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295B1 -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 - Google Patents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295B1
KR101455295B1 KR1020120105780A KR20120105780A KR101455295B1 KR 101455295 B1 KR101455295 B1 KR 101455295B1 KR 1020120105780 A KR1020120105780 A KR 1020120105780A KR 20120105780 A KR20120105780 A KR 20120105780A KR 101455295 B1 KR101455295 B1 KR 101455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aist
bands
connection
connect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529A (ko
Inventor
정용희
김홍문
Original Assignee
정용희
김홍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희, 김홍문 filed Critical 정용희
Priority to KR1020120105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295B1/ko
Publication of KR20140039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신체의 허리를 따라 등 뒤 척추 부분을 중심으로 탄력 압박력을 작용시켜 척추와 허리를 안정적이고 균형적으로 잡아주는 한편 조임과 풀림을 통한 허리 압박 정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허리와 척추 부분에 작용하는 압박을 탄력으로 상쇄시켜 착용감과 물리적 치료 효과를 개선한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편으로 구분되어 허리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허리밴드(100)(101), 상기 허리밴드(100)(101)를 연결하는 연결 띠(110), 상기 연결 띠(110)를 당기는 당김 띠(120), 그리고 양편 허리밴드(100)(101)의 양단을 결합하여 착용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허리 보호대; 상기 허리밴드(100)(101)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140)을 구비하여 각각 양편 허리밴드(100)(101)에 결합 되는 연결밴드(150)(151); 신체의 척추를 중심으로 등 부분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밴드(150)(151)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 탄력부재(160)들; 상기 연결밴드(150)(151)를 연결 띠(110)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PRESSURE FLEXIBILITY TYPE WAIST PROTECTOR}
본 발명은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신체의 허리를 따라 등 뒤 척추 부분을 중심으로 탄력 압박력을 작용시켜 척추와 허리를 안정적이고 균형적으로 잡아주는 한편 조임과 풀림을 통한 허리 압박 정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허리와 척추 부분에 작용하는 압박을 탄력으로 상쇄시켜 착용감과 물리적 치료 효과를 개선한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 보호대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넓은 띠 형상의 착용밴드를 허리에 착용하여 허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폭이 넓은 일종의 허리 띠 형식이다.
착용밴드를 허리에 감아 돌려 밀착시킨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착용밴드의 양끝에는 고정수단이 부착되어 있는데 고정수단은 암수로 구분되는 버클, 또는 가접착력을 갖는 벨크로 테이프 등이다.
착용밴드는 신체의 허리 부분과 충분한 접촉 면적을 형성하여 허리를 안전하게 받쳐줄 수 있게 넓은 띠 모양으로 제작되었다. 하지만 신체에 대한 밀착 압박으로 허리를 보호함으로써 통풍성과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버클 또는 벨크로 테이프 등을 통한 1차 고정수단만을 통해 복부 부분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허리에 조이는 정도가 차이가 나고 적절한 조임 상태를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착용밴드의 통풍성 문제는 착용밴드를 최소한 1개 이상으로 나누어 분할하고 이것을 연결 조합하는 구조를 통해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착용밴드의 띠 내측으로 보강심 또는 공기주입수단을 구성하여 착용밴드를 지지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
허리 보호대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46563호 및 제362859호에는, 착용밴드를 양분하고 그 중앙을 별도의 연결대로 연결하도록 구성한 후 연결대의 내부에 다수 개의 롤러를 설치하고 롤러에 당김줄을 지그재그로 연결한 후 조임밴드를 통해 조이고 풀 수 있도록 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당김줄이 롤러의 자유회전에 의해 쉽게 풀리는 구조이므로 바르게 착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착용밴드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지그재그로 롤러를 타고 연결대 내부를 지난 후 당김줄에 의해 조여지는 구조이므로 힘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8575호 및 제208722호에는 착용밴드를 양분한 구성, 양분된 착용밴드를 연결대로 연결하는 구성, 그리고 연결대를 연결고리를 통해 2차적으로 조절하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허리 보호대의 또 다른 예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3309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양편으로 나눈 허리밴드, 양편 허리밴드를 연결하는 연결밴드, 그리고 허리밴드를 당길 수 있게 연결밴드 속의 조임축, 조임축을 따라 당김줄을 설치한 구성이다.
