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412B1 - 수간 주사바늘 및 수간 주사기 키트 - Google Patents

수간 주사바늘 및 수간 주사기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412B1
KR101456412B1 KR1020140026590A KR20140026590A KR101456412B1 KR 101456412 B1 KR101456412 B1 KR 101456412B1 KR 1020140026590 A KR1020140026590 A KR 1020140026590A KR 20140026590 A KR20140026590 A KR 20140026590A KR 101456412 B1 KR101456412 B1 KR 101456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car
needle
perforated
perforat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훈
Original Assignee
한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훈 filed Critical 한경훈
Priority to KR1020140026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412B1/ko
Priority to PCT/KR2015/000281 priority patent/WO20151337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4Distributing under pressure; Distributing mud; Adaptation of watering systems for fertilising-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Toxi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에 약제를 투여하기 위한 수간 주사바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간 주사바늘은 중공관의 양측에 개방 단부가 형성되고 관의 벽에 다수의 열공이 형성된 투관침;과 상기 투관침에 삽입되어 투관침을 폐쇄하며 식물 체간을 천공하는 천공날이 형성된 천공침;과 상기 투관침에 삽입되어 식물 체간을 더 천공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드릴막대;와 상기 투관침에 안치되어 천공된 공간을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공성 재질의 폐쇄방지막대;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수간 주사법을 시간적인 제약과 공간적인 제약, 노동력의 제약, 경제적인 제약, 환경적인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간 주사바늘 및 수간 주사기 키트{Wood injection needle and wood injector kit}
본 발명은 수간 주사바늘 및 수간 주사기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식물의 몸체에 약제를 투여하는 주사바늘 장치와 이와 관련된 부품이 추가적으로 포함 구성된 수간 주사기 키트에 관한 것이다.
지역적 기후 변화에 따라 곤충과 미생물 군집의 천이와 이동이 발생하며, 이는 식물 군락의 천이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지구 온난화에 기인한 천공성 곤충의 천이 변화는 해당 지역의 목본 식물의 고사병 발생 빈도의 증가를 초래한다.
이에 수목 군락의 변화와 수목의 질병적 폐쇄에 대한 인간의 여러 대응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거시적인 자연 생태계 변화에 대항하는 인위적인 대응책들이 무의미하며 불필요하다는 견해를 제기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견해는 어쩌면 생태학적인 견지의 학문적 안이함일 수도 있다. 특히 소나무에 대한 한국인들의 생각은 오래되고 친밀한 것으로 한국에서 소나무 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병에 관해서는 경제적인 문제 이외에 서정적이고 정서적인 문제가 추가된다. 일본 소나무 군락을 괴멸시킨 소나무 재선충병은 한국이 맞닥뜨린 재앙적 소나무 역병이다.
삭제
수목 또는 산림 내의 천공성 충류로는 하늘소류, 유리나방류, 깍지벌레류, 응애류, 개미류, 솔잎혹파리류, 방패벌레류, 나무좀류가 알려져 있으며 그 중 솔잎혹파리, 나무방패벌레는 천공성 또는 재식성이 강해 수목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해충이다.
소나무 재선충은 솔수염하늘소가 매개하는 벌레로 북미 대륙의 토착종이다. 그 지역의 수종은 재선충에 내성이 있으나 내성이 발달하지 않은 타지역 소나무에서는 심각한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소나무 재선충 방제는 병원체인 소나무 재선충을 대상으로 하는 방법과 매개체인 솔수염하늘소를 대상으로 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에 대한 방제는 수간 주사법이 방법 중 한 가지로 이용된다.
소나무 재선충을 대상으로 하는 수간 주사법은 몇 가지 불리한 점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해충방제율과 환경 보호적인 측면에서 합리적인 방법의 하나로 인정되고 있다.
2013년과 2014년도에 한국의 제주도에서 발생한 재선충병에 대한 대처로 고사목의 벌채와 감염목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감염목 폐기와 사후 대처에는 한화 400억 원의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 방법에서는 고사목 한 개체를 처리하는데 약 7만 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방적 수단과 사후 치료적 수단 모두를 만족시키는 수간 주사법은 벌목과 파쇄법에 대비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수단이기도 하다.
현재 소나무 재선충에 대한 수간 주사법은 12월에서 2월 사이의 동계에 제한적으로 시행되고 있는데 이외의 기간에는 송진액의 분비가 많고 이로 인해 약제의 주입과 흡수가 어렵기 때문이다. 수목이 위치한 산악 지역의 지형적 특성과 춘기 이후에 울창해진 잡목의 영향으로 접근에 제약이 있으며 이들은 수간 주사법 시행에 대한 시기적, 지역적 제한점이다.
소나무 재선충에 대한 화학적 약제로는 GABA 수용체 작용물질로 Ivermectin, Abamectin, Emamectin, Milbemectin이 있으며 ACE 저해제로 Mesulfenfos가 있으며 근육 활동 저해제로 Morantel tartrate, Vevamisol hydrochloride가 있다. Abamectin이나 Emamectin은 흉고직경 10cm 당 5ml를 1회 주입하면 3년 동안 약물이 수체 내에 잔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적정한 살충 농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가에 대한 것은 연구 과제로 남아 있다.
소나무 재선충이 물관에서 수분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이 소나무 고사의 원인이라고 알려진 일반적인 이론과는 달리 최근의 연구에서는 재선충과 공생하는 세균이 그 원인일 수 있다는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소나무 재선충의 피부를 멸균 처리하면 그 재선충이 병원성을 잃어버리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소나무 재선충에서 분리한 Pseudomonas속, Pantoea속, Enterobacter속의 세균이 소나무 갈변을 유발시킨다는 의견이 주목받고 있다. 이 이론으로 퀴놀론(Quinolone) 계열의 항생제와 페니실린 계열의 항생제를 이용한 재선충 방제 약품들이 개발되어 있다.
또한 식선충 효능이 있는 진균을 이용한 방제 약품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소나무 재선충의 유전자를 조작하는 방제 방법들이 알려지고 있다. 한국특허 1007361760000에는 살선충제에 부가적인 물질을 포함시킨 약물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페로몬을 이용한 천공성 곤충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들이 개시되고 있다.
EP0761399B1는 수간 주사법에서 약물이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투여되어야 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 특허이며 누액 방지와 재주입이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밸브 및 분사 총(Injection gun)에 관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5478394는 단방향 밸브가 구비된 수간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이 밸브를 투여공에 거치하기 위해서는 드릴 등의 천공 도구를 이용해야 한다.
상기의 예로 든 여러 방제 물질의 투여 방법에서나 방제 수단들은 대부분 수간 주사법에 의해 실행되고 있으며 이들의 실행에 있어서 대부분은 선결 조건으로 수간에 천공 공간을 요구하는 것이다. 수간을 일부 제거하는 천공 작업은 침습적이며 수고스러운 노동력이 필요하다.
