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805B1 - 휴대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5805B1 KR101455805B1 KR1020080055344A KR20080055344A KR101455805B1 KR 101455805 B1 KR101455805 B1 KR 101455805B1 KR 1020080055344 A KR1020080055344 A KR 1020080055344A KR 20080055344 A KR20080055344 A KR 20080055344A KR 101455805 B1 KR101455805 B1 KR 1014558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ont case
- outer cover
- portable terminal
- main body
- injection mol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바디의 외관의 일부를 이루는 프론트케이스는, 사용자 입력데이터를 입력처리 조작할 수 있는 키패드 패턴이 형성된 본체와, 그 본체의 외측에 이중사출성형되어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외장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제조방법은, 가열 용융된 1차 수지를 이중사출성형기의 1차 금형 캐비티 내에 주입하여 프론트케이스를 형성하는 1차 사출성형단계와, 2차 금형 캐비티 내에 상기 프론트케이스를 배치하고, 가열 용융된 2차 수지를 상기 2차 금형 캐비티의 잔여공간 내에 충전하여 상기 프론트케이스 외측에 일체로 외장커버를 재차 형성하는 2차 사출성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휴대단말기, 케이스, 외장커버, 이중사출성형, 사용자 입력부, 키패드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스 본체를 사출성형한 후 그 외측에 결합되는 외장커버를 이와 함께 이중사출성형하여 케이스 본체의 키패드 부분을 외장커버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방수성이 우수하면서도 조립부품수의 저감에 의한 공정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게 한 휴대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통상적으로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제1 바디와 키패드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부가 구비된 제2 바디가, 경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 등의 힌지장치에 의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외측양면 쪽에는 각각 한 쌍의 프론트케이스(통상적으로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부나 키패드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부가 노출된 면 쪽의 케이스) 및 리어케이스(통상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나 사용자 입력부가 없는 면 쪽의 케이스)가 결합되어 있다.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키 입력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로서의 키패드가 구비된 프론트케이스와, 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프론트케이스의 외부에 결합되는 외장커버로 구성되며, 프론트케이스와 외장커버는 각각 독립적으로 사출성형된 후 조립식으로 끼워 맞춰지거나 접착되어 일체화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프론트케이스와 외장커버 간의 개별성형 후 이들을 결합하는 별도의 조립공정이 추가 수행되어야 함으로써 그만큼 조립부품수 및 처리공정이 증가되고, 조립되는 상기 두 부재간에 파팅라인(Parting Line)이 형성될 수밖에 없어 그 미세한 틈새로 수분이 침투할 수 있으므로 내수성이 취약하며, 상기 두 부재간에 조립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의 사출성형한 후 외장커버를 이와 함께 이중사출성형하여 케이스의 키패드 부분을 외장커버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방수성이 우수하고, 조립부품수의 저감에 의한 공정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프론트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후면으로 결합되는 리어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케이스가, 키패드 패턴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상기 본체와 함께 이중사출성형된 외장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프론트케이스 본체의 내측면 상에는, 그 내측에 수용될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된 스위치를 가압하여 상기 키패드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액츄에이터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제조방법은, 가열 용융된 1차 수지를 이중사출성형기의 1차 금형 캐비티 내에 주입하여 프론트케이스를 형성하는 1차 사출성형단계와, 2차 금형 캐비티 내에 1차 성형품인 상기 프론트케이스를 배치하고, 가열 용융된 2차 수지를 상기 2차 금형 캐비티의 잔여공간 내에 충전하여 상기 프론트케이스 외측에 일체로 외장커버를 재차 형성하는 2차 사출성형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프론트케이스 본체와 외장커버 간의 개별성형 후 이들을 결합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프론트케이스의 사출성형한 후 그 외측에 외장커버를 이중사출성형하여 프론트케이스의 키패드 부분을 외장커버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케이스 전면의 파팅라인(Parting Line)이 없어져서 매우 우수한 방수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조립부품수의 저감에 의한 공정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와 이에 적용되는 케이스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포함되는 기능적 구성 및 이러한 휴대단말기에 적용되는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100)의 기능적 구성 및 이들간의 유기적 제어체계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100)의 기능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각 구성부에 대한 배치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100)의 기능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각 구성부에 대한 배치의 일례를 도시한 배면측 사시도, 도 4는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공정 전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성형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Ⅴ-Ⅴ선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를 각 각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럭구성도(Block Diagram)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는 휴대단말기(100)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구현시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무선통신부(110)는, 방송수신모듈(111), 이동통신모듈(113), 무선인터넷모듈(115), 근거리통신모듈(117) 및 GPS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은, 방송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서버로부터 방송신호 및 방송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채널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서버는, 방송신호 및 방송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신호 및 방송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정보는, 