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690B1 -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벨트마스크, 이를 이용한 유기물 증착장치 및 유기물 증착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벨트마스크, 이를 이용한 유기물 증착장치 및 유기물 증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690B1
KR101456690B1 KR1020120156696A KR20120156696A KR101456690B1 KR 101456690 B1 KR101456690 B1 KR 101456690B1 KR 1020120156696 A KR1020120156696 A KR 1020120156696A KR 20120156696 A KR20120156696 A KR 20120156696A KR 101456690 B1 KR101456690 B1 KR 101456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belt
alignment mark
belt mask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6344A (ko
Inventor
안민형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6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6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86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selective deposition, e.g. using a mask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2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마스크의 처짐이 방지되고, 마스크를 간편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벨트마스크, 이를 이용한 유기물 증착장치 및 유기물 증착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벨트마스크는 한쌍의 풀리에 의해 회전되고 유기물을 공급하는 소스부와 기판의 사이로 이송되는 벨트, 상기 유기물이 선택적으로 상기 벨트를 통과하여 상기 기판에 증착되도록 하는 패턴 및 상기 기판에 대한 상기 패턴의 정렬을 위해 상기 벨트에 형성되는 정렬마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벨트마스크, 이를 이용한 유기물 증착장치 및 유기물 증착방법{Belt Mask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pparatus and method for depositing Organic materi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벨트마스크, 이를 이용한 유기물 증착장치 및 유기물 증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에 유기물을 증착하는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벨트마스크, 이를 이용한 유기물 증착장치 및 유기물 증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소자(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는 다른 평면 표시소자에 비해 발열 등이 제한적인 이상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유기발광소자는 자체 냉발광형이라는 장점으로 인하여 산업계에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는 유기물이 담긴 도가니를 가열하고, 증발되는 유기물이 기판에 박막의 형태로 증착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때, 기판과 도가니의 사이에는 유기물이 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새도우마스크(shadow mask)를 위치시키고, 새도우마스크의 패턴에 따라 기판에 유기물이 증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새도우마스크를 이용하여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이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1822호;유기EL 소자의 제조방법' 등에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점차 기판이 대형화됨에 따라 새도우마스크의 처짐, 새도우마스크 이송에 따른 복잡한 구성 등의 이유로, 새도우마스크는 사용 한계에 도달하고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소자 제조 분야에서는 새도우마스크를 대체할 만한 다른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1822호(2002. 08. 26.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의 처짐이 방지되고, 마스크를 간편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벨트마스크, 이를 이용한 유기물 증착장치 및 유기물 증착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벨트마스크는 한쌍의 풀리에 의해 회전되고 유기물을 공급하는 소스부와 기판의 사이로 이송되는 벨트, 상기 유기물이 선택적으로 상기 벨트를 통과하여 상기 기판에 증착되도록 하는 패턴 및 상기 기판에 대한 상기 패턴의 정렬을 위해 상기 벨트에 형성되는 정렬마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에는 상기 한쌍의 풀리에 형성된 정렬돌기에 삽입되는 정렬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는 제 1정렬마크가 형성된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지지부, 상기 기판을 향해 유기물을 공급하는 소스부, 상기 유기물이 선택적으로 통과되는 패턴과 제 2정렬마크가 형성된 벨트마스크를 한쌍의 풀리에 의해 회전시키고 상기 벨트마스크를 상기 기판과 상기 소스부의 사이로 이송하는 벨트마스크 이송부 및 상기 제 1정렬마크와 상기 제 2정렬마크를 검출하는 정렬마크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마스크에는 다수의 정렬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풀리의 외주면에는 상기 다수의 정렬홈에 삽입되는 다수의 정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기판과 상기 벨트마스크는 상기 한쌍의 풀리의 기설정된 회전수에 따라 물리적으로 개략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소스부는 상기 소스부는 상기 한쌍의 풀리와 상기 벨트마스크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지지부는 상기 한쌍의 풀리와 상기 벨트마스크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는 