식물에서 수분과 영양분의 이송은 체관(Sieve tube)과 물관(Vessel)에서 이루어지며 근압, 삼투압, 수분의 응집력, 장력, 모세관 현상이 관여하는 수분 포텐셜에 의한다. 이런 이송은 뿌리에서부터 말단 잎에 이르는 수십 미터에 이르는 거리에서 이루어지며 식물의 증산작용은 수분 포텐셜에 관한 중요한 이송 에너지 동력이다.
개시된 여러 수간 주사 장치들은 그 장치에 의해 수목의 체간에 가해지는 압력과 압력에 의한 투입을 강조하나 수분과 양분의 이송에 관한 수목 자체의 능동적 수송은 작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들은 수지분비에 의한 흡수 저하에 대처하려는 의도로서 가압의 필요성을 말하고 있지만 가압은 제한적으로만 이들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가압 장치가 부가된 수간 주사 장치들은 장치 또는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장비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 1011110560000은 동력을 이용한 압력식 수간 주입기에 대한 것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특허 1010524920000은 압력식 수간 주입용기에 대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압력에 의한 투여를 강조한 주입 장치나 방법들 중 일부에서는 상당한 수준의 복잡한 장치와 그에 따른 무게가 발생한다.
또한, 한국특허 1012889300000은 타입식 수간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드릴을 이용한 목질부의 제거 과정을 배제하기 위해 투관을 이용한 투여공 형성 방법이 개시되고 있으며, 종래의 몇몇에서 수간 목재를 갉아내거나 또는 드릴링 하는 이 절차를 피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나 이들 시도는 또 다른 문제점인 수지 분비에 의한 흡수 저하와 천공 공간의 조기 폐쇄에 대한 대처가 결여된 기술들이다.
1.EP0761399B1 System for injection of wood treating product and process for sealing the injector of said system. 2.KR1010321500000 항세균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3.KR1010332700000 소나무 재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 방법. 4.KR1010483150000 소나무 재선충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5.KR1007361760000 주석산을 함유하는 살선충제 조성물. 6.US5478394 Injectio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wood. 7.KR1011110560000 압력식 수간주입기. 8.KR1010524920000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 9.KR1005272860000 인공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10.KR1012889300000 수간 주사기. 11.KR1012255110000 수간주사용 수목제제. 12.PCT/US2004/010270 도파민 아고니스트의 지속 방출을 위한 이식 가능한 폴리머디바이스.
1. 소나무 재선충과 솔수염하늘소의 생태 및 방제물질의 선발과 이용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박사)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물환경학과 응용곤충학. 2010. 8: 김동수. 2. Kor. J. Appl. Entomol. 50(4): 353~362 (2011), 졸참나무와 서어나무 고사목의 나무좀의 다양성과 풍부도. 3. Res. Plant Dis. 18(2): 101~108 (2012), 자연감염된 소나무와 잣나무 내 소나무재선충 분포 및 인공접종한 소나무 묘목 내에서의 소나무재선충 이동. 4.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40, No. 4, pp365~374 (2008), 분해성 플라스틱의 개발 및 시장 동향.
넓은 범위에서 다수의 개체를 대상으로 하는 수간 주사법이 시간적인 제약, 공간적인 제약, 노동력의 제약, 경제적인 제약, 환경적인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게 시행되게 하는 도구와 수단으로서 수간 주사바늘 및 수간 주사기 키트를 개발하고자 한다.
수간에 타입하는 형식의 수간 주사바늘로써 수간의 목질부를 제거하는 투여공 형성작업 과정을 생략하여 수간에 가해지는 침습성의 위험을 줄이고자 한다.
투여공이 수목의 자가 치유 과정에 의해 수지와 목질로 빠르게 폐쇄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수지와 목질에 의해 천공된 공간이 빠르게 폐쇄되면 방제 수단이 반복적이나 지속적으로 투여되기 어려우므로 수지 분비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게 하여 수간 주사법 시행에 대한 계절적 제한을 완화하고자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간략한 수단과 방법으로 지형적으로 불리하고 넓은 면적에서 다수의 개체를 대상으로 하는 수간 주사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한다.
수간에 형성된 천공 공간을 주입기 설치 후나 주입 후에 밀봉해야 하는 작업 과정을 생략해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또한 일부의 수간 주입장치에 보이는 수간공과 장치 사이에서 발생하는 약액 누수에 관한 밀봉 장치를 생략하고자 한다.
수용 용기와 투관침을 자연상태에서 분해가 가능한 재질로 사용하여 수거나 제거가 불필요하게 하는 친환경적인 수간 주사법을 시행하고자 한다.
목질부의 재생에 의한 투여공의 조기 폐쇄를 막으며, 수지액의 분비에 의한 방제 수단의 투여 제약을 피하며, 약제의 투여 작업 가능 시기를 연장하며, 방제 물질의 반복 투여가 가능하게 하며, 방제 물질이 수체 내에 일정 농도 이상으로 유지하는 기간을 연장하고자 한다.
방법에 있어서 침습성의 개선 또는 수간 주입 방법의 개선, 투여 시기, 치료 또는 예방 기간의 제약에 대한 극복, 장치의 소형화와 경량화 또는 제조비용의 감소, 환경적인 배려 등을 이루고자 한다.
투관침은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파이프와 같은 구조로서, 중공을 통해 주로 유체 물질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조물이다. 중공은 이 유통관이 기능적인 면과 구조적인 면에서 유리한 원통형이 바람직하다.
삭제
투관침은 일단에 출개구가 형성되며 중공을 형성하는 외피 또는 벽이 이 부위에서 얇아지게 테이퍼링 되며 이 외피의 중공쪽 내측면은 천공침의 외주면과 밀착된다. 투관침의 이 일단은 벽의 두께가 외주면에서부터 얇아져서 외경은 천공침의 외경에 수렴하며 끝에서 절삭날을 형성한다. 이 두 구조물이 결합된 상태로 타입될 때 얇아진 날과 천공침의 첨단부가 적어진 마찰로 두 구조체를 수간에 진입되게 한다. 이 투관침에 삽입되는 천공침도 일단에서 축소되고 첨단으로 갈수록 날카로워지게 테이퍼링 되어진 것이다. 투관침의 이 출개구 단부는 상기 천공침이 테이퍼링 되어지는 부위보다 근위부에 위치한다.
다른 양태에서는 투관침이 이루는 축에 예각으로 절단된 형태의 출개구 단부를 가지는 투관침이 제공된다. 예각으로 절단된 출개구는 인체나 동물을 대상으로 사용 되어지는 통상적인 주사기 끝날의 형태로 날카로운 절삭날이 형성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는 투관침의 이 출개구 부위가 외경이 축소되어 가면서 테이퍼링되며 찌르기 편한 단부와 예각으로 형상된 첨단부를 가질 수도 있다. 축소되는 외경의 출개방 단부의 면은 그 축에 예각을 이루고 이 예각에 부합되게 형성되는 천공침의 예각 단부가 위치한다. 이들 양태의 출개방 단부의 형상과 구조는 구체적인 내용이 도면과 함께 자세히 설명된다.