방송채널, 방송프로그램 또는 방송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또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제공될 수 있는 바,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으며, 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과 같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방송신호는,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를 포함함은 물론, TV 또는 라디오 방송신호에 데이터 방송신호가 결합된 형태의 방송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은, 각종 방송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 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등의 디지털방송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방송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 및/또는 방송관련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듈(113)은, 이동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인터넷모듈(115)은, 무선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서, 휴대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통신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인 바, 그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 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하게 되며, 그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한다. 그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모듈(113)을 통하여 이동통 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패드(Key Pad), 돔스위치(Dome Switch), 터치패드(정압/정전), 조그휠, 조그스위치, 핑거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패드가 후술하게 될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단말기(100)의 개폐상태, 위치, 사용자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자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가 슬라이드폰의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폰의 개폐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의 전원 공급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기기 결합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서, 여기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출력모듈(153), 알람부(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가 통화모드인 경우에는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게 되고, 휴대단말기(100)가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또는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또는 GUI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터치스크린패널, 터치스크린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여기서 말하는 터치스크린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통상적으로 휴대단말기 내부의 버스에 연결된다. 터치스크린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에 대응신호들을 터치스크린패널 제어기로 보내고, 터치스크린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터치입력이 있었는지의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되었는지의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80)에 의해 알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디스플레이(LCD ;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기(100)의 구현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모듈(153)은,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모듈(153)은, 휴대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즉,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나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에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 즉,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과 같은 데이터들에 대한 임시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로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SD 또는 XD 메모리 등과 같은 카드 타입의 메모리,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충전기, 유/무선 데이터포트, 메모리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또는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각 장치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재생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재생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전원이나 내부전원을 인가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100)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100)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 의 편의상, 폴더타입, 바타입, 스윙타입 또는 슬라이더타입 등과 같은 여러 유형의 휴대단말기들 중에서, 전면에 LCD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부(151)와, 키패드(131)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부(130)가 구비된 슬라이더타입의 휴대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슬라이더타입의 휴대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와, 제1 바디(100A)에 적어도 일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00B)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바디(100A)(100B)는, 한 쌍의 제1 프론트케이스(100A-1) 및 제1 리어케이스(100A-2)와, 제2 프론트케이스(100B-1) 및 제2 리어케이스(100B-2)에 의해 각각의 외관을 형성하되, 특히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론트케이스(100A-1)(100B-1)로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형성된 프론트케이스 본체(별도의 도면부호는 부여하지 않음)의 외측에 외장커버(100A-3)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경우에 따라서는, 프론트케이스(100A-1)(100B-1)가 프론트케이스 본체만을 지칭할 수도 있고, 외장커버(100A-3)를 포함하여 지칭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단, 상기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하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한 상 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하기로 한다.