상기 기판지지부를 상기 벨트마스크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기판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부는 상기 한쌍의 풀리와 상기 벨트마스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지지부는 상기 한쌍의 풀리와 상기 벨트마스크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는 상기 기판지지부를 상기 벨트마스크가 이송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기판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부는 상기 벨트마스크를 향해 상기 유기물을 증발시키는 도가니 및 상기 한쌍의 풀리의 사이에서 상기 도가니를 왕복 이송하는 도가니 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는 상기 벨트마스크를 가열하여 상기 벨트마스크에 증착된 상기 유기물이 상기 벨트마스크로부터 제거되도록 하는 세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는 상기 세정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기 소스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는 상기 기판과 상기 소스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을 향하는 상기 유기물 및 불순물을 단속하는 셔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지지부는 상기 정렬마크 검출부가 상기 제 1정렬마크와 상기 제 2정렬마크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는 상기 기판지지부, 상기 벨트마스크 이송부, 상기 소스부 및 상기 정렬마크 검출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공정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정챔버는 다수로 마련되고, 상기 다수의 공정챔버는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정챔버는 다수로 마련되고, 상기 다수의 공정챔버는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증착방법은 공정챔버의 내부에 제 1정렬마크가 형성된 기판이 지지되는 기판 지지단계, 유기물이 선택적으로 통과되는 패턴과 제 2정렬마크가 형성된 벨트마스크가 한쌍의 풀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기판과 상기 유기물을 공급하는 소스부의 사이로 이송되는 벨트마스크 이송단계, 상기 제 1정렬마크와 상기 제 2정렬마크가 검출되는 정렬마크 검출단계, 상기 제 1정렬마크와 상기 제 2정렬마크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벨트마스크 또는 상기 기판이 이송되어 상기 기판과 상기 벨트마스크가 정렬되는 정렬단계 및 상기 벨트마스크를 향해 상기 유기물이 공급되어 상기 기판에 상기 유기물이 증착되는 증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마스크 이송단계는 상기 기판과 상기 벨트마스크가 상기 한쌍의 풀리의 기설정된 회전수에 따라 물리적으로 개략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증착단계 이전에는 상기 기판과 상기 벨트마스크의 사이에 배치되는 셔터에 의해 상기 기판으로 향하는 상기 유기물 및 불순물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증착단계 이후에는 상기 벨트마스크를 가열하여 상기 벨트마스크에 증착된 상기 유기물이 상기 상기 벨트마스크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벨트마스크, 이를 이용한 유기물 증착장치 및 유기물 증착방법은 마스크의 처짐이 방지되고, 마스크를 간편하게 이송할 수 있으므로, 간편한 제조방법에 의해 양질의 유기발광소자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도면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를 도 1에 표기된 I-I'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를 이용한 유기물 증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의 공정챔버가 직렬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의 공정챔버가 병렬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도면이다.
도 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를 도 1에 표기된 I-I'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의 공정챔버가 직렬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의 공정챔버가 병렬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 3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도면이다.
도 11은 제 4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도면이며,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증착장치를 도 1에 표기된 I-I'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이하, '유기물 증착장치'라 함.)(100a)는 벨트마스크(30)를 이용하여 기판(10)에 유기물을 증착하기 위한 것이다. 벨트마스크(30)는 한쌍의 풀리에 연결되어 회전 이송될 수 있도록 벨트 형상으로 마련된다. 벨트마스크(30)에는 유기물이 선택적으로 통과되어 기판(10)에 증착될 수 있는 패턴(31)이 형성될 수 있다.
유기물 증착장치(100a)는 공정챔버(110), 기판지지부(120), 기판이송부(130), 벨트마스크 이송부(140), 소스부(150) 및 정렬마크 검출부(160)를 포함한다.
공정챔버(110)의 내부에는 유기물 증착공정을 위한 처리공간이 형성된다. 공정챔버(1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는 기판(10)의 반입 및 반출이 용이하도록 게이트밸브(111)가 설치될 수 있다.
기판지지부(120)는 기판(10)을 지지한다. 기판지지부(120)는 처리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지지대와, 기판지지대에 설치되어 기판(1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척킹장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이송부(130)는 기판(10)을 공정챔버(110)의 내부로 반입시키고, 공정챔버(110)의 외부로 반출한다. 기판이송부(130)로는 롤러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에어 컨베이어와 같은 선형 이송수단, 또는 이송로봇이 사용될 수 있다.