투관침의 타단은 이 투관침의 중공에 삽입되어지는 천공침, 드릴막대, 폐쇄방지막대, 약제를 포함하는 서방형 약물 막대의 투입 입구이며 천공침과 수용 용기가 각각 연결 또는 고정되는 부위이다. 이 단부는 투관침의 입개구로서 이 실시예의 수간 주사바늘이 수간에 위치할 때 수간 외부에 노출되는 부위이다.
입개구의 이 부위는 천공침과 연결 또는 고정되는 고정수단으로 끼움돌기가 형성된 부위이다. 최상단에서 축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단턱이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횡단면에서 투시할 때 투관침 벽의 외연에서 돌기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이 돌기는 천공침의 끼움홈에 고정된다. 이 끼움돌기가 천공침의 끼움홈에 위치할 때 투관침은 천공침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결합된 두 구조물은 천공침의 두부에 가해지는 타력에 의한 파손과 수간 목질부의 저항에서 자유로운 상태로 수간에 삽입된다.
다른 양태에서 투관침과 천공침의 결합을 위한 고정수단은 나사산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관침의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천공침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은 두 구조체를 결합할 수 있으며 수용 용기의 유출구에 형성된 나사산 또한 투관침의 나사산과 결합할 수 있다.
나사산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연결 또는 고정된 두 구조물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수나사와 암나사의 개수를 최소화한 형태가 끼움돌기와 끼움홈의 형태일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끼움돌기와 끼움홈에 의한 결합, 나사산 형태에서 이루어지는 나사결합, 억지끼움결합은 고정과 함께 밀폐를 달성하는 수단이다.
끼움돌기와 끼움홈에 의한 결합이나 나사산에 의한 결합은 투관침과 천공침이 수간에 타입된 후 천공침의 회전에 의해 해체된다.
투관침의 입개구와 출개구 사이의 외피에는 한 개 이상의 열공이 형성된다. 열공은 출개구 쪽으로 몰려서 형성되며 입개구 쪽 및 수간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열공의 형태는 대체로 원형이나 사각형, 타원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이다. 열공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투관침의 벽은 망사형태, 또는 체(Sieve)의 형태를 취한다.
투관침에 형성된 이 열공은 수목의 재생에 의한 투여공간의 조기 폐쇄를 막아주며 투여물질과 수간과의 접촉면적을 늘려준다. 또한 이런 형태는 폐쇄방지막대의 기능과 더불어 투여물질의 투여가능 시간을 연장하게 한다.
투관침은 수용 용기와 기능적으로 상호 작용되게 결합되며 폐쇄방지막대를 투관침에 수용한 채로 수용 용기가 주로 액체물질을 공급하게 한다.
투관침의 굵기는 mm 또는 게이지로 표시될 수 있으며, 투관침의 굵기에 따른 다른 척도는 그 길이로 100mm 내외의 길이를 가진 투관침이 제공될 수 있다. 투관침의 굵기와 길이에 대한 결정 또는 제한하는 조건은 삽입 대상 수간의 흉고 직경과 투관침의 구조적 안정성이다. 수간 흉고 직경에 따르는 다양한 길이와 굵기의 투관침이 제공된다.
투관침은 주로 강성의 물질로 이루어지며 예로 강철, 스테인레스강, 텅스텐, 티타늄, 알루미늄, 탄소 강화물,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플라스틱, 또는 이들 중 한 가지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요구되는 특성과 기능, 그 용도에 있어서 투관침에 유리한 재질은 금속이다. 투관침의 바람직한 재질로는 합금되거나 도금되지 않은 철이다. 합금되거나 도금되지 않은 철은 수간 내에서 수분과 결합하여 쉽게 산화되며 일정 기간 후 소멸 또는 흡수될 수 있다.
벽 또는 외피의 비가요성 요구 조건과 일정 기간 존재 후 소멸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투관침의 또 한 가지 재료로는 소위 바이오 플라스틱이 있다. 일정 기간 존재 후 분해되는 플라스틱은 환경적인 배려에서 유리한 면을 가진다.
바이오 매스 기반의 플라스틱은 강도에 관한 기술적 완성도와 분해 시간 제어에 관한 기술적 진전으로 이 투관침의 바람직한 재질로 사용될 수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 중이며 분해되지 않는 플라스틱의 가격에 근접하고 있는 바이오 플라스틱 가격은 투관침 제조에 관한 비용적 제약을 완화시키고 있다.
천공침은 투관침 내에 강선 막대 형태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입작업 동안 투관침의 폐쇄 요소로 작용한다. 천공침은 투관침 내에 강선 막대 형태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입작업 동안 수간의 천공 요소로 작용한다. 천공침은 투관침 내에 강선 막대 형태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입작업 동안 타입 에너지를 맞아들여 수간에 전달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천공침은 투관침 내에 강선 막대 형태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입작업 동안 투관침의 삽입에 안정적 보호 요소로 작용한다.
천공침의 일단은 날카로운 첨단부가 형성된다. 통상적인 송곳 형태의 이 첨단부는 투관침에 조립되었을 때 투관침보다 더 긴 길이로 투관침의 출개구 단부 밖에 노출된다. 테이퍼링 시작점의 근위부는 투관침 출개구 단부의 내벽에 접하며 천공침의 외주와 투관침 벽의 외주는 수렴한다.
천공침의 외주에 투관침의 출개구 단부의 외주가 수렴하여 구성된 두 구조체는 타입되어 맞닥뜨린 수간 목질의 투관침 내로의 유입을 막으며 적은 저항으로 수간 목질에 진입된다. 날카로운 송곳 형태의 천공침 첨단부는 수간의 목질부를 쉽게 천공한다.
한편 상기 투관침 설명에서 다른 양태로서 언급한 예각 형성 투관침에는 이에 부합되게 예각이 형성된 천공침이 구성되어 제공된다. 이 양태에서는 천공침의 첨단부 말단과 투관침의 첨단부 말단은 상기 송곳 양태의 구조체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같은 길이맞춤으로 위치한다.
천공침의 타단은 타격 수단에 대응하고 타격에 대항하는 수단으로 두부가 형성되며 이 두부에는 투관침과 연결 또는 고정되는 수단이 구비된다. 이 수단의 내용은 투관침 설명에서 기술되었으며, 투관침, 천공침, 수용 용기의 각각에 상응하는 연결 또는 고정 수단은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천공침의 두부는 천공침 축의 한쪽 말단에 보다 넓어지고 두터워진 덩어리가 형성된 부위이다.
바람직한 천공침의 재질은 금속이나 타력에 대항할 수 있는 강도의 재질이면 어떤 것도 가능하다.
합금되거나 도금되어 강도가 강화된 금속은 첨단부, 막대샤프트, 두부의 마모와 변형을 막는데 유리한 재질이다. 한 가지 예로 산업용 다이아몬드는 첨단부에서 강화된 재질로서 강화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천공침의 굵기와 길이에 대한 결정과 제한 요소는 조립되는 투관침의 내경 크기와 길이 요소이다.