종래의 허리 보호대는 허리밴드를 연결하는 연결밴드가 조임력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만으로 기능 함으로서 허리를 균형적으로 받쳐주지 못한다.
연결밴드가 척추를 중심으로 밀착될 때 주름이 잡혀 착용감을 떨어뜨린다. 그리고, 둔탁한 상태로 허리 및 척추 부분에 접촉되어 등을 구부리거나 움직이면 피부 상해의 가능성도 있어 사용 안정성이 문제로 된다.
연결밴드의 조임 정도에 따라 허리와 척추 부분에 작용하는 압박력이 신체에 그대로 전가되어 착용감이 떨어지고 착용 부담감으로 인해 충분한 허리 보호 및 치료 효과를 얻기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4656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6285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8575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8722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허리를 따라 등 뒤 척추 부분을 중심으로 탄력 압박력을 작용시켜 척추와 허리를 안정적이고 균형적으로 잡아주는 허리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임과 풀림을 통한 허리 압박 정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허리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허리와 척추 부분에 작용하는 압박을 탄력으로 상쇄시켜 착용감과 물리적 치료 효과를 개선할 수 있는 허리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는,
양편으로 구분되어 허리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허리밴드, 상기 허리밴드를 연결하는 연결 띠, 상기 연결 띠를 당기는 당김 띠, 그리고 양편 허리밴드의 양단을 결합하여 착용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허리 보호대;
상기 허리밴드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각각 양편 허리밴드에 결합 되는 연결밴드;
신체의 척추를 중심으로 등 부분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밴드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 탄력부재들;
상기 연결밴드를 연결 띠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허리밴드의 표면은 접착 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허리밴드의 양단을 결합하여 착용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은,
허리밴드의 표면에 구성된 접착 부재, 허리밴드의 이면에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로 구성된다.
또한, 연결밴드에 구성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허리밴드의 표면에 구성된 접착 부재,
상기 접착 부재와 마주 대하는 연결밴드의 대응 표면에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다.
또한, 탄력부재는 막대형으로서 연결밴드를 따라 설치되고 굽힘 그리고 형상 복원이 가능한 탄성 소재인 합성수지, 금속플레이트, 대나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밴드를 연결 띠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연결 띠를 걸어서 설치할 수 있게 각각의 연결밴드에 적어도 1개 이상 부착된 연결고리들,
상기 연결고리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연결 띠에 설치된 고정고리 및 그 고정고리를 속박하여 허리밴드 상에 지지하는 고정 띠를 포함한다.
또한, 고정 띠의 표면에는 허리밴드의 접착 부재에 접착되는 벨크로 테이프 가 부착되어 있고 그 단부에는 손가락으로 걸거나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는 당김 고리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특징은,
양편으로 구분되어 허리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허리밴드, 상기 허리밴드를 연결하는 연결 띠, 상기 연결 띠를 당기는 당김 띠, 그리고 양편 허리밴드의 양단을 결합하여 착용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허리 보호대;
상기 허리밴드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각각 양편 허리밴드에 결합 되는 연결밴드;
신체의 척추를 중심으로 등 부분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밴드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 탄력부재들;
상기 연결밴드를 연결 띠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연결밴드와 별도로 허리밴드의 내측 방향에 필요에 따라 붙이고 뗄 수 있는 압박밀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압박밀착판에는 신체의 직립 방향과 나란한 탄력부재가 설치된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허리밴드의 표면이 접착 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허리밴드의 양단을 결합하여 착용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은,
허리밴드의 표면에 구성된 접착 부재,
상기 허리밴드의 이면에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밴드에 구성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허리밴드의 표면에 구성된 접착 부재,
상기 접착 부재와 마주 대하는 연결밴드의 대응 표면에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탄력부재는 막대형으로서 연결밴드를 따라 설치되고 굽힘 그리고 형상 복원이 가능한 탄성 소재인 합성수지, 금속플레이트, 대나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밴드를 연결 띠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연결 띠를 걸어서 설치할 수 있게 각각의 연결밴드에 적어도 1개 이상 부착된 연결고리들,
상기 연결고리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연결 띠에 설치된 고정고리 및 그 고정고리를 속박하여 허리밴드 상에 지지하는 고정 띠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띠의 표면에는 허리밴드의 접착 부재에 접착되는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고 그 단부에는 손가락으로 걸거나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는 당김 고리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허리밴드의 내측에 설치되는 압박밀착판은 양편의 허리밴드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벨크로 테이프로 처리된 결속밴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력부재는 막대형으로서 압박밀착판을 따라 설치되고 굽힘 그리고 형상 복원이 가능한 탄성 소재인 합성수지, 금속플레이트, 대나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신체의 허리를 따라 등 뒤 척추 부분을 중심으로 탄력 압박력을 작용시켜 척추와 허리를 안정적이고 균형적으로 잡아주는 효과가 있다.