벨트마스크 이송부(140)는 벨트마스크(30)를 이송한다. 벨트마스크 이송부(140)는 기판지지부(120)의 상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풀리(141)를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풀리(141)에는 벨트마스크(30)가 연결된다. 한쌍의 풀리(141)는 일측방향으로 회전되어 벨트마스크(30)가 회전 이송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벨트마스크(30)는 한쌍의 풀리(141)에 의해 회전 이송되어 기판지지부(120)에 지지되는 기판(10)과 이후 설명될 소스부(15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쌍의 풀리(141)로는 정확한 회전비로 벨트마스크(30)가 이송될 수 있도록 타이밍벨트 풀리가 사용될 수 있다. 즉, 한쌍의 풀리(141)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정렬돌기(143)가 형성될 수 있으며, 벨트마스크(30)에는 다수의 정렬돌기(143)에 삽입되어 벨트마스크(30)가 다수의 정렬돌기(143)에 구속되어 회전 이송되도록 하는 다수의 정렬홈(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돌기(143) 및 정렬홈(32)은 기판(10)에 대한 벨트마스크(30)의 개략적인 정렬이 가능하도록 한다.
소스부(150)는 유기물을 공급한다. 소스부(150)는 한쌍의 풀리(141)의 사이에 배치되는 도가니(151)와, 도가니 이송유닛(153)을 포함한다. 도가니(151)는 유기물을 증발시켜 유기물이 벨트마스크(30)에 형성된 패턴에 따라 기판(10)에 증착되도록 한다. 도가니 이송유닛(153)은 한쌍의 풀리(141)의 사이에서 도가니(151)를 왕복 이송하여 기판(10)의 전면적에 대하여 유기물이 균일한 분포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유기물 증착장치(100a)는 기판(10)과 소스부(150)의 사이에 벨트마스크(30)가 위치하고 유기물이 공급되면, 벨트마스크(30)에 형성된 패턴(31)에 따라 기판(10)에 유기물이 증착될 수 있다.
이때, 기판(10)와 소스부(150)의 사이에는 셔터(170)가 배치될 수 있다. 셔터(170)는 기판(10)으로 향하는 유기물을 단속한다. 따라서 유기물의 증착공정 환경이 조성되기 이전에 불필요한 유기물, 또는 불순물이 기판(10)으로 낙하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벨트마스크(30)의 내측에는 세정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세정부(180)는 벨트마스크(30)에 증착된 유기물을 제거한다. 세정부(180)는 벨트마스크(30)를 가열하여 벨트마스크(30)에 증착된 유기물이 벨트마스크(3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마스크(30)로부터 이탈된 유기물은 도시되지 않은 흡입펌프에 흡입되어 공정챔버(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소스부(150)와 세정부(180)의 사이에는 단열판(190)이 배치될 수 있다. 단열판(190)은 세정부(180)에서 발생되는 열이 소스부(15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기판(10)에는 제 1정렬마크(11)가 형성되며, 제 1정렬마크(11)에 대응되는 벨트마스크(30)의 소정 위치에는 제 2정렬마크(33)가 형성될 수 있다.
정렬마크 검출부(160)는 제 1정렬마크(11)와 제 2정렬마크(33)를 검출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정렬마크 검출부(160)는 기판(10) 및 벨트마스크(30)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광을 이용하여 제 1정렬마크(11)와 제 2정렬마크(33)에 대한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이미지센서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지지부(120)에는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121)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기판(10)의 소재가 글래스와 같이 투명한 재질일 경우, 기판(10)의 표면에 제 1정렬마크(11)가 표기될 수 있지만, 기판(10)의 소재가 불투명한 소재일 경우, 제 2정렬마크(33)에 대응되는 위치에 윈도우가 형성되고 윈도우의 표면에 제 1정렬마크(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기물 증착장치(100a)는 한쌍의 풀리(141)에 형성된 정렬돌기(143)와 벨트마스크(30)에 형성된 정렬홈(32)에 따른 물리적 방법에 의해 기판(10)과 벨트마스크(30)의 개략정렬이 수행되고, 정렬마크 검출부(160)에 따른 제 1정렬마크(11)와 제 2정렬마크(33)가 비젼 정렬되는 광학적 방법에 의해 기판(10)과 벨트마스크(30)의 정밀정렬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를 이용한 유기물 증착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증착장치를 이용한 유기물 증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정챔버(110)의 게이트밸브(111)가 개방된다. 기판(10)은 공정챔버(110)의 내부로 반입되어 기판지지부(120)에 지지된다. 척킹장치는 기판(10)이 기판지지대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기판(10)을 척킹한다. (단계;S11)
이어, 한쌍의 풀리(141)가 기설정된 회전수에 따라 회전되고 벨트마스크(30)는 기판(10)과 소스부(150)의 사이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한쌍의 풀리(141)가 기설정된 회전수에 따라 회전됨에 따라 기판(10)과 벨트마스크(30)는 개략 정렬될 수 있다. (단계;S13)
이어, 정렬마크 검출부(160)는 광을 방출하고, 광은 벨트마스크(30)로부터 반사된다. 광은 이미지센서에 검출되고, 제 1정렬마크(11)와 제 2정렬마크(33)에 대한 화상정보가 취득된다. (단계;S15)
이와 같이 취득되는 화상정보를 바탕으로 기판(10)과 벨트마스크(30)의 정밀 정렬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정렬마크(11)와 제 2정렬마크(33)가 서로 다른 위치에 검출되면, 제 1정렬마크(11)와 제 2정렬마크(33)가 일치되도록 벨트마스크(30)를 정밀하게 이송할 수 있다. (단계;S17)