한편 천공침은 파손, 마모되기 전까지 다른 투관침과 결합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며 비용적인 면으로 각각의 수간 주사기 키트에서 일부만이 포함되어 출시될 수도 있다.
드릴막대는 천공침이 투관침에서 제거된 후 투관침의 입개구를 통해 삽입되며 출개구를 더 통과하여 수간에 추가적인 천공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일단에서 막대의 외주에 형성된 나선형 홈 또는 드릴산은 굴착효율이 높은 스크류의 반송 원리에 의해 절삭 목편을 제거하고 천공 공간을 넓혀준다.
드릴막대의 타단에는 수동 핸들로 손잡이가 형성된다. 이 핸들은 가해지는 뒤틀림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와 구조를 가진다.
드릴막대의 길이는 투관침의 길이보다 긴 길이이다. 드릴막대의 길이와 굵기에 대한 결정과 제한 요소는 투관침의 길이와 내경 크기이다.
일부분에서 비슷한 기능과 목적일 수 있는 천공침과 드릴막대는 같은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드릴막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인자 중 부가적인 요소일 수 있으며 그 기능 또한 부가적일 수 있다.
한편 드릴막대는 파손 또는 마모 되기 전까지 다른 투관침에서 재사용이 가능하며 비용적인 면에서 각각의 수간 주사기 키트에서 일부만이 포함되어 출시될 수도 있다.
폐쇄방지막대는 수지액과 수간의 재생 목질에 의해 투관침이 조기 폐쇄되는 것을 막는다. 즉, 폐쇄방지막대는 수용 용기 내의 약제가 수간 내로 주입되는 통로인 투여공이 조기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폐쇄방지막대는 스펀지와 같은 기능으로 수용 용기 내의 약제를 흡수하여 포함하며 투여공의 조기 폐쇄 방지로 투여 물질의 투여 기간을 연장한다. 폐쇄방지막대는 천공침이 제거된 후 그 공간이나 드릴막대에 의해 더 천공된 수간에 삽입된다.
투관침의 중공에 삽입되는 폐쇄방지막대의 입체 척도는 투관침의 중공 척도에 의해 결정된다. 폐쇄방지막대는 길어진 막대의 형태이나 일부 다른 양태에서는 몇 개의 마디에 의해 분할된 짧은 막대 형태일 수 있다.
폐쇄방지막대를 이루는 바람직한 재질은 액체류를 흡수하고 포함할 수 있으며 흐르게 할 수 있는 다공성의 고체 물질이다. 예로서 무수규산화물(SiO2)을 포함하는 광물적 성격의 고체 재질일 수 있다.
폐쇄방지막대의 재질과 재료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 가지 유망한 재료로는 석탄재가 유력하다.
석탄이 연소된 후 생성되는 바닥재(Bottom ash)는 다공성과 친수성을 가진 경량 물질이다. 석탄재의 대략적인 성분은 SiO2가 45~60%, Al2O3가 20~25%이며 Fe2O3, MgO, Na2O, K2O, SO3, TiO2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성분은 비료화할 수 있는 성분으로 바닥재를 이용한 농업용 비료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바닥재는 배수 토목공사용 배수 재료나 기포 콘크리트 제작에도 이용되고 있다.
폐쇄방지막대를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덩어리 형태의 바닥재를 본 발명에 부합하는 형태로 절삭 성형하는 방법이 있으나 현실적인 방법으로 바닥재 입자를 성형 처리하는 것이다.
입자의 고형화 또는 성형화 처리는 액상 규산나트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석회기초법, 열가소성 중합체법, 자가 시멘트법 중 한 가지 이상의 방법으로 달성된다.
바닥재를 이용한 폐쇄방지막대의 제작은 재료의 비용적인 면에서 유리하다.
폐쇄방지막대는 수간에 삽입되어 그 기능을 달성하고 수목질에 대부분 흡수될 수 있다.
약제가 수용되는 용기는 수간 주사기 키트를 구성하는 한 가지 요소이다. 약제가 수용되는 용기는 주입용 용기, 주입용 주사기, 낙차를 조정한 수액팩, 펌프를 구비한 용기를 포함하여 이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과 사상과 의도 내에서 가장 바람직한 수용 용기는 일단에 투관침의 입개구부와 연결되는 유출구와 타단에 공기의 유통공을 구비한 용기이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가장 저비용이며 단순한 형태의 이 용기는 시럽 약물을 보관하는 플라스틱 병을 닮은 형태이다.
투관침의 입개구에 나사산 또는 억지끼움 상태로 연결 또는 고정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용기가 제공된다. 이 유출구에는 나사산, 끼움홈, 억지끼움쇠가 연결수단 또는 밀폐의 수단으로서 형성된다.
수용 용기의 유출구는 은박지, 알루미늄막, 필름막 등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재료로 밀폐되어 있다. 이 밀폐 수단은 유출구가 투관침에 연결될 때 나사산 또는 끼움돌기에 의해 찢어지고 유출구는 개방된다.
다른 양태에서는 도구를 이용한 유출구 개방이 필요할 수도 있다. 유출구는 투관침의 입개구와 연결되고 밀폐를 이룰 수 있게 대응되는 수단이 형성된다.
공기의 유통공은 유출구를 밀폐하는 재료와 같은 재료에 의해 밀폐와 개방을 이룬다. 공기 유통공은 수용 용기의 유출구가 투관침의 입개구부와 연결된 후 작업자 손의 힘에 의해 밀폐 수단이 박리되어 개방된다.
바람직한 수용 용기의 내부 용적은 50ml 내외이며 다른 양태에서는 20ml 내외의 내부 용적을 가진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수용되는 약제의 요구 용량에 따른 다양한 용량의 용기가 제공된다.
실용화 단계에 있는 분해성 플라스틱으로는 폴리락트산(PLA); 폴리카프로락톤(PCL); 등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에 의해 구성된 플라스틱이 있으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전분의 합성체; 폴리부틸석시네이트(PBS); 폴리-3-히드록시 부틸레이트(PHB); 또는 이들의 중합체;에 의한 플라스틱이 있다. 이들은 썩지 않는 플라스틱 가격에 접근한 비용으로 투관침 및 수용 용기의 제작에서 유용한 재질이다. 투관침과 수용 용기는 사후 수거하지 않아도 되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한 바이오 플라스틱이 투관침과 수용 용기의 제작에서 친환경적인 면으로 유용한 재질임은 분명하나 이들로 제한하지는 않는다. 다른 재질에 있어서는 경량의 재질이며 내구성을 가지는 합성수지가 투관침과 수용 용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수용 용기의 일부 기능은 어떤 수간 주사기 키트에서 서방형 약물 막대가 그 기능을 대체할 수도 있다.