통상의 경우, 휴대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주로 대기모드(Standby Mode)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는 주로 통화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1 프론트케이스(100A-1) 및 제1 리어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프론트케이스(100A-1) 및 제1 리어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프론트케이스(100A-1)와 제1 리어케이스(100A-2)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재질, 즉, 스테인레스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0A)의 제1 프론트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및 제1 카메라(121a)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액정디스플레이(LCD ;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2 프론트케이스(100B-1)와 제2 리어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의 제2 프론트케이스(100B-1) 전면에는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프론트케이스(100B-1) 또는 제2 리어케이스(100B-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c), 마이크(123) 및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를 통해서는, 휴대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고, 조이스틱키, 터치패트, 트랙볼, 포인팅스틱, 핑거마우스 등과 같이 마우스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을 갖춘 입력키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제2 사용자 입력부(130a)(130c)와, 후술하게 될 제3, 제4 사용자 입력부(130d)(130e)를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는 바, 다시 말해 사용자가 촉각적 감각을 가지면서 조작할 수 있는 수단(Tactile Means)이라면 어떤 것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돔스위치 또는 터치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면에 있어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및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숫자나 문자 또는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130c)는 휴대단말기(100) 내의 특수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키(Hot 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음향 등을 입력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100)가 외부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상의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등과 같은 사용자 인증모듈이나, 정보저장을 위한 메모리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소켓일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제2 리어케이스(100B-2)의 일측에는, 휴대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충전실행을 목적으로 제2 바디(100B) 등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단말기(100)의 배면 사시도로서,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케이스(100B-2) 후면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방향을 가짐과 아울러 이들 양자간에 서로 다른 화소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카메라(121a)는 화상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즉시 전송하는데 무리가 없는 정도의 저화소로 구성하고, 제2 카메라(121b)는 피사체를 정밀 촬영하여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되 즉시 전송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 적합한 고화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케이스(100B-2) 후면에는 제3 사용자 입력부(130d)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3 사용자 입력부(130d)는 휠로 구현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 내에서 스크롤 등의 특수한 기능키로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5)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제2 리어케이스(100B-2)의 일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수신용 안테나(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것이 제2 바디(100B)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의 제1 리어케이스(100A-2) 쪽에는 제1 및 제2 바디(100A)(100B)를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작동시켜주는 1조의 슬라이드모듈(100C) 중 어느 한쪽 부재가 결합되고, 슬라이드모듈(100C)의 나머지 부재는 제2 바디(100B)의 제2 프론트케이스(100B-1) 쪽에 배치함으로써, 슬라이드모듈(100C)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2 리어케이스(100B-2)의 일측에는, 특정기능에 대한 선택 또는 확인 키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e)가 배치될 수 있다. 제4 사용자 입력부(130e)는 휴대단말기(100) 내의 특수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키(Hot 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제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121b) 등과 같이 제2 리어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05)(121b)(12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0A)의 제1 리어케이스(100A-2) 등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어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을 수 있고, 아울러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토록 구성한다면 굳이 상기의 제2 카메라(121b)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다방성(多方性)의 촬영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에 적용되는 케이스는, 제1 및 제2 바디(100A)(100B)의 제1 및 제2 프론트케이스(100A-1)(100B-1)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구비된 제1 프론트케이스(100A-1)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특히,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의 조립식 결합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즉,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키 입력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3)로서의 키패드(13-1)가 구비된 제1 프론트케이스(10A-1)와, 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제1 프론트케이스(10A-1)의 외부에 결합되는 외장커버(10A-3)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의 경우, 제1 프론트케이스(10A-1)와 외장커버(10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사출성형된 후 조립식으로 끼워 맞춰지거나 접착되어 일체화된다.
제1 프론트케이스(10A-1)의 사용자 입력부(13)에는 키패드(13-1)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절개공(13-2)이 형성되고, 제1 프론트케이스(10A-1)의 외측둘레 일측에는 외장커버(10A-3)와의 결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립홈(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제1 프론트케이스(10A-1)와 결합되는 외장커버(10A-3)의 사용자 입력부(13)에는 키패드(13-1)를 노출시킬 수 있는 노출공(13-3)이 형성되고, 외장커버(10A-3)의 내측둘레 일측에는 안착돌기(13-5)가 형성되어 제1 프론트케이스(10A-1)의 조립홈(13-4)에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데이터를 입력처리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130)인 키패드(131) 패턴이 일측에 형성된 제1 프론트케이스(본체)(100A-1)와, 제1 프론트케이스(100A-1)의 외측에 이중사출성형되어 제1 프론트케이스(100A-1)와 일체로 형성된 외장커버(100A-3)를 포함한다.