이와 같이 기판(10)과 벨트마스크(30)의 개략정렬과 정밀정렬이 수행되면, 도가니(151)가 가열된다. 도가니(151)가 가열되고 유기물의 증착공정 환경이 조성되면, 셔터(170)가 개방된다. 도가니(151)로부터 증발되는 유기물은 벨트마스크(30)에 형성된 패턴에 따라 기판(10)에 증착될 수 있다. (단계;S19)
이후, 셔터(170)가 폐쇄되고 벨트마스크(30)가 회전 이송되면, 증착공정이 수행된 벨트마스크(30)의 일부영역은 세정부(180)에 위치한다. 세정부(180)는 벨트마스크(30)를 가열하고 벨트마스크(30)가 가열됨에 따라 벨트마스크(30)에 증착된 유기물은 벨트마스크(30)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벨트마스크(30)로부터 이탈되는 유기물은 흡입펌프(미도시)에 의해 흡입되어 공정챔버(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유기물 증착방법에 따라 기판(10)에는 단일층의 유기물이 증착될 수 있다. 이때, 기판(10)에 여러층의 유기물이 증착이 필요할 경우, 기판(10)은 다수의 공정챔버로 반입 및 반출되면서 상술된 유기물 증착방법이 반복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공정챔버(110a, 110b, 110c)는 직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기판(10)은 벨트 컨베이어, 롤러 컨베이어, 에어 컨베이어 등과 같은 선형 이송수단에 의해 다수의 공정챔버를 통과하는 인라인 방식으로 이송되면서, 상술된 유기물 증착방법이 반복되어 기판(10)에는 여러층의 유기물이 증착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공정챔버(110d, 110e, 110f)는 병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기판(110)은 이송로봇에 의해 선택된 공정챔버로 반입 및 반출되는 클러스터 방식으로 이송되면서, 상술된 유기물 증착방법이 반복되어 기판(10)에는 여러층의 유기물이 증착될 수 있다.
물론, 도 4 및 도 5에 각 공정챔버의 전, 후 또는 공정챔버의 사이에는 공정환경 조성 및 유지를 위한 버퍼챔버, 로드락챔버 등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된 제 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술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해야 할 것이다.
제 2실시예
도 6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도면이며, 도 7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증착장치를 도 1에 표기된 I-I'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2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100b)는 소스부(150)가 한쌍의 풀리(141)와 벨트마스크(30)의 외측에 배치되며, 기판지지부(120)가 한쌍의 풀리(141)와 벨트마스크(3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기판지지부(120)는 기판이송부(130)에 지지되며, 기판이송부(130)는 기판지지부(120)를 벨트마스크(30)가 이송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러한 기판이송부(130)로는 한쌍의 풀리(141)와 벨트마스크(30)의 사이를 관통하는 이송 레일을 포함하는 리니어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100b)는 셔터(170), 세정부(180), 단열판(190)의 위치에서 상술된 제 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100a)와 미차를 가지지만, 상술된 제 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100a)와 그 구성 및 작용효과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물론, 제 2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100b)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공정챔버(110g, 110h, 110i)가 직렬 배치되거나, 다수의 공정챔버(110j, 110k, 110l)가 병렬 배치되어 인라인 방식 또는 클러스터 방식으로 기판에 유기물 증착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설명에서, 소스부(150)는 기판지지부(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유기물이 하향 공급되는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제 3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100c), 또는 제 4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100d)와 같이, 소스부(150)는 기판지지부(1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유기물을 상향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기판 11 : 제 1정렬마크
30 : 벨트마스크 31 : 패턴
32 : 정렬홈 33 : 제 2정렬마크
100 :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
110 : 공정챔버 111 : 게이트밸브
120 : 기판지지부 130 : 기판이송부
140 : 벨트마스크 이송부 141 : 풀리
143 : 정렬돌기 150 : 소스부
151 : 도가니 153: 도가니 이송유닛
160 : 정렬마크 검출부 170 : 셔터
180 : 세정부 190 : 단열판

Claims (21)

  1. 한쌍의 풀리에 의해 회전되고 유기물을 공급하는 소스부와 기판의 사이로 이송되며, 상기 한쌍의 풀리에 형성된 정렬돌기에 삽입되는 정렬홈이 형성되는 벨트;
    상기 유기물이 선택적으로 상기 벨트를 통과하여 상기 기판에 증착되도록 하는 패턴;및
    상기 기판에 대한 상기 패턴의 정렬을 위해 상기 벨트에 형성되는 정렬마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벨트마스크.