수간 주사기 키트를 구성하는 요소로 서방형 약물 막대는 메트릭스와 이에 포함되는 약제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한 한 가지 양태로 이 메트릭스는 분해 가능한 폴리머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폴리머는 약제를 서서히 분비한다. PCT/US2004/010270은 도파민 길항제를 포함하고 인체 내에 지속적으로 분비하게 하는 폴리머 메트릭스에 관한 특허이다. KR1012255110000에는 카올리나이트, 벤토나이트, 규조토, 제올라이트가 다공성의 성격으로 약물을 포함하는 메트릭스로 채택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두 가지 특허의 산출물들은 다소 침습적인 방법으로 투여 대상체에 삽입 된다. PCT/US2004/010270과 KR1012255110000은 그 개시 내용이 본 발명의 일부로서 인용될 수 있다.
이 서방형 약물 막대 메트릭스에 포함되는 물질은 유체성 또는 고체성 물성의 물질이 포함되며 식물을 대상으로 하는 살충제, 방충제, 항기생충제, 항생제, 항미생물제, 천적 미생물제, 유전자 조작 미생물제, 호르몬제, 영양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제제이다.
유기화학 폴리머 기질, 전분 기질(Starch matrix), 석탄 바닥재 기질, 다공성 광물 기질, 톱밥가루, 왕겨, 부석 슬러그 등과 이들 중 한 가지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재료는 포집 기술을 이용한 서방형 약물 막대의 성형 틀의 재질로 사용 가능하다. 폐쇄방지막대와 서방형 약물 막대를 이루는 메트릭스 재질로서 석탄 바닥재에 대한 연구는 한국의 동해 화력발전소에서 채취된 바닥재를 이용하여 강원대학교 연구팀의 노력으로 이루어졌다.
서방형 약물 막대의 형태는 투관침 중공에 안치되는 형태이며 다른 양태에서는 드릴막대에 의해 형성되는 천공 공간에 안치되는 형태이다. 일부 다른 양태에서는 이 약물 막대는 몇 개의 마디로 절단된 형태로 성형될 수 있으며, 절단된 약물 막대는 각각의 효능을 가지는 물질들이 포함될 수 있다.
서방형 약물 막대는 고체 형태로서 폐쇄방지막대의 기능을 대체할 수도 있으며, 어떤 수간 주사기 키트에서 폐쇄방지막대를 대체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곤충에 있어서 대부분은 유충, 번데기, 성충으로 성장하고 더욱이 번데기 기간은 보호방에 있게 되며, 생명완성 주기가 길 뿐만 아니라 1세대의 생명주기가 2년 이상인 유해 곤충들이 있어 방제물질은 수체 내 잔류기간이 길수록 유리하다.
살충제 또는 살균제의 작용은 주로 억제 대상 생물체의 세포분할에 관련되어 작용하며 신경전달 물질에 의한 신경계의 교란, 심혈관계의 교란, 호흡기계의 교란에 연관되어 있다. 대상 생물체는 성장과 분할에 있어서 시간적 단계가 필요하므로 이는 살충제 또는 살균제가 숙주와 대상 생명체 내에 일정 기간 일정 농도 이상으로 잔류해야 한다.
또한, 감염목의 치료에 있어서 치료적 성격이 강한 살충성(Insecticidal) 또는 살균성(Bacteriocidal) 약제들은 어느 일정 기간에 걸쳐 살충 또는 살균 가능 농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넓은 범위에서 다수의 개체를 대상으로 해야 하는 예방적 수간주사법에서는 방충적(Repellent) 또는 정균적(Bacteriostatic) 성격의 약제가 가능한 한 장시간에 걸쳐 수체 내에 유지되도록 투여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동계에 투여된 예방성 약제는 재선충과 곤충의 증식이 활발해지는 때까지 최소 6개월 이상 수체 내에 잔류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간 주사법이 방제의 한 가지로 채택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시간적, 공간적, 생물학적인 이유로 수간 주사 장치는 약제가 오랜 기간 동안에 공급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 따른 수간 주사바늘에서 폐쇄방지막대와 서방형 약물 막대가 이와 같은 수단이 될 수 있다.
이 수간 주사기 키트에는 각국의 언어로 잘 설명된 사용 설명서와 약제에 대한 설명서, 주의 사항, 보험가입 확인서, 이 수간 주사기 키트와 연관된 연구문서, 각각의 부품들을 정리하여 포함시키는 포장재료, 상표 라벨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간 주사 작업은 침습성 개선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간 주사 작업은 드릴 천공작업, 투여공 밀폐작업을 생략하며 타력에 의한 작업으로 이루어져 작업의 효율성 증가와 노동 비용의 감소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간 주사기 장치는 굴착 천공 장치와 동력에 의한 압력 발생장치가 불필요하므로 제조 비용에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간 주사법은 폐쇄방지막대 또는 서방형 약물 막대의 기능으로 수간주사 작업 시기와 기간의 제한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서방형 약물 막대에 의해 방제물질이 서방 형식으로 방출되어 방제물질의 수간 유효 농도가 오랜 기간에 걸쳐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폐쇄방지막대와 서방형 약물 막대의 골격적 구조와 그 기능에 의해 주입기 설치 후나 방제물질 주입 후에 수간에 형성된 천공 공간을 밀봉하는 작업 과정을 생략하거나 누액 방지 장치를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간 주사법은 폐쇄방지막대 또는 서방형 약물 막대의 기능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물질을 반복하여 주입 또는 투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방제물질의 재투여가 가능하게 하는 폐쇄방지막대가 치료성 약제 투여에 유리함을 제공하며, 약제가 서방 형식으로 방출되는 서방형 약물 막대는 예방성 약제 투여에 유리함을 제공한다.
넓은 구역에서 다수의 개체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수간 주사법을 시간적인 제약과 공간적인 제약, 노동력의 제약, 경제적인 제약으로부터 극복되게 하는 도구나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도1은 실시예1에서 수간 주사바늘의 구성도.
도2는 실시예1에서 투관침과 천공침의 출개구 단면도. 두 구조물의 결합을 도시.
도3은 실시예1에서 투관침 입개구와 천공침 두부의 결합에 관한 단면 분해도. 천공침 두부의 E-E’선 단면도가 상측과 우측에 도시되어 있다.
도4는 드릴막대에서 나선홈과 수동핸들의 부분도.
도5는 폐쇄방지막대의 입체도. 아래에 절단된 형태가 예시로 표현되어 있다.
도6은 실시예1에서 수용 용기의 입체도. 나사산이 유출구의 내부에 형성됨을 도시한 것.
도7은 서방형 약물 막대의 입체도. 아래에 절단된 형태가 예시로 표현되어 있다.
도8은 실시예2에서 수간 주사바늘의 구성도.
도9는 실시예2에서 투관침과 천공침의 출개구 단면도. 두 구조물의 결합을 도시.
도10은 실시예2에서 투관침 입개구와 천공침 두부의 결합에 관한 절단 분해도. 천공침 두부의 F-F’선 단면도가 상측과 우측에 도시되어 있다.