1차 금형을 적용한 1차 사출성형에 의해, 제1 프론트케이스(100A-1)의 사용자 입력부(130)에는 키패드(131)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절개공(132)이 형성되고, 제1 프론트케이스(100A-1)의 외측둘레 일측에는 2차 금형에 의한 이중사출성형시 외장커버(100A-3)와의 결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립홈(134)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는 2차 금형을 적용한 2차 사출성형에 의해, 제1 프론트케이스(100A-1)의 키패드(131)가 외장커버(100-3)의 노출공(133)을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2차 금형의 캐비티 형상을 이에 적합하게 설계 및 적용함으로써 제1 프론트케이스(100A-1)의 조립홈(134) 내에 2차 용융수지가 충전되면서 외장커버(100A-3)의 내측둘레 일측에 안착돌기(135)가 형성된다. 이때, 도 6의 부분확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2차 금 형의 캐비티 형상에 따라서는 각 노출공(133)을 통해 키패드(131) 패턴의 일부가 침투되어 밀착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프론트케이스(본체)(100A-1)의 내측면 상에는, 그 내측에 수용될 단말기 바디(100A) 내의 인쇄회로기판(PCB)(미도시) 상에 설치된 스위치(돔스위치)를 가압하여 키패드(131)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미도시)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론트케이스(본체)(100A-1) 및 외장커버(100A-3)는, 서로 다른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이종재질의 수지로 각각 구성될 수 있으며, 외장커버(100A-3)는 합성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성형에 의한 케이스를 적용한 휴대단말기의 키 조작에 의한 신호전달체계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부분확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장커버(100A-3)의 노출공(133)을 통해 외장커버(100A-3) 및 제1 프론트케이스(100A-1)의 키패드(131) 부분을 사용자가 누르면, 제1 프론트케이스(100A-1)의 내측에 일체형으로 구현된 액츄에이터(미도시)가 단말기 바디 내의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된 돔스위치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입력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제조방법은, 가열 용융된 1차 수지를 이중사출성형기의 1차 금형 캐비티 내에 주입하여 제1 프론트케이스(본체)(100A-1)를 형성하는 1차 사출성형단계와, 2차 금형 캐비티 내에 1차 성형품인 제1 프론트케이스(100A-1)를 배치하고, 가열 용융된 2차 수지를 2차 금형 캐비티의 잔여공간 내에 충전하여 제1 프론트케이스(100A-1) 외측에 일체로 외장커버(100A-3)를 재차 형성하는 2차 사출성형단계를 포함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중사출성형(Co-injection Molding)은, 하나의 부품에 두 가지 재료(또는 색상이 다른 재료)를 적용하여 사출하는 방식으로, 사출성형기에 금형 2 Set를 설치하고 먼저 1차 금형에 성형 후 1차 성형품을 2차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2차 금형의 캐비티와 1차 성형품 공간에 2차 수지를 충전하여 재차 사출하는 방식의 성형방법이다. 따라서, 조립해야할 2개의 부품을 한 개의 부품으로 제작하거나 2색 부품 적용시 또는 원가절감차원에서 부품의 내, 외부에 다른 수지를 적용하여 사출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중사출성형기에서 다른 재료를 가열 용융 사출하는 인젝션유닛이 2개 이상 설치되고 이것이 전후로 이동하여 재료를 순차적으로 금형에 주입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1차 사출한 재료가 완전히 고화되기 전에 2차 사출재료를 주입하여 1차 사출한 재료가 외측을 포위한 형태로 성형됨으로써 고가의 외부재료와 저가의 내부재료를 사용할 수 있어 재료비를 절약할 수 있고, 두꺼운 제품도 성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이중사출성형은 다중사출성형기(Multi-injection Molding Machine)를 사용하여 2개 이상의 사출유닛과 연결된 이중사출금형에 의해 제품을 성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단, 여기에 설치되는 이중사출금형은 성형기의 작동에 따른 성형재료를 주입하기 위해 2대의 주입구와 제품을 성형하는 캐비티(Cavity) 부분이 회전 또는 고정되어진 상태에서 해당 재료의 주입 시퀀스에 맞춰지는 메커니즘이나, 금형 내에서 수지를 차단 및 개방하는 메커니즘 등을 포함하 고 있어야 한다.