조임과 풀림을 통한 허리 압박 정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허리와 척추 부분에 작용하는 압박을 탄력으로 상쇄시켜 착용감과 치료 효과를 개선한다.
연결밴드가 척추를 중심으로 밀착될 때 주름이 잡히지 않고 매끄러워 착용감이 종전 것에 비해 좋다.
연결밴드가 둔탁한 상태로 허리 및 척추 부분에 접촉되지 않고 유연하게 접촉되어 등을 구부리거나 움직이더라도 피부 상해가 거의 없다. 사용 안정성이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허리 보호대의 전체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허리 보호대.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허리 보호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밴드의 구조 설명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허리밴드의 이면 표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력부재의 작용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작된 허리 보호대의 실물 제품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작된 허리 보호대의 실물 제품 사진.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의 전체 분해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밴드 구조 설명도 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허리밴드의 이면 표면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력부재의 작용 설명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작된 허리 보호대의 실물 제품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작된 허리 보호대의 실물 제품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편으로 구분되어 허리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허리밴드(100)(101), 허리밴드(100)(101)를 연결하는 연결 띠(110), 연결 띠(110)를 당기는 당김 띠(120), 그리고 양편 허리밴드(100)(101)의 양단을 결합하여 착용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허리 보호대로 구성된다.
그리고, 허리밴드(100)(101)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140)을 구비하여 각각 양편 허리밴드(100)(101)에 결합 되는 연결밴드(150)(151)가 구성된다.
그리고, 신체의 척추를 중심으로 등 부분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밴드(150)(151)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 탄력부재(160)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밴드(150)(151)를 연결 띠(110)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다.
허리밴드(100)(101)의 표면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접착 부재(170)로 구성된 다. 접착 부재(170)는 통상의 벨크로 테이프를 임의 접착시키고 다시 떼어낼 수 있는 통상의 부재들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해도 된다.
허리밴드(100)(101)의 양단을 결합하여 착용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은, 허리밴드(100)(101)의 표면에 구성된 접착 부재(170)이다. 그리고, 한쪽 허리밴드(101)의 이면에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180)로 구성된다.
허리밴트(100)(101)의 표면 자체를 접착 부재(170)로 구성하는 경우 별도의 접착 수단을 부분적으로 갖는 것에 비해 광폭 상의 면적에 접착 면적을 형성하여 상대측 허리밴드(101)에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180) 접착부가 자유로운 지점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접착 지점을 정하지 않고 허리밴드(100)(101)의 표면 영역에서 접착 고정지점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밴드(150)(151)에 구성되는 결합수단(140)은, 허리밴드(100)(101)의 표면에 구성된 접착 부재(170), 그리고, 접착 부재(170)와 마주 대하는 연결밴드(150)(151)의 대응 표면에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190)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연결밴드(150)(151)는 허리밴드(100)(101)의 표면에 구성된 접착 부재(170)를 통해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하지 않고 벨크로 테이프(190)로 처리된 면을 통해 허리밴드(100)(101)에 견고한 상태로 결합 된다.
연결밴드(150)(151)는 허리밴드(100)(101)의 접착 부재(170)에 의해 접착 지점을 정하지 않고 허리밴드(100)(101)의 표면 영역에서 결합지점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밴드(150)(151)는 탄력부재(160)를 구비한다. 탄력부재(160)는 막대형이 바람직하다. 탄력부재(160)는 연결밴드(150)(151)를 따라 설치되고 굽힘 그리고 형상 복원이 가능한 탄성 소재인 합성수지, 금속플레이트, 대나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탄력부재(160)가 중심축(S)을 기준으로 변형되는 가정된 변위의 예이다. 플렉시블한 탄력부재(160)는 중심축(S)을 기준으로 가변축(y1, y2, y3)의 변화에 따라 변위를 형성한다. 가변축(y1, y2, y3)을 허리를 중심으로 뒷부분에 위치하는 등 척추 부분 선(400a)(400b)(400c)으로 가정하면, 등 척추 부분 선 곡률에 따라 탄력부재(160)가 가변적으로 변화된다.
