Flow switch
163: Pressure gauge 164: Tempering switch
170: Battery 180: Intake valve
190: operating part 200: control unit
210: control unit 220:
230 converter 241 first relay
242: second relay IL: constant line
L1: water supply pipe L2: discharge pipe
L3: Connection piping OL: Fire line
FP: Water supply pipe

Claims (6)

내부에 수조(130)가 수납되며, 외부에 동작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가 항목 별로 문자로 표기되어 해당 항목에 대한 램프의 점등에 의해 정보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출력부(120)가 일체로 마련된 케이싱(110)과;
상수라인(IL)과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110)에 마련된 급수배관(L1)을 통해 공급되어 상기 수조(130)에 저장되는 소화용수의 저장량을 일정하게 조절하게 되는 정수위 조절부(131)와;
상기 수조(130) 내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수위검출부(132)와;
다수의 스프링클러 헤드를 갖는 소방라인(OL)과 조립되어 상기 케이싱(110) 내에 마련되는 토출배관(L2)과 토출구가 연결되며, 상기 수조(130)와 연통되는 급수파이프(FP)에 흡입구가 연결되어 상기 수조(130)에 저장된 소화용수를 상기 토출배관(L2)으로 토출하기 위한 급수펌프(140)와;
상기 급수배관(L1)과 상기 토출배관(L2)을 연결하는 연결배관(L3)에 마련되어 급수배관(L1)에서 토출배관(L2)으로 공급되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1체크밸브(151)와;
급수파이프(FP)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펌프(140)에서 상기 수조(130)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체크밸브(152)와;
상기 토출배관(L2)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스위치(161)와;
상기 토출배관(L2)의 유수를 검출하기 위한 유량스위치(162)와;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 마련되어 예비전원으로 사용이 가능한 배터리(170)와;
상기 압력스위치(161) 또는 상기 유량스위치(162)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펌프(140)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170)를 충전하고 정전 시에 상기 배터리(170)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급수펌프(140)를 구동하게 되는 제어유니트(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니트(200)는,
주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170)를 충전하게 되는 충전부(220)와;
배터리(170)에 충전된 직류전원을 급수펌프(140)를 구동하기 위한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230)와;
상기 충전부(220) 및 컨버터(230)를 제어하게 되는 제어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펌프(140)에 인가되는 주전원과 상기 컨버터(230) 전원을 절환하기 위한 제1릴레이(241)와; 상기 제1릴레이(241)와 직렬 연결되어 급수펌프(140)에 인가되는 전원을 개폐하기 위한 제2릴레이(242)를 포함하는 간이 스프링클러용 소방용수 공급장치.
And an output unit 120 in which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opera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re displayed in letters on an external basis and information is output by turning on a lamp for the item, A casing 110 provided therein;
A water level adjusting unit 131 connected to the constant line IL and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ipe L1 provided in the casing 110 to constantly adjust the amount of water to be stored in the water tank 130;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132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130;
A discharge pipe (L2) provided in the casing (110) and a discharge po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water supply pipe (FP)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tank (130) A water supply pump 140 for discharging the digestion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30 to the discharge pipe L2;
A first check valve 151 provided in a connection pipe L3 for connecting the water supply pipe L1 and the discharge pipe L2 to prevent backflow of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L1 to the discharge pipe L2, Wow;
A second check valve 152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ipe FP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backward from the water supply pump 140 to the water tank 130;
A pressure switch (161)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 pipe (L2);
A flow rate switch 162 for detecting the flow rate of the discharge pipe L2;
A battery 170 provided in the casing 110 and usable as a standby power source;
And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pressure switch 161 or the flow rate switch 162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140 and to charge the battery 170 in response to a commercial power supply, And a control unit 200 for driving the water supply pump 140 using a power source of the water supply pump 170,
The control unit (200)
A charging unit 220 for charging the battery 170 using a main power source;
A converter 230 for converting the D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170 into an AC power for driving the water supply pump 140;
And a control unit 210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unit 220 and the converter 230,
A first relay (241) for switching a main power source applied to the water supply pump (140) and a power source of the converter (230); And a second relay (242) connected in series to the first relay (241) for opening and closing a power source applied to the water supply pump (1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라인(IL)으로부터 급수되는 소화용수의 공급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배관(L1)에 마련되는 입수밸브(180)와; 상기 입수밸브(180)의 동작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유니트(200)로 검출신호를 전달하는 템퍼스위치(16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니트(200)는 템퍼스위치(164)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출력부(120)를 통해 템퍼스위치(164)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스프링클러용 소방용수 공급장치.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ter inlet valve (180)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ipe (L1) so as to open and close the supply of fire water supplied from the constant line (IL); The control unit 200 further includes a tempering switch 164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inlet valve 180 and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200 And outputs the operating state of the tempering switch (164) through the output unit (120).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120)에 표시되는 각 항목들은, 운전이 이루어지는 전원을 표시하는 항목들로 이루어진 전원 출력부와; 급수펌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 출력부와; 배터리의 충전회로의 동작 상태와 검출장치의 작동 상태를 포함한 점검 항목들을 표시하는 점검 출력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스프링클러용 소방용수 공급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each item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120) includes: a power output unit having items indicating a power source to be operated; An operation output unit for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supply pump; And an inspection output section for displaying maintenance items includ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charging circuit of the battery and an operation state of the detection device.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치를 더 포함하는 간이 스프링클러용 소방용수 공급장치.The fire water supply apparatus for a simple sprinkler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the output section further comprises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KR1020130074158A 2013-06-27 2013-06-27 Water supply apparatus for a sprinkler KR1014574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158A KR101457435B1 (en) 2013-06-27 2013-06-27 Water supply apparatus for a sprink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158A KR101457435B1 (en) 2013-06-27 2013-06-27 Water supply apparatus for a sprink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435B1 true KR101457435B1 (en) 2014-11-04