  2. 삭제
  3. 제 1정렬마크가 형성된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지지부;
    상기 기판을 향해 유기물을 공급하는 소스부;
    상기 유기물이 선택적으로 통과되는 패턴과, 상기 제 1정렬마크에 대응되는 제 2정렬마크와, 한쌍의 풀리에 형성된 정렬돌기에 삽입되는 정렬홈이 형성된 벨트마스크를 상기 한쌍의 풀리에 의해 회전시키고 상기 벨트마스크를 상기 기판과 상기 소스부의 사이로 이송하는 벨트마스크 이송부;및
    상기 제 1정렬마크와 상기 제 2정렬마크를 검출하는 정렬마크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벨트마스크는 상기 한쌍의 풀리의 기설정된 회전수에 따라 물리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부는 상기 한쌍의 풀리와 상기 벨트마스크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지지부는 상기 한쌍의 풀리와 상기 벨트마스크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지지부를 상기 벨트마스크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기판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부는 상기 한쌍의 풀리와 상기 벨트마스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지지부는 상기 한쌍의 풀리와 상기 벨트마스크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지지부를 상기 벨트마스크가 이송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기판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부는
    상기 벨트마스크를 향해 상기 유기물을 증발시키는 도가니;및
    상기 한쌍의 풀리의 사이에서 상기 도가니를 왕복 이송하는 도가니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마스크를 가열하여 상기 벨트마스크에 증착된 상기 유기물이 상기 벨트마스크로부터 제거되도록 하는 세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기 소스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소스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을 향하는 상기 유기물 및 불순물을 단속하는 셔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지지부는
    상기 정렬마크 검출부가 상기 제 1정렬마크와 상기 제 2정렬마크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
  1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지지부, 상기 벨트마스크 이송부, 상기 소스부 및 상기 정렬마크 검출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공정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챔버는 다수로 마련되고, 상기 다수의 공정챔버는 직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챔버는 다수로 마련되고, 상기 다수의 공정챔버는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 증착장치.
  17. 공정챔버의 내부에 제 1정렬마크가 형성된 기판이 지지되는 기판 지지단계;
    유기물이 선택적으로 통과되는 패턴과, 상기 제 1정렬마크에 대응되는 제 2정렬마크와, 한쌍의 풀리에 형성된 정렬돌기에 삽입되는 정렬홈이 형성된 벨트마스크가 상기 한쌍의 풀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기판과 상기 유기물을 공급하는 소스부의 사이로 이송되는 벨트마스크 이송단계;
    상기 제 1정렬마크와 상기 제 2정렬마크가 검출되는 정렬마크 검출단계;
    상기 제 1정렬마크와 상기 제 2정렬마크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벨트마스크 또는 상기 기판이 이송되어 상기 기판과 상기 벨트마스크가 정렬되는 정렬단계;및
    상기 벨트마스크를 향해 상기 유기물이 공급되어 상기 기판에 상기 유기물이 증착되는 증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증착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마스크 이송단계는
    상기 기판과 상기 벨트마스크가 상기 한쌍의 풀리의 기설정된 회전수에 따라 물리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증착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단계 이전에는 상기 기판과 상기 소스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셔터에 의해 상기 기판으로 향하는 상기 유기물 및 불순물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증착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단계 이후에는 상기 벨트마스크가 가열되어 상기 벨트마스크에 증착된 상기 유기물이 상기 상기 벨트마스크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증착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단계 이후에는 상기 벨트마스크를 가열하는 열이 상기 소스부로 향하는 것이 단열판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증착방법.