도 7의 (a)는 등 척추 부분 선(400a)이 직선형인 경우, 도 7의 (b)는 등 척추 부분 선(400b)이 오목 아치형, 도 7의 (c)는 등 척추 부분 선(400c)이 볼록 아치형인 예이다. 이 같이 연결부재(150)(151)에 설치된 탄력부재(160)들은 등 척추 부분 선(400a)(400b)(400c)의 변화에 대응하여 변위 되고 탄력으로 복원되며 항상 등 척추 부분 선들에 대하여 들뜸 없이 밀착 압박력을 작용시킨다.
연결밴드(150)(151)를 연결 띠(110)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연결 띠(110)를 걸어서 설치할 수 있게 각각의 연결밴드(150)(151)에 적어도 1개 이상 부착된 연결고리(130)들, 그리고, 연결고리(130)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연결 띠(110)에 설치된 고정고리(200) 및 그 고정고리(200)를 속박하여 허리밴드(100) 상에 지지하는 고정 띠(210)를 포함한다.
고정 띠(210)의 표면에는 허리밴드(101)의 접착 부재(170)에 접착되는 벨크로 테이프(220)가 부착되어 있고 그 단부에는 손가락으로 걸거나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는 당김 고리(33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는, 도 1 및 도 2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된 허리밴드(100)(101), 그리고 연결밴드(150)(151), 탄력부재(160), 연결밴드(150)(151)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되는 구성이다(도 10, 샘플 사진 참조).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는, 도 1 및 도 3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양편으로 구분되어 허리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허리밴드(100)(101), 상기 허리밴드(100)(101)를 연결하는 연결 띠(110), 상기 연결 띠(110)를 당기는 당김 띠(120), 그리고 양편 허리밴드(100)(101)의 양단을 결합하여 착용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허리 보호대로 구성된다.
그리고, 허리밴드(100)(101)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140)을 구비하여 각각 양편 허리밴드(100)(101)에 결합 되는 연결밴드(150)(151)로 구성된다.
그리고, 신체의 척추를 중심으로 등 부분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밴드(150)(151)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 탄력부재(160)들이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밴드(150)(151)를 연결 띠(110)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수단; 및
연결밴드(150)(151)와 별도로 허리밴드(100)(101)의 내측 방향에 필요에 따라 붙이고 뗄 수 있는 압박밀착판(3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압박밀착판(300)에는 신체의 직립 방향과 나란한 탄력부재(310)가 설치된 것을 포함한다.
허리밴드(100)(101)의 표면은 접착 부재(170)로 구성된다.
허리밴드(100)(101)의 양단을 결합하여 착용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은, 허리밴드(100)(101)의 표면에 구성된 접착 부재(170), 허리밴드(101)의 이면에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180)로 구성된다.
연결밴드(150)(151)에 구성되는 결합수단(140)은, 허리밴드(100)(101)의 표면에 구성된 접착 부재(170), 접착 부재(170)와 마주 대하는 연결밴드(150)(151)의 대응 표면에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190)로 구성된다.
연결밴드(150)(151)에 설치되는 탄력부재(160)는 막대형으로서 연결밴드(150)(151)를 따라 설치되고 굽힘 그리고 형상 복원이 가능한 탄성 소재인 합성수지, 금속플레이트, 대나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구체적 구성은 전술된 대표적 실시 예 및 도 7과 같다.
연결밴드(150)(151)를 연결 띠(110)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연결 띠(110)를 걸어서 설치할 수 있게 각각의 연결밴드(150)(151)에 적어도 1개 이상 부착된 연결고리(130)들, 연결고리(130)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연결 띠(110)에 설치된 고정고리(200) 및 그 고정고리(200)를 속박하여 허리밴드(100) 상에 지지하는 고정 띠(210)를 포함한다.
고정 띠(210)의 표면에는 허리밴드(101)의 접착 부재(170)에 접착되는 벨크로 테이프(220)가 부착되어 있고 그 단부에는 손가락으로 걸거나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는 당김 고리(330)가 설치된다.