Family

ID=52289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158A KR101457435B1 (en) 2013-06-27 2013-06-27 Water supply apparatus for a sprink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435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0595A (en) * 2016-11-03 2017-02-01 合肥波林复合材料有限公司 High-pressure water jet testing machine
KR101925911B1 (en) * 2017-06-20 2019-02-26 (주)에스앤지코리아 Portable automatic bidirectional transiver
KR20210001509U (en) * 2019-12-24 2021-07-02 이행월 Cabinet type sprinkler system
KR20220033623A (en) * 2020-09-09 2022-03-17 노성왕 Supply system of firefighting water
KR102406657B1 (en) * 2021-09-15 2022-06-08 대한민국 System for evaluating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118Y1 (en) * 2002-02-27 2002-05-30 김경주 The cabinet type sprinkler device
KR101050827B1 (en) * 2010-05-31 2011-07-20 신영공업 주식회사 Sprinkler equip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118Y1 (en) * 2002-02-27 2002-05-30 김경주 The cabinet type sprinkler device
KR101050827B1 (en) * 2010-05-31 2011-07-20 신영공업 주식회사 Sprinkler equipmen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0595A (en) * 2016-11-03 2017-02-01 合肥波林复合材料有限公司 High-pressure water jet testing machine
KR101925911B1 (en) * 2017-06-20 2019-02-26 (주)에스앤지코리아 Portable automatic bidirectional transiver
KR20210001509U (en) * 2019-12-24 2021-07-02 이행월 Cabinet type sprinkler system
KR200493986Y1 (en) * 2019-12-24 2021-07-09 이행월 Cabinet type sprinkler system
KR20220033623A (en) * 2020-09-09 2022-03-17 노성왕 Supply system of firefighting water
KR102529982B1 (en) * 2020-09-09 2023-05-08 노성왕 Supply system of firefighting water
KR102406657B1 (en) * 2021-09-15 2022-06-08 대한민국 System for evaluating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599B1 (en) Water supply apparatus for a sprinkler
KR101457435B1 (en) Water supply apparatus for a sprinkler
US9709054B2 (en) Test and monitoring system for a pump installation
US9525309B2 (en) Battery-powered backup power system for a sump pump installation
US9534593B2 (en) Test and monitoring system for a sump pump installation operable from a remote location
US9528512B2 (en) Test and monitoring system for a battery-powered DC pump installation
US9528523B2 (en) Test and monitoring system for a sump pump installation having a variable test cycle time out
US9523366B2 (en) Test and monitoring system for a sump pump installation having a self-protecting valve assembly for admitting water to the sump container
US9404501B2 (en) Sump pump test and monitoring system
AU2018204725B2 (en) Test and monitoring system for a dual sump pump installation
KR102132995B1 (en) Fire-fighting pump system with automatic commissioning and seizure prevention
KR101050827B1 (en) Sprinkler equipment
JP5785868B2 (en) Sprinkler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JP2010167157A (en) Fire extinguishing pump system and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JP2012040263A (en) Pre-operation type fire extinguishing system
KR200298174Y1 (en) Simplified type sprinkler system
JP2000312727A (en) Sprinkler fire-extinguishing facility
JP2012161502A (en) Fire extinguishing pump system
JP2008253299A (en) Sprinkler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U2014355057B2 (en) Test and monitoring system for a sump pump installation having a self-monitoring valve module for admitting water to the sump pit
KR200358219Y1 (en) simplicity sprinkler
CN220833909U (en) Pump group type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fire suppression device
TWI693084B (en) Fire-fighting pump machine can ensure the bottom valve cleaning device and the fire-fighting system with the device
CN207237138U (en) Fire pump voltage-stabilizing controller
JP2021127746A (en) Pum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152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608

Effective date: 201705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153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60608

Effective date: 2017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