도11은 실시예2에서 수용 용기의 입체도. 나사산이 유출구의 내부에 형성됨을 도시한 것.
도12는 한 가지 예시로 도시된 투관침과 천공침의 출개구 단면도. 두 구조물의 결합을 도시.
도13은 한 가지 예시로 도시된 수용 용기의 입체도. 나사산이 유출구의 외부에 형성됨을 도시한 것.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1)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간 주사바늘은 투관침(10), 천공침(20), 드릴막대(30), 폐쇄방지막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간 주사기 키트는 상기 수간 주사바늘에 수용 용기(50) 또는 서방형 약물 막대(6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추가되어 구성된다.
투관침(10)은 출개구(16)와 입개구(15)로 형성된 개방 단부가 형성되고 중공(11)으로 통하는 다수의 열공(14)이 외피(12)에 형성된다. 열공(14)이 형성되는 투관침 샤프트는 수간의 체관과 물관부에 위치하게 된다.
수간에 삽입 후 노출되는 외피부(13)는 열공(14)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 부위는 열공이 형성되는 부위보다 외경이 크며, 이 두꺼워진 벽은 천공침 두부(21)에 가해지는 타력에 의해 투관침(10)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막는다.
송곳 형태의 천공날(23)과 투관침 절삭날(19)이 출개구(16) 단부의 단면도로 함께 도시된 것이 도2 이다. 외피(12)의 끝에서 투관침 절삭날(19)이 형성되어 수간 진입을 쉽게 한다.
투관침의 절삭날(19)은 투관침 본체에서 출개구(16) 쪽으로 형성되며 끝 절삭날 각은 예리하게 형성된다.
천공침의 첨단부가 송곳 형태로 이루어진 천공날(23)은 천공침(20)과 투관침(10)의 해체과정에서 저항이 적게 발생하므로 유리하다.
투관침의 입개구(15)는 중공(11)으로 삽입되는 도구와 수단의 통로이자 타 구조물과 연결 또는 고정되는 수단이 형성되는 부위이다.
도3에 보이는 투관침 끼움돌기(17)는 천공침의 두부(21)에 안정적인 결합을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두부(21)에 형성된 천공침 끼움홈(22)은 천공침의 두부(21)를 비틀어서 약간의 저항이 발생하는 상태로 투관침 끼움돌기(17)에 끼워 넣어져 잠금을 이루게 된다. 이런 형태(예를 들면, Lure lock)의 연결과 고정은 끼워맞춤과 해체 과정이 편하고 쉬워지게 한다. 이 양태에서의 입개구(15)는 수용 용기(50)와의 결합에서 수용 용기 유출구(51)와 억지끼움에 의한 결합과 밀폐를 이루게 된다. 이 양태는 용기 유출구의 형태가 중공(11) 입구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이 투관침(10)의 양태에서 입개구 중공(11) 쪽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다면 수용 용기 유출구가 이에 대응하는 형태(예로 도13 용기의 유출구)로 구비될 수 있다.
천공침(20)은 투관침(10)에 형성된 결합 수단과 서로 대응하는 결합 수단을 두부에 가지며 첨단부에는 투관침 절삭날(19)과 대응하는 천공날(23)을 구비한다.
삭제
삭제
도4에 도시된 드릴막대(30)는 끝에 절삭날(33)을 갖는 드릴을 구비하고 나선홈(32)은 드릴막대 끝의 절삭날(33)과 본체의 일부(샤프트) 사이에 형성된다.
드릴막대(30)의 길이를 투관침(10)의 길이보다 비교적 길게 형성하여 추가되는 천공 공간 확보를 원하는 만큼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도5에 보이는 폐쇄방지막대(40)는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형태로 절단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폐쇄방지막대(40)에 보이는 다공성 표면(41)은 폐쇄방지막대(40)를 이루는 재질의 특징을 표현한 것으로 바람직한 폐쇄방지막대(40)의 재질은 다공성 고체 물질이다.
도6에서 한 가지 바람직한 양태로서 도시되고 있는 수용 용기(50)는 투관침(10)과 연결되고 고정되는 수단이 형성된 유출구(51)를 가진다. 주입 압력보다는 중력과 수간의 흡인력에 의존하는 이 양태는 공기의 유통공(54)과 유통공의 밀폐 수단(55)을 가진다. 유출구(51)는 약제에 대한 유출구 밀폐 수단(53)을 가진다.
공기 유통공 밀폐 수단(55)은 유출구(51)가 투관침(10)에 결합된 후 제거되어 유통공(54)은 개방된다.
삭제
수용 용기(50)에 수용되는 약제에는 식물 영양제, 비료, 수액이 포함되며 이들은 시비가 긴급하거나 시비가 어려운 상황에서 신속한 공급 영양원이 된다.
도7은 약제를 지속적이고 서서히 분비되게 하는 서방형 약물 막대(60)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는 다공성 표면을 갖는 서방형 약물 막대(60)를 도시하였으나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서방형 약물 막대(6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짧거나 분절된 형태의 서방형 약물 막대(60)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서방형 약물 막대(60)의 메트릭스는 성형제에 흡착제와 경화제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거품 슬러그는 선철 후에 얻어지는 수경성 물질로 일명 부석(浮石)이라고 칭해지는 경량성 물질이다. 거품 슬러그는 흡착제, 경화제와 혼합으로 또는 소량의 석고와 혼합으로 폐쇄방지막대(40)와 서방형 약물 막대(60)의 메트릭스로 제조될 수 있다. 메트릭스는 물을 흡수한 상태로 함수량의 증가와 약물의 팽륜에 의해 약물을 분비하면서 골격을 유지한다. 메트릭스에 포함되는 조성물은 고체 물질, 액체 물질, 에멀젼, 유동성 수화제 물질, 마이크로캡슐 등의 제형이거나 에어로졸 물질, 발연성 물질, 유인성 물질 등의 제형일 수도 있다.
(실시예2)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간 주사바늘은 투관침(10a), 천공침(20a), 드릴막대(30), 폐쇄방지막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간 주사기 키트는 상기 수간 주사바늘에 수용 용기(50a) 또는 서방형 약물 막대(6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추가되어 구성된다.
투관침(10a)은 출개구(16a)와 입개구(15a)로 형성된 개방 단부가 형성되고 중공(11a)으로 통하는 다수의 열공(14a)이 외피(12a)에 형성된다. 도8에서 보이는 것처럼 이 열공(14a)이 크고 조밀하게 형성되어 외피(12a)가 망사 형태를 취하고 있다.
망사형 열공(14a)이 형성되는 투관침 샤프트는 수간의 체관과 물관부에 위치하게 된다.
수간에 삽입 후 노출되는 외피부(13a)는 열공(14a)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 부위는 열공(14a)이 형성되는 부위보다 외경이 크며, 이 두꺼워진 벽은 천공침 두부(21a)에 가해지는 타력에 의해 투관침(10a)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막는다.
출개구 단부의 형상은 여러 가지로 변형되어 생성될 수 있다. 도2에 대한 변형의 일부로서 도시되고 있는 것이 도9, 도12 이다.