허리밴드(100)(101)의 내측에 설치되는 압박밀착판(300)은 양편의 허리밴드(100)(101)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벨크로 테이프로 처리된 결속밴드(320)로 구성된다.
탄력부재(310)는 막대형으로서 압박밀착판(300)을 따라 설치되고 굽힘 그리고 형상 복원이 가능한 탄성 소재인 합성수지, 금속플레이트, 대나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도 7은 탄력부재(310)가 중심축(S)을 기준으로 변형되는 가정된 변위의 예이다. 플렉시블한 탄력부재(310)는 중심축(S)을 기준으로 가변축(y1, y2, y3)의 변화에 따라 변위를 형성한다. 가변축(y1, y2, y3)을 허리를 중심으로 뒷부분에 위치하는 등 척추 부분 선(400a)(400b)(400c)으로 가정하면, 등 척추 부분 선 곡률에 따라 탄력부재(160)가 가변적으로 변화된다.
도 7의 (a)는 등 척추 부분 선(400a)이 직선형인 경우, 도 7의 (b)는 등 척추 부분 선(400b)이 오목 아치형, 도 7의 (c)는 등 척추 부분 선(400c)이 볼록 아치형인 예이다. 이 같이 압박밀착판(300)에 설치된 탄력부재(310)들은 등 척추 부분 선(400a)(400b)(400c)의 변화에 대응하여 변위 되고 탄력으로 복원되며 항상 등 척추 부분 선들에 대하여 들뜸 없는 밀착압박력을 작용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는, 도 1 및 도 3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된 허리밴드(100)(101), 그리고 연결밴드(150)(151), 탄력부재(160), 연결밴드(150)(151)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 허리밴드(100)(101)의 내측 방향에 필요에 따라 붙이고 뗄 수 있는 압박밀착판(300), 압박밀착판(300)에 설치된 탄력부재(310)의 기술적 구성이다(도 11, 샘플 사진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는, 허리밴드(100)(101), 허리밴드(100)(101)를 연결하는 연결 띠(110), 연결 띠(110)를 당기는 당김 띠(120), 그리고 양편 허리밴드(100)(101)의 양단을 결합하여 착용하도록 하는 고정수단, 결합수단(140)을 구비하여 각각 양편 허리밴드(100)(101)에 결합 되는 연결밴드(150)(151), 연결밴드(150)(151)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 탄력부재(160), 그리고 연결밴드(150)(151)를 연결 띠(110)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참조하면, 허리밴드(100)(101)의 표면은 접착 부재(170)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착탈 부재로 기능 하는 벨크로 테이프는 어떤 위치 어떤 곳에서도 자유롭게 부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170)는 통상의 벨크로 테이프를 임의 접착시키고 다시 떼어낼 수 있는 통상의 부재이다. 보통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고 표면이 거친 것부터 거칠지 않고 부드러운 합성수지사로 제조된 것들도 있다. 가능하면 부드러운 접착 부재(170)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허리밴드(100)(101)는 연결 끈(110)으로 서로 연결될 경우 허리에 둘러 착용할 수 있다 허리밴드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은 허리밴드(100)(101)의 표면 접착 부재(170)이고 한쪽 허리밴드(101)의 이면에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180)이다.
한쪽 허리밴드(100)를 허리에 두르고 다른 한쪽 허리밴드(101)를 복부 부분에서 허리밴드(100)의 표면에 대고 누르면 첩착 부재(170)에 허리밴드(101)에 봉재된 벨크로 테이프(180)가 접착되어 착용상태를 유지한다.
허리밴트(100)(101)의 표면 자체를 접착 부재(170)로 구성하는 경우 별도의 접착 수단을 부분적으로 갖는 것에 비해 광폭 상의 면적에 접착 면적을 형성하여 상대측 허리밴드(101)에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180) 접착부가 자유로운 지점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허리밴드(100)(101)를 착용할 때 접착 지점을 정하지 않고 허리밴드(100)(101)의 표면 영역에서 접착 고정지점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밴드(150)(151)는 서로 떨어진 허리밴드(100)(101)에 각각 결합 되어 열결 띠(110)를 통해 연허리밴드(100)(101)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동시에 자체 탄력변형을 통해 허리의 등 뒤 척추 부분을 탄력밀착력으로 균형적으로 잡아주고 장기간 착용하여도 무리가 가거나 상해를 주지않는다.