이중사출성형기의 작동방식으로는, 금형이 중앙위치에서 한쪽으로 회전하여 사출유닛1의 노즐에서 한가지 재료를 성형하고 중앙위치로 되돌아와 반대쪽 위치로 회전하여 사출유닛2의 노즐에서 다른 재료를 성형한 후 중앙위치로 복귀하는 방식, 상기의 구조와 각 노즐의 위치는 같고 금형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방식, 금형은 회전되지 않고 왕복 작동되면서 해당 노즐이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방식, 금형은 고정되어 있고 각 노즐이 순차적으로 작동하는 방식, 각 노즐이 순차적으로 열리고 금형의 코어가 작동되어 각 노즐의 유입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 유지시켜 줌으로써 선주입재료의 응고 후 후주입재료를 유입하여 성형하는 방식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1 프론트케이스(100A-1)와 외장커버(100A-3) 간의 개별성형 후 이들을 결합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제1 프론트케이스(100A-1)의 사출성형한 후 그 외측에 외장커버(100A-3)를 이중사출성형하여 제1 프론트케이스(100A-1)의 키패드(131) 부분을 외장커버(100A-3)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케이스 전면의 파팅라인(Parting Line)이 없어져서 매우 우수한 방수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조립부품수의 저감에 의한 공정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 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능적 구성 및 이들간의 유기적 제어체계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능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각 구성부에 대한 배치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능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각 구성부에 대한 배치의 일례를 도시한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공정 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성형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Ⅴ-Ⅴ선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단말기 100A ; 제1 바디
100A-1 ; 제1 프론트케이스(본체) 100A-2 ; 제1 리어케이스
100A-3 ; 외장커버 100B ; 제2 바디
100B-1 ; 제2 프론트케이스(본체) 100B-2 ; 제2 리어케이스
100C ; 슬라이드모듈 105 ; 방송신호수신용 안테나
110 ; 무선통신부 111 ; 방송수신모듈
113 ; 이동통신모듈 115 ; 무선인터넷모듈
117 ; 근거리통신모듈 119 ; GPS모듈
120 ; A/V 입력부 121 ; 카메라
121a ; 제1 카메라 121b ; 제2 카메라
123 ; 마이크 125 ; 플래쉬
130 ; 사용자 입력부 130a ; 제1 사용자 입력부
130c ; 제2 사용자 입력부 130d ; 제3 사용자 입력부
130e ; 제4 사용자 입력부 131 ; 키패드
132 ; 절개공 133 ; 노출공
134 ; 조립홈 135 ; 안착돌기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53 ; 음향출력모듈
153a ; 제1 음향출력모듈 155 ; 알람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81 ; 멀티미디어재생모듈
190 ; 전원공급부
Claims (7)
- 프론트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후면으로 결합되는 리어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상기 프론트케이스는, 키패드 패턴이 형성된 본체; 및상기 본체의 외측에 상기 본체와 함께 이중사출성형된 외장커버;를 포함하고,상기 본체의 외측 둘레에 상기 외장커버와의 결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장커버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외장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키패드 패턴을 노출시킬 수 있는 다수의 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 노출공을 통해 상기 키패드 패턴의 일부가 침투되어 밀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의 내측면 상에는, 그 내측에 수용될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된 스위치를 가압하여 상기 키패드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액츄에이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 및 외장커버는, 서로 다른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이종재질의 수 지로 각각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 가열 용융된 1차 수지를 이중사출성형기의 1차 금형 캐비티 내에 주입하여 프론트케이스를 형성하는 1차 사출성형단계; 및2차 금형 캐비티 내에 상기 프론트케이스를 배치하고, 가열 용융된 2차 수지를 상기 2차 금형 캐비티의 잔여공간 내에 충전하여 상기 프론트케이스 외측에 일체로 외장커버를 재차 형성하는 2차 사출성형단계;를 포함하고,본체의 외측 둘레에 상기 외장커버와의 결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장커버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제조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2차 수지는 합성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제조방법.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1차 및 2차 수지는 각각 다른 색상이 구현되는 이종 재질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5344A KR101455805B1 (ko) | 2008-06-12 | 2008-06-12 | 휴대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
US12/482,936 US8244320B2 (en) | 2008-06-12 | 2009-06-11 | Case of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and a cov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5344A KR101455805B1 (ko) | 2008-06-12 | 2008-06-12 | 휴대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9202A KR20090129202A (ko) | 2009-12-16 |
KR101455805B1 true KR101455805B1 (ko) | 2014-11-03 |
Family
ID=4141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5344A KR101455805B1 (ko) | 2008-06-12 | 2008-06-12 | 휴대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244320B2 (ko) |
KR (1) | KR10145580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049762A (ja) * | 2019-09-26 | 2021-04-01 | ニチハ株式会社 | 建材製造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439849B (en) | 2005-01-03 | 2008-07-30 | Fellowes Inc | Removable mounting post assembly for a carrying case |