이 실시예에서 투관침(10a)은 외피(12a)의 끝에서 투관침 절삭날(19a)이 형성되며 천공침(20a)과 함께 수간에 쉽게 진입된다. 도9는 투관침(10a)의 축에 예각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된 투관침 절삭날(19a)과 이에 부응하는 형태의 천공날(23a)이 형성된 출개구의 단면도이다.
천공침의 첨단부가 송곳 형태로 이루어진 천공날(23)은 천공침과 투관침의 해체에서 유리하며, 천공침의 첨단부가 예각으로 이루어진 천공날(23a)은 천공침과 투관침의 제조과정에서 유리한 면을 가진다.
투관침(10a)의 입개구(15a)는 중공(11a)으로 삽입되어지는 도구와 수단의 통로이자 타 구조물과 연결 또는 고정되는 수단이 형성되는 부위이다.
도10에 보이는 투관침 나사산(17a)는 천공침의 두부(21a)에 안정적인 결합을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두부(21a)에 형성된 천공침 끼움홈(22a)은 천공침의 두부(21a)를 밀어서 약간의 저항이 발생하는 상태로 투관침 나사산(17a)에 끼워 넣어져 잠금을 이루게 된다. 이런 형태의 연결과 고정은 끼워맞춤과 해체 과정을 편하고 쉽게 한다. 이 양태에서의 투관침의 입개구(15a)는 수용 용기(50a)와의 결합에서 수용 용기 유출구(51a)에 형성된 나사산(52a)와 나사결합을 이루고 밀폐를 달성한다.
도10에 보이는 것처럼 천공침 끼움홈(22a)은 민무늬 형태임이 바람직하나 투관침 나사산(17a)에 대응하는 형태의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양측에 형성된 나사산 결합은 타력이 가해진 후 해체에서 불리할 수도 있다.
투관침 나사산(17a)은 도11에 도시된 유출구 나사산(52a)을 가지는 수용 용기(50a)와 결합한다.
실시예2에서 폐쇄방지막대(40);와 드릴막대(30);와 서방형 약물 막대(60);는 실시예1에서와 같은 구성과 기능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일 수 있는 양태로서 도12에는 외피(12b)의 직경이 투관침의 출개구 부위에서 축소되는 형태의 투관침 절삭날(19b)이 도시되어 있다.
투관침(10b)의 절삭날(19b)은 투관침 본체에서 출개구 쪽으로 형성되며 절삭날 각은 예리하게 형성된다. 천공침(20b)의 천공날(23b)은 절삭날(19b)에 부합하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수간 주사기 키트를 이용하여 수간에 주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간 주사기 키트를 제공하는 단계가 있으며, 준비된 투관침(10, 10a, 10b)과 천공침(20, 20a, 20b)을 결합하여 한 개의 구조체를 이루게 한다. 이 구조체를 망치 등의 타력 수단을 이용하여 수간에 타입하며 투관침(10, 10a, 10b)에 형성된 열공(14, 14a)이 수간 표피를 지나치는 깊이로 삽입한다. 이때, 삽입의 각도는 중력에 의한 도움을 얻고자 입개구(15, 15a)가 위로 향하게 하여 수간축에 45도 내외의 각도를 유지하게 한다. 다음으로 삽입된 구조체에서 천공침(20, 20a, 20b)을 제거하며, 천공침(20, 20a, 20b)의 제거는 두 구조체의 결합 방식에 따라 작업자의 손으로 제거하거나 다른 도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후 드릴막대(30)를 이용하여 수간을 더 천공하는 단계가 있으나, 이 과정은 더 천공되는 공간에 서방형 약물 막대(60)를 투여하는 경우에 필요하므로 생략될 수 있다. 다음 단계로 투관침의 중공(11, 11a)에 폐쇄방지막대(40)를 안치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 후에는 약제가 수용된 용기(50, 50a, 50b)를 투관침(10, 10a, 10b)에 연결하거나 서방형 약물 막대(60)를 수용 용기(50, 50a, 50b)를 대신하여 천공 공간에 삽입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돌려끼워맞춤 형태나 나사산에 의한 투관침(10, 10a, 10b)과 수용 용기(50, 50a, 50b)의 연결은 유출구 밀폐 수단(53, 53a)이 고정 수단에 의해 찢어지게 하여 유출구(51, 51a, 51b)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으나, 억지끼움 결합 같은 일부 다른 양태에서는 유출구 밀폐 수단(53, 53a)을 제거하는 과정이 따로 필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라 폐쇄방지막대(40)가 삽입되기 전에 드릴막대(30)를 이용하여 더 천공한 공간에 서방형 약물 막대(60)가 삽입되는 경우도 있다. 중공(11, 11a)과 더 천공된 공간에 폐쇄방지막대(40)를 삽입하지 않고 서방형 약물 막대(60)를 안치할 수도 있다. 폐쇄방지막대(40)와 서방형 약물 막대(60) 또는 서방형 약물 막대(60)와 수용 용기(50, 50a, 50b)는 각각에 대해 일정 부분에서 대체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수용 용기(50, 50a, 50b)가 투관침(10, 10a, 10b)에 고정되는 과정이 포함되는 수간 주사기 키트의 사용 단계에서는 수용 용기의 공기 유통공(54, 54a, 54b)을 개방해주는 단계가 따로 필요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에서는 특정한 형상을 갖는 투관침(10, 10a, 10b) 및 천공침(20, 20a, 20b)을 비롯하여 본 발명을 이루는 부재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첨부한 도면에서는 투관침과 관련하여 3가지 형태의 절삭날(19, 19a, 19b,), 2가지 형태의 열공(14, 14a), 2가지 형태의 연결 또는 고정 수단(17, 17a)이 도시되어 있으며, 당업자라면 그 가운데 임의의 조합에 의해 투관침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첨부한 도면에서는 천공침과 관련하여 3가지 형태의 천공날(23, 23a, 23b), 2가지 형태의 연결 또는 고정 수단(22, 22a)을 각각 도시 하고 있으며, 당업자라면 그 가운데 임의의 조합에 의하여 천공침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수용 용기는 3가지 형태의 유출구 나사산(52, 52a, 52b)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수용 용기의 구현을 위하여 그 가운데 임의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삭제
10,10a,10b:투관침; 11,11a:중공; 12,12a,12b:외피;
13,13a:수간에서 노출되는 외피부; 14,14a:열공; 15,15a:입개구;
16,16a:출개구; 17:투관침 끼움돌기; 17a:투관침 나사산;
19,19a,19b:투관침 절삭날;
20,20a,20b:천공침; 21,21a:천공침 두부;
22,22a:천공침 끼움홈; 23,23a,23b:천공날;
30:드릴막대; 31:수동핸들; 32:나선홈; 33:드릴막대 절삭날;
40:폐쇄방지막대; 41:폐쇄방지막대의 다공성 표면;
50,50a,50b:수용 용기; 51,51a,51b:유출구;
52,52a,52b:유출구 나사산; 53,53a:유출구 밀폐수단;
54,54a,54b:공기 유통공; 55,55a,55b:공기 유통공 밀폐수단;
60:서방형 약물 막대;

Claims (17)

  1. 중공관의 양단에 개방 단부가 형성되고 관의 벽에 다수의 열공이 형성된 투관침;
    상기 투관침에 삽입되어, 식물 체간을 천공하는 천공날이 일단에 형성된 천공침; 및
    상기 투관침에 의해 천공된 공간에 안치되어, 약제 투여 공간의 폐쇄를 방지하는 폐쇄방지막대;를 구비하는 수간 주사바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방지막대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수간 주사바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관침은 일단에 절삭날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천공침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수간 주사바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관침의 외벽에 형성된 열공은 망사 형태의 구조를 갖는 수간 주사바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관침에 삽입되어 식물 체간을 더 깊게 천공하기 위한 나선홈이 일단에 형성된 드릴막대;를 더 구비하는 수간 주사바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침과 상기 드릴막대의 길이는 상기 투관침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수간 주사바늘.