연결밴드(150)(151)는 허리밴드(100)(101)에 간단하게 결합 된다. 허리밴드(100)(101)의 표면에는 접착 부재(170)가 있어서 접착 부재(170)와 마주 대하는 연결밴드(150)(151)의 대응 표면에 설치된 벨크로 테이프(190)를 통해 별도의 봉재 없이 간단한 접착력으로 결합 된다.
연결밴드(150)(151)는 허리밴드(100)(101)의 접착 부재(170)에 의해 접착 지점을 정하지 않고 허리밴드(100)(101)의 표면 영역에서 결합지점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밴드(150)(151)는 탄력부재(160)를 구비한다. 탄력부재(160)는 막대형이 바람직하다. 탄력부재(160)는 연결밴드(150)(151)를 따라 설치되고 굽힘 그리고 형상 복원이 가능한 탄성 소재면 된다.
합성수지, 금속플레이트, 대나무 등은 탄력부재(160)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탄력부재(160)는. 도 7의 (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축(S)을 기준으로 변형되고 변위 된다. 변위력은 신체를 움직일 때 나타나는 방향성 힘들 중 등 척추 부분의 동적 움직임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변위력이 작용할 때, 허리밴드(100)(101) 또는 연결부재(150)(151) 들 중 어느 한쪽의 편심 변형만 일어나거나 또는 양쪽 모두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경우 변위력은 허리밴드(100)(101) 그리고 연결부재(150)(151)가 접촉하는 신체 부위에 변위력에 해당하는 만큼의 압박력을 전달하고 이는 신체를 국부적으로 압박하여 데미지를 주게 된다.
반대로 변위력에 전달될 때 변위력의 작용 방향으로 순응하는 변형이 있으면 변위력이 상쇄되어 신체 데미지가 작아진다.
도 7을 참조하면, 플렉시블한 탄력부재(160)는 중심축(S)을 기준으로 가변축(y1, y2, y3)의 변화에 따라 변위를 형성한다. 가변축(y1, y2, y3)을 허리를 중심으로 뒷부분에 위치하는 등 척추 부분 선(400a)(400b)(400c)으로 가정하면, 등 척추 부분 선 곡률에 따라 탄력부재(160)가 가변적으로 변화된다.
도 7의 (a)는 등 척추 부분 선(400a)이 직선형인 경우, 도 7의 (b)는 등 척추 부분 선(400b)이 오목 아치형, 도 7의 (c)는 등 척추 부분 선(400c)이 볼록 아치형인 예이다. 이 같이 연결부재(150)(151)에 설치된 탄력부재(160)들은 등 척추 부분 선(400a)(400b)(400c)의 변화에 대응하여 변위 되고 탄력으로 복원되며 항상 등 척추 부분 선들에 대하여 들뜸 없이 밀착 압박력을 작용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허리밴드(100)(101), 허리밴드(100)(101)를 연결하는 연결 띠(110), 연결 띠(110)를 당기는 당김 띠(120), 그리고 양편 허리밴드(100)(101)의 양단을 결합하여 착용하도록 하는 고정수단, 결합수단(140)을 구비하여 각각 양편 허리밴드(100)(101)에 결합 되는 연결밴드(150)(151), 연결밴드(150)(151)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 탄력부재(160), 그리고 연결밴드(150)(151)를 연결 띠(110)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수단, 허리밴드(100)(101)의 내측 방향에 필요에 따라 붙이고 뗄 수 있는 압박밀착판(300), 압박밀착판(300)에 설치된 탄력부재(310)로 구성될 수 있다.
허리밴드(100)(101)의 내측에 설치되는 압박밀착판(300)은 양편의 허리밴드(100)(101)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벨크로 테이프로 처리된 결속밴드(320)로 되어 있다.
압박밀착판(300)에 구성되는 탄력부재(310)는 막대형으로서 압박밀착판(300)을 따라 설치되고 굽힘 그리고 형상 복원이 가능한 탄성 소재인 합성수지, 금속플레이트, 대나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탄력부재(310)가 중심축(S)을 기준으로 변형되는 가정된 변위의 예이다. 플렉시블한 탄력부재(310)는 중심축(S)을 기준으로 가변축(y1, y2, y3)의 변화에 따라 변위를 형성한다. 가변축(y1, y2, y3)을 허리를 중심으로 뒷부분에 위치하는 등 척추 부분 선(400a)(400b)(400c)으로 가정하면, 등 척추 부분 선 곡률에 따라 탄력부재(160)가 가변적으로 변화된다.