KR101580126B1 (ko) * | 2009-07-21 | 2015-1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US20110319147A1 (en) * | 2010-06-23 | 2011-12-29 | A.G. Findings & Mfg. Co., Inc. | Mobile device case sliding rail and latch |
KR101311819B1 (ko) * | 2011-05-18 | 2013-09-25 | (주) 우성정공 | 3색 사출 프론트커버 및 이의 성형방법 |
BR202012004685Y1 (pt) | 2011-07-13 | 2019-04-02 |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 Dispositivo eletrônico móvel com construção laminada aprimorada |
BR202012004686Y1 (pt) | 2011-07-13 | 2019-05-14 |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 Dispositivo eletrônico móvel com redução de impacto reforçada. |
KR200471325Y1 (ko) | 2011-07-13 | 2014-02-19 |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 강화된 공차 누적기를 구비하는 모바일 전자 장치 |
BR202012004687U8 (pt) * | 2011-07-13 | 2016-11-22 | Motorola Mobility Inc | Dispositivo eletrônico móvel com chassi aperfeiçoado |
KR101913213B1 (ko) | 2012-04-10 | 2018-10-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CN103379759A (zh) * | 2012-04-26 | 2013-10-30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电子装置壳体 |
KR102110356B1 (ko) * | 2012-07-17 | 2020-05-14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 차량용 무선 송수신기의 키버튼,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US9326912B2 (en) | 2014-01-14 | 2016-05-03 | Watkins Manufacturing Corporation | Dockable remote control for portable spa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59519B1 (ko) * | 2000-03-16 | 2002-10-31 | 주식회사 동남 실리콘 | 키패드 일체형 통신기기용 전면 커버 |
KR20030048775A (ko) * | 2001-12-13 | 2003-06-25 | 주식회사 팬택 | 교체 가능한 프론트 케이스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51409B2 (en) * | 2002-05-31 | 2004-06-15 | Fuji Photo Film Co., Ltd. | Exterior case of electronic appliance |
CN1874656B (zh) * | 2005-06-03 | 2011-07-27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便携式电子装置外壳及制作方法 |
KR100751943B1 (ko) * | 2006-03-28 | 2007-08-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외장 케이스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
TWI281884B (en) * | 2006-05-01 | 2007-06-01 | Taiwan Creen Point Entpr Co Lt | Methods and manufacturing of a double-injection product without having any openings between two materials |
CN101296584B (zh) * | 2007-04-25 | 2011-06-08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便携式电子装置机壳的制造方法 |
US20090218725A1 (en) * | 2008-02-29 | 2009-09-03 | Symbol Technologies, Inc. | Injection molded paneled mobile device enclosure |
-
2008
- 2008-06-12 KR KR1020080055344A patent/KR10145580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
- 2009-06-11 US US12/482,936 patent/US824432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59519B1 (ko) * | 2000-03-16 | 2002-10-31 | 주식회사 동남 실리콘 | 키패드 일체형 통신기기용 전면 커버 |
KR20030048775A (ko) * | 2001-12-13 | 2003-06-25 | 주식회사 팬택 | 교체 가능한 프론트 케이스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049762A (ja) * | 2019-09-26 | 2021-04-01 | ニチハ株式会社 | 建材製造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90312066A1 (en) | 2009-12-17 |
KR20090129202A (ko) | 2009-12-16 |
US8244320B2 (en) | 2012-08-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5805B1 (ko) | 휴대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36862B1 (ko) |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 |
CN101442570B (zh) | 移动终端及其键输入方法 | |
US20100105452A1 (en) | Mobile terminal having shielding member | |
EP2187602B1 (en) | Mobile terminal | |
US8369907B2 (en) | Case for portab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120108827A (ko) |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 |
EP2590387B1 (en) | Key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457590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포인터 제어방법 | |
US9541964B2 (en) | Image module,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mage module | |
KR101760747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10095063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13934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에 적용된 케이싱의 제조방법 | |
KR101688941B1 (ko) |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 | |
US8923935B2 (en) | Mobile terminal and keypa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512042B1 (ko) | 휴대단말기 | |
KR101529929B1 (ko) | 이동 단말기용 케이스,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용 케이스 제조 방법 | |
KR101513018B1 (ko) | 휴대단말기 | |
KR101674948B1 (ko) | 휴대용 단말기 | |
KR20130035114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700193B1 (ko) | 휴대용 단말기 | |
KR101463825B1 (ko) | 휴대 단말기 | |
KR20120075088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13029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1513621B1 (ko) | 휴대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