KR1020120156696A 2012-12-28 2012-12-28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벨트마스크, 이를 이용한 유기물 증착장치 및 유기물 증착방법 KR101456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696A KR101456690B1 (ko) 2012-12-28 2012-12-28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벨트마스크, 이를 이용한 유기물 증착장치 및 유기물 증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696A KR101456690B1 (ko) 2012-12-28 2012-12-28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벨트마스크, 이를 이용한 유기물 증착장치 및 유기물 증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344A KR20140086344A (ko) 2014-07-08
KR101456690B1 true KR101456690B1 (ko) 2014-11-04

Family

ID=5173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696A KR101456690B1 (ko) 2012-12-28 2012-12-28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벨트마스크, 이를 이용한 유기물 증착장치 및 유기물 증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6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15390B2 (ja) * 2016-05-10 2021-01-20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ied Materials,Incorporated 堆積装置を操作する方法、蒸発した源材料を基板に堆積する方法、及び堆積装置
KR102339654B1 (ko) * 2017-03-28 2021-12-16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박막증착장비
CN108674010A (zh) * 2018-06-28 2018-10-19 无锡奥特维科技股份有限公司 丝网印刷设备、叠片机及丝网印刷方法
JP2022047744A (ja) 2020-09-14 2022-03-25 ホシデン株式会社 タッチ入力装置
CN117983565A (zh) * 2024-03-29 2024-05-07 德沪涂膜设备(苏州)有限公司 一种掩膜板清洗装置以及掩膜板的清洗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408A (ko) * 2004-01-29 2005-08-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노광 정렬 방법 및 이를 위한 패턴 마스크
KR100815763B1 (ko) * 2006-10-13 2008-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마스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프레임과 마스크의정렬방법
KR20080074552A (ko) * 2007-02-09 2008-08-13 (주)올레돈 벨트형 증발장치를 이용한 플렉시블 유기소자와 조명용유기소자 생산용 제작 장치
US20120045852A1 (en) * 2009-02-23 2012-02-23 Applied Materials, Inc. Autotuned screen printing proces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408A (ko) * 2004-01-29 2005-08-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노광 정렬 방법 및 이를 위한 패턴 마스크
KR100815763B1 (ko) * 2006-10-13 2008-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마스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프레임과 마스크의정렬방법
KR20080074552A (ko) * 2007-02-09 2008-08-13 (주)올레돈 벨트형 증발장치를 이용한 플렉시블 유기소자와 조명용유기소자 생산용 제작 장치
US20120045852A1 (en) * 2009-02-23 2012-02-23 Applied Materials, Inc. Autotuned screen printing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344A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690B1 (ko)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벨트마스크, 이를 이용한 유기물 증착장치 및 유기물 증착방법
US10431779B2 (en) Organ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manufactured using the method
US930619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54335B1 (ko) 금속판 벨트 증발원을 이용한 선형 유기소자 양산장비
US8993360B2 (en) Deposit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140145383A (ko) 인라인형 대면적 oled 하향식 증착기
CN102686764A (zh) 成膜装置以及成膜方法
US9048460B2 (en)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by using the same
US20150207108A1 (en) Deposit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1856110B1 (ko) 기판처리장치 및 기판처리방법
US2014028455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deposition apparatus using the method,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US9640784B2 (en) Deposit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KR20130072602A (ko) 마스크 적재 및 기판 반송 챔버와, 마스크 적재 및 기판 반송 챔버의 운용방법
KR101876309B1 (ko) 증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인라인 처리 시스템
KR20140038844A (ko) 초대면적 유기전계발광소자 박막의 대량생산 제조용 하향식 선형 증발원과 하향식 증착기
KR101435504B1 (ko) 기판 이송 장치 및 기판 이송 방법
KR101605310B1 (ko) 증착기의 마스크 센터링 블록
KR100767026B1 (ko) 유기발광소자 증착용 벨트형 면소스
JP7033180B2 (ja) 回転駆動装置、これを含む成膜装置、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2014028456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manufactured by the method
US20150111312A1 (en) Depositio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 device
KR101514210B1 (ko) 박막 증착장치
KR101448046B1 (ko) 유기발광소자 제조장치
KR101960709B1 (ko) 유기층 증착 장치,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23313A (ko) 박막증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