도 7의 (a)는 등 척추 부분 선(400a)이 직선형인 경우, 도 7의 (b)는 등 척추 부분 선(400b)이 오목 아치형, 도 7의 (c)는 등 척추 부분 선(400c)이 볼록 아치형인 예이다. 이 같이 압박밀착판(300)에 설치된 탄력부재(310)들은 등 척추 부분 선(400a)(400b)(400c)의 변화에 대응하여 변위 되고 탄력으로 복원되며 항상 등 척추 부분 선들에 대하여 들뜸 없는 밀착압박력을 작용시킨다.
압박밀착판(300)은 필요에 따라 연결밴드(150)(151)의 반대쪽 위치, 즉 허리밴드(100)(101)의 내측에 부착하여 사용하면 등 뒤 척추 부분을 더 강한 밀착 압박력으로 탄력적으로 받쳐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신체의 허리를 따라 등 뒤 척추 부분을 중심으로 연결밴드(150)(151) 및 압박밀착판(300)을 통해 탄력 압박력을 작용시켜 척추와 허리를 안정적이고 균형적으로 잡아준다.
허리밴드(100)(101)의 조임과 풀림을 통한 허리 압박 정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허리와 척추 부분에 작용하는 압박을 연결밴드(150)(151) 또는 압박밀착판(300)의 탄력으로 상쇄시켜 착용감이 좋고 압박 치료 효과도 개선된다.
연결밴드(150)(151)가 척추를 중심으로 밀착될 때 주름이 잡히지 않고 매끄러워 착용감이 부드럽다.
연결밴드(150)(151)가 둔탁한 상태로 허리 및 척추 부분에 접촉되지 않고 유연하게 접촉되어 등을 구부리거나 움직이더라도 피부 데미지가 거의 없고 안전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예시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101: 허리밴드
110: 연결 띠
120: 당김 띠
130: 연결고리
140: 결합수단
150.151: 연결밴드
160: 탄력부재
170: 접착 부재
180.190: 벨크로 테이프
200: 고정고리
210: 고정 띠
220: 벨크로 테이프
330: 당김 고리
300: 압박밀착판
310: 탄력부재
320: 결속밴드

Claims (15)

  1. 양편으로 구분되어 허리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허리밴드(100)(101), 상기 허리밴드(100)(101)를 연결하는 연결 띠(110), 상기 연결 띠(110)를 당기는 당김 띠(120), 그리고 양편 허리밴드(100)(101)의 양단을 결합하여 착용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허리 보호대; 상기 허리밴드(100)(101)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140)을 구비하여 각각 양편 허리밴드(100)(101)에 결합 되는 연결밴드(150)(151); 신체의 척추를 중심으로 등 부분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밴드(150)(151)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 탄력부재(160)들; 상기 연결밴드(150)(151)를 연결 띠(110)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 압박형 허리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탄력부재(160)는 막대형으로서 연결밴드(150)(151)를 따라 설치되고 굽힘 그리고 형상 복원이 가능한 탄성 소재인 합성수지, 금속플레이트, 대나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150)(151)를 연결 띠(110)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연결 띠(110)를 걸어서 설치할 수 있게 각각의 연결밴드(150)(151)에 적어도 1개 이상 부착된 연결고리(130)들,
    상기 연결고리(130)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연결 띠(110)에 설치된 고정고리(200) 및 그 고정고리(200)를 속박하여 허리밴드(100) 상에 지지하는 고정 띠(210)를 포함하는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띠(210)의 표면에는 허리밴드(101)의 접착 부재(170)에 접착되는 벨크로 테이프(220)가 부착되어 있고 그 단부에는 손가락으로 걸거나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는 당김 고리(330)가 설치된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양편으로 구분되어 허리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허리밴드(100)(101), 상기 허리밴드(100)(101)를 연결하는 연결 띠(110), 상기 연결 띠(110)를 당기는 당김 띠(120), 그리고 양편 허리밴드(100)(101)의 양단을 결합하여 착용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허리 보호대; 상기 허리밴드(100)(101)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140)을 구비하여 각각 양편 허리밴드(100)(101)에 결합 되는 연결밴드(150)(151); 신체의 척추를 중심으로 등 부분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밴드(150)(151)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 탄력부재(160)들; 상기 연결밴드(150)(151)를 연결 띠(110)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연결밴드(150)(151)와 별도로 허리밴드(100)(101)의 내측 방향에 붙이고 뗄 수 있는 압박밀착판(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압박밀착판(300)에는 신체의 직립 방향과 나란한 탄력부재(310)가 설치된 압박형 허리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탄력부재(160)는 막대형으로서 연결밴드(150)(151)를 따라 설치되고 굽힘 그리고 형상 복원이 가능한 탄성 소재인 합성수지, 금속플레이트, 대나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150)(151)를 연결 띠(110)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연결 띠(110)를 걸어서 설치할 수 있게 각각의 연결밴드(150)(151)에 적어도 1개 이상 부착된 연결고리(130)들,