  7. 중공관의 양단에 개방 단부가 형성되고 관의 벽에 다수의 열공이 형성된 투관침; 상기 투관침에 삽입되어, 식물 체간을 천공하는 천공날이 일단에 형성된 천공침; 및 상기 투관침에 의해 천공된 공간에 안치되어, 약제 투여 공간의 폐쇄를 방지하는 폐쇄방지막대;를 갖는 수간 주사바늘; 및
    상기 투관침과 연결되어 약제를 공급하는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수간 주사기 키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관침에 의해 천공된 공간에 안치되되, 약제를 포함하며, 상기 약제가 서서히 방출되는 서방형 고체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된 서방형 약물 막대;를 구비하는 수간 주사기 키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는 일측에 상기 투관침과 연결되는 연결수단;을 더 구비하는 수간 주사기 키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살충제, 방충제, 항기생충제, 항생제, 항미생물제, 천적 미생물제, 유전자 조작 미생물제, 호르몬제, 영양제, 비료, 수액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제제인 것이 특징인 수간 주사기 키트.
  11. 중공관의 양단에 개방 단부가 형성되고 관의 벽에 다수의 열공이 형성된 투관침; 상기 투관침에 삽입되어, 식물 체간을 천공하는 천공날이 일단에 형성된 천공침; 및 상기 투관침에 의해 천공된 공간에 안치되어, 약제 투여 공간의 폐쇄를 방지하는 폐쇄방지막대;를 갖는 수간 주사바늘; 및
    상기 투관침에 의해 천공된 공간에 안치되되, 약제가 포함되며, 상기 약제가 서서히 방출되는 서방형 고체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된 서방형 약물 막대;를 구비하는 수간 주사기 키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식물을 대상으로 하는 살충제, 방충제, 항기생충제, 항생제, 항미생물제, 천적 미생물제, 유전자 조작 미생물제, 호르몬제, 영양제, 비료, 수액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제제인 것이 특징인 수간 주사기 키트.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40026590A 2014-03-06 2014-03-06 수간 주사바늘 및 수간 주사기 키트 KR101456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590A KR101456412B1 (ko) 2014-03-06 2014-03-06 수간 주사바늘 및 수간 주사기 키트
PCT/KR2015/000281 WO2015133721A1 (ko) 2014-03-06 2015-01-12 수간 주사기 및 수간 주사기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590A KR101456412B1 (ko) 2014-03-06 2014-03-06 수간 주사바늘 및 수간 주사기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412B1 true KR101456412B1 (ko) 2014-11-04

Family

ID=5228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590A KR101456412B1 (ko) 2014-03-06 2014-03-06 수간 주사바늘 및 수간 주사기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4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2724A (zh) * 2019-11-13 2019-12-31 南京林业大学 一种液压驱动的根部施药头
WO2020120561A1 (de) * 2018-12-11 2020-06-18 Korte Lüth Gmbh Wirk- und /oder farbstoffeinbringung in pflanzengeweb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5883U (ko) * 1978-04-24 1979-10-30
KR101370955B1 (ko) * 2013-09-10 2014-03-12 아그리젠토 주식회사 스크류타입 수간주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5883U (ko) * 1978-04-24 1979-10-30
KR101370955B1 (ko) * 2013-09-10 2014-03-12 아그리젠토 주식회사 스크류타입 수간주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0561A1 (de) * 2018-12-11 2020-06-18 Korte Lüth Gmbh Wirk- und /oder farbstoffeinbringung in pflanzengewebe
US20220132758A1 (en) * 2018-12-11 2022-05-05 Korte Luth GmbH Introduction of active substances and/or dye into plant tissue
CN110622724A (zh) * 2019-11-13 2019-12-31 南京林业大学 一种液压驱动的根部施药头
CN110622724B (zh) * 2019-11-13 2024-02-02 南京林业大学 一种液压驱动的根部施药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32214A (zh) 一种防虫的沃柑种植专用肥及其制备方法
KR101456412B1 (ko) 수간 주사바늘 및 수간 주사기 키트
Perry et al. Exploring alternatives to tree injection
EP1824339B1 (en) Method for repelling pests with an insect repellent composition based on garlic
CN104996471B (zh) 含杠柳根部提取物的园林植物虫害注干液剂及其制备应用
CN103355322B (zh) 一种复配生物杀虫剂及其应用
KR100767783B1 (ko) 소나무재선충 방제방법
ES2345969B1 (es) Preparado fitofortificante para aplicacion en pseudotallos de plataneras, bananos y especies vegetales afines y procedimiento para su aplicacion.
JP2811512B2 (ja) 樹木の病害虫駆除方法
Ojo et al.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runk injection mechanisms-a review
CN108040769A (zh) 间种薄荷和苦楝防控黄精病虫害的方法
CN206005308U (zh) 注药接头
CN105746566A (zh) 一种含呋虫胺的树木注干液剂
Kuhns Getting Chemicals Into Trees Without Spraying
JP2954690B2 (ja) 水田等の土壌活性化方法
KR101641924B1 (ko) 수목 치료용 방제공구 및 방제방법
CN105409655B (zh) 一种防治甘蔗蔗龟的方法
CN218417184U (zh) 钻孔式松土、打药、施肥一体化操作机
JPH10262461A (ja) 樹木への薬液等の供給方法
CN109964708A (zh) 一种黄精的病虫害防治方法
CN107821421A (zh) 一种含有灭螨醌与烟嘧磺隆的药膏
CN107535500A (zh) 一种农药水乳剂
KR102041704B1 (ko) 가로수의 조기낙과촉진 및 화분날림방지용 조성물,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기낙과촉진 및 화분날림방지방법
CN106818925A (zh) 一种防治番茄灰霉病的生物农药及制备方法
KR980007977A (ko) 수간주입법을 이용한 버즘나무 방패벌레와 흰불나방의 통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