    상기 연결고리(130)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연결 띠(110)에 설치된 고정고리(200) 및 그 고정고리(200)를 속박하여 허리밴드(100) 상에 지지하는 고정 띠(210)를 포함하는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밴드(100)(101)의 내측에 설치되는 압박밀착판(300)은 양편의 허리밴드(100)(101)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벨크로 테이프로 처리된 결속밴드(320)로 구성된 척추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부재(310)는 막대형으로서 압박밀착판(300)을 따라 설치되고 굽힘 그리고 형상 복원이 가능한 탄성 소재인 합성수지, 금속플레이트, 대나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
KR1020120105780A 2012-09-24 2012-09-24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 KR101455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780A KR101455295B1 (ko) 2012-09-24 2012-09-24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780A KR101455295B1 (ko) 2012-09-24 2012-09-24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529A KR20140039529A (ko) 2014-04-02
KR101455295B1 true KR101455295B1 (ko) 2014-10-31

Family

ID=5065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780A KR101455295B1 (ko) 2012-09-24 2012-09-24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2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138B1 (ko) * 2015-07-27 2016-07-08 이노엘에스티 주식회사 허리 보호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722Y1 (ko) 2000-07-20 2001-01-15 박대식 착탈식 허리보호대
KR200208575Y1 (ko) 2000-05-25 2001-01-15 황인옥 허리 보호대
JP3080950U (ja) 2001-04-09 2001-10-19 丁 俊榮 着脱式腰保護帯
KR100799718B1 (ko) * 2006-09-28 2008-02-01 강욱 허리보호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575Y1 (ko) 2000-05-25 2001-01-15 황인옥 허리 보호대
KR200208722Y1 (ko) 2000-07-20 2001-01-15 박대식 착탈식 허리보호대
JP3080950U (ja) 2001-04-09 2001-10-19 丁 俊榮 着脱式腰保護帯
KR100799718B1 (ko) * 2006-09-28 2008-02-01 강욱 허리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529A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1685B1 (en) Corset
US9849021B2 (en) Orthopedic back support or vertebral column brace
EP0608354B1 (en) Adjustable knee support
KR101723920B1 (ko) 어깨 및 상체 자세 교정이 가능한 압박 의류
US10517752B2 (en) Orthosis with at least one textile bandage
JP2008539915A5 (ko)
US20090090378A1 (en) Head band with securing device
CN110062613B (zh) 躯干护具以及具有该躯干护具的衣物
KR102167617B1 (ko) 자세교정벨트
KR101455295B1 (ko) 척추 밀착 탄력 압박형 허리 보호대
WO2012168883A1 (en) Strap support device for the correction and prevention of an incorrect shoulder posture
WO2009093180A1 (en) Brace
KR20120116264A (ko) 자세교정용 밴드
KR101541481B1 (ko) 허리보호용 복대
KR200362859Y1 (ko) 착탈식 허리보호대
JP6296811B2 (ja) 腰用サポータ
CN113226227A (zh) 姿势矫正器具
KR101386713B1 (ko) 허리보호대
JP3001966U (ja) 腰部サポータ
KR200440162Y1 (ko) 허리조임기능을 갖는 바지
JP4472215B2 (ja) 背筋矯正具
KR200448125Y1 (ko) 신축벨트
US20210177637A1 (en) Posture correction brace
TWI757414B (zh) 穿戴物
JP3193504U (ja) 骨盤矯正サポ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